양순 연구개 비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양순 연구개 비음은 비강 파열음의 한 종류로, 양순과 연구개에서 조음되며 유성음이고 비음이다. 이 자음은 콧길을 사용하며, 공기가 혀의 중앙을 따라 흐르고 폐쇄 자음의 특징을 갖는다. 베트남어, 당메어, 이가라어, 오키나와어 등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며, 특히 베트남어 하노이 방언에서는 원순 후설 모음 뒤에서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일부 바누아투 언어에서는 순음화된 접근음 해제와 결합하여 발음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중 조음 - 무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무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k͡p]은 양순과 연구개에서 동시에 조음되는 이중 조음음으로, 서아프리카, 북부 중앙 아프리카, 뉴기니 일부 언어에서 나타나며, 자음 결합 [kp]와 달리 거의 동시에 파열이 일어나고, 실제 발음 시 흡착음과 유사한 내향성 기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 이중 조음 - 유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두 입술과 혀의 뒷부분 및 연구개 사이에서 동시에 조음되는 유성 폐쇄음인 유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은 국제 음성 기호로 ɡ͡b로 표기되며 요루바어, 이보어 등 아프리카 언어에서 찾아볼 수 있고 'gb'로 표기되기도 한다. - 비강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비강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 양순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양순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양순 연구개 비음 | |
---|---|
음성 정보 | |
일반 정보 | |
IPA 번호 | 119 (114) |
IPA 기호 | ŋ͡m |
10진수 | 331, 865, 109 |
X-SAMPA | Nm |
키르셴바움 | Nm |
발음 정보 | |
설명 | 양순음, 연구개음, 비음 |
2. 특징
- 조음 방법은 비음이다. 구강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 조음한다.[3]
- 혀 뒷부분을 연구개에, 입술을 양순에 대는 양순 연구개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 입을 통하지 않고 코로만 공기를 내보내는 비음이다.
- 혀의 중앙으로 공기를 내보내는 중설음이다.
- 폐에서 공기를 내보내는 폐장기류음이다.[4]
- 양순음과 연구개음의 자음 결합에서는 단일 자음의 1.5배의 시간이 걸리지만, 양순 연구개음은 양순음보다 25~30밀리초 더 길 뿐이다.[3]
- 혀의 뒷부분이 약간 뒤로 움직이기 때문에, 종종 흡착음과 유사한 내향적인 기류가 발생한다.[4]
3. 언어별 예시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당메어 | Dangmeada | [daŋ͡me] | '당메어' | ||
이가라어 | ñmọigl | [ŋ͡mɔ̄] | '마시다' | 의 변이음. 이가라어 음운론 참조 | |
오키나와어 | ʻnmuryu | [ʔŋ͡mu] | '감자' | 단어 첫머리에서 의 변이음. | |
베트남어 | đúngvi | [ɗuŋ͡m] | '옳은' | 뒤에 오는 의 변이음. 베트남어 음운론 참조 | |
옐레어 | ngmoyle | [ŋ͡mɔ] | '가슴' | 유성 순치경 비음 및 유성 설단 후치 비음과 대조. |
베트남어 하노이 방언에서는 가 원순 후설 모음 뒤에서 으로 나타난다[8]。
- 베트남어 하노이 방언 ong "벌"[9]
3. 1. 순음화 변이음
일부 언어, 특히 바누아투에서는 양순 연구개 비음이 순음화된 접근음 해제와 결합하여 로 발음되기도 한다.이 발음이 존재하는 뱅크스 제도 언어에서는 음소 가 현지 철자법에서 (m 위에 매크론 부호)로 표기한다. 바누아투 남부의 다른 언어(예: 사우스에파테어 또는 레나켈어)에서는 동일한 음성 분절을 결합 물결표를 사용하여 (m 위에 물결표)로 표기한다.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도리그어 | m̄sarwwo | '가난한' | 접근음 해제로 실현됨. | |
라콘어 | um̄älkn | '집' | ||
레나켈어 | noanəm̃ɨktnl | '달걀 노른자' | ||
무에센어 | tam̄sarmsn | '사람' |
4. 음성학적 특징
5. 같이 보기
참조
[1]
기타
ŋm
[2]
논문
Vietnamese
https://www.cambridg[...]
2011
[3]
서적
음성학
1996
[4]
서적
음성학
2001
[5]
서적
음성학
1996
[6]
웹사이트
Idoma
http://www.phonetics[...]
UCLA Phonetic Lab data
[7]
서적
음성학
1996
[8]
논문
2006
[9]
논문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