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주군은 1895년 양주목에서 양주군으로 개칭되었으며,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을 겪었다. 1914년 시둔면, 주내면, 회천면, 노해면, 구리면 등으로 개편되었고, 이후 의정부시, 동두천시, 남양주시, 구리시, 서울특별시 등으로 분리되었다. 1980년 남양주군이 분리되었고, 2003년 양주군이 양주시로 승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주시의 역사 - 풍양현
풍양현은 문서가 존재하지 않아 개요를 작성할 수 없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군 - 청원군
청원군은 충청북도 중서부에 위치했던 군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삼한시대에는 마한, 삼국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영토였고, 2014년 청주시에 통합되기 전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문의문화재단지, 대청댐 등의 주요 시설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군 - 수원군
수원군은 현재의 화성시 일대에 있었던 옛 행정 구역으로, 삼국 시대에는 매홀군, 신라 시대에는 수성군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 수원도호부가 설치되어 도시가 발전했으나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을 거치며 쇠퇴했다가 1949년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 2003년 폐지 - 개성시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시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정치, 경제, 문화,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한, 현재 개성공업지구와 고려 유적이 남아있는 황해북도 소재의 특별시이다. - 2003년 폐지 - CB 매스
CB 매스는 2000년 데뷔하여 세 장의 앨범을 내고 독창적인 스타일로 주목받았으나 멤버 간 갈등으로 2003년 해체된 커빈, 최자, 개코로 구성된 힙합 그룹이다.
양주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한제국 |
설치 | 1895년 5월 26일 |
폐지 | 1914년 4월 1일 |
위치 | 경기도 북부 |
역사 | |
1895년 5월 26일 | 23부제 시행으로 양주군 설치 |
1896년 8월 4일 | 13도제 시행으로 경기도 관할이 됨 |
1914년 4월 1일 | 양주군 폐지 및 고양군, 포천군에 분할 편입 |
행정 구역 | |
1896년 당시 | 읍내면(邑內面) 고리면(古里面) 시둔면(時芚面) 주내면(州內面) 둔야면(遁也面) 노해면(蘆海面) 별비면(別非面) 회천면(檜泉面) 은현면(隱縣面) 적성면(積城面) 남면(南面) 백석면(白石面) 광적면(廣積面) 양동면(楊洞面) 어등면(於等面) 내동면(內東面) 외동면(外東面) 진벌면(眞筏面) 가납면(加納面) 신혈면(薪穴面) 청송면(靑松面) |
1914년 폐지 당시 | 고양군 편입 지역: 주내면, 시둔면, 둔야면, 노해면, 별비면, 고리면 포천군 편입 지역: 회천면, 은현면, 적성면, 남면, 백석면, 광적면, 양동면, 어등면, 내동면, 외동면, 진벌면, 가납면, 신혈면, 청송면 |
2. 행정 구역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 당시 양주군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2]
1914년 | 현재 | ||
---|---|---|---|
면 | 리 | 구·읍·면 | 동·리 |
이담면 | 동두천리, 하봉암리, 상봉암리, 안흥리, 보산리, 걸산리, 생연리, 광암리, 지행리, 송내리 | 동두천시 | 동두천동, 하봉암동, 상봉암동, 안흥동, 보산동, 걸산동, 생연동, 광암동, 지행동, 송내동 |
은현면 | 상패리 | 동두천시 | 상패동 |
하패리, 용암리, 선암리, 운암리, 봉암리, 도하리 | 양주시 은현면 | 하패리, 용암리, 선암리, 운암리, 봉암리, 도하리 | |
광적면 | 석우리, 덕도리, 효촌리, 가납리, 광석리, 우고리, 비암리 | 양주시 광적면 | 석우리, 덕도리, 효촌리, 가납리, 광석리, 우고리, 비암리 |
백석면 | 방성리, 오산리, 홍죽리, 연곡리, 가업리, 복지리, 기산리 일부 | 양주시 백석읍 | 방성리, 오산리, 홍죽리, 연곡리, 가업리, 복지리, 기산리 |
영장리, 기산리 일부 | 파주시 광탄면 | 영장리, 기산리 | |
장흥면 | 울대리, 부곡리, 일영리, 삼하리, 삼상리, 교현리, 석현리 | 양주시 장흥면 | 울대리, 부곡리, 일영리, 삼하리, 삼상리, 교현리, 석현리 |
주내면 | 유양리, 남방리, 어둔리, 산북리, 마전리, 광사리, 만송리, 고읍리, 삼숭리 | 양주시 | 유양동, 남방동, 어둔동, 산북동, 마전동, 광사동, 만송동, 고읍동, 삼숭동 |
회천면 | 회정리, 덕계리, 고암리, 회암리, 율정리, 옥정리, 덕정리, 봉양리 | 회정동, 덕계동, 고암동, 회암동, 율정동, 옥정동, 덕정동, 봉양동 | |
시둔면 | 자일리, 금오리, 가능리, 직동리, 녹양리, 낙양리, 민락리, 호원리, 의정부리, 용현리, 신곡리, 동오리, 장암리 | 의정부시 | 자일동, 금오동, 가능동 일부, 녹양동, 낙양동, 민락동, 호원동, 의정부동, 용현동, 신곡동, 장암동 |
별내면 | 산곡리, 고산리 | 산곡동, 고산동[3] | |
청학리, 용암리, 광전리 | 남양주시 별내면 | 청학리, 용암리, 광전리 | |
덕송리, 화접리 | 남양주시 | 별내동 | |
퇴계원리 | 남양주시 퇴계원읍 | 퇴계원리 | |
진건면 | 송능리, 용정리, 사능리, 신월리, 진관리, 배양리 일부 | 남양주시 진건읍 | 송능리, 용정리, 사능리, 신월리, 진관리, 배양리 일부 |
팔현리, 오남리, 양지리 | 남양주시 오남읍 | 팔현리, 오남리, 양지리 | |
진접면 | 진벌리, 팔야리, 금곡리, 부평리, 연평리, 장현리, 내각리, 내곡리 | 남양주시 진접읍 | 진벌리, 팔야리, 금곡리, 부평리, 연평리, 장현리, 내각리, 내곡리 |
수산리 | 남양주시 수동면 | 수산리 | |
화도면 | 운수리, 송천리, 지둔리 | 운수리, 송천리, 지둔리 | |
묵현리, 녹촌리, 창현리, 차산리, 마석우리, 금남리, 가곡리, 구암리, 답내리, 월산리 | 남양주시 화도읍 | 묵현리, 녹촌리, 창현리, 차산리, 마석우리, 금남리, 가곡리, 구암리, 답내리, 월산리 | |
와부면 | 능내리, 조안리, 진중리, 송촌리, 삼봉리, 시우리 | 남양주시 조안면 | 능내리, 조안리, 진중리, 송촌리, 삼봉리, 시우리 |
율석리, 덕소리, 도곡리, 월문리, 팔당리 | 남양주시 와부읍 | 율석리, 덕소리, 도곡리, 월문리, 팔당리 | |
미금면 | 도농리·지금리·가운리, 수석리, 일패리, 이패리, 삼패리, 금곡리, 평내리, 호평리 | 남양주시 | 도농동·지금동·다산동, 수석동, 일패동, 이패동, 삼패동, 금곡동, 평내동, 호평동 |
구리면 | 인창리, 사노리, 교문리, 수택리, 토평리, 아천리, 갈매리 | 구리시 | 인창동, 사노동, 교문동, 수택동, 토평동, 아천동, 갈매동 |
묵동리, 중하리, 상봉리, 신내리, 망우리 | 서울특별시 중랑구 | 묵동, 중화동, 상봉동, 신내동, 망우동 | |
노해면 | 월계리, 공덕리, 하계리, 중계리, 상계리 | 서울특별시 노원구 | 월계동,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 상계동 |
도봉리, 방학리, 쌍문리, 창동리 | 서울특별시 도봉구 | 도봉동, 방학동, 쌍문동, 창동 |
2. 1. 1914년 행정구역 개편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전국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하면서 양주군에도 대대적인 변화가 있었다. 기존의 면(面)들이 통폐합되고, 각 면 아래의 리(里)들도 조정되면서 현재 양주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구리시, 서울 노원구, 도봉구, 중랑구의 기틀이 마련되었다.[2]1914년 면 | 1914년 리 | 현재 구·읍·면 | 현재 동·리 |
---|---|---|---|
이담면 | 동두천리, 하봉암리, 상봉암리, 안흥리, 보산리, 걸산리, 생연리, 광암리, 지행리, 송내리 | 동두천시 | 동두천동, 하봉암동, 상봉암동, 안흥동, 보산동, 걸산동, 생연동, 광암동, 지행동, 송내동 |
은현면 | 상패리 | 동두천시 | 상패동 |
하패리, 용암리, 선암리, 운암리, 봉암리, 도하리 | 양주시 은현면 | 하패리, 용암리, 선암리, 운암리, 봉암리, 도하리 | |
광적면 | 석우리, 덕도리, 효촌리, 가납리, 광석리, 우고리, 비암리 | 양주시 광적면 | 석우리, 덕도리, 효촌리, 가납리, 광석리, 우고리, 비암리 |
백석면 | 방성리, 오산리, 홍죽리, 연곡리, 가업리, 복지리, 기산리 일부 | 양주시 백석읍 | 방성리, 오산리, 홍죽리, 연곡리, 가업리, 복지리, 기산리 |
영장리, 기산리 일부 | 파주시 광탄면 | 영장리, 기산리 | |
장흥면 | 울대리, 부곡리, 일영리, 삼하리, 삼상리, 교현리, 석현리 | 양주시 장흥면 | 울대리, 부곡리, 일영리, 삼하리, 삼상리, 교현리, 석현리 |
주내면 | 유양리, 남방리, 어둔리, 산북리, 마전리, 광사리, 만송리, 고읍리, 삼숭리 | 양주시 | 유양동, 남방동, 어둔동, 산북동, 마전동, 광사동, 만송동, 고읍동, 삼숭동 |
회천면 | 회정리, 덕계리, 고암리, 회암리, 율정리, 옥정리, 덕정리, 봉양리 | 양주시 | 회정동, 덕계동, 고암동, 회암동, 율정동, 옥정동, 덕정동, 봉양동 |
시둔면 | 자일리, 금오리, 가능리, 직동리, 녹양리, 낙양리, 민락리, 호원리, 의정부리, 용현리, 신곡리, 동오리, 장암리 | 의정부시 | 자일동, 금오동, 가능동 일부, 녹양동, 낙양동, 민락동, 호원동, 의정부동, 용현동, 신곡동, 장암동 |
별내면 | 산곡리, 고산리 | 의정부시 | 산곡동, 고산동[3] |
청학리, 용암리, 광전리 | 남양주시 별내면 | 청학리, 용암리, 광전리 | |
덕송리, 화접리 | 남양주시 별내동 | 덕송리, 화접리 | |
퇴계원리 | 남양주시 퇴계원읍 | 퇴계원리 | |
진건면 | 송능리, 용정리, 사능리, 신월리, 진관리, 배양리 일부 | 남양주시 진건읍 | 송능리, 용정리, 사능리, 신월리, 진관리, 배양리 일부 |
팔현리, 오남리, 양지리 | 남양주시 오남읍 | 팔현리, 오남리, 양지리 | |
진접면 | 진벌리, 팔야리, 금곡리, 부평리, 연평리, 장현리, 내각리, 내곡리 | 남양주시 진접읍 | 진벌리, 팔야리, 금곡리, 부평리, 연평리, 장현리, 내각리, 내곡리 |
수산리 | 남양주시 수동면 | 수산리 | |
화도면 | 운수리, 송천리, 지둔리 | 남양주시 수동면 | 운수리, 송천리, 지둔리 |
묵현리, 녹촌리, 창현리, 차산리, 마석우리, 금남리, 가곡리, 구암리, 답내리, 월산리 | 남양주시 화도읍 | 묵현리, 녹촌리, 창현리, 차산리, 마석우리, 금남리, 가곡리, 구암리, 답내리, 월산리 | |
와부면 | 능내리, 조안리, 진중리, 송촌리, 삼봉리, 시우리 | 남양주시 조안면 | 능내리, 조안리, 진중리, 송촌리, 삼봉리, 시우리 |
율석리, 덕소리, 도곡리, 월문리, 팔당리 | 남양주시 와부읍 | 율석리, 덕소리, 도곡리, 월문리, 팔당리 | |
미금면 | 도농리·지금리·가운리, 수석리, 일패리, 이패리, 삼패리, 금곡리, 평내리, 호평리 | 남양주시 | 도농동·지금동·다산동, 수석동, 일패동, 이패동, 삼패동, 금곡동, 평내동, 호평동 |
구리면 | 인창리, 사노리, 교문리, 수택리, 토평리, 아천리, 갈매리 | 구리시 | 인창동, 사노동, 교문동, 수택동, 토평동, 아천동, 갈매동 |
묵동리, 중하리, 상봉리, 신내리, 망우리 | 서울특별시 중랑구 | 묵동, 중화동, 상봉동, 신내동, 망우동 | |
노해면 | 월계리, 공덕리, 하계리, 중계리, 상계리 | 서울특별시 노원구 | 월계동,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 상계동 |
도봉리, 방학리, 쌍문리, 창동리 | 서울특별시 도봉구 | 도봉동, 방학동, 쌍문동, 창동 |
2. 1. 1. 시둔면 (현 의정부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시북면(柴北面)과 둔야면(芚夜面)이 통합되어 시둔면(柴芚面)이 신설되었다.[2] 시둔면은 자일리, 금오리, 가능리, 직동리, 녹양리, 낙양리, 민락리, 호원리, 의정부리, 용현리, 신곡리, 동오리, 장암리를 관할하였다.[2]시둔면은 대부분 현 의정부시 관할이 되었으며, 일부는 남양주시로 편입되었다.[3]
1914년 시둔면 | 현재 의정부시 |
---|---|
자일리, 금오리, 가능리, 직동리, 녹양리, 낙양리, 민락리, 호원리, 의정부리, 용현리, 신곡리, 동오리, 장암리 | 자일동, 금오동, 가능동 일부, 녹양동, 낙양동, 민락동, 호원동, 의정부동, 용현동, 신곡동, 장암동 |
2. 1. 2. 주내면/회천면 (현 양주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읍내면, 고주내면, 회암면, 천천면, 어등산면을 합쳐 주내면(州內面)이, 회암면과 천천면을 합쳐 회천면(檜泉面)이 되었다.[2]1914년 | 현재 |
---|---|
주내면(유양리, 남방리, 어둔리, 산북리, 마전리, 광사리, 만송리, 고읍리, 삼숭리) | 양주시 유양동, 남방동, 어둔동, 산북동, 마전동, 광사동, 만송동, 고읍동, 삼숭동 |
회천면(회정리, 덕계리, 고암리, 회암리, 율정리, 옥정리, 덕정리, 봉양리) | 양주시 회정동, 덕계동, 고암동, 회암동, 율정동, 옥정동, 덕정동, 봉양동 |
이후 양주군은 2003년 10월 19일 양주시로 승격되었으며, 주내면은 양주동으로, 회천면은 회천동으로 변경되었다.[2]
2. 1. 3. 노해면 (현 서울 노원구/도봉구)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해등촌면(海等村面)과 노원면(蘆原面)이 통합되어 노해면(蘆海面)이 신설되었다.[2] 노해면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노원구와 도봉구 지역에 해당한다.1914년 당시 노해면은 월계리, 공덕리, 하계리, 중계리, 상계리, 도봉리, 방학리, 쌍문리, 창동리를 관할하였다.[2] 이 지역들은 현재 서울 노원구의 월계동,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 상계동과 도봉구의 도봉동, 방학동, 쌍문동, 창동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2]
1914년 (노해면) | 현재 (서울특별시) |
---|---|
월계리 | 노원구 월계동 |
공덕리 | 노원구 공릉동 |
하계리 | 노원구 하계동 |
중계리 | 노원구 중계동 |
상계리 | 노원구 상계동 |
도봉리 | 도봉구 도봉동 |
방학리 | 도봉구 방학동 |
쌍문리 | 도봉구 쌍문동 |
창동리 | 도봉구 창동 |
2. 1. 4. 구리면 (현 구리시/서울 중랑구)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구지면(九旨面), 망우리면(忘憂面), 노원면(蘆原面) 일부가 통합되어 구리면(九里面)이 신설되었다.[2] 구리면은 현재의 구리시와 서울특별시 중랑구 일대에 해당한다.구리면은 구리시 지역에 해당하는 인창리, 사노리, 교문리, 수택리, 토평리, 아천리, 갈매리와 서울특별시 중랑구 지역에 해당하는 묵동리, 중하리, 상봉리, 신내리, 망우리를 관할하였다.[2]
1914년 구리면 | 현재 행정구역 |
---|---|
인창리, 사노리, 교문리, 수택리, 토평리, 아천리, 갈매리 | 구리시 인창동, 사노동, 교문동, 수택동, 토평동, 아천동, 갈매동 |
묵동리, 중하리, 상봉리, 신내리, 망우리 |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 중화동, 상봉동, 신내동, 망우동 |
2. 1. 5. 진접면/별내면 (현 남양주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진벌면(榛伐面), 접동면(接洞面), 별비면(別丕面), 내동면(內洞面)이 합쳐져 진접면(榛接面)이 되었다. 진접면은 진벌리, 팔야리, 금곡리, 부평리, 연평리, 장현리, 내각리, 내곡리, 수산리를 관할했다.[2]별내면(別內面)은 별비면(別丕面)과 내동면(內洞面)을 합쳐 만들어졌으며, 청학리, 용암리, 광전리, 덕송리, 화접리, 퇴계원리, 산곡리, 고산리를 관할했다.[2]
이후, 별내면 산곡리, 고산리는 의정부시로,[3] 퇴계원리는 퇴계원읍으로, 덕송리와 화접리는 별내동으로 분리되었다. 진접면 수산리는 수동면으로 편입되었다.[2]
현재 진접면, 별내면 지역은 모두 남양주시에 속해 있다.
2. 1. 6. 진건면 (현 남양주시)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진관면(眞官面)과 건천면(乾川面)이 통합되어 진건면(眞乾面)이 신설되었다.[2] 진건면은 송능리, 용정리, 사능리, 신월리, 진관리, 배양리 일부, 팔현리, 오남리, 양지리를 관할하였다.[2]해방 이후 진건면은 1980년 남양주군이 신설되면서 남양주군에 편입되었다. 1986년에는 오남면이 분리되었고, 1989년에는 진건면이 진건읍으로 승격되었다.[2] 현재 진건읍은 송능리, 용정리, 사능리, 신월리, 진관리, 배양리 일부를 관할하고 있으며, 팔현리, 오남리, 양지리는 오남읍으로 분리되어 있다.[2]
2. 1. 7. 와부면/화도면/미금면 (현 남양주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와공면(瓦孔面)과 초부면(草阜面)이 합쳐져 와부면(瓦阜面)이 되었고,[2] 상도면(上道面)과 하도면(下道面)이 화도면(和道面)으로,[2] 미음면(渼陰面)과 금촌면(金村面)이 미금면(渼金面)으로[2] 통합되었다.1914년 이전 | 1914년 | 현재 |
---|---|---|
와공면(瓦孔面), 초부면(草阜面) | 와부면 | 남양주시 와부읍, 조안면 |
상도면(上道面), 하도면(下道面) | 화도면 | 남양주시 화도읍, 수동면 |
미음면(渼陰面), 금촌면(金村面) | 미금면 | 남양주시 도농동·지금동·다산동, 수석동, 일패동, 이패동, 삼패동, 금곡동, 평내동, 호평동 |
현재 와부면은 남양주시 와부읍과 조안면으로, 화도면은 남양주시 화도읍과 수동면으로, 미금면은 남양주시 도농동·지금동·다산동, 수석동, 일패동, 이패동, 삼패동, 금곡동, 평내동, 호평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 1. 8. 백석면/광적면/은현면/이담면/장흥면 (현 양주시)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양주군의 백석면, 광적면, 은현면, 이담면, 장흥면이 현재의 양주시와 동두천시 지역으로 재편되었다.[2]- 백석면: 방성리, 오산리, 홍죽리, 연곡리, 가업리, 복지리, 기산리 일부는 백석읍으로, 영장리, 기산리 일부는 파주시 광탄면으로 편입되었다.
- 광적면: 석우리, 덕도리, 효촌리, 가납리, 광석리, 우고리, 비암리는 현재의 광적면과 같다.
- 은현면: 상패리는 동두천시로, 하패리, 용암리, 선암리, 운암리, 봉암리, 도하리는 은현면으로 편입되었다.
- 이담면: 동두천리, 하봉암리, 상봉암리, 안흥리, 보산리, 걸산리, 생연리, 광암리, 지행리, 송내리는 동두천시로 편입되었다.
- 장흥면: 울대리, 부곡리, 일영리, 삼하리, 삼상리, 교현리, 석현리는 현재의 장흥면과 같다.
1914년 면 | 1914년 리 | 현재 구·읍·면 | 현재 동·리 |
---|---|---|---|
백석면 | 방성리, 오산리, 홍죽리, 연곡리, 가업리, 복지리, 기산리 일부 | 양주시 백석읍 | 방성리, 오산리, 홍죽리, 연곡리, 가업리, 복지리, 기산리 |
백석면 | 영장리, 기산리 일부 | 파주시 광탄면 | 영장리, 기산리 |
광적면 | 석우리, 덕도리, 효촌리, 가납리, 광석리, 우고리, 비암리 | 양주시 광적면 | 석우리, 덕도리, 효촌리, 가납리, 광석리, 우고리, 비암리 |
은현면 | 상패리 | 동두천시 | 상패동 |
은현면 | 하패리, 용암리, 선암리, 운암리, 봉암리, 도하리 | 양주시 은현면 | 하패리, 용암리, 선암리, 운암리, 봉암리, 도하리 |
이담면 | 동두천리, 하봉암리, 상봉암리, 안흥리, 보산리, 걸산리, 생연리, 광암리, 지행리, 송내리 | 동두천시 | 동두천동, 하봉암동, 상봉암동, 안흥동, 보산동, 걸산동, 생연동, 광암동, 지행동, 송내동 |
장흥면 | 울대리, 부곡리, 일영리, 삼하리, 삼상리, 교현리, 석현리 | 양주시 장흥면 | 울대리, 부곡리, 일영리, 삼하리, 삼상리, 교현리, 석현리 |
3. 연혁
3. 1. 조선시대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양주목이 양주군으로 변경되었다.[4]
3. 2. 일제강점기
1906년 9월 24일 고양군에 신혈면을, 포천군에 산내면과 청송면을 이관하고, 광주군에서 초부면을 편입하였다.[4]
1914년 4월 1일 고양주면이 고양군에, 영근면이 연천군에 이관되고, 면(面)·리(里)가 통폐합되는 등 대대적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었다.[5][6] (16면)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양주군 시북면(柴北面), 둔야면(芚夜面) | 시둔면 |
양주군 읍내면(邑內面), 고주내면(古州內面) | 주내면 |
양주군 회암면(檜岩面), 천천면(泉川面), 어등산면(於等山面) | 회천면 |
양주군 해등촌면(海等村面), 노원면(蘆原面) | 노해면 |
양주군 구지면(九旨面), 망우리면(忘憂里面), 구리면 일부 | 구리면 |
양주군 진벌면(榛伐面), 접동면(接洞面), 별비면(別非面) 일부 | 진접면 |
양주군 별비면(別非面) 일부, 내동면(內洞面) | 별내면 |
양주군 진관면(眞官面), 건천면(乾川面) | 진건면 |
양주군 와공면(瓦孔面), 초부면(草阜面), 하도면(下道面) 일부 | 와부면 |
양주군 상도면(上道面), 하도면(下道面) 일부, 미금면 일부 | 화도면 |
양주군 미음면(渼陰面), 금촌면(金村面), 미금면 일부 | 미금면 |
양주군 백석면(白石面) | 백석면 |
양주군 광석면(廣石面), 석적면(石積面) 일부 | 광적면 |
양주군 현내면(縣內面), 묵은면(默隱面), 석적면(石積面) 일부 | 은현면 |
양주군 이담면(伊淡面) | 이담면 |
양주군 장흥면(長興面) | 장흥면 |
1922년 10월 1일 양주군청이 주내면 유양리에서 시둔면 의정부리로 이전하였다.
1938년 1월 1일 시둔면이 양주면으로 개칭하였다.[9]
1942년 10월 1일 양주면이 의정부읍으로 승격하였다.[10] (1읍 15면)
3. 3. 해방 이후
- 1946년 2월 5일: 1945년 11월 3일까지 연천군이었던 파주군 남면이 양주군에 편입되었다.[11]
- 1962년 12월 12일: 노해면이 서울 성북구에, 구리면 서부가 동대문구에 각각 편입되었다.[11]
개편 전 | 개편 후 | ||
---|---|---|---|
면 | 리 | 구·읍·면 | 동·리 |
노해면 | 월계리, 공덕리, 하계리, 중계리, 상계리, 창리, 쌍문리, 도봉리, 방학리 | 성북구 (일부) | 월계동,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 상계동, 창동, 쌍문동, 도봉동, 방학동 |
구리면 | 상봉리, 중화리, 묵동리, 신내리, 망우리 | 동대문구 (일부) | 상봉동, 중화동, 묵동, 신내동, 망우동 |
- 1963년 1월 1일: 의정부읍이 '''의정부시'''로 승격·분리되었다.[12] 이담면이 동두천읍으로 승격하고,[13] 화도면의 3개 리와 진접면 1개 리를 합쳐 수동면이 신설되었다.[14] 이로 인해 남부 8개 면(현재의 구리시와 남양주시 지역)이 월경지가 되었다.
개편 전 | 개편 후 | ||
---|---|---|---|
면 | 리 | 구·읍·면 | 동·리 |
의정부읍 | 의정부읍 일원 | 의정부시 | 자일동, 금오동, 가능동, 녹양동, 낙양동, 민락동, 호원동, 의정부동, 용현동, 신곡동, 장암동 |
이담면 | 이담면 일원 | 동두천읍 | 동두천읍 일원 |
화도면 | 지둔리, 운수리, 송천리 | 수동면 | 지둔리, 운수리, 송천리, 수산리, 입석리, 외방리, 내방리 |
진접면 | 수산리 | ||
가평군 외서면 | 입석리, 외방리, 내방리 |
- 1973년 7월 1일: 구리면이 구리읍으로 승격하고,[15] 포천군 포천면 탑동리가 동두천읍에 편입되었다.[16]
- 1979년 5월 1일: 미금면이 미금읍으로 승격하였다.[17]
- 1980년 4월 1일: 구리읍, 미금읍, 진접면, 진건면, 수동면, 화도면, 와부면, 별내면(고산리, 산곡리는 의정부시에 이관) 등 남부 2읍 6면을 관할로 '''남양주군'''이 신설되어 양주군에서 분리되었다.[18]
- 1981년 7월 1일: 동두천읍이 '''동두천시'''로 승격·분리되었다.[19]
- 1983년 2월 15일: 백석면 영장리·기산리가 파주군 광탄면으로, 은현면 상패리가 동두천시로 이관되었다.[20]
- 1985년 10월 1일: 회천면이 회천읍으로 승격하였다.[21]
- 2000년 9월 25일: 양주군청이 의정부시 의정부동에서 주내면 남방리로 이전하였다.[22]
- 2000년 10월 1일: 주내면이 양주읍으로 승격하였다.
- 2001년 10월 1일: 백석면이 백석읍으로 승격하였다.
- 2003년 10월 19일: 양주군이 '''양주시'''로 승격하고, 양주읍과 회천읍이 동(洞)지역으로 전환되었다.[1]
3. 4. 양주시 승격
2000년 9월 25일 양주군청이 의정부시 의정부동에서 주내면 남방리로 이전하였다.[22] 그해 10월 1일 주내면이 양주읍으로 승격하였고(2읍 5면),[22] 2001년 10월 1일에는 백석면이 백석읍으로 승격하였다.(3읍 4면)2003년 10월 19일 양주군이 '''양주시'''로 승격되었고, 양주읍과 회천읍은 동(洞)지역으로 전환되었다.[1]
4. 추가 정보 (선택 사항)
의정부시, 동두천시, 남양주시, 구리시 및 서울 노원구, 도봉구, 중랑구 지역은 역사적으로 양주군에 속했던 곳들이다. 이 지역들의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962년 12월 12일: 양주군 노해면 전체(현 노원구, 도봉구)가 서울 성북구로, 구리면 일부(현 중랑구)가 동대문구로 편입되었다.[11]
- 1963년 1월 1일: 양주군 의정부읍이 의정부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다.[12] 양주군 이담면은 동두천읍으로 승격되었다.[13]
- 1973년 7월 1일: 양주군 구리면이 구리읍으로 승격되었다.[15]
- 1980년 4월 1일: 양주군 남부의 구리읍, 미금읍(1979년 승격[17]), 진접면, 진건면, 수동면, 화도면, 와부면, 별내면이 남양주군으로 분리되었다.[18]
- 1981년 7월 1일: 양주군 동두천읍이 동두천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다.[19]
참조
[1]
법률
경기도양주시·포천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2003-07-18
[2]
간행물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3]
웹사이트
현재의 송산로971번길 옆의 하천을 경계로 해당 도로가 속해있는 곳은 고산리였고 하천 건너는 과거에 흑석리였다고 한다. 즉 1, 1-1, 1-2번 시내버스를 타면 검은돌이라는 정류장이 있는데 흑석리의 원래 이름이 '''검은돌 마을'''이었다. 아울러 흑석리에 속했던 현재의 고산동(남부) 지역에서 배를 파는 곳을 볼 수 있는데 숫돌고개 너머 [[남양주시]]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이곳 역시 배밭이나 농장이 많은 편이라고 한다.
(추출 불가)
[4]
법령
대한제국 칙령 제49호
1906-09-24
[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6]
법령
경기도령 제3호
[7]
고시
경기도 고시 제10호
[8]
고시
경기도 고시 제55호
[9]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10]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09-30
[11]
법률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12]
법률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13]
법률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14]
법률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15]
법령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16]
법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17]
법령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8]
법률
남양주군설치와군관할구역등변경에관한법률
1979-12-28
[19]
법률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20]
법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21]
법령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22]
뉴스
양주군 신청사 25일 업무개시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0-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