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스그레이징 유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스그레이징 유성은 지구 대기권에 매우 근접하여 지나가는 유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유성체가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대기권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관측이 드물다. 근대적 천체 관측 이후 2008년까지 4건의 어스그레이징 유성이 관측되었으며, 이후에도 여러 사례가 보고되었다. 1860년, 1913년, 1972년, 1990년, 2006년, 2007년, 2012년, 2014년, 2017년 등 다양한 시기에 걸쳐 어스그레이징 유성이 관측되었으며, 각 유성은 속도, 궤도, 통과 지역 등에서 특징적인 모습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스그레이징 유성 - 1972년 대낮 대화구
1972년 대낮 대화구는 1972년 8월 10일 미국과 캐나다 상공에서 관측된 화구 현상으로, 혜성 또는 소행성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대기 진입 중 궤적 변화를 보이며 미국의 군사 감시 시스템에 의해 추적되었다. - 대기권 진입 - 에어로브레이킹
에어로브레이킹은 우주선이 대기가 있는 행성에 도착하여 대기 마찰을 이용해 속도를 줄이는 기술로, 연료 소모를 줄여 우주선 질량을 감소시키거나 과학 장비 탑재량을 늘릴 수 있어 행성 탐사 임무에 활용된다. - 대기권 진입 - 우주왕복선 내열 시스템
우주왕복선 내열 시스템은 우주왕복선이 대기권 재진입 시의 극심한 열과 압력을 견디도록 재사용 가능한 단열재인 타일과 탄소-탄소 복합재 등으로 구성된 열 보호 시스템이며, 안전 운행에 필수적인 기술로 1981년 첫 비행 후 개선되었으나 타일 부착, 파편 손상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 유성체 - 운석
운석은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진 암석 조각으로, 성분에 따라 분류되며, 지구 충돌구 형성 및 생명 기원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발견된 지역의 이름을 따라 명명된다. - 유성체 - 유성진
미소유성체는 태양계 생성 초기부터 존재한 작은 암석 또는 금속 조각으로, 우주 풍화 작용의 주요 원인이며, 궤도 불안정으로 지구에 떨어지기도 하고, 우주선 위협에 대한 방어 기술 개발의 배경이 된다.
어스그레이징 유성 |
---|
2. 알려진 어스그레이징 유성
어스그레이징 유성은 유성체가 지구 대기권에 진입했다가 다시 우주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드문 현상이다. 대기권을 통과하는 동안 마찰과 압력으로 인해 속도와 질량이 변하게 되며, 이로 인해 대기권 밖으로 나갈 때의 궤도는 처음 진입했을 때와 달라진다.[25][26][30]
이러한 유성이 관측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27] 유성체가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대기권 상층부를 스치며 발생하는 충격파와 마찰열을 견뎌내야 하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기록되거나 근대적인 관측 장비를 통해 확인된 여러 어스그레이징 유성 사례가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주요 어스그레이징 유성 목록

어스그레이징 유성은 매우 드물게 관측된다.[27] 유성체가 지구 대기권에 진입했다가 다시 우주 공간으로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대기 마찰과 충격파를 견뎌야 하기 때문이다.[28] 주요 어스그레이징 유성 관측 사례는 다음과 같다.
날짜 | 이름/식별자 | 주요 특징 및 설명 |
---|---|---|
1860년 7월 20일 | 1860년 대유성 | 미국 상공을 통과한 것으로 기록됨.[22][23][24] |
1913년 2월 9일 | 1913년 대유성 집단 | 북미 상공을 통과. 일시적으로 지구의 자연위성이 되었다가 파괴된 것으로 추정됨.[29] |
1972년 8월 10일 | 1972년 대낮 대화구 (US19720810) | 15 km/s 속도로 미국, 캐나다 상공을 통과. 근대적 장비로 관측된 최초의 어스그레이징 유성. 통과 중 질량의 절반과 800 m/s의 속도를 잃은 것으로 추정됨.[10][5] |
1990년 10월 13일 | 1990년 10월 13일 어스그레이징 유성 | 약 40kg의 유성체가 41.5 km/s 속도로 체코슬로바키아 상공 97.9km 지점을 통과.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촬영된 사진을 바탕으로 궤도를 계산한 최초의 사례.[30][11] |
2006년 3월 29일 | 2006년 일본 대유성 | 18.8 km/s 속도로 일본 상공 71.4km 고도를 통과.[31][32][12][13] |
2007년 8월 7일 | EN070807 | 유럽 상공을 통과. 희귀한 아텐 소행성 유형의 궤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됨.[27][33][7][14] |
2012년 6월 10일 | ζ-페르세우스자리 유성군 관련 유성 | 스페인 상공을 통과하며 대기권 내에서 510km를 이동. 보고된 어스그레이징 유성 중 가장 어두웠으며, 유성우에서 유래한 최초의 사례.[34][15] |
2014년 12월 24일 | SPMN241214 | 크리스마스 이브에 북아프리카, 스페인, 포르투갈 상공을 통과하며 대기권 내에서 약 1200km를 이동.[35][16] |
2017년 7월 7일 | 데저트 파이어볼 네트워크 관측 유성 | 오스트레일리아 서부와 남부 상공 대기 중에서 1300km 이상 이동. 최저 고도 58.5km, 초기 질량 약 60kg 추정. 아폴로 소행성 궤도에서 목성족 혜성 궤도로 변경됨.[36][17] |
2. 2. 관측 사례
어스그레이징 유성이 관측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27] 이는 유성체가 지구 대기권으로 접근하며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대기권에 빠져나갈 때까지 충격파를 견뎌야 하기 때문이다. 지표면과의 각도가 얕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천천히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인공위성의 대기권 재진입과 오인할 가능성도 있다. 근대적 천체 관측이 시작된 이후 2008년까지 총 4건의 어스그레이징 유성이 보고되었으나[28][8], 이후 추가적인 관측 사례들이 보고되었다.
주요 관측 사례는 다음과 같다.
날짜 | 명칭/사건 | 주요 특징 |
---|---|---|
1860년 7월 20일 | 1860년 대유성 | 미국 상공을 통과.[22][23][24][2][3][4] |
1913년 2월 9일 | 1913년 대유성 집단 | 일시적으로 지구의 자연위성이 되었으나 결국 파괴됨.[29][9] |
1972년 8월 10일 | 1972년 대낮 대화구 (US19720810) | 15 km/s 속도로 미국, 캐나다 상공 통과. 최초의 근대적 과학 관측 사례. 통과 중 질량의 절반과 속도 800 m/s를 잃은 것으로 추정.[10][5] |
1990년 10월 13일 | 1990년 10월 13일 어스그레이징 유성 | 40kg 유성체가 41.5 km/s 속도로 체코슬로바키아 상공 97.9km 통과. 두 지점 사진 기록 기반 최초의 궤도 계산.[30][11][20] |
2006년 3월 29일 | 2006년 일본 대유성 | 18.8 km/s 속도로 일본 상공 71.4km 고도 통과.[31][32][12][13] |
2007년 8월 7일 | EN070807 | 유럽 상공 통과. 희귀한 아텐 소행성 유형 궤도.[27][33][7][14] |
2012년 6월 10일 | ζ-페르세우스자리 유성군 관련 유성 | 스페인 상공 통과, 대기권 510km 이동. 가장 희미하게 관측된 사례이자 최초의 어스그레이징 유성우 사례.[34][15] |
2014년 12월 24일 | SPMN241214 (크리스마스 이브 화구) | 북아프리카, 스페인, 포르투갈 상공 통과, 대기권 약 1200km 이동.[35][16] |
2017년 7월 7일 | 데저트 파이어볼 네트워크 관측 유성 | 오스트레일리아 서부/남부 상공 통과, 대기권 약 1300km 이동. 최저 고도 58.5km, 초기 질량 ~60kg 추정. 아폴로 소행성형 궤도에서 목성족 혜성형 궤도로 변경됨.[36][17] |
지구 궤도 유성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질량과 속도가 변동되어 우주로 재진입한 후의 궤도는 지구 대기를 만나기 전의 궤도와 달라진다.[5][6][11] 대기 통과 시 발광하며 비행 경로는 대기권 상층부를 지나간다.[18][19]
2. 3. 추가 정보
어스그레이징 유성들은 지구 대기권을 통과하며 속도와 질량이 변하기 때문에, 대기 밖으로 나갈 때 유성의 궤도는 처음 지구 대기권에 진입했을 때와는 꽤 많이 달라진다.[25][26][30][5][6][11]지구 대기권의 높이가 어느 정도까지인지에 대해서는 합의된 바가 없다. 성층권(~50km), 중간권(~85km), 열권(~690km), 외기권(~10000km, 열권계면) 등으로 나뉘어 위로 올라갈수록 대기가 희박해지긴 하나 각 권간의 경계는 분명하지 않다. 예를 들어, 유성체는 지구 상공 85km-120km 고도에서 유성이 될 수 있다.
어스그레이징 유성이 관측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27][7] 이는 유성체가 지구 대기권으로 접근하며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대기권에 빠져나갈 때까지 충격파를 견뎌야 하기 때문이다. 2008년 기준으로, 근대적 천체 관측 이후 과학적으로 보고된 어스그레이징 유성 관측 사례는 총 4건이었다.[28][8] 이후에도 여러 관측 사례가 보고되었다.
주요 관측 사례는 다음과 같다.
날짜 | 명칭/사건 | 특징 |
---|---|---|
1860년 7월 20일 | 1860년 7월 20일 대유성 | [22][23][24][2][3][4] |
1913년 2월 9일 | 1913년 2월 9일 대유성 | 일시적으로 지구의 자연위성이 되었으나 결국은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29][9] |
1972년 8월 10일 | 1972년 대낮 대화구 (US19720810) | 15km/s의 속도로 미국, 캐나다 상공을 지나쳤다. 최초의 근대적 과학 관측 사례로, 통과 중 질량의 약 절반과 속도 800m/s를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10][5] |
1990년 10월 13일 | 1990년 10월 13일 어스그레이징 유성 | 약 40kg의 유성체가 41.5km/s의 속도로 체코슬로바키아 상공 97.9km 고도를 지나쳤다.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궤도를 계산한 최초의 사례이다.[30][11][20] |
2006년 3월 29일 | 2006년 3월 29일 대유성 | 유성체가 18.8km/s의 속도로 일본 상공 71.4km 고도를 지나쳤다.[31][32][12][13] |
2007년 8월 7일 | EN070807 | 희귀한 아텐 소행성 유형의 궤도를 가진 유성체가 유럽 상공을 통과했다.[27][33][7][14] |
2012년 6월 10일 | 주간 ζ-페르세우스자리 유성군 파이어볼 | 스페인 상공을 통과하며 대기 중에서 510km를 이동했다. 과학 문헌에 보고된 가장 희미한 어스그레이징 유성이자, 유성우에 속하는 최초의 사례였다.[34][15] |
2014년 12월 24일 | 크리스마스 이브 파이어볼 SPMN241214 | 느리게 움직이는 유성체가 북아프리카, 스페인, 포르투갈 상공을 통과하며 대기 중에서 약 1200km를 이동했다.[35][16] |
2017년 7월 7일 | 데저트 파이어볼 네트워크 관측 유성 | 서호주와 남호주 상공 대기 중 1300km 이상을 이동했다. 가장 낮은 접근 고도는 약 58.5km였으며, 초기 질량은 최소 ~60kg으로 추정된다. 아폴로 소행성형 궤도에서 왔으나, 지구 근접 통과 후 목성족 혜성형 궤도로 변경되었다.[36][17] |
지표면과의 각도가 얕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천천히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공위성의 대기권 재진입과 오인할 가능성도 있다.[18][19]
참조
[1]
APOD
Earthgrazer: The Great Daylight Fireball of 1972
2009-03-02
[2]
웹사이트
Texas State astronomers solve Walt Whitman meteor mystery : University News Service : Texas State University
http://www.txstate.e[...]
2013-10-19
[3]
웹사이트
Images of Harper's Weekly front page story
https://www.newscien[...]
2017-08-26
[4]
웹사이트
150-year-old meteor mystery solved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US19720810 (Daylight Earth grazer)
http://www.fis.unipr[...]
[6]
웹사이트
Daylight Fireball of August 10, 1972
https://web.archive.[...]
[7]
간행물
Precise Multi-instrument Data on 45 Fireballs Recorded over Central Europe in the Period 2006-2008
http://www.lpi.usra.[...]
Astronomical Institute of the Academy of Sciences, Fričova 298, CZ-251 65 Ondřejov Observatory
2008-07-06
[8]
문서
Although other grazers have been seen and, rarely, photographed, without specialised scientific observations their orbits cannot be determined. An example is the [[Leonids|Leonid]] grazer over Hawaii on 2001-11-18 -[[#Abe2|Abe 2006 (PDF)]]
[9]
간행물
A Probable Natural Satellite: The Meteor procession of February 9, 1913
http://adsabs.harvar[...]
1959
[10]
웹사이트
Daylight Fireball of August 10, 1972
https://web.archive.[...]
[11]
간행물
Earth-grazing fireball: Czechoslovakia, Poland, October 13, 1990, 03h27m16sUT
http://adsabs.harvar[...]
[12]
문서
'[[#Abe1|Abe 2006 (abstract)]]'
[13]
문서
Abe 2006 (PDF) approximately 100 kg, orbit aphelion reaches Jupiter
[14]
문서
EN indicates the [[European Fireball Network]]
[15]
간행물
An Earth-grazing fireball from the Daytime ζ-Perseid shower observed over Spain on 2012 June 10
http://mnras.oxfordj[...]
[16]
콘퍼런스
Preliminary Spectroscopic and Dynamical Analysis of an Earth-Grazer Fireball Observed on December 24, 2014
http://www.hou.usra.[...]
2016-03
[17]
간행물
Where Did They Come from, Where Did They Go: Grazing Fireballs
[18]
웹사이트
1990 년 10 월 13 일의 지구를かすめて通過した火球
http://meteor.chicap[...]
[19]
웹사이트
アースグレージングの可能性のあるしぶんぎ群流星
http://lunarmeteorit[...]
[20]
문서
Astronomy and Astrophysics (ISSN 0004-6361), vol. 257, no. 1, p. 323-328.
[21]
웹인용
Earthgrazer: The Great Daylight Fireball of 1972
https://apod.nasa.go[...]
NASA
2009-03-02
[22]
웹인용
Texas State astronomers solve Walt Whitman meteor mystery : University News Service : Texas State University
http://www.txstate.e[...]
Txstate.edu
2010-05-28
[23]
웹사이트
Images of Harper's Weekly front page story
http://www.newscient[...]
[24]
웹인용
150-year-old meteor mystery solved
http://cosmiclog.msn[...]
2017-04-28
[25]
웹사이트
US19720810 (Daylight Earth grazer)
http://www.fis.unipr[...]
[26]
웹사이트
Daylight Fireball of August 10, 1972
https://web.archive.[...]
[27]
저널
Precise Multi-instrument Data on 45 Fireballs Recorded over Central Europe in the Period 2006-2008
http://www.lpi.usra.[...]
Astronomical Institute of the Academy of Sciences, Fričova 298, CZ-251 65 Ondřejov Observatory
[28]
문서
Although other grazers have been seen and, rarely, photographed, without specialised scientific observations their orbits cannot be determined. An example is the [[Leonids|Leonid]] grazer over Hawaii on 2001-11-18 -[[#Abe2|Abe 2006 (PDF)]]
[29]
간행물
A Probable Natural Satellite: The Meteor procession of February 9, 1913
http://adsabs.harvar[...]
1959
[30]
간행물
Earth-grazing fireball: Czechoslovakia, Poland, October 13, 1990, 03h27m16sUT
http://adsabs.harvar[...]
[31]
문서
'[[#Abe1|Abe 2006 (abstract)]]'
[32]
문서
Abe 2006 (PDF) approximately 100 kg, orbit aphelion reaches Jupiter
[33]
문서
EN indicates the [[European Fireball Network]]
[34]
저널
An Earth-grazing fireball from the Daytime ζ-Perseid shower observed over Spain on 2012 June 10
http://mnras.oxfordj[...]
[35]
콘퍼런스
Preliminary Spectroscopic and Dynamical Analysis of an Earth-Grazer Fireball Observed on December 24, 2014
http://www.hou.usra.[...]
2016-03
[36]
저널
Where Did They Come from, Where Did They Go: Grazing Firebal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