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윈 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윈 홀은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1879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 논문을 연구하던 중,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수직으로 자기장을 가하면 전류와 자기장 모두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압이 발생하는 현상인 홀 효과를 발견했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1938년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사망했다. 홀 효과는 자기장 감지에 활용되며, 홀 효과 센서 및 홀 추력기 등 다양한 장치에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홀 효과 - 양자 홀 효과
    양자 홀 효과는 강한 자기장과 저온의 2차원 전자계에서 홀 전도율이 기본 상수의 정수배 또는 분수배로 양자화되는 현상으로, 정수 양자 홀 효과는 전기 저항 표준 및 미세 구조 상수 결정에 활용되며, 분수 양자 홀 효과는 전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고, 란다우 준위 등의 개념으로 설명되며 위상 물질 연구 등에 응용된다.
  • 홀 효과 - 홀 효과 추력기
    홀 효과 추력기는 정전기적 전위를 이용해 이온을 가속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전기 추진 시스템으로, 1960년대 소련에서 최초로 실용화되어 위성 궤도 유지 등에 활용되며, 화학 로켓보다 높은 비추력과 효율을 제공한다.
  • 보딘 칼리지 동문 - 조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조순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한국은행 총재, 민선 1기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고 한나라당 국회의원을 지냈다.
  • 보딘 칼리지 동문 - 프랭클린 피어스
    프랭클린 피어스는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안 논쟁과 당파 갈등 속에서 제14대 미국 대통령을 지낸 뉴햄프셔 출신 민주당원으로, 세 아들의 죽음과 알코올 중독으로 고통받았으며 외교 정책은 후대 대통령들에게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855년 출생 - 우겐 도르지
    우겐 도르지는 부탄의 명문가 출신 정치인으로, 20세기 초 왕실 정부에서 요직을 겸임하며 영국 및 티베트와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부탄 근대화에 기여했다.
  • 1855년 출생 - 강우규
    강우규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3·1 운동 후 노인단을 조직하여 사이토 마코토 총독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순국하였으며, 만주와 연해주에서 독립운동 지원 및 민족 교육에 힘썼고, 그의 의거는 3·1 운동 이후 최초의 의열 투쟁으로 평가받아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에드윈 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드윈 허버트 홀 (1855-1938)
이름에드윈 홀
출생일1855년 11월 7일
출생지미국 메인주 고럼
사망일1938년 11월 20일
사망지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국적미국
분야물리학
근무지하버드 대학교
모교존스 홉킨스 대학교
보든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헨리 로랜드
알려진 업적홀 효과
기타

2. 생애

에드윈 허버트 홀은 1855년 미국 메인주 고럼에서 태어났다. 1875년 보우도인 칼리지를 졸업하고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밟아 1880년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1. 교육

홀은 메인주 고섬에서 태어났다. 메인 주 브런즈윅에 있는 보우도인 칼리지에서 학부 과정을 마치고 1875년에 졸업했다. 1875년부터 1876년까지 굴드 아카데미의 교장을, 1876년부터 1877년까지 브런즈윅 고등학교의 교장을 역임했다.[1]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수학하고 연구를 수행하여 1880년에 철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으며, 그곳에서 중요한 실험들이 수행되었다.

2. 2. 홀 효과 발견

홀 효과는 1879년 헨리 어거스터스 로랜드의 지도 아래 물리학 박사 학위 논문을 연구하던 에드윈 홀이 발견했다.[1] 홀은 유리판 위에 얇은 금박(이후에는 여러 다른 재료도 사용)을 놓고 전류를 흘린 상태에서, 금박에 수직으로 자기장을 가했을 때 전류와 자기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위차(홀 전압)가 발생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생성된 전압과 전류량의 비율을 홀 저항이라고 하며, 이는 홀 소자의 재료 특성이다. 홀의 실험 결과는 1880년 《American Journal of Science》와 《Philosophical Magazine》에 박사 논문으로 발표되었다.[1]

2. 3. 이후 경력

홀은 1895년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1914년 존 트로브리지(John Trowbridge)의 뒤를 이어 럼퍼드 물리학 교수(Rumford Professor of Physics)가 되었다.[1] 1919년 보스턴 경찰 파업 당시 홀은 잠시 파업 돌파 경찰관(strikebreaking police officer)으로 자원 봉사했다.[4] 이후 물리학과로 돌아온 홀은 1921년 은퇴했고, 1938년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사망했다.

3. 홀 효과

1879년 헨리 어거스터스 로랜드의 지도 아래 물리학 박사 논문을 연구하던 에드윈 홀이 홀 효과를 발견했다.[1] 홀의 전자기학 실험은 유리판 위에 얇은 금박(나중에는 여러 다른 재료를 사용)을 놓고 길이 방향의 여러 지점에서 금박을 접지시키는 것을 포함했다. 홀 효과는 전류가 흐르는 얇은 도체 또는 반도체 재료(홀 소자)의 양쪽에 전위차(홀 전압)가 발생하는 현상으로, 홀 소자에 수직으로 인가된 자기장에 의해 생성된다.[1] 1880년 홀의 실험 결과는 미국 과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Science)과 철학 잡지(Philosophical Magazine)에 박사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홀 효과는 홀 소자로 현재 많은 전자 부품에 응용되고 있다. 홀 효과 센서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감지하며, 매년 수억 개가 판매되고 우주선의 고효율 홀 추력기(Hall-effect thruster)를 포함한 많은 장치에 사용된다.[2]

3. 1. 원리

홀 효과는 전하 운반체(전자 또는 정공)가 자기장 속에서 로런츠 힘을 받아 이동 경로가 휘어지면서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전하 운반체가 도체의 한쪽에 축적되어 전위차가 생기는데, 이 전위차를 홀 전압이라고 한다. 홀 전압은 통전 전류 및 자기장의 세기(자속 밀도)에 비례하며, 비례 상수는 홀 정수 또는 홀 계수라고 한다. 홀 정수는 물질의 종류, 온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생성된 전압과 전류량의 비율을 홀 저항이라고 하며, 이는 홀 소자의 재료 특성이다.[1]

3. 2. 양자 홀 효과

강한 자기장과 저온의 실험 조건에서는 홀 저항이 양자화된 양자 홀 효과가 관찰된다. 현재는 전기 저항의 공식적인 표준을 양자 홀 효과로 정하고 있다.[3]

4. 응용

홀 효과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4. 1. 홀 소자

홀 효과를 이용한 홀 소자는 자기장, 전류, 위치 등을 측정하는 센서로 널리 사용된다. 홀 소자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감지하며, 매년 수억 개가 판매되고 우주선의 고효율 홀 추력기를 포함한 많은 장치에 사용된다.[2] 자동차, 스마트폰,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활용된다.

4. 2. 홀 추력기

홀 효과는 우주선의 고효율 추진 시스템인 홀 추력기에도 사용된다.[2] 홀 추력기는 이온화된 제논 가스를 자기장으로 가속하여 추진력을 얻는 방식이다.

5. 저서


홀은 철과 니켈의 열전도성, 열전 효과 이론, 금속 내 열전 효과의 불균질성 등에 대한 다양한 원저 논문을 남겼다.[4]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Memoir of Edwin Herbert Hall https://docs.googl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 웹사이트 How the Hall Effect Still Reverberates - IEEE Spectrum https://spectrum.iee[...] 2023-12-28
[3] 간행물 Integer Quantum Hall Effect https://www.scienced[...] Elsevier 2023-12-28
[4] 뉴스 The Boys in Crimson: Boston's Police Strikebreakers https://www.thecrims[...] Harvard University 2023-04-10
[5] 서적 Biographical Memoir of Edwin Herbert Hall https://docs.googl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