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로브눌리리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로브눌리리가는 조지아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990년 조지아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후 창설되었다. 1990년부터 2016년까지는 우마글레시리가로 불렸으며, FC 디나모 트빌리시가 19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2017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4 시즌에는 10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리그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리그, 2, 3위 팀과 조지아 컵 우승팀은 UEFA 유로파컨퍼런스리그 진출 자격을 얻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KBO 퓨처스리그
    KBO 퓨처스리그는 KBO 리그의 2군 리그로, 유망주 육성을 위해 1990년 시작되어 현재 북부 및 남부 리그 체제로 운영되며 퓨처스 올스타전을 개최한다.
  • 1990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프라우엔-분데스리가
    프라우엔-분데스리가는 독일 축구 연맹에 의해 1990년 설립된 독일 여자 축구 최상위 리그로, 홈 앤 어웨이 방식의 리그전으로 진행되며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진출 자격이 주어지고 바이에른 뮌헨이 최다 우승을 기록 중이며 마젠타 TV, DAZN 등을 통해 중계된다.
  • 조지아 축구에 관한 - FC 토르페도 쿠타이시
    FC 토르페도 쿠타이시는 1946년 창설되어 소련 시대 조지아 SSR 선수권 우승, 독립 후 우마글레시리가 4회 우승, 조지아 컵 5회 우승,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컵 우승을 기록한 조지아의 축구 클럽이다.
  • 조지아 축구에 관한 - FC 디나모 트빌리시
    FC 디나모 트빌리시는 조지아 수도 트빌리시 연고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소련과 독립 조지아 시대에 걸쳐 수많은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1981년 UEFA 컵 위너스컵 우승과 조지아 독립 후 에로브눌리 리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에로브눌리리가
기본 정보
국가조지아
대륙UEFA
창립 연도1990년
참가 팀 수10
강등 대상에로브눌리리가 2
리그 등급1
국내 컵 대회조지아 컵
조지아 슈퍼컵
대륙 컵 대회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리그
UEFA 유로파컨퍼런스리그
최근 우승팀디나모 바투미 (2회)
최근 우승 시즌2023 시즌
최다 우승팀디나모 트빌리시 (19회)
웹사이트erovnuliliga.ge
현재 시즌2024 시즌
관련 명칭
영어Erovnuli Liga
기타 정보
에로브눌리리가 로고
에로브눌리리가 로고

2. 역사

1921년 조지아 SSR이 수립된 이후, 조지아 클럽들은 소련 축구 리그 시스템에 편입되었다. 이 시기 조지아 클럽들은 소련 챔피언십에 참가하는 한편, 지역 리그를 운영하며 실력을 겨루었다.

1990년, 조지아 축구 연맹은 소련 축구 연맹으로부터 독립하여 자체적인 리그인 우마글레시리가를 창설했다. 초기에는 디나모 트빌리시가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며 10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조지아 컵에서도 6시즌 연속 우승하며 국내 더블을 달성하기도 했다.[1]

2000년대에 들어 토르페도 쿠타이시, WIT 조지아, 제스타포니, 올림피 루스타비 등 다양한 클럽들이 우승을 차지하며 경쟁이 심화되었다. 2017년, 리그 명칭을 현재의 에로브눌리리가로 변경했다. 최근에는 디나모 트빌리시디나모 바투미가 리그 우승을 양분하고 있다.

2. 1. 소련 시대 (1927-1989)

조지아는 소련의 일부였으며, 조지아 클럽들은 소련 챔피언십에 참가했다. 이 시기에는 지역 리그가 운영되었고, 여러 클럽들이 번갈아 가며 우승을 차지했다.

연도우승 팀
1927바투미 XI
1928트빌리시 XI
1929–35개최되지 않음
1936ZII 트빌리시
1937FC 로코모티비 트빌리시
1938FC 디나모 바투미
1939나우카 트빌리시
1940FC 디나모 바투미
1941–42개최되지 않음
1943ODKA 트빌리시
1944개최되지 않음
1945FC 로코모티비 트빌리시
1946FC 디나모 쿠타이시
1947FC 디나모 수후미
1948FC 디나모 수후미
1949FC 토르페도 쿠타이시
1950TODO 트빌리시
1951TODO 트빌리시
1952TTU 트빌리시
1953TTU 트빌리시
1954TTU 트빌리시
1955디나모 쿠타이시
1956FC 로코모티비 트빌리시
1957TTU 트빌리시
1958TTU 트빌리시
1959메탈루르기 루스타비
1960이메레티 호니
1961구리아 란치후티
1962이메레티 쿠타이시
1963이메레티 쿠타이시
1964잉구르게스 주그디디
1965톨리아 트빌리시
1966구리아 란치후티
1967메르츠할리 마카라제
1968SKA 트빌리시
1969술로리 바니
1970SKIF 트빌리시
1971구리아 란치후티
1972로코모티비 삼트레디아
1973디나모 주그디디
1974메탈루르기 루스타비
1975마가로엘리 치아투라
1976SKIF 트빌리시
1977므지우리 갈리
1978콜케티 포티
1979메탈루르기 루스타비
1980메샤흐테 트키불리
1981메샤흐테 트키불리
1982메르츠할리 마카라제
1983삼구랄리 츠칼투보
1984메탈루르기 루스타비
1985샤드레바니-83 츠칼투보
1986셰바르데니-1906 트빌리시
1987메르츠할리 마카라제
1988콜케티 호비
1989샤드레바니-83 츠칼투보


2. 2. 독립 이후 (1990-현재)

1990년, 조지아 축구 연맹은 소련 축구 연맹으로부터 독립하여 자체적인 리그인 우마글레시리가를 창설했다. 초기에는 디나모 트빌리시가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며 10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1991-92 시즌부터 1996-97 시즌까지는 조지아 컵에서도 우승하며 6시즌 연속 국내 더블을 달성하기도 했다.[1]

2000년대에 들어 토르페도 쿠타이시, WIT 조지아, 제스타포니, 올림피 루스타비 등 다양한 클럽들이 우승을 차지하며 경쟁이 심화되었다. 2017년, 리그 명칭을 에로브눌리리가로 변경했다. 최근에는 디나모 트빌리시디나모 바투미가 리그 우승을 양분하고 있다.

'''우마글레시 리가 시대'''

시즌우승팀준우승팀3위
1990이베리아 트빌리시구리아 란치후티고르다 루스타비
1991이베리아 트빌리시구리아 란치후티쿠타이시
1991–92이베리아-디나모 트빌리시 †츠쿠미 수후미고르다 루스타비
1992–93디나모 트빌리시 †셰바르데니-1906 트빌리시알라자니 구르자니
1993–94디나모 트빌리시 †콜케티-1913 포티토르페도 쿠타이시
1994–95디나모 트빌리시 †삼트레디아콜케티-1913 포티
1995–96디나모 트빌리시 †마르그베티 제스타포니콜케티-1913 포티
1996–97디나모 트빌리시 †콜케티-1913 포티디나모 바투미
1997–98디나모 트빌리시디나모 바투미콜케티-1913 포티
1998–99디나모 트빌리시토르페도 쿠타이시로코모티프 트빌리시
1999–00토르페도 쿠타이시WIT 조지아 트빌리시디나모 트빌리시
2000–01토르페도 쿠타이시 †로코모티프 트빌리시디나모 트빌리시
2001–02토르페도 쿠타이시로코모티프 트빌리시디나모 트빌리시
2002–03디나모 트빌리시 †토르페도 쿠타이시WIT 조지아 트빌리시
2003–04WIT 조지아 트빌리시시오니 볼니시디나모 트빌리시
2004–05디나모 트빌리시토르페도 쿠타이시FC 트빌리시
2005–06시오니 볼니시WIT 조지아 트빌리시디나모 트빌리시
2006–07올림피 루스타비디나모 트빌리시아메리 트빌리시
2007–08디나모 트빌리시WIT 조지아 트빌리시제스타포니
2008–09WIT 조지아 트빌리시디나모 트빌리시올림피 루스타비
2009–10올림피 루스타비디나모 트빌리시제스타포니
2010–11제스타포니디나모 트빌리시올림피 루스타비
2011–12제스타포니메탈루르기 루스타비토르페도 쿠타이시
2012–13디나모 트빌리시 †딜라 고리토르페도 쿠타이시
2013–14디나모 트빌리시 †제스타포니시오니 볼니시
2014–15딜라 고리디나모 바투미디나모 트빌리시
2015–16디나모 트빌리시 †삼트레디아딜라 고리



'''에로브눌리 리가 시대'''

시즌우승팀준우승팀3위
2017토르페도 쿠타이시디나모 트빌리시삼트레디아
2018사부르탈로디나모 트빌리시토르페도 쿠타이시
2019디나모 트빌리시디나모 바투미사부르탈로
2020디나모 트빌리시디나모 바투미딜라 고리
2021디나모 바투미디나모 트빌리시딜라 고리
2022디나모 트빌리시디나모 바투미딜라 고리
2023디나모 바투미디나모 트빌리시토르페도 쿠타이시
2024이베리아 1999토르페도 쿠타이시딜라 고리



3. 리그 형식

에로브눌리리가는 여러 차례 형식 변화를 겪었다.

3. 1. 참가팀 수 변천

시즌참가팀 수
199017
1991–199220
1992–199317
1993–199419
1994–200016
2000–200412
2004–200510
2005–200616
2006–200814
2008–200911
2009–201110
2011–201412
2014–201616
2016 (8월-12월)14
2017-현재10


4. 참가팀 (2024 시즌)

구단명연고지경기장수용인원
딜라 고리고리텐기즈 부르자나지스 스타디움8,230
디나모 바투미바투미바투미 스타디움20,000
디나모 트빌리시트빌리시보리스 파이차제경기장54,139
가그라다비트 페트리아슈빌리스2,000
이베리아 1999
콜헤티-1913포티파지시 스타디움6,000
삼트레디아삼트레디아에로시 만즈갈라지스3,000
삼구랄리 츠할투보츠할투보26 마이시스 스타디움12,000
텔라비텔라비기비 초헬리스 스타디움12,000
토르페도 쿠타이시쿠타이시라마즈 셴겔리아 스타디움19,400


5. 역대 우승팀 및 기록

에로브눌리리가의 역대 우승팀과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즌우승준우승3위
1990디나모 트빌리시 (1)구리아 란치후티고르다 루스타비
1991디나모 트빌리시 (2)구리아 란치후티토르페도 쿠타이시
1991–92디나모 트빌리시 (3) [1]츠후미 소후미고르다 루스타비
1992–93디나모 트빌리시 (4) [1]셰바르데니-1906알라자니 구르자니
1993–94디나모 트빌리시 (5) [1]콜헤티-1913 포티토르페도 쿠타이시
1994–95디나모 트빌리시 (6) [1]삼트레디아콜헤티-1913 포티
1995–96디나모 트빌리시 (7) [1]마르그베티 제스타포니콜헤티-1913 포티
1996–97디나모 트빌리시 (8) [1]콜헤티-1913 포티디나모 바투미
1997–98디나모 트빌리시 (9)디나모 바투미콜헤티-1913 포티
1998–99디나모 트빌리시 (10)토르페도 쿠타이시로코모티비 트빌리시
1999–00토르페도 쿠타이시 (1)WIT 조지아디나모 트빌리시
2000–01토르페도 쿠타이시 (2) [1]로코모티비 트빌리시디나모 트빌리시
2001–02토르페도 쿠타이시 (3)로코모티비 트빌리시디나모 트빌리시
2002–03디나모 트빌리시 (11) [1]토르페도 쿠타이시WIT 조지아
2003–04WIT 조지아 (1)시오니 볼니시디나모 트빌리시
2004–05디나모 트빌리시 (12)토르페도 쿠타이시FC 트빌리시
2005–06시오니 볼니시 (1)WIT 조지아디나모 트빌리시
2006–07올림피 루스타비 (1)디나모 트빌리시아메리 트빌리시
2007–08디나모 트빌리시 (13)WIT 조지아제스타포니
2008–09WIT 조지아 (2)디나모 트빌리시올림피 루스타비
2009–10올림피 루스타비 (2)디나모 트빌리시제스타포니
2010–11제스타포니 (1)디나모 트빌리시올림피 루스타비
2011–12제스타포니 (2)메탈루르기 루스타비토르페도 쿠타이시
2012–13디나모 트빌리시 (14) [1]딜라 고리토르페도 쿠타이시
2013–14디나모 트빌리시 (15) [1]제스타포니시오니 볼니시
2014–15딜라 고리 (1)디나모 바투미디나모 트빌리시
2015–16디나모 트빌리시 (16) [1]삼트레디아딜라 고리
2016삼트레디아 (1)치후라 사치헤레디나모 트빌리시



1990년부터 2016년까지는 우마글레시리가 시대였으며, 2017년부터 에로브눌리리가 시대가 시작되었다. 2017 시즌 토르페도 쿠타이시가 우승을 차지했고, 디나모 트빌리시가 준우승, 삼트레디아가 3위를 기록했다. 2018 시즌에는 사부르탈로가 우승을, 디나모 트빌리시가 준우승, 토르페도 쿠타이시가 3위를 차지했다.

2019 시즌과 2020 시즌에는 디나모 트빌리시가 연속으로 우승했고, 디나모 바투미는 두 시즌 모두 준우승을 기록했다. 2020 시즌 3위는 딜라 고리였다. 2021 시즌에는 디나모 바투미가 우승을, 디나모 트빌리시가 준우승, 딜라 고리가 3위를 차지했다.

2022 시즌에는 디나모 트빌리시가 다시 우승했고, 디나모 바투미가 준우승, 딜라 고리가 3위를 기록했다. 2023 시즌에는 디나모 바투미가 우승을, 디나모 트빌리시가 준우승, 토르페도 쿠타이시가 3위를 기록했다.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시즌
디나모 트빌리시1981990, 19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2002–03, 2004–05, 2007–08, 2012–13, 2013–14, 2015–16, 2019, 2020, 2022
토르페도 쿠타이시441999–00, 2000–01, 2001–02, 2017
디나모 바투미252021, 2023
WIT 조지아232003–04, 2008–09
제스타포니212010–11, 2011–12
메탈루르기 루스타비212006–07, 2009–10
이베리아 1999202018, 2024
삼트레디아122016
딜라 고리112014–15
시오니 볼니시112005–06


5. 1. 우마글레시리가 시대 (1990-2016)

시즌우승준우승3위
1990디나모 트빌리시 (1)구리아 란치후티고르다 루스타비
1991디나모 트빌리시 (2)구리아 란치후티토르페도 쿠타이시
1991–92디나모 트빌리시 (3) [1]츠후미 소후미고르다 루스타비
1992–93디나모 트빌리시 (4) [1]셰바르데니-1906알라자니 구르자니
1993–94디나모 트빌리시 (5) [1]콜헤티-1913 포티토르페도 쿠타이시
1994–95디나모 트빌리시 (6) [1]삼트레디아콜헤티-1913 포티
1995–96디나모 트빌리시 (7) [1]마르그베티 제스타포니콜헤티-1913 포티
1996–97디나모 트빌리시 (8) [1]콜헤티-1913 포티디나모 바투미
1997–98디나모 트빌리시 (9)디나모 바투미콜헤티-1913 포티
1998–99디나모 트빌리시 (10)토르페도 쿠타이시로코모티비 트빌리시
1999–00토르페도 쿠타이시 (1)WIT 조지아디나모 트빌리시
2000–01토르페도 쿠타이시 (2) [1]로코모티비 트빌리시디나모 트빌리시
2001–02토르페도 쿠타이시 (3)로코모티비 트빌리시디나모 트빌리시
2002–03디나모 트빌리시 (11) [1]토르페도 쿠타이시WIT 조지아
2003–04WIT 조지아 (1)시오니 볼니시디나모 트빌리시
2004–05디나모 트빌리시 (12)토르페도 쿠타이시FC 트빌리시
2005–06시오니 볼니시 (1)WIT 조지아디나모 트빌리시
2006–07올림피 루스타비 (1)디나모 트빌리시아메리 트빌리시
2007–08디나모 트빌리시 (13)WIT 조지아제스타포니
2008–09WIT 조지아 (2)디나모 트빌리시올림피 루스타비
2009–10올림피 루스타비 (2)디나모 트빌리시제스타포니
2010–11제스타포니 (1)디나모 트빌리시올림피 루스타비
2011–12제스타포니 (2)메탈루르기 루스타비토르페도 쿠타이시
2012–13디나모 트빌리시 (14) [1]딜라 고리토르페도 쿠타이시
2013–14디나모 트빌리시 (15) [1]제스타포니시오니 볼니시
2014–15딜라 고리 (1)디나모 바투미디나모 트빌리시
2015–16디나모 트빌리시 (16) [1]삼트레디아딜라 고리
2016삼트레디아 (1)치후라 사치헤레디나모 트빌리시


5. 2. 에로브눌리리가 시대 (2017-현재)

2017 시즌 토르페도 쿠타이시가 우승을 차지했고, 디나모 트빌리시가 준우승, 삼트레디아가 3위를 기록했다. 2018 시즌에는 사부르탈로가 우승을, 디나모 트빌리시가 준우승, 토르페도 쿠타이시가 3위를 차지했다.

2019 시즌과 2020 시즌에는 디나모 트빌리시가 연속으로 우승했고, 디나모 바투미는 두 시즌 모두 준우승을 기록했다. 2020 시즌 3위는 딜라 고리였다. 2021 시즌에는 디나모 바투미가 우승을, 디나모 트빌리시가 준우승, 딜라 고리가 3위를 차지했다.

2022 시즌에는 디나모 트빌리시가 다시 우승했고, 디나모 바투미가 준우승, 딜라 고리가 3위를 기록했다. 2023 시즌에는 디나모 바투미가 우승을, 디나모 트빌리시가 준우승, 토르페도 쿠타이시가 3위를 기록했다.


5. 3.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시즌
디나모 트빌리시1981990, 19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2002–03, 2004–05, 2007–08, 2012–13, 2013–14, 2015–16, 2019, 2020, 2022
토르페도 쿠타이시441999–00, 2000–01, 2001–02, 2017
디나모 바투미252021, 2023
WIT 조지아232003–04, 2008–09
제스타포니212010–11, 2011–12
메탈루르기 루스타비212006–07, 2009–10
이베리아 1999202018, 2024
삼트레디아122016
딜라 고리112014–15
시오니 볼니시112005–06


5. 4. 역대 득점왕

연도득점왕클럽
1990გია გურული|기아 구룰리ka
მამუკა ფანცულაია|마무카 판출라이아ka
디나모 트빌리시
고르다 루스타비
23
1991ოთარ კორღალიძე|오타르 코르갈리제ka구리아 란치후티14
1991–92ოთარ კორღალიძე|오타르 코르갈리제ka구리아 란치후티40
1992–93მერაბ მეგრელაძე|메라브 메그렐라제ka삼게루리 트스칼투보41
1993–94მერაბ მეგრელაძე|메라브 메그렐라제ka마르그베티 제스타포니31
1994–95გიორგი დარასელია|기오르기 다라셀리아ka콜케티 포티26
1995–96ზვიად ენდელაძე|즈비아드 엔델라제ka마르그베티 제스타포니40
1996–97გიორგი დემეტრაძე|기오르기 데메트라제ka
დავით უჯმაჯურიძე|다비드 우즈마주리제ka
디나모 트빌리시
디나모 바투미
26
1997–98ლევან კომერიკი|레반 코메리키ka디나모 트빌리시23
1998–99მიხეილ აშვეთია|미헤일 아슈베티아ka디나모 트빌리시26
1999–00ზურაბ იონანიძე|주라브 이오나니제ka토르페도 쿠타이시25
2000–01ზაზა ზირაქიშვილი|자자 지라키슈빌리ka디나모 트빌리시21
2001–02სულიკო დავითაშვილი|술리코 다비타슈빌리ka로코모티프
메라니-91
18
2002–03ზურაბ იონანიძე|주라브 이오나니제ka토르페도 쿠타이시26
2003–04სულიკო დავითაშვილი|술리코 다비타슈빌리ka토르페도 쿠타이시20
2004–05ლევან მელქაძე|레바니 멜카제ka디나모 트빌리시27
2005–06ჯაბა დვალი|자바 드발리ka디나모 트빌리시21
2006–07ალექსანდრე იაშვილი|산드로 이아슈빌리ka디나모 트빌리시27
2007–08მიხეილ ხუციშვილი|미헤일 후치슈빌리ka디나모 트빌리시16
2008–09ნიკოლოზ გელაშვილი|니콜로즈 젤라슈빌리ka제스타포니20
2009–10Anderson Aquino|안데르송 아키노pt메탈루르기 루스타비26
2010–11ნიკოლოზ გელაშვილი|니콜로즈 젤라슈빌리ka제스타포니18
2011–12ჯაბა დვალი|자바 드발리ka제스타포니20
2012–13Francisco Javier Muñoz Llompart|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무뇨스 욤파르트es디나모 트빌리시24
2013–14Francisco Javier Muñoz Llompart|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무뇨스 욤파르트es디나모 트빌리시19
2014–15ირაკლი მოდებაძე|이라클리 모데바제ka딜라 고리16
2015–16გიორგი ქვილითაია|기오르기 크빌리타이아ka디나모 트빌리시24
2016ბუდუ ზივზივაძე|부두 지브지바제ka삼트레디아11
2017ირაკლი სიხარულიძე|이라클리 시하룰리제ka로코모티비 트빌리시25
2018გიორგი გაბედავა|기오르기 가베다바ka
ბუდუ ზივზივაძე|부두 지브지바제ka
치쿠라 사치케레
디나모 트빌리시
22
2019ლევან კუტალია|레반 쿠탈리아ka디나모 트빌리시20
2020Микола Ковталюк|미콜라 코브탈류크uk딜라 고리10
2021Зоран Марушић|조란 마루시치sr디나모 트빌리시16
2022Flamarion|플라 마리온pt디나모 바투미19
2023Flamarion|플라 마리온pt
Зоран Марушић|조란 마루시치sr
ჯოვინო ფლამარიონი|조비노 플라마리온ka
디나모 바투미
디나모 트빌리시
가그라
17
2024Bjørn Maars Johnsen|비욘 마르스 욘센no토르페도 쿠타이시23


참조

[1] 웹사이트 UEFA Country Ranking 2017 http://www.uefa.com/[...] 2017-06-06
[2] 웹사이트 UEFA Country Ranking 2013 http://www.uefa.com/[...] uefa.com 2013-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