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되시-그레이엄 추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르되시-그레이엄 추측은 임의의 양의 정수 k와 [2, c^k]의 k-분할에 대해, 분할 내 부분 집합의 역수 합이 1이 되는 유한 집합이 존재하게 하는 상수 c가 존재한다는 추측이다. 이 추측은 에르되시 팔과 로널드 그레이엄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어니스트 크루트에 의해 증명되었다. 상수 c는 e 이상이며, e^16700 또한 c의 가능한 값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분수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이집트 분수 - 린드 수학 파피루스
린드 수학 파피루스는 아멘엠하트 3세 시대 문서를 베껴 쓴 고대 이집트의 수학 문서로, 다양한 수학 문제와 해법을 통해 당시 이집트인들의 수학적 사고방식과 계산 능력을 보여주며, 현재 대부분은 대영 박물관에, 일부는 브루클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에르되시 팔 - 에르되시 수
에르되시 수는 수학자 폴 에르되시와 공동 연구를 통해 연결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에르되시 본인은 0이며 공동 연구자는 1, 그 외 연결되는 사람들은 숫자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정의되고 학문적 영향력을 가늠하는 척도로 사용된다. - 에르되시 팔 - 해피 엔딩 문제
해피 엔딩 문제는 평면 상 일반적인 위치에 놓인 점 집합에서 볼록 다각형을 이루는 부분집합의 존재성을 묻는 문제로, 에르되시 팔과 세케레시 죄르지는 이를 일반화하여 충분히 큰 점들의 집합이 볼록 N각형을 포함함을 증명했으며, 볼록 N각형을 포함하기 위한 최소 점의 개수 f(N)과 빈 볼록 다각형 존재성, 고차원 유클리드 공간으로의 일반화 등이 연구되고 있다. - 추측 - P-NP 문제
P-NP 문제는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 P와 NP 복잡도 종류의 관계에 대한 미해결 문제로, 컴퓨터 과학과 수학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암호학, 최적화,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추측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은 타원 곡선의 유리점 구조와 L-함수 특성 간의 관계를 추측하는 미해결 문제로, 타원 곡선의 랭크가 L-함수의 s=1에서의 영점 차수와 같다고 주장하며, 클레이 수학 연구소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이다.
에르되시-그레이엄 추측 | |
---|---|
설명 | |
주제 | 수론의 추측 |
제안자 | 에르되시 팔과 로널드 그레이엄 |
년도 | 1980년 |
상태 | 증명됨 |
공식적인 진술 | |
내용 | 모든 자연수 r에 대해, 1로 합해지는 단위 분수를 갖는 유한 집합 {a1, ..., an}이 존재한다. 여기서 ai > 1이고, 각 ai는 r보다 큰 소인수를 가진다. |
일반화 | |
에르되시-그레이엄 추측 | 모든 충분히 큰 정수 N은 1로 합해지는 단위 분수를 갖는 N의 이동된 집합의 유한 합집합이다. |
증명 상태 | |
증명자 | 어니스트 크루트 |
년도 | 2000년 |
참고 | 크루트의 정리를 보라. |
2. 정의
'''에르되시-그레이엄 추측'''에 따르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상수 이 존재한다.
- 임의의 양의 정수 와 의 -분할 에 대하여, 인 및 유한 집합 가 존재한다.
이러한 상수 는 다음과 같은 하계를 갖는다.
:
또한,
:
은 의 한 가지 가능한 값이다.
3. 역사
에르되시 팔과 로널드 그레이엄이 처음 제시하였고,[3] 어니스트 크루트가 증명하였다.[4][5]
3. 1. 증명
참조
[1]
웹사이트
Unit Fractions
https://b-mehta.gith[...]
2023-02-19
[2]
웹사이트
Math's 'Oldest Problem Ever' Gets a New Answer
https://www.quantama[...]
2022-03-09
[3]
서적
Old and new problems and results in combinatorial number theory
Université de Genève, L'Enseignement Mathématique
[4]
학위논문
Unit Fractions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5]
저널
On a coloring conjecture about unit frac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