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로스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브로스 현은 그리스 동마케도니아-트라키 지방의 최동단에 위치하며, 터키와의 국경을 이루는 에브로스 강에서 명칭이 유래했다. 북쪽으로는 불가리아, 서쪽으로는 로도피 현과 접하며, 에게해의 사모트라키 섬을 포함한다. 에브로스 현은 지중해성 기후와 대륙성 기후가 나타나며, 에브로스 강과 아르다 강이 주요 강이다. 역사적으로 트라키아인, 마케도니아 왕국, 셀레우코스 제국,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 발칸 전쟁을 거쳐 1920년에 그리스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현재 알렉산드루폴리, 디디모티호, 오레스티아다, 사모트라케, 수프리 등 5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트라키아 - 로도피현
로도피현은 그리스 북부의 파핀기오 산맥에 위치하며 크산티현, 에브로스현, 불가리아와 접경하고, 인구의 절반이 서 트라키아계 튀르크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중해성 및 대륙성 기후를 띠고, 2010년 개혁 이후 4개의 시로 구성되었다. - 서트라키아 - 크산티현
크산티현은 그리스 트라키아 지방 최서부에 위치하며 불가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에게해와 이어져, 비잔티움 제국 유적과 담배 상업의 흔적을 간직한 채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후 4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다양한 문화 및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에브로스현 - 알렉산드루폴리
알렉산드루폴리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시작되어 여러 전쟁을 거치며 지배권 변동을 겪다가 그리스 국왕의 이름을 따 개칭되었으며, 현재는 항구, 공항 등을 갖춘 에브로스 지방 자치 단체의 도시이다. - 에브로스현 - 마리차강
마리차강은 발칸반도를 흐르는 강으로, 그리스와 터키의 국경을 형성하며 1371년 마리차 전투가 벌어졌고, 1923년 이후 국경선으로 정치적 중요성을 가지며 홍수에 취약하다. - 동마케도니아 트라키주의 현 - 카발라현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방의 카발라현은 트라키아 지방의 주도로, 네스토스 강을 경계로 하며 지중해성 기후와 대륙성 기후가 공존하고, 과거 타소스 섬을 포함했으나 현재는 분리되었으며,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 광역 자치 단체에서 지방 자치체로 구성이 바뀌었다. - 동마케도니아 트라키주의 현 - 로도피현
로도피현은 그리스 북부의 파핀기오 산맥에 위치하며 크산티현, 에브로스현, 불가리아와 접경하고, 인구의 절반이 서 트라키아계 튀르크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중해성 및 대륙성 기후를 띠고, 2010년 개혁 이후 4개의 시로 구성되었다.
에브로스현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그리스어 이름 | 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 Έβρου |
로마자 표기 | Evros |
위치 | 동마케도니아・트라키 지방 |
현도 | 알렉산드루폴리 |
면적 | 4,242 |
인구 | 150,580 |
인구 통계 년도 | 2005년 |
인구 밀도 | 35 |
차량 번호판 | EB, OP |
자치체 코드 | 72 |
데모스 | 5 |
위도 | 41° 10' N |
경도 | 26° 05' E |
2. 지리
에브로스현은 동쪽으로 터키, 북쪽과 북서쪽으로 불가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로도피현과 접한다. 에게해에 위치한 사모트라키섬도 에브로스현에 속한다. 에브로스 강은 에브로스현에서 가장 큰 강이며, 아르다 강은 두 번째로 큰 강이다. 현의 남부 및 중부는 주로 지중해성 기후이며, 북부 및 고지대에서는 겨울에 한랭한 대륙성 기후가 주로 나타난다.
2. 1. 위치 및 범위
에브로스현은 동서로 긴 동마케도니아-트라키 지방의 가장 동쪽에 있으며, 그리스 공화국 영토의 최북단에 위치한 현이다.에브로스현은 서트라키영어(트라키의 그리스령 부분)의 일부이다. 그 명칭은 트라키의 중요한 강이자 현재 그리스와 터키를 구분하는 국경이 된 에브로스강에서 유래했다. 에브로스현의 북부 및 북서부는 불가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서부는 로도피현과 접한다.
에브로스현은 그리스에서 가장 넓은 현 중 하나로, 서트라키 지방의 45%를 차지한다. 남북으로 약 150km, 동서로는 70km~100km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에게해상의 사모트라키섬을 현역에 포함한다.
2. 2. 지형
에브로스 현에서 가장 큰 강은 에브로스 강이며, 두 번째로 큰 강은 아르다 강이다.2. 3. 기후
현의 남부 및 중부는 주로 지중해성 기후이다. 북부 및 고지대에서는 겨울에 한랭한 대륙성 기후가 주로 나타난다.3. 역사
현재 에브로스 현 지역은 마케도니아 왕국에 병합되기 전까지 트라키아인이 지배했다. 기원전 310년경까지 마케도니아 왕국의 지배가 이어졌고, 이후 기원전 80년경까지 셀레우코스 제국의 통치를 받았다. 그 후 트라키아 속주로서 로마 제국에 편입되었고, 395년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열되면서 동로마 제국 영토가 되어 15세기까지 이어졌다. 이 기간 동안 슬라브족과 고트족에게 침략을 받았다.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이 지역에서 일어난 전투는 패배하여 반란은 진압되었다. 발칸 전쟁에서는 불가리아에 점령, 할양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후인 1920년에 완전히 그리스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1947년 트라키아 현에서 분리되어 현재의 에브로스 현이 되었다.
그리스-터키 전쟁 중에는 그리스인 피난민이 이주해 오면서 오레스티아다 신시가지 등이 건설되어 경제가 다소 나아졌다. 제2차 세계 대전과 그리스 내전을 거치면서 알렉산드루폴리 지역은 재건되었지만, 많은 주민들이 그리스 국내 대도시나 외국으로 이주했다.
에브로스 강 유역은 홍수 피해가 자주 발생했다. 1950년대와 60년대에는 오레스티아다 교외가 피해를 입었고, 1997년에는 라바라 및 디디모티호가 물에 잠겼다. 2005년에는 2월과 5월에 걸쳐 홍수가 발생했다. 2007년 7월 30일에는 알렉산드루폴리 북쪽 40km 지점인 아이시미에서 산불이 발생했고, 8월 6일에는 폭우로 큰 피해를 입었다.
3. 1. 고대
현재 에브로스 현 지역은 마케도니아 왕국에 병합되기 전까지 트라키아인이 지배했다. 기원전 310년경까지 마케도니아 왕국의 지배가 이어졌고, 이어서 기원전 80년경까지 셀레우코스 제국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그 후 트라키아 속주로서 로마 제국에 편입된 후, 395년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열되었을 때 동로마 제국 영토가 되었고 15세기까지 이어졌다. 이 기간 동안 슬라브인과 고트족에게 침략을 받았다.3. 2. 중세-근세
395년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열되면서 동로마 제국 영토가 되었고 15세기까지 이어졌다. 이 기간 동안 슬라브족과 고트족에게 침략을 받았다.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이 지역에서 일어난 전투는 패배하여 반란은 진압되었다.
3. 3. 근대-현대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이 지역에서 전투가 일어났으나 패배하여 반란은 진압되었다. 발칸 전쟁에서는 불가리아에 점령, 할양되었으며, 이 지역이 완전히 그리스의 통치하에 들어간 것은 제1차 세계 대전 후인 1920년이었다. 이 지역은 트라키아 현의 일부가 되었고, 1947년에 세분화되어 현재의 에브로스 현이 되었다.그리스-터키 전쟁 중에 그리스인 피난민들이 새로 설치된 현 내의 마을과 터키인 등 여러 민족이 오래전부터 살던 지역으로 이주하여 오레스티아다의 신시가지 등은 경제가 약간이나마 향상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그리스 내전을 거친 후 알렉산드루폴리 지역에는 많은 건물이 재건되었고 경제가 부흥했지만, 원래 주민의 몇몇은 19세기 중반부터 말까지 그리스 국내의 대도시 또는 외국으로 이주했다.
에브로스 강 유역은 홍수 피해가 자주 발생했다. 1950년대와 60년대에는 오레스티아다 교외의 집락이 피해를 입었고, 1997년 말에는 라바라 및 디디모티호가 물에 잠겼다. 또한 2005년에는 2월 17일부터 22일에 걸쳐, 그리고 5월 1일부터 4일에 걸쳐 홍수가 발생했다. 2007년 7월 30일에는 알렉산드루폴리에서 북쪽으로 40km 떨어진 아이시미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또한 그 며칠 후인 8월 6일에는 이 일대를 폭우가 덮쳐 큰 피해가 발생했다.
3. 4. 현대사 (대한민국과의 관계)
그리스-터키 전쟁 중에 그리스인 피난민들이 에브로스 현으로 이주하면서 오레스티아다 등의 신도시가 건설되어 경제가 다소 나아졌다. 제2차 세계 대전과 그리스 내전을 겪은 후 알렉산드루폴리 지역을 중심으로 재건이 이루어졌으나, 많은 주민들이 국내 대도시나 외국으로 이주하기도 했다.에브로스 강 유역에서는 홍수 피해가 자주 발생했다. 1950년대와 60년대에는 오레스티아다 교외의 집락이 피해를 입었고, 1997년에는 라바라 및 디디모티호가 물에 잠겼다. 2005년에는 2월과 5월에 걸쳐 홍수가 발생했다. 2007년에는 아이시미에서 발생한 산불과 폭우로 큰 피해를 입었다.
대한민국은 에브로스 현을 포함한 그리스와의 관계 증진에 힘쓰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접경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국제 협력을 강조하며, 에브로스 현과의 경제, 문화 교류 확대를 지지하고 있다.
4. 행정 구역
에브로스 현은 2011년 칼리크라티스 개혁으로 행정 구역이 개편되었다. 현재는 5개의 지방 자치 단체(디모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13개의 디모스는 현재 디모스를 구성하는 행정 구역(디모티키 에노티타)이 되었다.
4. 1. 현행 행정 구역 (2011년~)
현재 에브로스 현은 5개의 지방 자치 단체(디모스, 시)로 구성되어 있다.지방 자치 단체명 | 청사 소재지 | 면적(km²) | 인구(2001년 기준) | |
---|---|---|---|---|
1 | 알렉산드루폴리 | 알렉산드루폴리 | 1219.9km2 | 65,894 |
2 | 디디모티호 | 디디모티호 | 569.5km2 | 23,484 |
3 | 오레스티아다 | 오레스티아다 | 967.5km2 | 39,485 |
4 | 사모트라케 | 사모트라케 | 178km2 | 2,723 |
5 | 수프리 | 수프리 | 1339.6km2 | 17,768 |
4. 2. 과거 행정 구역 ( ~ 2010년)
칼리크라티스 개혁(2010년) 이전의 광역 자치체(노모스)로서의 에브로스 현은 13개의 기초 자치체(디모스)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혁 후, 옛 자치체는 신 자치체(디모스)를 구성하는 행정 구역(디모티키 에노티타)이 되었다.옛 자치체 | 철자 | 정부 소재지 | 신 자치체 | |
---|---|---|---|---|
1 | 알렉산드루폴리 | Αλεξανδρούπολη|알렉산드루폴리el | 알렉산드루폴리 | 알렉산드루폴리 |
2 | 비사 | Βύσσα|비사el | 네아 비사 | 오레스티아다 |
3 | 디디모티호 | Διδυμότειχο|디디모티호el | 디디모티호 | 디디모티호 |
4 | 키프리노스 | Κυπρίνος|키프리노스el | 키프리노스 | 오레스티아다 |
5 | 메탁사데스 | Μεταξάδες|메탁사데스el | 메탁사데스 | 디디모티호 |
6 | 오레스티아다 | Ορεστιάδα|오레스티아다el | 오레스티아다 | 오레스티아다 |
7 | 오르페아스 | Ορφέας|오르페아스el | 라바라 | 수플리 |
8 | 사모트라케 | Σαμοθράκη|사모트라케el | 사모트라케 | 사모트라케 |
9 | 수플리 | Σουφλί|수플리el | 수플리 | 수플리 |
10 | 트라야누폴리 | Τραϊανούπολη|트라야누폴리el | 아리스티노 | 알렉산드루폴리 |
11 | 트리고노 | Τρίγωνο|트리고노el | 디케아 | 오레스티아다 |
12 | 티헤로 | Τυχερό|티헤로el | 티헤로 | 수플리 |
13 | 페레스 | Φέρες|페레스el | 페레스 | 알렉산드루폴리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