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토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이토쿠(永徳)는 일본 남북조 시대의 연호 중 하나로, 1381년 3월 20일부터 1384년 3월 19일까지 사용되었다. 고랴쿠 3년 2월 24일(1381년 3월 20일)에 개원되었으며, 4년 2월 27일(1384년 3월 19일)에 시토쿠로 개원되었다. 이 기간 동안 남조에서는 고와(弘和) 연호를 사용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1381년 천황이 아시카가 요시미쓰를 만난 일, 간파쿠 니조 요시모토가 다이죠다이진으로 승진하고 요시미쓰가 나다이진으로 임명된 일, 1382년 요시미쓰가 사다이진으로 승진한 일, 1383년 고카메야마 천황이 남조의 보위에 오른 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보쿠초 시대 - 남조 (일본)
남조는 14세기 일본 남북조 시대에 고다이고 천황이 세운 천황가의 분파로,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세운 북조와 대립하다가 1392년 종결되었으며, 메이지 시대에 정통으로 인정받았다. - 난보쿠초 시대 - 태평기
《태평기》는 14세기 무로마치 막부 관련 지식인들이 편찬한 군담소설로, 남북조 시대를 배경으로 겐무 신정, 남북조 분열, 무장들의 활약상을 유교적 대의명분론과 불교적 인과응보론에 기반하여 극적으로 묘사하며 역사적, 문학적, 사상적 영향력을 지닌다. - 일본의 연호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일본의 연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에이토쿠 | |
---|---|
개요 | |
시대 | 일본 남북조시대 |
기간 | 1381년 ~ 1384년 |
이전 | 고랴쿠 |
다음 | 시토쿠 |
연호의 유래 | |
유래 | 《상서》의 "짐이 문덕을 생각하고, 무공을 생각한다(予小子, 其承先人之**德**,底**永**世之今)"에서 유래 《후한서》의 "군신**영**청, 억재**덕**화(群臣**永**清,億載**德**化)"에서 유래 |
해당 시기의 천황 | |
북조 | 고엔유 고코마쓰 |
남조 | 초케이 고카메야마 |
2. 연호 개원(改元)
고랴쿠 3년(1381년 3월 20일) 2월 24일 신유혁명에 해당하여 에이토쿠로 연호가 바뀌었다.[1] 에이토쿠 4년(1384년 3월 19일) 2월 27일에는 시토쿠로 개원되었다.[2]
2. 1. 개원(改元) 경위
고랴쿠 3년(1381년 3월 20일) 2월 24일, 신유혁명에 해당하여 개원하였다.[1] 에이토쿠 4년(1384년 3월 19일) 2월 27일, 시토쿠로 개원되었다.[2]3. 서력과의 대조표
※는 작은 달을 나타낸다.
에이토쿠(永徳) 원년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