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러레이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엑셀러레이터는 스타트업의 성장을 돕는 프로그램 또는 기관을 의미한다. 엑셀러레이터는 스타트업에 시드 투자를 제공하고, 멘토링, 교육,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며, 3개월의 단기간 집중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엑셀러레이터는 일반적으로 소규모 팀을 선호하며, 벤처 캐피탈 방식의 수익 모델을 가진다. 최초의 엑셀러레이터는 2005년 Y Combinator이며, 한국에서도 다양한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엑셀러레이터가 스타트업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엑셀러레이터 |
---|
2. 특징
창업 보육 기관, 스타트업 스튜디오와 구별되는 엑셀러레이터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4][9][5]
- '''선발 과정''':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지만, 경쟁이 매우 치열하여 합격률이 낮다.[4][9][5] 와이 컴비네이터(Y Combinator)나 테크스타(TechStars)와 같은 유명 엑셀러레이터의 경우 합격률은 1%에서 3% 사이이다.[4][9][5]
- '''투자 방식''': 엑셀러레이터는 일반적으로 스타트업에 시드 지분 투자를 제공하며, 이는 주식 또는 전환사채 등의 자본 투자 형태로 이루어진다.[9] 투자 규모는 미국에서 2만 달러에서 5만 달러 사이, 유럽에서는 1만 파운드에서 5만 파운드 사이이다.[9] 엑셀러레이터는 회사가 데모 데이에 도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자금을 제공하며, 이 시점부터 스타트업은 자체적으로 운영된다.[10]
- '''팀 중심''': 대부분의 액셀러레이터는 개인 창업자보다는 소규모 팀을 선호한다. 한 사람이 스타트업 운영에 필요한 모든 역량을 갖추기 어렵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6] 그러나 Entrepreneur First, 앤틀러(Antler)와 같이 개인 창업자를 위한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도 존재한다.[6]
- '''프로그램 운영''':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은 3개월 단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운영되며, 이 기간 동안 스타트업은 멘토링, 교육, 네트워킹 등의 지원을 받는다.[7] 졸업 무렵에는 투자자에게 사업을 발표하는 "데모 데이"를 개최한다.[7] 스타트업은 코호트(cohort) 또는 클래스(class) 단위로 선발되어 지원을 받으며, 클래스 내에서의 동료 지원 및 피드백은 중요한 이점으로 작용한다.[8] 액셀러레이터가 공통 작업 공간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팀은 정기적으로 만난다.
- '''멘토링 및 네트워크''': 엑셀러레이터의 주요 가치는 멘토 네트워크와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교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다.[26] 엑셀러레이터에 선정되었다는 사실은 스타트업에게 신뢰를 부여하는 효과를 가진다.[9] 와이 컴비네이터(Y Combinator)는 지도자 중심 모델을, 테크스타(TechStars)는 멘토십 중심 모델을 활용한다.[26]
- '''수익 모델''': 엑셀러레이터의 비즈니스 모델은 임대료나 서비스 수수료가 아닌 벤처 캐피탈 방식의 수익을 창출하는 데 기반한다.
- '''기타''': 스타트업 6개사 중 1개사가 재정적 이벤트 자격을 갖는다.[25] 시드 액셀러레이터는 반드시 물리적 공간을 포함할 필요는 없지만, 많은 액셀러레이터가 이를 포함한다.
2. 1. 선발 과정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지만, 경쟁이 매우 치열하여 합격률이 낮다.[4][9][5] 와이 컴비네이터(Y Combinator)나 테크스타(TechStars)와 같은 유명 액셀러레이터의 경우 합격률은 1%에서 3% 사이이다.[4][9][5]2. 2. 투자 방식
엑셀러레이터는 일반적으로 스타트업에 시드 지분 투자를 제공하며, 이는 주식 또는 전환사채 등의 자본 투자 형태로 이루어진다.[9] 투자 규모는 엑셀러레이터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미국에서는 2만 달러에서 5만 달러 사이, 유럽에서는 1만 파운드에서 5만 파운드 사이이다.[9] 일부 액셀러레이터는 지분 투자 없이 프로그램만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액셀러레이터는 회사가 데모 데이에 도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자금을 제공하며, 이 시점부터 스타트업은 자체적으로 운영된다.[10]
2. 3. 팀 중심
대부분의 액셀러레이터는 개인 창업자보다는 소규모 팀을 선호한다. 액셀러레이터는 한 사람이 스타트업 운영에 필요한 모든 역량을 갖추기 어렵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6] 그러나 Entrepreneur First, 앤틀러(Antler)와 같이 개인 창업자를 위한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도 존재한다.[6]2. 4. 프로그램 운영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은 3개월의 단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운영되며, 이 기간 동안 스타트업은 멘토링, 교육, 네트워킹 등의 지원을 받는다.[7] 졸업 무렵에는 투자자에게 사업을 발표하는 "데모 데이"를 개최한다.[7] 액셀러레이터는 회사가 데모 데이에 도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자금을 제공하며, 이 시점부터 스타트업은 자체적으로 운영된다.[10]스타트업은 코호트(cohort) 또는 클래스(class) 단위로 선발되어 지원을 받으며, 클래스 내에서의 동료 지원 및 피드백은 중요한 이점으로 작용한다.[8] 액셀러레이터가 공통 작업 공간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팀은 정기적으로 만난다.
기업가에게 주요한 가치는 멘토링, 연결, 그리고 액셀러레이터의 일원으로 선택되었다는 인식에서 얻어진다. 액셀러레이터의 비즈니스 모델은 임대료나 서비스 수수료가 아닌 벤처 캐피탈 방식의 수익을 창출하는 데 기반한다.
2. 5. 멘토링 및 네트워크
엑셀러레이터의 주요 가치는 경험 많은 창업가, 투자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멘토 네트워크와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교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다.[26] 엑셀러레이터에 선정되었다는 사실은 스타트업에게 신뢰를 부여하는 효과를 가진다.[9] 와이 컴비네이터(Y Combinator)는 지도자 중심 모델을, 테크스타(TechStars)는 멘토십 중심 모델을 활용한다.[26]2. 6. 수익 모델
엑셀러레이터는 벤처 캐피탈 방식의 수익을 창출하는 데 기반한다.[9] 일반적으로 지분 투자를 통해 스타트업에 시드 투자를 하며, 스타트업이 성장하여 기업 가치가 상승하면 지분 매각을 통해 이익을 얻는다. 일부 액셀러레이터는 프로그램 참가비를 받거나, 스타트업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받기도 한다.2. 7. 대기업 액셀러레이터
최근에는 대기업들이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위해 자체적으로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대기업 엑셀러레이터는 일반적인 엑셀러레이터와 달리 지분 투자를 수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스타트업과의 사업 제휴나 기술 협력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25] 대기업 엑셀러레이터의 멘토는 주로 해당 기업의 임직원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스타트업 경험이 부족할 수 있다.3. 역사
최초의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는 2005년 폴 그레이엄이 설립한 Y 컴비네이터였다.[9][20] 이후 테크스타즈 (2006년), 시드캠프 (2007년)등 다양한 엑셀러레이터가 설립되었다.[12][21]
유럽에서는 2009년 덴마크에서 Accelerace가 최초의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13] 2012년 에스토니아에서 Startup Wise Guys가 설립되었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스타트업 생태계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13][22] 2011년 7월 시점, 전 세계에 200개 이상의 엑셀러레이터가 있었다.[21] 포브스는 2012년 4월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에 대한 분석 기사를 게재했다.[14][24]
4. 영향
액셀러레이터가 액셀러레이팅된 기업의 성공을 증가시키는지 여부는 항상 명확하지 않다. 많은 연구에서 액셀러레이팅된 집단이 액셀러레이팅되지 않은 기업보다 더 나은 성과를 보인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이는 프로그램의 선택 효과 때문일 수 있다(즉, 액셀러레이터가 기업을 '만들어내는' 것보다 '성공할 기업을 고르는' 데 더 뛰어날 수 있다).[16] 그러나 회귀 불연속 설계를 사용한 연구에 따르면, 액셀러레이터는 선택 효과 이상으로 실제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더 넓은 생태계 파급 효과도 가질 수 있다(하지만 이것이 모든 프로그램에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16]
5. 한국의 액셀러레이터
한국에서도 스타트업 생태계가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주요 엑셀러레이터로는 01Booster, ReGACY Innovation Group, Open Network Lab, ZENTECH DOJO, 사무라이 인큐베이트, MOVIDA JAPAN, Code Republic, X-DOJO, KUSABI α 등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스타트업 육성과 혁신 성장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엑셀러레이터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6.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What Do Accelerators Do? Insights from Incubators and Angels
[2]
간행물
Business Incubators and Accelerators: the National Picture
https://assets.publi[...]
UK Dept of Business, Energy and Industrial Strategy
[3]
웹사이트
Corporate Accelerators Are An Oxymoron
http://techcrunch.co[...]
2015-06-17
[4]
웹사이트
What Startup Model is Right for You?
https://medium.com/s[...]
2021-03-23
[5]
서적
The Startup Factories - The rise of accelerator programmes to support new technology ventures
http://www.nesta.org[...]
NESTA
2011-06
[6]
웹사이트
Underdog Startup Accelerator
https://underdogacce[...]
2023-08-14
[7]
웹사이트
Incubators in US and Europe - Speed and scale in capital formation
http://www.slideshar[...]
Kauffman Fellow Program
2012-09-14
[8]
웹사이트
Seed Accelerator Definition
http://www.seed-db.c[...]
2012-09-14
[9]
서적
Accelerating Success: A Study of Seed Accelerators and Their Defining Characteristics
http://acceleratorst[...]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2012-09-14
[10]
웹사이트
What Startup Model is Right for You?
https://medium.com/s[...]
2021-05-07
[11]
웹사이트
Venture Building
https://duodeka.com/[...]
2023-08-29
[12]
웹사이트
Incubators in US and Europe - Speed and scale in capital formation
http://www.slideshar[...]
Kauffman Fellow Program
2012-09-14
[13]
웹사이트
Are Europe's startup accelerators speeding out of control?
http://gigaom.com/20[...]
GigaOM
2011-07-18
[14]
웹사이트
Top Startup Incubators And Accelerators
https://www.forbes.c[...]
2012-04-30
[15]
웹사이트
Corporate Accelerator database
https://corporate-ac[...]
2015-06-17
[16]
간행물
THE IMPACT OF BUSINESS ACCELERATORS AND INCUBATORS IN THE UK
https://www.gov.uk/g[...]
BEIS
2019
[17]
서적
The Startup Factories - The rise of accelerator programmes to support new technology ventures
http://www.nesta.org[...]
NESTA
2011-06
[18]
웹사이트
Incubators in US and Europe - Speed and scale in capital formation
http://www.slideshar[...]
Kauffman Fellow Program
2011-07-16
[19]
웹사이트
Seed Accelerator Definition
http://www.seed-db.c[...]
2012-09-14
[20]
서적
Accelerating Success: A Study of Seed Accelerators and Their Defining Characteristics
http://acceleratorst[...]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2012-09-14
[21]
웹사이트
Incubators in US and Europe - Speed and scale in capital formation
http://www.slideshar[...]
Kauffman Fellow Program
2011-07-16
[22]
웹사이트
Are Europe’s startup accelerators speeding out of control?
http://gigaom.com/20[...]
GigaOM
2011-07-18
[23]
웹사이트
Top 8 European Startup Accelerators and Incubators Ranked Seedcamp and Startupbootcamp Top Rankings 2011
http://techcocktail.[...]
Tech Cocktail
2011-06-20
[24]
웹사이트
Top Startup Incubators And Accelerators
http://www.forbes.co[...]
Forbes
2012-04-30
[25]
웹사이트
Incubators in US and Europe - Speed and scale in capital formation
http://www.slideshar[...]
Kauffman Fellow Program
2011-07-16
[26]
웹사이트
Incubators in US and Europe - Speed and scale in capital formation
http://www.slideshar[...]
Kauffman Fellow Program
2011-07-16
[27]
논문
What Do Accelerators Do? Insights from Incubators and Angels
http://www.mitpressj[...]
2014-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