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테베 국제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테베 국제공항은 우간다의 주요 국제공항으로, 1936년 영국 식민 당국에 의해 개항되었다. 1951년 시설 확장 후 재개장되었으며, 1976년에는 엔테베 작전이 벌어진 장소로, 1979년에는 우간다-탄자니아 전쟁으로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 2015년부터는 한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공항 현대화 계획이 진행 중이며, 2021년에는 중국의 공항 인수 논란이 있었다. 현재는 다양한 국제선과 국내선, 화물 노선이 운항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ICAO의 안전 감사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팔라 - 엔테베
엔테베는 빅토리아호 북쪽 해안에 위치한 우간다의 도시로, 과거 만바 씨족의 중요한 장소이자 영국령 우간다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엔테베 국제공항과 우간다 바이러스 연구소가 위치한 주요 관문이자 생물 의학 연구 중심지이다. - 캄팔라 - 빅토리아호
빅토리아호는 우간다, 탄자니아, 케냐에 걸쳐 있는 거대한 호수로, 존 해닝 스피크가 빅토리아 여왕을 기려 명명했으며, 고유 동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계이지만, 환경 문제와 외래종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주변국에 다양한 역할을 하는 중요한 호수이다. - 엔테베 작전 - 라스트 킹
라스트 킹은 1970년대 우간다 독재자 이디 아민의 통치 시기를 배경으로 그의 주치의가 된 스코틀랜드 출신 의사의 시각을 통해 권력의 부패와 비극을 그린 영화로, 포레스트 휘태커가 이디 아민 역을 맡아 연기력을 인정받았으며, 역사 왜곡 및 미화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 엔테베 작전 - 베니 펠레드
베니 펠레드는 이스라엘 공군 초창기 조종사이자 장군으로, 제2차 중동 전쟁에서 이젝터 시트 탈출을 경험했으며, 욤키푸르 전쟁 당시 공군 사령관으로서 엔테베 작전의 공군 작전을 성공적으로 지휘했다.
엔테베 국제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현지어 이름 | Uwanja wa Ndege wa Kimataifa wa Entebbe |
공항 종류 | 공용/군용 |
운영 주체 | 우간다 |
위치 | 엔테베, 캄팔라, 무코노 |
허브 공항 | 이글 에어 우간다 항공 |
고도 | 1,153m (3,782ft) |
좌표 | 00°02′41″N 32°26′35″E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통계 (2014/15) | |
여객 수 | 증가 1,510,000명 |
항공기 운항 횟수 | 감소 26,886회 |
화물 (톤) | 감소 52,841톤 |
활주로 정보 | |
활주로 1 (17/35) | 길이: 3,658m (12,000ft) 표면: 아스팔트 |
활주로 2 (12/30) | 길이: 2,408m (7,900ft) 표면: 아스팔트 |
추가 정보 | |
건설 시기 (주 터미널 건물) | 1972–1973년 |
캄팔라로부터 거리 | 약 40km |
엔테베 시내로부터 거리 | 약 6km |
민간 항공국 본부 위치 | 엔테베 |
2. 역사
엔테베 국제공항은 영국의 식민지 시대에 개항되었다. 1976년에는 납치 여객기 구출 작전인 엔테베 작전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 당시 사용되었던 구 터미널은 관제탑을 제외하고는 최근 철거되어 재건축되었다.
2015년부터는 대한민국과 중국 수출입은행의 지원을 받아 현대화 및 확장 공사가 3단계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2021년에는 중국이 대출 불이행을 이유로 공항을 인수할 수 있다는 보도가 있었으나, 중국 외교부와 우간다 정부는 이를 부인했다.[12] 우간다 정부는 2015년 중국 수출입 은행과 체결한 2억달러 대출 계약을 수정하여 공항 통제권을 유지하려 하고 있다.[13]
2. 1. 식민지 시대
이 공항은 영국 식민 당국에 의해 개항되었다. 우간다 민간 항공청 웹사이트에 따르면, 빅토리아 호에 위치하고 기존 시설이 갖춰져 있어 식민 정부는 항공 교통에 가장 적합한 위치를 엔테베로 결정했다.[8]
1951년 11월 10일, 공항 시설이 확장된 후 정식으로 재개장했다. 활주로 12/30은 de Havilland Comet의 운항을 준비하기 위해 약 3017.52m로 확장되었다.[9] 공항의 새로운 메인 터미널 건물은 유고슬라비아 몬테네그로 건축가 알렉산다르 케코비치가 설계하고 1972년부터 1973년까지 Energoprojekt holding에 의해 건설되었다.[1]
2. 2. 엔테베 작전
구 엔테베 공항은 우간다 군이 사용하고 있다. 이곳은 1976년 텔아비브에서 파리로 가던 중 그리스 아테네를 경유한 후, 아랍-독일 테러리스트에게 납치된 에어 프랑스 139편 인질 구출 작전인 엔테베 작전이 벌어진 장소이다.[10] 구출 작전은 구 터미널에서 벌어졌으며, 관제탑과 공항 홀을 제외하고는 철거되었다.[10] 1979년 4월, 공항은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중 탄자니아 군에 의해 엔테베 전투에서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11]2. 3.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1979년 4월, 엔테베 국제공항은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중 탄자니아 군에 의해 엔테베 전투에서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11]2. 4. 현대화 계획 (2015년-현재)
2015년부터 엔테베 국제공항의 현대화 및 확장 공사가 3단계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이 공사는 대한민국의 지원과 중국 수출입은행의 차관을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전체 예산은 약 5.86억달러이다.[19]2022년 3월, 10만 미터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화물 센터가 상업 운영을 시작했다. 이는 기존 시설의 처리 용량(5만 미터톤)을 두 배로 늘린 것이다.[22][23] 2024년 후반에는 연간 여객 처리 능력이 200만 명에서 35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4][25]
2. 4. 1. 1단계 (2015년-2018년)
2015년 2월,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국제협력단을 통해 우간다 정부에 공항 현대화를 위해 270억우간다 실링을 지원하는 보조금을 지급했다.[15] 같은 달, 우간다 정부는 2015년부터 2035년까지 진행되는 3단계 공항 확장 및 개선 공사를 시작했다.[16][17][18] 전체 개조 예산은 약 5.86억달러이다.[19]1단계 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예상 비용은 2억달러이며, 중국 수출입은행에서 차입했다.
- 화물 터미널 이전 및 확장.
- 새로운 여객 터미널 건물 건설.
- 기존 여객 터미널 건물 현대화 및 개선.[19][20]
- "12/30 활주로"(주 활주로) 개보수 및 재활은 2019년 2월에 완료될 예정이었다.[21]


2. 4. 2. 2단계 (2019년-2023년)
2015년 2월,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국제협력단을 통해 우간다 정부에 공항 현대화를 위해 270억우간다 실링을 지원하는 보조금을 지급했다.[15] 같은 달, 우간다 정부는 2015년부터 2035년까지 3단계에 걸쳐 공항 확장 및 개선 공사를 시작했다.[16][17][18] 전체 개조 예산은 약 5.86억달러이다.[19]2단계 확장 공사 예상 비용은 1.25억달러이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2단계 확장 공사에는 연료 저장 시설 이전 및 확장이 포함된다.[19]
2024년 7월, ''나일 포스트''는 아랍에미리트에 기반을 두고 31개국에서 활동하는 항공 연료 공급 회사 ''트리스타 에너지 리미티드(Tristar Energy Limited)''가 12000000L의 항공 연료 저장 용량과 7km 길이의 파이프라인을 갖춘 지하 저장 탱크 건설을 완료하여 상업 시운전을 준비했다고 보도했다. 향후 5년 동안 지하 저장 탱크 용량은 11000000L 더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9년까지 이 공항의 항공 연료 저장 용량은 23000000L로 계획되어 있다. 연료 저장 탱크 건설은 2017년부터 진행되어 왔다.[26]
2. 4. 3. 3단계 (2024년 이후)
2015년 2월,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국제협력단을 통해 우간다 정부에 공항 현대화를 위해 270억우간다 실링을 지원하는 보조금을 지급했다.[15] 같은 달, 우간다 정부는 2015년부터 2035년까지 진행되는 3단계 공항 확장 및 개선 공사를 시작했다.[16][17][18] 전체 개조 예산은 약 5.86억달러이다.[19]3단계 확장 및 개선 공사의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비고 |
---|---|---|
예상 비용 | 1.605억달러 | 자금 출처 미확보 |
주차장 | 새로운 다층 주차장 건설 | |
관제탑 | 새로운 관제탑 건설 | |
활주로 | 현재 활주로 강화 및 재포장 | [19][27] |
2. 5. 중국 공항 인수 논란
2021년 11월, ''ThePrint''는 아프리카 언론 보도를 인용해 중국이 대출 불이행으로 엔테베 국제공항을 인수할 수 있다고 보도했으나, 중국 외교부와 우간다 정부는 이를 부인했다.[12] 블룸버그 통신은 우간다 정부가 2015년 중국 수출입 은행과 체결한 2억달러 대출 계약을 수정하여 공항 통제권을 잃지 않도록 하려 한다고 보도했는데, 이는 우간다의 독립 일간지인 ''데일리 모니터''의 보고서를 인용한 것이다.[13] 2021년 12월 1일, 우간다 법무장관은 언론에서 공항에 관한 보도를 접했으며 이는 허위 정보라고 밝혔다.[14]여러 우간다 현지 및 국제 언론 보도에 따르면 우간다는 중국으로부터 빌린 대출금을 갚지 못해 엔테베 국제공항에 대한 지배력을 중국에 넘겨줄 것이라고 주장했다.[78][79] 그러나 우간다 관리들은 중국이 공항을 통제할 가능성에 대한 주장을 부인했다.[80][81] 중국 수출입은행은 우간다 유일의 국제공항 확장을 위해 2억 달러를 대출하면서 엄격하고 공격적인 상환 조건을 부과했다.[82]
3. 시설
2016년 4월, 존 바야바감비 건설부 장관은 출국 및 입국 라운지 확장을 위한 426억우간다 실링 (1140만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공사는 세야니 브라더스 리미티드에서 수행하며, 우간다 민간 항공청이 전액 자금을 지원한다. 공사는 2016년 6월 1일에 시작하여 2017년 12월에 완료될 예정이다. 이 공사는 대한민국 정부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부분적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대규모 확장 공사와는 별개로 진행된다.[28]
승객 편의 시설로는 수하물 보관소, 은행, 자동 현금 인출기, 환전소, 레스토랑, 면세점 등이 있다.[29]
4. 운항 노선
엔테베 국제공항의 운항 노선은 다음과 같다.
항공사 | 목적지 |
---|---|
에어로링크 우간다 | 부군구, 초베, 카세세, 키데포, 키히히, 키소로, 키수무, 마사이 마라, 무에야, 파쿠바, 셈리키[30] |
에어 아라비아 | 샤르자[31] |
에어 탄자니아 | 다르에스살람, 킬리만자로[32] |
오릭 에어 | 세로네라 |
바르 항공 우간다 | 주바, 하르툼[33] |
BAR 항공 우간다 | 카세세, 키데포, 키히히, 키소로, 음바라라, 파쿠바[34] |
이글 에어 | 아루아, 예이 |
이집트 항공 | 카이로 |
에미레이트 항공 | 두바이–국제 |
에티오피아 항공 | 아디스아바바, 주바 |
플라이두바이 | 두바이–국제 |
플라이나스 | 리야드 (2025년 1월 13일 시작)[35] |
플라이-SAX | 나이로비–조모 케냐타 |
골든 윙스 항공 | 주바 |
잠보젯 | 나이로비–조모 케냐타[36] |
케냐 항공 | 키갈리, 나이로비–조모 케냐타 |
KLM | 암스테르담 |
카타르 항공 | 도하[37] |
르완다 에어 | 주바,[38] 키갈리, 나이로비–조모 케냐타[39] |
타르코 항공 | 주바, 하르툼[40][41] |
터키 항공 | 이스탄불[42] |
우간다 항공 | 아부자,[45] 부줌부라,[43] 다르에스살람,[43] 두바이–국제,[44] 하라레,[45] 요하네스버그–O.R. 탐보,[46] 주바, 킬리만자로,[43] 킨샤사–은지리,[47] 라고스,[48] 루사카,[45] 모가디슈,[43] 몸바사, 뭄바이,[48] 나이로비–조모 케냐타,[49] 잔지바르[50] |
항공사 | 목적지 |
---|---|
유엔 인도적 지원 항공 서비스 | 부니아, 고마, 주바,[52] 키상가니,[53] 루붐바시 |
항공사 | 목적지 |
---|---|
아스트랄 항공 | 나이로비–조모 케냐타 | |
비드에어 카고 | 요하네스버그–O. R. 탐보 | |
이집트 항공 카고 | 카이로, 샤르자[54] | |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 | 두바이–알 막툼[55] | |
에티오피아 항공 카고 | 아디스아바바[56] | |
에티하드 카고 | 아부다비[57] | |
카타르 항공 카고 | 브뤼셀,[58] 도하,[58] 나이로비–조모 케냐타[58] | |
스타보 항공 | 요하네스버그–O. R. 탐보, 리에주[59] | |
우간다 항공 카고 | 두바이–국제, 프랑크푸르트, 요하네스버그–O. R. 탐보 | |
[60]>요하네스버그–O. R. 탐보, 나이로비–조모 케냐타, 오스텐데/브뤼헤 | |
터키 항공 카고 | 이스탄불, 나이로비–조모 케냐타 | |
유엔 인도적 지원 항공 서비스 | 로마–피우미치노 |
4. 1. 국제선
항공사 | 목적지 |
---|---|
영국항공 | 런던(히드로)[96] |
브뤼셀 항공 | 브뤼셀[97] |
이집트 항공 | 카이로 |
에미레이트 항공 | 두바이 |
에티오피아 항공 | 아디스아바바, 주바, 키갈리 |
에티하드 항공 | 아부다비[98] |
페스트 제트 | 다르에스살람,[99] 킬리만자로[100] |
플라이두바이 | 두바이,[101] 부줌부라 |
케냐 항공 | 나이로비 |
KLM | 암스테르담[102] |
카타르 항공 | 도하[103] |
르완다 항공 | 키갈리, 나이로비,[105] 주바[104] |
남아프리카 항공 | 요하네스버그 |
서던 슈프림 항공 | 주바,[106] 하르툼[107] |
터키항공 | 이스탄불[42] |
- 브뤼셀 항공의 브뤼셀발 엔테베행 항공편은 키갈리 또는 부줌부라에 기착한다.[51] 하지만, 키갈리 또는 부줌부라와 엔테베 사이에서만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운송권은 없다.
- KLM의 암스테르담발 엔테베행 일부 항공편은 키갈리에 기착한다. 하지만, 키갈리와 엔테베 사이에서만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운송권은 없다.
- 터키 항공의 이스탄불발 엔테베행 항공편은 키갈리에 기착한다. 하지만, 키갈리와 엔테베 사이에서만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운송권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