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리펀트 맨 (희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리펀트 맨은 버나드 포머런스가 쓴 희곡으로, 19세기 런던에서 '엘리펀트 맨'으로 불린 존 메릭과 그의 삶을 연구하는 외과 의사 프레데릭 트레브스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 작품은 메릭의 기형적인 외모로 인한 사회적 편견과 인간의 존엄성을 탐구하며, 메릭이 배우 켄달 부인과의 교류를 통해 인간적인 성장을 이루는 과정을 그린다. 1977년 영국 햄스테드 극장에서 초연된 후 브로드웨이에서 성공을 거두며, 뉴욕 드라마 비평가상, 드라마 데스크상, 토니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이후 여러 차례 리바이벌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여러 차례 공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애를 소재로 한 연극 - 디어 에반 핸슨
    뮤지컬 《디어 에반 핸슨》은 사회 불안 장애를 겪는 십대 에반 핸슨이 죽은 급우와 친구였다는 거짓말로 인해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브로드웨이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토니상 6개 부문을 수상, 세계 각지에서 공연되고 소설과 영화로도 각색되었다.
  • 19세기를 배경으로 한 희곡 - 레 미제라블 (뮤지컬)
    《레 미제라블》은 빅토르 위고의 소설을 각색하여 사회 정의와 인간 존엄성을 강조하는 뮤지컬로, 프랑스에서 초연된 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한국에서도 공연되었고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19세기를 배경으로 한 희곡 - 왕과 나 (뮤지컬)
    《왕과 나》는 1860년대 시암 왕실을 배경으로 영국인 가정교사 안나 레오노웬스와 시암의 몽쿳 왕 사이의 갈등과 우정을 그린 뮤지컬로, 1944년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되었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여러 차례 재공연되었다.
엘리펀트 맨 (희곡)
기본 정보
제목엘리펀트 맨
원제The Elephant Man
장르드라마
비극
작가버나드 포머런스
배경19세기 후반, 런던, 잉글랜드
초연1977년 11월 7일
초연 장소햄스테드 극장
원어영어
등장인물존 메릭
프레더릭 트레브스
미세스 켄달
캐어 곰
질서인
핀헤드
첼리스트

2. 줄거리

프레더릭 트레브스는 런던 병원에서 프랜시스 카-곰을 만나 '엘리펀트 맨' 존 메릭을 알게 된다. 트레브스는 메릭을 연구하며 그의 질환과 해부학적 특징을 강의한다. 프릭 쇼는 브뤼셀로 이동하지만, 메릭은 학대받고 버려진다. 런던으로 돌아온 메릭은 군중의 폭동에 휘말리지만, 트레브스 덕분에 병원에 머물게 된다.

배우 매지 켄달은 메릭을 방문하여 ''로미오와 줄리엣''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인간적인 교감을 경험한다. 켄달 부인은 메릭에게 나체 여성을 본 적이 없다는 고백을 듣고, 자신의 나체를 보여준다. 트레브스는 이에 충격을 받는다.

메릭은 자신을 학대했던 프릭 쇼 매니저 로스에게 맞서며 인간적인 성장을 보여준다. 메릭은 신과 천국에 대한 트레브스의 믿음에 의문을 제기하고, 그의 엄격한 기준을 비판한다. 트레브스는 메릭을 통해 자신의 편견과 한계를 깨닫는다.

메릭은 교회의 모델을 완성하고 핀헤드들이 노래하는 환상을 본 후 평범하게 잠자리에 들어 죽음을 맞이한다. 트레브스는 메릭의 삶을 통해 얻은 깨달음을 되새긴다.

3. 등장인물


  • 프레더릭 트레브스: 외과 의사이다.[1]
  • 존 메릭: '엘리펀트 맨'이라고 불리는 청년이다. 심각한 신체 기형을 가지고 있다.[1]
  • 켄달 부인: 무대 배우이다.[1]
  • 프랜시스 카-곰: 런던 병원 행정관이다.[1]
  • 로스: 프릭 쇼 매니저로, 메릭을 학대한다.[1]

4. 작품 해설

이 작품은 19세기 말 영국을 배경으로, 심각한 신체 기형을 가진 존 메릭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엘리펀트 맨'이라 불린 메릭은 끔찍한 외모 때문에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차별받았지만, 내면에는 섬세한 감성과 지성을 지닌 인물이었다.

4. 1. 실존 인물 존 메릭

존 메릭(1862~1890)은 심각한 신체 기형을 앓았던 실존 인물이다. 정확한 병명은 아직 논쟁 중이지만, 프로테우스 증후군으로 추정된다.[9][10]

4. 2. 사회적 편견과 인간의 존엄성

이 작품은 겉모습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사회의 편견을 비판한다. 존 메릭은 끔찍한 외모를 가졌지만, 매지 켄달 부인과의 만남을 통해 그의 섬세한 내면과 로미오와 줄리엣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드러난다. 켄달 부인은 처음에 메릭의 외모에 두려움을 느끼지만, 대화를 통해 그의 진정한 모습에 감동받고, 인간적인 교감을 나눈다.[1]

메릭은 켄달 부인에게 애인을 원한다고 말하며, 심지어 나체의 여성을 본 적도 없다고 고백한다. 켄달 부인은 그의 솔직함에 감동하여 옷을 벗고 자신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단순한 동정심을 넘어선, 인간 대 인간으로서의 깊은 신뢰와 존중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이를 통해 작가는 진정한 존엄성은 외모가 아닌 내면에 있다는 메시지를 강조한다.[1]

그러나 트레브스는 이 모습을 보고 켄달 부인을 내쫓는다. 이는 당시 사회의 엄격한 도덕관념과 편견을 보여주는 동시에, 메릭을 온전한 인간으로 보기보다는 연구 대상으로만 여기는 트레브스의 한계를 드러낸다. 메릭은 트레브스에게 켄달 부인에게 한 행동과 모든 사람을 판단하는 엄격한 기준을 비판하며, 그동안 억눌렀던 자신의 목소리를 낸다.[1]

4. 3. 중도진보적 관점

이 작품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연대와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존 메릭이라는 실존 인물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은 외모나 조건에 의해 결정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메릭은 끔찍한 외모를 가졌지만, 섬세한 감성과 지성을 지닌 인물로 그려진다.[1]

매지 켄달 부인과의 만남은 이러한 주제를 잘 드러낸다. 켄달 부인은 처음에는 메릭의 외모에 두려움을 느끼지만, 그의 내면을 발견하고 깊은 우정을 나누게 된다. 이는 외모가 아닌 인간 내면의 가치를 존중해야 함을 보여준다.[1]

작품은 메릭을 통해 "정상성"이라는 개념에 의문을 제기한다. 메릭은 "정상적인" 삶을 갈망하지만, 사회는 그의 외모를 기준으로 그를 "괴물"로 취급한다. 이는 사회적 기준이 얼마나 폭력적일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1]

또한, 프레더릭 트레브스와 같은 인물은 메릭을 돕고자 하지만, 결국 그 역시 사회적 편견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보여준다. 이는 사회적 약자를 돕는 것의 어려움과 한계를 드러낸다.[1]

결론적으로, "엘리펀트 맨"은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작품이다. 외모나 조건이 아닌, 인간 내면의 가치를 존중해야 함을 역설한다.[1]

5. 공연 역사

1979년 초연된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의 주요 출연진은 필립 앵글림(존 메릭 역), 케빈 콘웨이(프레데릭 트리브스 역), 캐롤 셸리(켄달 부인 역) 등이었다.[5]

2002년 4월에는 브로드웨이 로열 극장(Royale Theatre)에서 리바이벌 공연이 57회 이루어졌으며, 빌리 크루덥(Billy Crudup), 루퍼트 그레이브스(Rupert Graves), 케이트 버튼(Kate Burton) 등이 주연을 맡았다.[5]

1980년에는 텔레비전 영화로 제작되어 ABC에서 방영되었다. 필립 앵그림, 케빈 콘웨이 등이 출연하였으며, 프라임타임 에미상 작품상(텔레비전 영화 부문) 후보에 올랐다. 같은 해 데이비드 린치 감독에 의해 극장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영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일본에서는 1980년 극단 사계가 처음으로 상연했으며, 아사리 게이타가 연출을 맡았다. 이 공연은 제35회 문화청 예술제 연극 부문과 '80 피아 텐을 수상했다.

5. 1. 초연 및 브로드웨이 공연

1977년, 영국 햄스테드 극장에서 초연되었다.[5] 이후 브로드웨이에 진출했다. 리치몬드 클링클리와 넬 누젠트가 제작하고, 잭 호프시스가 연출하여 부스 극장에서 1979년 4월 12일 프리뷰 공연을 가졌다. 1979년 4월 19일부터 1981년 6월 28일까지 916회 상연되었다. 1979년 토니상 최우수 연극 작품상을 수상했다.

5. 2. 리바이벌 공연

브래들리 쿠퍼, 패트리샤 클라크슨, 알렉산드로 니볼라가 출연한 2014년 리바이벌 공연은[6] 2014년 12월 7일 부스 극장에서 13주간(2015년 2월 15일까지) 공연되었다. 쿠퍼는 2012년 윌리엄스타운 극장 페스티벌에서 리바이벌 공연으로 메릭 역을 맡았으며, 같은 역할을 다시 연기했다. 윌리엄스타운 프로덕션을 연출했던 스콧 앨리스는 브로드웨이 복귀 무대도 연출했다.[7] 2015년 5월, 쿠퍼, 클라크슨, 니볼라가 다시 출연하는 이 작품은 런던의 시어터 로열 헤이마켓에서 5월 19일부터 8월 8일까지 12주 동안 한정 공연되었다.[8]

연도분야후보결과
2002토니상연극 남우주연상빌리 크루덥후보
연극 여우조연상케이트 버튼후보


5. 3. 한국 공연

공연연도연출엘리펀트 맨트리브스켄달 부인
극단 사계1980년아사리 게이타이치무라 마사치카무기쿠사 헤이미타 카즈요
분학좌 아틀리에의 회2000년기타 노리아키오바 야스마사다나카 아키오코사카 루미코
호리프로2002년미야타 게이코후지와라 타츠야이마이 토모히코코지마 히카리
세타가야 퍼블릭 시어터 × 도쿄 글로브 좌2020년모리 신타로코타키 노조무콘도 코엔타카오카 사키[13]


6. 수상 내역



1979년, 번스 맨틀 극장 연감은 ''1978-1979년 최고의 연극''으로 선정했다.

6. 1. 오프 브로드웨이 프로덕션 (1979)

뉴욕 시에서의 초연은 1979년 1월부터 3월까지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총 73회 공연되었다.[1] 이 공연은 1979년 4월 브로드웨이로 옮겨졌다.[1]

부문후보결과
오비상희곡 작가버나드 포머런스수상
연출잭 호프시스수상
연극 부문 최우수 배우필립 앤글림수상


6. 2.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프로덕션 (1979)

1979년 뉴욕 드라마 비평가상은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드라마 데스크상은 뛰어난 신작 연극상, 뛰어난 연극 연출상(잭 호프시스), 뛰어난 연극 남우주연상(필립 앤글림), 뛰어난 연극 여우주연상(캐롤 셸리)을 수상했다. 토니상은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연출상(잭 호프시스), 최우수 여우주연상(캐롤 셸리)을 수상했다.

부문후보결과
뉴욕 드라마 비평가상최우수 작품상해당사항 없음수상
드라마 데스크상뛰어난 신작 연극상해당사항 없음수상
뛰어난 연극 연출상잭 호프시스수상
뛰어난 연극 남우주연상필립 앤글림수상
뛰어난 연극 여우주연상캐롤 셸리수상
토니상최우수 작품상해당사항 없음수상
최우수 연출상잭 호프시스수상
최우수 여우주연상캐롤 셸리수상



1979년, 번스 맨틀 극장 연감은 ''1978-1979년 최고의 연극''으로 선정했다.

6. 3. 2014 브로드웨이 리바이벌

2014년 브로드웨이 리바이벌 공연은 토니상에서 다음과 같은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12]

시상식부문후보결과
토니상연극 작품상후보
토니상연극 남우주연상브래들리 쿠퍼후보
토니상연극 남우조연상알레산드로 니볼라후보
토니상연극 여우조연상패트리샤 클라크슨후보


참조

[1] 웹사이트 Bernard Pomeranc, Playwright https://web.archive.[...] Alley Theatre 2014-01-22
[2] 웹사이트 David Schofield https://web.archive.[...] 2015-12-04
[3] 웹사이트 The Elephant Man https://unfinishedhi[...] 2011
[4] 웹사이트 David Bowie in ''The Elephant Man'' http://www.up-to-dat[...] 2002-02-18
[5] 웹사이트 The Elephant Man Broadway Original Cast https://www.broadway[...]
[6] 뉴스 Bradley Cooper in 'The Elephant Man' on Broadway https://www.nytimes.[...] 2014-12-07
[7] 간행물 Elephant Man, with Bradley Cooper, Sets Fall Broadway Opening at Booth Theatre https://web.archive.[...] 2014-06-03
[8] 간행물 Bradley Cooper Makes West End Debut in The Elephant Man Tonight https://web.archive.[...] 2014-05-18
[9] 뉴스 TV: Anglim Repeats Role in 'The Elephant Man https://www.nytimes.[...] 1982-01-24
[10] 웹사이트 Bernard Pomerance - The Elephant Man https://www.bbc.co.u[...] BBC Radio 4 Extra 2018-06-20
[11] 서적 The Best Plays of 1978-1979 https://archive.org/[...] Dodd, Mead & Company
[12] 웹사이트 The Tony Awards https://web.archive.[...] 2015-06-08
[13] 문서 https://www.tglob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