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괴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고괴담》은 1998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공포 영화이다. 녹란 여자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학교 내에서 일어나는 의문의 죽음과 유령의 이야기를 다룬다. 엄격한 학교 분위기와 입시 경쟁 속에서 학생들의 갈등과 불안을 묘사하며, 1980년대 한국 영화 침체기 속에서 저예산으로 제작되어 흥행에 성공했다. 이 영화는 한국 공포 영화 제작 붐을 이끌었으며, 여러 속편과 리메이크 작품이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기형 감독 영화 - 폭력써클
2006년 개봉한 박기형 감독의 영화 폭력써클은 1991년 고등학생들이 폭력 조직 갈등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다루며 폭력 묘사와 청소년 문제로 논쟁을 일으켰다. - 박기형 감독 영화 - 아카시아 (2003년 영화)
아이를 가질 수 없는 부부가 입양한 아들이 아카시아 나무에 집착하면서 벌어지는 기이한 현상과 숨겨진 진실을 다룬 2003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공포 영화 아카시아는 심혜진, 김진근, 문우빈 등이 출연했으며, 입양 가정의 현실과 사회적 편견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여고괴담 - 여고괴담 4: 목소리
영화 《여고괴담 4: 목소리》는 인기 가수 영언의 죽음과 관련된 진실을 친구 선민이 파헤치는 과정에서 영언의 기억이 왜곡되고 갈등이 드러나는 공포 영화이다. - 여고괴담 - 여고괴담 3: 여우계단
예술학교를 배경으로 발레리나를 꿈꾸는 여고생들의 우정과 질투, 29 계단에 얽힌 미스터리한 전설을 다룬 2003년 대한민국의 공포 영화이자 여고괴담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인 여고괴담 3: 여우계단은 송지효, 박한별, 조안 등이 출연하여 대한민국과 싱가포르 등 해외에서 흥행했다. - 인정옥 시나리오 작품 - 떨리는 가슴
《떨리는 가슴》은 2005년에 방영된 텔레비전 드라마로, 배종옥, 김창완, 배두나, 고아성 등이 출연하며 6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었다. - 인정옥 시나리오 작품 - 아일랜드 (2004년 드라마)
2004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아일랜드는 아픈 과거를 가진 아일랜드계 미국인 입양아 이중아와 그녀를 둘러싼 네 남녀의 엇갈린 사랑과 상처 치유를 그린 작품으로, 인정옥 작가가 집필하고 이나영, 현빈, 김민정 등 주요 배우들이 MBC 연기대상에서 수상하며 화제를 모았으며, 해외 입양과 가족, 사랑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시하며 마니아층을 형성했다.
여고괴담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제 | 여고괴담 |
로마자 표기 | Yeogogoedam |
영제 | Whispering Corridors |
감독 | 박기형 |
제작 | 이춘연 |
각본 | 인정옥 박기형 |
출연 | 최강희 김규리 이미연 박용수 김유석 윤지혜 |
음악 | 문승현, 유재광 |
촬영 | 서정민 |
편집 | 함성원 |
배급사 | 씨네마 서비스 |
개봉일 | 1998년 5월 30일 |
상영 시간 | 105분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관련 정보 | |
후속작 |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
2. 줄거리
녹란 여자고등학교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가학적인 교수법으로 "늙은 여우"라는 별명을 가진 담임 박기숙 선생은 졸업 앨범에 여러 표시를 하고, 새로운 동료 교사이자 전 제자였던 허은영에게 "진주가 확실히 죽었지만 여전히 학교에 다니고 있다"는 말을 남긴다.[1]
얼마 지나지 않아 박기숙은 정체불명의 인물에게 올가미로 목 졸려 살해당하고, 시신은 임지오, 윤재이, 김정숙 세 명의 여고생에게 발견된다. 새로운 임시 교사로 "미친개"라는 별명을 가진 잔혹하고 학대적인 오광구 선생이 부임하고, 학생들에게 체벌을 가하며 반의 수석 학생인 박소영을 괴롭힌다.[1]
박기숙의 죽음은 임지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고, 오광구에게 끔찍한 벌을 받는다. 전직 예술가였던 윤재이는 의기소침한 임지오에게 귀신이 출몰한다고 소문난 창고에서 그림을 가르치기로 한다.[1]
허은영은 임지오가 고등학교 시절 가장 친한 친구였던 진주가 준 종을 가지고 다니기 때문에 임지오가 유령일지도 모른다고 의심하지만, 임지오는 그 종을 윤재이가 자신에게 주었다고 말한다. 어느 날 밤, 오광구는 진주에게 공포에 질려 칼에 찔려 죽는다. 다음 날 밤, 임지오는 김정숙과 박소영이 말다툼하는 것을 목격하고, 박소영이 화가 나서 뛰쳐나간다. 김정숙은 박기숙과 유사한 방식으로 자살한다.[1]
박소영은 허은영에게 눈물을 흘리며 자신이 김정숙과 가까웠지만, 선생님들이 그들을 비교하기 시작하면서 멀어졌고, 김정숙은 씁쓸하고 내성적으로 변했다고 밝힌다. 그림을 그리던 임지오는 허은영이 진주를 위해 만든 흉상과 오광구의 시신을 발견한다. 회상 장면은 진주가 조각상을 구하려다 창고에서 어떻게 죽었는지 보여준다.[1]
허은영은 졸업 앨범을 통해 그 이후로 진주가 3년마다 학교에 나타나 가짜 학생 행세를 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녀는 현재 윤재이의 모습을 하고 있다. 허은영은 격분한 윤재이/진주와 대면한다. 진주가 그녀를 죽이려 하기 전에, 임지오가 나타나 유혈 사태를 멈추고 평화롭게 잠들라고 간청한다. 진주는 자신이 원했던 것은 평범한 고등학교 생활을 하고 허은영이 할 수 없었던 것처럼 자신을 두려움 없이 사랑해 줄 사람이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임지오와 허은영이 잘못된 점을 바로잡고 그녀를 절대 잊지 않겠다고 약속한 후 진주는 사라진다.[1]
3. 등장인물
배역 배우 배역 설명 허은영 이미연 고등학교 교사 임지오 김규리 여고생 오광구 박용수 고등학교 교사 윤재이/장진주 최강희 여고생/유령 김정숙 윤지혜 여고생 박소영 박진희 여고생 박기숙 이용녀 고등학교 교사 미술 교사 김유석 체육 교사 유연수 수학 교사 김뢰하 화학 교사 원창연 영어 교사 손영호 교감 서동선 주임 김세진 어린 은영 박윤희 문제아 신이
3. 1. 주요 인물
배역 | 배우 | 배역 설명 |
---|---|---|
허은영 | 이미연 | 고등학교 교사[1] |
임지오 | 김규리 | 여고생[1] |
오광구 | 박용수 | 고등학교 교사[1] |
윤재이/장진주 | 최강희 | 여고생/유령[1] |
김정숙 | 윤지혜 | 여고생[1] |
박소영 | 박진희 | 여고생[1] |
박기숙 | 이용녀 | 고등학교 교사[1] |
미술 교사 | 김유석 | [1] |
체육 교사 | 유연수 | |
화학 교사 | 원창연 | |
영어 교사 | 손영호 | |
교감 | 서동선 |
3. 2. 그밖의 인물
- 유연수 - 체육 교사 역
- 김뢰하 - 수학 교사 역
- 원창연 - 화학 교사 역
- 손영호 - 영어 교사 역
- 서동선 - 교감 역
- 김세진 - 주임 역
- 박윤희 - 어린 은영 역
- 김유석 - 미술 교사 역
- 신이 - 문제아 역
3. 3. 단역
배우 | 배역 |
---|---|
김민정, 박소정, 한소현 | 수다 |
이은영, 신이, 임영란 | 날라리 |
윤희정 | 반장 |
류혜란 | 농담 |
김진영, 이승주, 임정화, 장주연 | 과거 학생 |
이윤미 | 앳띤 소녀 |
김윤정 | 우는 소녀 |
곽정희, 최선미 | 주번 |
김남주, 김누리, 김성수, 김장미, 류민아, 맹수현, 맹정유, 민혜영, 박소영, 박애니, 염미미, 유소영, 유혜연, 이선우, 이성희, 이수미, 이여울, 이은희, 이주현, 이한나, 이현희, 임혜진, 전익령, 정은정, 최한나, 한아영, 허윤경, 황윤령 | 반학생들 |
4. 제작 과정
1980년대 한국 영화 산업은 침체기였으나, 상업 영화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었다.[1] 이 시기에는 공포 영화가 드물었는데, 제작비가 적게 들었기 때문에 씨네2000과 같은 독립 제작사들이 공포 영화 제작에 참여하게 되었다.[2] 《여고괴담》은 600000USD의 제작비와 28개의 세트만으로 완성되었다.[3]
5. 개봉 및 평가
《여고괴담》은 1998년 5월 30일에 개봉하여 그 해 국내 제작 영화 흥행 3위를 기록하며 깜짝 흥행에 성공했다.[3] 《약속》과 《편지》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3] 이후 《여고괴담 2》(1999), 《여고괴담 3: 여우 계단》(2003), 《여고괴담 4: 목소리》(2005), 《여고괴담 5: 동반자살》(2009), 《더 허밍》(2021)까지 총 다섯 편의 속편이 제작되었다.[3]
2015년 10월에는 친 젠 감독이 연출을 맡은 중국어 리메이크판 제작이 발표되었다.[4] 제작은 베이징에 본사를 둔 Beautiful Creative Force Culture Media, October Pictures의 서울 지사, 그리고 원작 제작사인 Cine2000이 담당할 예정이며, 2016년 개봉을 목표로 했다.[4]
2020년,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여고괴담》을 현대 한국 영화 고전 목록에서 10위로 선정했다.[5]
5. 1. 수상 내역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
1999년 | 제7회 춘사영화상 | 신인여우상 | 김규리 |
1999년 | 제22회 황금촬영상 | 신인여우상 | 김규리 |
1999년 | 제36회 대종상 영화제 | 여우조연상 | 이미연 |
5. 2. 영화제 출품
1998년 제17회 밴쿠버 국제 영화제에 출품되었다.[1] 1998년 제3회 부산국제영화제 한국 영화 파노라마 부문에 출품되었고,[2] 1998년 제2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판타스틱 한국 영화 특별전 부문에도 출품되었다.[3]6. 논란
영화에서 학생을 구타하거나 성추행하는 교사의 모습을 묘사하여 교사들의 인격권을 침해한다는 논란이 있었다. 이에 교총은 영화 제작사 등을 상대로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을 검토하기도 했다.[7] 이는 당시 한국 사회의 교육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아내면서 발생한 논란으로, 영화의 사회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7. 속편 및 리메이크
《여고괴담》의 흥행 성공으로 다섯 편의 속편이 제작되었다: 《여고괴담 2》(1999), 《여고괴담 3: 여우 계단》(2003), 《여고괴담 4: 목소리》(2005), 《여고괴담 5: 동반자살》(2009), 《더 허밍》(2021).[3]
2015년 10월, 《여고괴담》의 중국어 리메이크 제작이 발표되었으며, 친 젠이 감독을 맡을 예정이었다.[4] 제작은 베이징에 위치한 Beautiful Creative Force Culture Media, October Pictures의 서울 지사, 그리고 원작 영화 제작사인 Cine2000이 담당할 계획이었다.[4] 이 영화는 2016년 개봉을 목표로 하였다.[4]
8. 평가
2020년,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여고괴담》을 현대 한국 영화의 고전 목록에서 10위로 선정했다.[5]
참조
[1]
웹사이트
여름 특집! 여고괴담, 학교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나
https://archive.toda[...]
2013-06-25
[2]
웹사이트
WHISPERING CORRIDORS Scares Up Chinese Remake
http://www.koreanfil[...]
2015-10-05
[3]
웹사이트
Review: 'Blood Pledge'
https://variety.com/[...]
2009-08-25
[4]
간행물
Busan: Chinese to Remake Korean Horror Classic 'Whispering Corridor'
https://variety.com/[...]
2015-10-04
[5]
웹사이트
Classics of modern South Korean cinema – ranked!
https://www.theguard[...]
2020-02-13
[6]
웹사이트
여고괴담(囁く廊下-女校怪談-)
http://kmdb.or.kr/vo[...]
2015-01-06
[7]
뉴스
경향신문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8-06-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