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가시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가시(영화)는 변종 기생충 연가시를 소재로 한 2012년 대한민국의 재난 영화이다. 영화는 연가시에 감염된 가족을 구하기 위한 제약회사 영업사원 재혁의 고군분투를 그린다. 연가시 감염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과 제약회사의 윤리 문제, 정부의 무능함 등을 다루며, 김명민, 문정희, 김동완 등이 출연했다. 개봉 첫날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고, 문정희는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정우 감독 영화 - 판도라 (2016년 영화)
    2016년 개봉한 대한민국 재난 영화 판도라는 갑작스러운 강진으로 노후화된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하여 방사능 유출 위기에 직면한 사람들의 사투를 그린 영화로, 김남길, 김영애, 문정희 등이 출연했으며 넷플릭스에 선판매된 최초의 한국 영화이자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서 영감을 받았다.
  • 박정우 감독 영화 - 쏜다
    쏜다는 2011년 개봉한 한국 액션 코미디 영화로, 융통성 없는 샐러리맨이 범죄자와 함께 경찰서를 탈출하여 불법을 저지르는 자들을 처벌하려는 이야기이며, 사회 부조리 비판과 소시민의 일탈을 유쾌하게 그리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재난 영화 - 괴물 (2006년 영화)
    괴물 (2006년 영화)은 주한미군의 유해물질 방류로 한강에 나타난 괴생물체에 맞서 딸을 구하려는 가족의 사투를 그린 봉준호 감독의 영화로, 가족애와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아 한국 영화 역대 최다 관객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 대한민국의 재난 영화 - 부산행
    《부산행》은 2016년 연상호 감독의 좀비 재난 영화로, KTX 열차 안에서 좀비 바이러스가 퍼지면서 벌어지는 생존을 위한 사투와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그린다.
  • 대한민국의 SF 영화 - 괴물 (2006년 영화)
    괴물 (2006년 영화)은 주한미군의 유해물질 방류로 한강에 나타난 괴생물체에 맞서 딸을 구하려는 가족의 사투를 그린 봉준호 감독의 영화로, 가족애와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아 한국 영화 역대 최다 관객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 대한민국의 SF 영화 - 타이밍 (영화)
    타이밍은 시간을 조종하는 초능력자들이 등장하여 복잡하게 얽힌 시간 속 사건들을 다루는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로, 2015년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에서 장편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연가시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연가시' 홍보 포스터
원제연가시
로마자 표기Yeongasi
감독박정우
제작임지영
각본박정우
조동인
김경훈
출연김명민
김동완
문정희
이하늬
음악조영욱
촬영기세훈
편집박곡지
제작사오즈원필름
배급사CJ E&M
개봉일2012년 7월 5일
상영 시간109분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제작비100억 원
총 수익2,840만 미국 달러
일본 개봉 정보
일본어 제목ヨンガシ 変種増殖 (욘가시 변종증식)
일본 배급사트윈
일본 개봉일2013년 3월 2일

2. 줄거리

한때 화학 박사였으나 동생 재필의 잘못된 주식 투자 조언으로 몰락하여 제약회사 영업사원으로 일하는 재혁은 가족들에게 소원하게 대한다. 형사로 일하는 동생 재필 역시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여전히 주식 투자를 계속하려 한다.

어느 날, 전국의 하천과 계곡 등 물가에서 원인 불명의 변사체들이 연이어 발견된다. 사망자들은 극심한 영양실조 상태를 보였고, 사망 직전에는 과도한 폭식과 극심한 갈증 증세를 보이다가 물에 뛰어들어 사망했다. 조사 결과, 원인은 변종 기생충인 연가시로 밝혀진다.[20] 본래 곤충에 기생하는 연가시가 변종을 일으켜 인간의 뇌를 조종하여 숙주를 물가로 이끌어 자살하게 만드는 것이다. 치사율 100%의 이 감염병은 삽시간에 전국으로 퍼져나간다.

설상가상으로 재혁의 아내 경순과 아이들(준우, 예지) 역시 연가시 감염 증상을 보이자 재혁은 절망에 빠진다. 이때 재혁이 근무하는 조아제약에서 과거 개발했던 구충제 '윈다졸'이 유일한 치료제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국적인 약품 사재기 대란이 벌어진다. 재혁은 어렵게 윈다졸을 확보하지만, 감염된 아기를 안고 있는 다른 여자를 돕다가 몰려든 군중에게 약을 빼앗기고 만다.

한편, 형사 재필은 사건의 배후를 추적하던 중, 이번 사태가 자연 발생한 재난이 아니라 조아제약의 일부 연구원들이 주가 조작 등 사익을 위해 고의로 연가시를 퍼뜨리고 치료제인 윈다졸을 빼돌린 인재(人災)임을 알게 된다. 이들은 과거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목적으로 연가시를 연구했으나 연구팀이 해체되자, 비축해둔 윈다졸을 이용해 주가를 올려 이익을 챙기기 위해 범행을 계획하고 실행했던 것이다.

재필은 윈다졸이 숨겨진 창고를 알아내 재혁과 함께 그곳으로 향한다. 그러나 약을 손에 넣으려는 순간, 범인들이 창고에 불을 질러 윈다졸은 모두 타버린다. 재혁과 재필은 재필의 여자친구 연주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지만, 치료제 확보에는 실패한다. 사건의 배후에 있던 조아제약 임원은 정부를 상대로 회사를 고가에 매각하려는 협상을 시도하며 압박한다.

모든 희망이 사라진 듯한 상황에서 재혁은 과거 화학 박사 시절의 경험을 떠올린다. 약의 핵심 유효 성분만 같다면 굳이 윈다졸이라는 상품명이 아니어도 동일한 효과를 내는 치료제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윈다졸 복제약 개발을 제안한다. 정부와 다른 제약회사들의 긴급한 협력으로 복제약이 신속하게 생산되어 전국에 보급되고, 재혁의 가족을 포함한 모든 감염자들이 극적으로 치료된다. 사건의 전모가 밝혀지면서 주모자인 조아제약 임원은 구속된다.

영화는 재혁 가족이 평화로운 일상을 되찾아 놀이공원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모습으로 끝을 맺는 듯하지만, 마지막 장면에서 뉴욕항(New York Harbor)에 변사체가 떠오르는 모습을 보여주며 연가시 사태가 완전히 종결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3. 등장인물

영화는 제약회사 영업사원인 주인공 김명민이 연기한 임재혁과 그의 가족인 아내 문정희가 연기한 경순, 아들 엄지성이 연기한 준우, 딸 염현서가 연기한 예지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9] 재혁의 동생이자 형사인 김동완이 연기한 임재필과 그의 약혼녀 이하늬가 연기한 송연주 역시 사건 해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10][11][12] 변종 연가시 감염 사태가 확산되면서, 사건의 실마리를 쥔 강신일이 연기한 황박사, 제약회사 관련 인물인 이형철이 연기한 제임스 김, 그리고 전국환이 연기한 총리와 최정우가 연기한 보건부장관 등 정부 관계자들이 등장하여 극의 긴장감을 더한다. 각 인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3. 1. 주요 인물



'''특별출연'''

  • 이승연 - 뉴스 앵커 역
  • 이광영 - 뉴스 앵커 역
  • 김정배 - 오마이뉴스 기자 역

3. 2. 조연



'''특별출연'''

  • 이승연 (배우) - 뉴스 앵커 역
  • 이광영 - 뉴스 앵커 역
  • 김정배 - 오마이뉴스 역

4. 연가시

연가시는 본래 곤충에 기생하는 기생충의 일종인 철선충류()이지만, 영화에서는 인간의 뇌를 조종하여 물에 뛰어들어 자살하게 만드는 치명적인 변종 기생충으로 등장한다.[20] 이 변종 연가시는 주로 오염된 물을 통해 인체에 감염되며, 감염자는 기생충이 성숙함에 따라 극심한 허기와 갈증을 느끼게 된다. 연가시가 번식할 준비가 되면 숙주의 뇌를 조종하여 물가로 유인하고, 결국 숙주는 스스로 물에 뛰어들어 사망에 이르게 된다.[20]

영화 속에서 대한민국 전역의 하천과 계곡 등지에서 영양실조 상태의 변사체들이 연이어 발견되면서 정체불명의 기생충에 대한 공포가 확산된다. 경찰과 보건 당국은 초기 원인 파악에 어려움을 겪지만, 곧 변종 연가시의 존재와 그 감염 경로를 확인하게 된다. 치사율 100%로 설정된 이 기생충은 매우 빠른 속도로 퍼져나가며 국가적인 재난 사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4. 1. 감염 증상

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

4. 2. 치료제

변종 연가시 감염 사태가 확산되자 초기에는 일반 구충제를 구하려는 사람들이 약국으로 몰려들었으나, 일부 구충제는 오히려 감염자에게 극심한 고통을 유발하거나 사망에 이르게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혼란이 가중되었다.

이후 감염자 중 한 명이 조아제약에서 개발한 '윈다졸'이라는 약을 복용한 후 살아났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윈다졸이 연가시 치료제로 주목받게 되었다. 질병관리청 역시 윈다졸을 특효약으로 발표하면서 전국의 약국에서는 윈다졸을 구하려는 사람들로 인해 품귀 현상이 빚어졌다. 주인공 재혁은 회사 인맥을 통해 소량의 윈다졸을 확보하기도 했으나, 약을 노린 군중에게 빼앗겨 가루가 되어버리는 등 약을 구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윈다졸 부족 사태의 원인은 조아제약 측의 음모 때문이었다. 조아제약은 투자회사에 인수된 후 시설 관리가 부실해져 약을 생산할 수 없는 상태였으며, 심지어 일부 연구원과 경영진이 주가 조작을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연가시를 퍼뜨리고 비축해둔 윈다졸을 소각하는 등 사익을 위해 재난 상황을 조장했다는 사실이 재혁의 동생 재필의 조사를 통해 밝혀진다. 이들은 윈다졸의 성분 공개를 거부하며 정부의 약 생산 노력을 방해했다.

모든 윈다졸 재고가 소실되어 절망적인 상황에 놓였을 때, 화학 박사 출신인 재혁은 과거의 경험을 떠올리며 약의 핵심은 특정 상품명('윈다졸')이 아니라 유효 성분 자체에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즉, 윈다졸과 동일한 성분을 가진 복제약을 만들면 치료가 가능하다는 발상이었다. 질병관리청도 이러한 재혁의 의견을 받아들여 합법성 여부를 따지지 않고 우선 사람들을 살리는 데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전국의 제약회사들이 협력하여 윈다졸 복제약을 대량 생산했고, 생산된 약들이 전국에 유통되면서 재혁의 가족을 포함한 모든 감염자들이 치료될 수 있었다. 사건의 배후였던 조아제약 임원은 결국 구속되었다.

5. 사회적 배경

영화는 정체불명의 변종 기생충 연가시가 출현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재난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한강을 비롯한 전국의 물가에서 원인 모를 변사체들이 발견되면서 사회적 공포가 시작된다.[20] 이 변사체들은 연가시에 감염된 사람들로, 감염 초기에는 과도한 폭식과 극심한 갈증 증상을 보이다가, 결국 기생충의 조종으로 물에 뛰어들어 사망에 이르게 된다.[20]

사태가 악화되면서 조아제약에서 개발한 구충제 '윈다졸'이 유일한 치료제로 알려지지만, 약품은 순식간에 품절되어 전국적인 혼란이 가중된다. 사람들은 약을 구하기 위해 약국 앞에서 사투를 벌이고, 정부는 늘어나는 감염자와 부족한 치료제 앞에서 초기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과정에서 단순한 자연 재난이 아니라, 특정 세력의 이기적인 욕망이 개입된 인재(人災)일 수 있다는 정황이 드러난다. 제약회사의 비윤리적인 행태와 주식 시장 조작 의혹, 그리고 재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정부의 모습 등이 영화의 주요 사회적 배경을 이룬다.[20] 주인공 재혁과 재필은 이러한 혼란 속에서 감염된 가족을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사건의 진실에 다가선다.

5. 1. 제약회사의 윤리 문제

영화 속 주요 갈등 요소 중 하나는 조아제약이라는 제약회사의 비윤리적인 행태이다. 연가시 감염 사태가 확산되면서 조아제약에서 개발한 구충제 '윈다졸'이 유일한 치료제로 알려지지만, 약품은 곧 품절 사태를 맞는다. 회사는 투자회사에 인수된 후 시설 관리가 부실하여 생산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정부의 생산량 증대 요구를 거부한다. 또한, 정부가 약품 성분 공개를 요구하자, CEO는 주요 주주들의 반대와 법적 근거 부재를 이유로 이를 거절한다.

형사 재필의 조사를 통해 충격적인 진실이 드러나는데, 이 사태는 자연 발생한 재난이 아니라 조아제약의 일부 연구원들과 경영진이 사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일으킨 인재(人災)였다. 과거 조아제약 연구진은 알츠하이머병 등 뇌 질환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연가시의 뇌 조종 단백질을 연구하던 중, 포유류를 숙주로 삼는 변종 연가시를 개발했다. 하지만 회사가 매각되면서 연구팀이 해체되자, 이에 불만을 품은 일부 연구원들이 주식 시장 조작을 계획한다.

이들은 조아제약 주식을 미리 매입한 뒤, 비축해둔 윈다졸 10만 개를 제외하고 변종 연가시를 고의로 퍼뜨려 여름 휴가철 수많은 관광객들을 감염시켰다. 심지어 연구원 중 한 명은 자신이 윈다졸로 치료된 것처럼 연기하여 약의 효능을 과장하고 주가를 끌어올리는 치밀함까지 보였다. 재필과 재혁이 정보를 얻어 숨겨진 윈다졸이 있는 창고를 찾아내지만, 공모자들은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 창고에 불을 지른다. 정보를 제공했던 연구원은 살해당한다.

사건의 배후에는 연구팀장과 밀접한 관계였던 CEO가 있었다. 다른 연구원들이 해외로 도피한 후에도 CEO는 국내에 남아 상황을 조종하며, 보건복지부 등 정부에 회사를 50억이라는 비합리적인 가격에 인수하라고 제안하며 국가적 재난 상황을 이용해 이익을 취하려 시도한다. 국무총리가 다른 대안이 없다고 판단하여 계약을 거의 체결하려던 순간, 모든 음모가 밝혀지면서 CEO는 결국 체포된다. 이는 재난 상황에서 기업이 이윤 추구를 위해 기본적인 윤리를 저버린 극단적인 사례를 보여준다.

5. 2. 정부의 무능과 부패

사태 초기, 정부는 변종 연가시의 존재를 확인하고 감염 증상자들에게 검진을 받을 것을 권고했다.[20] 그러나 조아제약에서 개발한 '윈다졸'이 유일한 치료제로 알려지면서 전국적인 혼란이 발생했고, 약국에서는 약품 품귀 현상이 빚어졌다.

정부는 조아제약 측에 윈다졸 생산량 증대를 요구했으나, 해당 회사는 투자회사에 인수된 후 시설 관리가 부실하여 약을 생산할 수 없는 상태였다. 이에 정부는 약물 성분 공개를 요구하며 공청회를 열었지만, 조아제약 CEO는 주요 주주들의 반대와 강제 공개에 대한 법적 근거 부재를 이유로 이를 거부하며 정부의 개입을 차단했다. 이는 위기 상황에서 정부가 제약회사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거나 협력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수사 과정에서 이번 사태가 조아제약 직원들과 CEO가 주가 조작과 사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연가시를 퍼뜨리고 약품을 비축한 계획 범죄였음이 밝혀진다. CEO는 약물 성분 확보를 명분으로 정부에 회사를 50억이라는 비합리적인 가격에 인수하라고 제안하기까지 했다.[20] 대부분의 정부 관계자들은 이 제안에 반대했지만, 국무총리는 다른 방법이 없다는 판단 하에 사실상 협박에 가까운 제안을 수용하려 했다. 이는 절박한 상황 속에서 정부가 부도덕한 기업의 요구에 끌려갈 뻔한 아슬아슬한 상황을 보여준다.

다행히 계약 체결 직전에 모든 음모가 드러나면서 CEO는 체포되었다. 이후 주인공 재혁이 복제약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자, 질병관리청을 비롯한 정부 당국도 합법성 여부를 따지지 않고 국민 생명을 우선시하며 복제약 생산 및 유통을 지원함으로써 사태는 가까스로 해결 국면을 맞는다.[20] 하지만 이는 정부 주도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초기 대응 실패 이후, 민간의 자구책과 뒤늦은 정부 지원으로 위기를 넘긴 모양새가 되었다.

5. 3. 주식 시장 조작

재필은 수사 과정에서 이번 연가시 사태가 단순한 자연 발생적 재난이 아니라, 조아제약 직원들이 의도적으로 벌인 사건임을 알게 된다. 그는 조아제약 연구팀 출신 인물을 찾아내 협박하여 진실을 듣게 된다. 연구원들은 본래 연가시를 이용해 뇌를 조종하는 단백질을 규명하여 알츠하이머병 등 뇌 질환 치료제 개발에 활용하려 했으나, 회사가 투자 회사에 매각되면서 연구팀이 해체되자 이에 불만을 품었다.[20]

이에 분노한 일부 연구원들은 주식 시장 조작을 공모하여 조아제약 주식을 미리 사들인 뒤, 치료제인 윈다졸 10만 개를 빼돌려 비축하고 고의로 변종 연가시를 전국 강가에 퍼뜨렸다. 이 계획으로 인해 여름 휴가철 강가를 찾은 수많은 사람들이 연가시에 감염되었다. 또한, 연구원 중 한 명을 내세워 윈다졸로 치료된 것처럼 거짓으로 행세하게 하여 약의 효능을 홍보하고 조아제약의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렸다.[20]

이 정보를 입수한 재필은 재혁에게 연락하고, 두 사람은 약이 숨겨진 창고로 향한다. 그러나 공모자들은 증거 인멸을 위해 창고에 불을 지르고, 재필에게 정보를 제공했던 연구원을 살해한다. 이후 살해된 연구원이 실제 연구팀장이었으며, 조아제약 CEO와 절친한 사이였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다른 연구원들은 이미 해외로 도피했으며, CEO와 연구팀장이 처음부터 모든 계획을 치밀하게 계획하고 주도했다는 것이 밝혀진다.[20]

사건의 정점에서 CEO는 정부를 상대로 조아제약 인수를 제안하며, 약물 성분 공개와 대량 생산을 빌미로 터무니없는 가격인 50억을 요구한다. 이는 국가적 재난 상황을 이용해 막대한 사익을 취하려 한 시도였다. 대부분의 정부 관계자들은 반대했지만, 국무총리는 다른 대안이 없다는 판단하에 계약을 강행하려 한다. 하지만 결국 사기극의 전모가 밝혀지면서 CEO는 체포되고, 주식 조작을 통한 이익 추구 계획은 실패로 돌아간다.[20]

6. 흥행 및 평가

개봉 첫날 19만 953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 같은 날 14만 9,170명의 관객을 모은 할리우드 영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을 앞섰다.[13] 최종적으로 전국 관객 451만 5,665명을 동원했으며,[15] 총 319억의 수익을 올렸다.[14]

6. 1. 수상 내역

wikitext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참고자료
2012제49회 대종상 영화제여우조연상문정희후보
제33회 청룡영화상여우조연상수상
기술상서상화후보
2013제49회 백상예술대상여우조연상문정희후보[16]
인기상 (남자 배우)김동완수상[17]


참조

[1] 뉴스 Kim Myeong-min returns in disaster thriller https://web.archive.[...] 2012-06-04
[2] 웹사이트 Box office by Country: ''Deranged'' https://boxofficemoj[...]
[3] 웹사이트 http://www.hankyung.[...] 2011-10-25
[4] 웹사이트 Film directory: Deranged (2012) http://www.koreanfil[...]
[5] 웹사이트 http://www.munhwa.co[...] 2011-10-26
[6] 뉴스 Box Office: Deranged (Yeongasi) (Korea) http://view.koreaher[...] 2012-06-22
[7] 웹사이트 Deranged (2012)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사람 감염 보고 아직 없어 "곤충에 기생하는 생물이라 인간 몸속에선 기생 못해" 원문보기 http://news.khan.co.[...] 2012-07-12
[9] 뉴스 For Moon Jung-hee, Battling Zombies Easy After Career Hardships http://english.chosu[...] 2012-07-06
[10] 뉴스 Shinhwa's Kim Dong Wan Transforms Into an Investigator for Upcoming Movie https://archive.toda[...] 2012-06-14
[11] 뉴스 Kim Dong Wan Opens Up on ''Deranged'', Shinhwa and Kim Myung Min http://enewsworld.mn[...] 2012-06-20
[12] 뉴스 Kim Dong-wan sees great success at box office http://koreajoongang[...] 2012-07-16
[13] 뉴스 ''Deranged'' Tops Box Office on Day of Premiere http://enewsworld.mn[...] 2012-07-06
[14] 웹사이트 South Korea Box Office: August 3–5, 2012 https://boxofficemoj[...]
[15] 웹사이트 Korean Weekend Box Office 2012.08.17 ~ 2012.08.19 http://www.hancinema[...] 2012-08-20
[16] 웹사이트 49th Baeksang Arts Awards nominees revealed https://www.koreaobs[...]
[17] 뉴스 Yoo Jae Suk and Ryu Seung Ryong Take Home Daesangs at the ''Paeksang Arts Awards'' https://archive.toda[...] 2013-05-10
[18] 뉴스 感染パニック映画「ヨンガシ」ができるまで https://news.kstyle.[...] 2012-06-20
[19] 뉴스 キム・ミョンミン主演「ヨンガシ」早くも400万人動員 https://news.kstyle.[...] 2012-07-22
[20] 문서 영화가 개봉한 뒤 실제로도 연가시가 사람몸에 기생을 하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는데 이건 영화에서나 가능하며 실제로 연가시가 사람몸에 기생하는 일은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