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결주의 (학습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결주의는 조지 시멘스가 2004년 처음 제시하고 2005년 논문으로 발표한 학습 이론이다. 학습과 지식은 의견의 다양성에 의존하며, 특수화된 교점들을 연결하는 과정으로, 학습자는 물론 비인간 기기에도 학습이 존재할 수 있다고 본다. 연결주의는 지식이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있으며, 학습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탐색하는 능력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연결주의는 가상 실천 공동체 내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며, 학습자의 동기와 참여, 변화에 대한 대응, 프라이버시 보호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연결주의는 지식의 획득보다는 연결을 통한 학습 과정과 학습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식의 가변성에 대한 대응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연결주의가 새로운 학습 이론인지에 대한 비판과 기존 이론과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습 이론 - 학습이론
    학습 이론은 19세기 말 연합설부터 시작하여 S-R설, 인지설을 거쳐 현대의 구성주의, 사회 학습 이론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교육학, 심리학, 컴퓨터 과학 등 여러 분야에서 연구된다.
  • 학습 이론 - 학습 스타일
    학습 스타일은 개인이 정보를 습득하고 처리하는 선호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피터 허니와 앨런 멈포드의 모델, VAK 모델, VARK 모델 등이 있으며 교육 방법 개선에 활용되지만 과학적 근거 부족 논쟁이 있다.
  • 교육학 - 행동 수정
    행동 수정은 학습 원리를 활용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심리 치료 기법으로,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기반하여 발전했으며 인지 행동 치료를 거쳐 개인의 경험과 가치에 대한 수용을 강조하는 3세대 행동 치료로 발전하여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와 행동 장애 치료에 활용된다.
  • 교육학 -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은 장애 학생의 교육적 요구 충족과 교육권 보장을 위해 법적으로 규정된 교육 계획으로, 학생, 학부모, 교사 등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팀에 의해 개발 및 관리되지만, 운영 과정에서 어려움과 비판이 존재하며 국가별 차이가 있다.
연결주의 (학습이론)
개요
분야교육
유형학습 이론
제안자조지 시먼스와 스티븐 다운스
발표 시기2005년
주요 개념
핵심 원칙학습과 지식은 다양한 의견의 다양성에 기반한다.
학습은 전문화된 노드를 연결하는 과정이다.
학습은 비인간적 기기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지식을 유지하는 능력은 학습 자체보다 중요하다.
연결 유지 능력은 지속적인 학습을 촉진한다.
다양한 분야 간의 연결을 인식하는 능력은 핵심 기술이다.
최신 지식이 목표다.
의사 결정은 학습 과정 자체다.
지식연결망의 형성
학습네트워크 구축 및 탐색 능력
교육적 의미학습자 자율성 강조, 학습 환경 설계, 정보 흐름 촉진, 다양한 관점 통합
비판 및 논쟁
학습 이론으로서의 적합성기존 학습 이론과의 차별성 부족, 이론적 엄밀성 부족
지나친 연결 강조연결의 질과 맥락 간과 가능성
실천적 적용의 어려움구체적인 교육 방법론 제시 미흡
관련 이론
연합주의 (Associationism)요소 간의 연합을 통한 학습 강조 (과거 학습 이론)
사회적 구성주의 (Social Constructivism)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 구성 강조
분산 인지 (Distributed Cognition)인지 과정이 개인과 환경에 분산되어 일어남
활동 이론학습을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

2. 역사

연결주의는 2004년 조지 시멘스가 쓴 블로그 게시물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2005년 기사[6]로 출판되었다. 이후 2005년 시멘스의 "연결주의: 네트워크 생성을 통한 학습"과 스티븐 다운스의 "연결적 지식 소개"라는 두 출판물이 나왔다. 두 작품은 모두 블로그에서 큰 주목을 받았으며, 연결주의가 디지털 시대의 학습 이론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가 이어졌다. 2007년에는 매니토바 대학교에서 연결주의에 관한 온라인 회의가 개최되었다.[27] 2008년에는 시먼스와 다운스가 최초의 MOOC(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인 "연결주의와 결합적 지식(Connectivism and Connected Knowledge)"을 개강하여, 이론을 실천에 옮겼다.[28]

3. 연결주의 학습이론의 원리


  • 학습과 지식은 다양한 의견에 기반한다.[44]
  • 학습은 특수화된 노드(node)나 정보원(information sources)을 연결하는 과정이다.[44]
  • 학습은 비인간 기기(non-human appliances)에도 존재할 수 있다.[44]
  • 현재 무엇을 알고 있느냐보다 추가적으로 알 수 있는 능력이 더 중요하며, 이를 위해 연결을 풍부하게 하거나 유지하며 지속적인 학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44]
  • 영역, 아이디어, 개념들 간의 연결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핵심적 능력이다.[44]
  • 시의성(정확하고 최신의 지식을 알고 있는 것)이 모든 연결주의 학습활동의 목적이다.[44]
  • 의사결정 자체가 학습 과정이며, 어떤 것을 배울지에 대한 선택과 입력되고 있는 정보의 의미는 변화하는 현실(reality)이라는 렌즈를 통해 해석된다. 현재의 정답이 현재의 결정을 좌우한 정보의 변화로 인해 내일은 잘못된 것이 될 수 있다.[44]

4. 노드와 링크

연결주의의 핵심은 네트워크 비유이며, 네트워크는 노드와 연결로 구성된다.[8][30] 노드는 조직, 정보, 데이터, 감정, 이미지 등 다른 노드에 연결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연결주의는 신경, 개념(내부), 외부의 세 가지 노드 유형을 인식한다.[3][9][31][32]

연결은 빈번하게 변화, 생성, 소멸하므로 네트워크는 동적이다.[31] 연결은 방향을 갖거나 강도가 다를 수 있다. 이 의미에서 노드 A와 노드 B를 A에서 B의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은 B에서 A의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과 동일하지 않다.[3][31] 특수한 연결로는 "자기 연결"이나 "패턴" 등이 있다. 자기 연결은 노드를 자체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순환 신경망과 유사하다.[3][31] 패턴은 "연결의 집합으로 하나의 덩어리로 보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서 의미를 갖는 최소 단위가 된다.[3][31]

5. 가상 실천 공동체

연결주의는 구성주의와 달리 집단 단위의 학습이 아닌 네트워크의 학습에 초점을 맞춘다. 네트워크는 가상 실천 공동체이다.[45] 가상 실천 공동체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네트워크 내 규범은 창발적으로 등장한다.
  • 네트워크는 구성원 간 공유된 흥미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구성원의 참여 및 탈퇴는 유연하게 이루어진다.
  • 네트워크는 이타주의와 명성(reputation)을 동력으로 유지된다.


연결주의가 강조하는 학습 단위인 네트워크는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학습자의 동기와 참여에 대한 지속성의 문제, 예상치 못한 변화에 대한 대응력 문제, 프라이버시 보호와 관련된 문제점들이 제기되기도 한다.

6. 교수법

다운스는 연결주의에서의 교수와 학습을 "가르치는 것은 모델이 되어 모범을 보이는 것이고, 배우는 것은 실천하고 성찰하는 것이다"라고 요약했다.[34] 연결주의는 지식을 획득되는 실체로 취급하지 않는다. 이 점은 구성주의나 액티브 러닝과 공통점을 가지지만, 이들 이론이 지식을 명제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간주하는 데 반해, 연결주의에서의 지식이란 행동에 의해 형성되는 일련의 연결이다. 교육이라는 관점에서는 지식의 전달이나 의미의 구축과 같은 종래의 학습 과정 대신, 학습자 개인뿐만 아니라 주변 사회를 네트워크적으로 발전시키는 활동이 중요해진다.[34]

2008년, 조지 시먼스와 스티븐 다운스는 "연결주의와 결합적 지식"이라는 제목의 온라인 강좌(MOOC)를 개설했다.[36] 이 강좌는 연결주의를 내용으로 다루면서 그들의 아이디어를 구현하려 했다. 강좌는 참여를 원하는 모든 사람에게 무료로 제공되었으며, 전 세계 2,000명 이상이 등록했다. 모든 강좌 내용은 RSS 피드를 통해 제공되었으며, 학습자는 Moodle의 스레드 토론, 블로그 게시물, Second Life 및 동시 온라인 회의 등 원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참여할 수 있었다. 이 강좌는 2009년과 2011년에 다시 개설되었다.

7. 학습이론과 학력관의 변화

행동주의인지주의는 객관주의적 관점을 기반으로, 개인의 행동 변화나 스키마 개발을 학습의 결과로 보았다. 개별화 학습 또한 특정 학습 목표 도달을 위한 개인별 맞춤 학습을 강조했다.[1]

반면 구성주의는 집단 내 개인의 학습 경험에, 사회적 구성주의는 집단의 학습과 실제적 맥락, 협업의 중요성에 주목한다. 개인화 학습은 구성주의연결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특성과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개인의 정서적 요구까지 충족하는 학습을 의미한다. 이는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과 연결되며, 학습자가 자신의 정체성을 구현하는 개인화된 학습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1]

7. 1. 학습 주체의 변화

연결주의에 의하면 앞으로 학습의 주체는 개인에서 집단 속 개인으로, 개인이 포함된 네트워크로 이동하게 된다.[1] 행동주의인지주의는 학력을 함양하는 주체를 개인으로 상정한다.[1] 구성주의 이론은 집단의 일원으로서 개인이 경험하는 학습에 초점을 맞춘다.[1] 미래 학습 모형으로 강조되는 개인화 학습은 구성주의적 이론, 더 나아가 연결주의적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1]

7. 2. 학습 과정에 주목

행동주의는 학습자의 행동 변화, 다시 말해 학습의 결과에 주목하였다. 명시된 학습 목표 달성을 학습자의 학력 성취 증거로 고려한 것이다. 이와 달리 구성주의는 학습자가 지식을 만들어가는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는 사회적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비고츠키가 강조한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에서도 나타난다. 상황학습이론 역시 학습자가 실천 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안에서 동료 학습자와 교사와의 소통을 통해 실제 맥락에 적용 가능한 지식을 함양하는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구성주의가 보여주는 학습 과정의 지식으로서의 유효함은 미래 학력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정 중심 평가를 정당화하는 이론적인 근거가 된다.[46]

7. 3. 학습 환경 조성의 중요성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삶의 설계자로서의 교육과정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단위 학교의 교육 문화이다. 교육 주체 간의 암묵적인 문화 형성이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실천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주의 이론은 이러한 암묵적 학습문화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과 그 상관관계에 주목한다. 연결주의는 학습 문화 및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로 교사,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뿐 아니라 학습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학습의 도구로 작동하는 테크놀로지, 소통 문화, 사회 담론 등을 모두 고려한다.

7. 4. 지식의 가변성에 대한 대응 능력

연결주의 이론은 현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 환경으로 인해 학습자에게 ‘추가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무언가를 알 수 있는 능력이 현재 무엇을 알고 있느냐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에 주목한다.[6] 지식의 가변성과 정보의 시의성이 강조되는 환경에서 연결주의는 학습자가 ‘지속적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연결을 풍부하게 하거나 유지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한다.[6]

지식을 넓히는 능력은 현재 가지고 있는 지식보다 더 중요하며,[29] 지속적인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연결을 유지하고 육성해야 한다.[29] 학습 환경의 행위자 간의 상호 작용 시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학습 네트워크는 통합될 수 없다.[6] 다른 분야나 생각, 개념 사이에 연결을 찾아내는 능력은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29] 최신성(정확하고 최신 지식)은 학습 활동의 목적이다.[6][29] 의사 결정은 그 자체가 학습 과정이다.[6][29] 무엇을 배울지, 얻은 정보를 어떻게 의미 부여할지의 결정은 변화하는 현실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다.[29] 지금은 정답이 있지만, 정보 환경의 변화로 인해 내일은 틀릴 수 있다.[6][29]

8. 비판

연결주의가 새로운 학습 이론이라는 생각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프레인 페르하헨은 연결주의를 오히려 "교수법적인 관점"이라고 언급했다.[15]

비교 대상에 대한 문헌 고찰을 수행한 연결주의 논문이 없기 때문에, 선행 이론과의 관계를 평가하기 어렵다. 빌 카는 학습 환경이 기술 발전에 영향을 받더라도 기존 학습 이론으로 충분하다고 주장했다.[16] 리타 코프와 에이드리언 힐은 연결주의를 독립적인 학습 이론으로 간주하지 않으면서도 "학습자의 자율성이 확대되고 교사로부터 주도권이 넘어가면서 새로운 교수법을 낳고 발전시키는 데 있어 연결주의는 중요한 역할을 계속할 것이다"라는 소견을 언급했다.[17]

알라 알다르도는 신경망을 사용한 지도 학습에는 구성주의의 원리가 활용되고 있지만, 연결주의는 비지도 학습에 대응한다고 주장했다.[10]

모하메드 알리는 세상이 변하고 더욱 네트워크화되면서, 이러한 글로벌 변화 이전에 만들어진 이론은 중요성이 줄었다고 인정하고 있다. 그와 동시에 "필요한 것은 독립적인 신이론이 아니라 온라인 교재를 디자인하는 지침으로 삼기 위해 다양한 학습 이론을 통합한 모델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18]

모하메드 아민 차티는 연결주의가 학습에 필수적인 개념(내성, 실패로부터의 학습, 오류 감지 및 수정, 탐구 등)을 몇 가지 놓치고 있다고 지적하고, "네트워크로서의 학습(Learning as a network, LaaN)" 이론을 제창했다.[19]

참조

[1] 웹사이트 CONNECTIVISM (SIEMENS, DOWNES) https://www.learning[...] 2015-06
[2] 웹사이트 Jan05_01 http://www.itdl.org/[...] 2007-08-11
[3] 학술지 Understanding Knowledge Network, Learning and Connectivism http://www.itdl.org/[...] 2015
[4] 서적 Knowing Knowledge Lulu Press
[5] 서적 Understanding Student Learning Routledge Falmer
[6] 학술지 Connectivism: A Learning Theory for the Digital Age https://jotamac.type[...] 2005
[7] 웹사이트 Online Connectivism Conference http://www.21stcentu[...] 2013-05-03
[8] 웹사이트 Connectivism: Learning as Network-Creation http://www.astd.org/[...] Learning Circuits 2011-02-13
[9] 서적 Handbook of emerging technologies for learning University of Manitoba
[10] 학술지 Does Artificial Neural Network Support Connectivism's Assumptions? http://itdl.org/Jour[...] 2017-04-14
[11] 웹사이트 What Connectivism Is http://halfanhour.bl[...] 2013-05-03
[12] 웹사이트 Connectivism and Connective Knowledge http://ltc.umanitoba[...] 2009-01-28
[13] 웹사이트 MOOC or Mega-Connectivism Course http://ltc.umanitoba[...] 2009-01-28
[14] 웹사이트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https://educationalt[...] 2023-09-25
[15] 웹사이트 Connectivism: a new learning theory? http://www.surfspace[...] Pløn Verhagen (University of Twente) 2008-12-10
[16] 문서 which radical discontinuity? http://billkerr2.blo[...] Bill Kerr
[17] 웹사이트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of the future or vestige of the past? http://www.irrodl.or[...] 2018-12-23
[18] 서적 Foundations of Educational Theory for Online Learning Terry Anderson
[19] 문서 The LaaN Theory http://mohamedaminec[...]
[20] 학술지 A New Philosophy of Education
[21] 웹사이트 2.6 結合主義<コネクティビズム> https://pressbooks.b[...] 2021-03-02
[22] 웹사이트 Connectivism: A Learning Theory for the Digital Age http://www.itdl.org/[...] 2016-09-08
[23] 웹사이트 CONNECTIVISM (SIEMENS, DOWNES) https://www.learning[...] 2019-05-13
[24] 학술지 Understanding Knowledge Network, Learning and Connectivism http://www.itdl.org/[...] 2015
[2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tdl.org/[...] 2007-08-11
[26] 서적 Understanding Student Learning Routledge Falmer
[27] 웹사이트 Online Connectivism Conference http://www.21stcentu[...] 2013-05-03
[28] 학술지 Connectivism: A knowledge learning theory for the digital age?
[29] 서적 Teaching in a Digital Age: Guidelines for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for a Digital Age https://opentextbc.c[...] BCcampus 2021-03-22
[30] 웹사이트 Connectivism: Learning as Network-Creation http://www.astd.org/[...] Learning Circuits 2011-02-13
[31] 학술지 Understanding Knowledge Network, Learning and Connectivism http://www.itdl.org/[...] 2015
[32] 서적 Handbook of emerging technologies for learning University of Manitoba
[33] 학술지 Does Artificial Neural Network Support Connectivism’s Assumptions? http://itdl.org/Jour[...] 2017-04-14
[34] 웹사이트 What Connectivism Is http://halfanhour.bl[...] 2013-05-03
[35] 웹사이트 A Learning Theory for the Digital Age https://lidtfoundati[...] 2021-03-24
[36] 웹사이트 Connectivism and Connective Knowledge http://ltc.umanitoba[...] 2009-01-28
[37] 웹사이트 MOOC or Mega-Connectivism Course http://ltc.umanitoba[...] 2009-01-28
[38] 간행물 Connectivism: a new learning theory? http://www.surfspace[...] University of Twente 2006-11
[39] 웹사이트 Bill Kerr: which radical discontinuity? http://billkerr2.blo[...] self-publication 2021-03-24
[40] 간행물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of the future or vestige of the past? http://www.irrodl.or[...]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2008
[41] 서적 The Theory and Practice of Online Learning http://www.aupress.c[...]
[42] 간행물 The LaaN Theory http://mohamedaminec[...] Shaker Verlag, Aachen, Germany 2010
[43] 간행물 미래형 학력 개념 및 방향에 관한 연구 pp57-61 http://www.gie.re.kr[...]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44] 웹사이트 Connectivism http://www.elearnspa[...] 2004
[45] 논문 Complexity as a theory of education 2009
[46] 논문 탈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으로서의 아이덴티니 메타포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