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대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대학은 역사적 사건의 시간적 위치를 결정하는 과학으로, 연대 측정법과 역사 기록을 활용한다. 연대 측정법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 연륜 연대기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며, 고고학, 천문학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달력과 연대기는 시간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기본 개념이며, 다양한 연대기가 존재한다. 고고학에서는 상대 연대와 절대 연대 편년을 통해 유물의 연대를 추정하며, 역사 기록에서는 사건들을 동기화하여 연대기를 구성한다. 재해 대응에서도 시간 순서대로 정보를 기록하는 연대기가 활용되며, 한국 역사에서도 시대별로 연대기 연구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대학 - 0년
    0년은 천문학에서 서력기원의 불연속성을 보완하기 위해 기원후 1년 직전 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ISO 8601에서도 사용되며 다른 기년법에서 기점이 되는 해나 상징적 사건이 일어난 해를 지칭하기도 한다.
  • 연대학 - 시대착오
    시대착오란 특정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사물이나 관용구 등이 나타나 부자연스러움을 야기하는 현상으로, 시대 선행과 시대 역행으로 나뉘며 정치, 코미디,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위조 감별에도 사용된다.
연대학
연대기
정의사건을 발생 순서대로 배열하는 과학
관련 학문역사학
고고학
지질학
우주론
역사적 관점
어원그리스어 '크로노스(χρόνος, chrónos, 시간)'와 '-로지아(-λογία, -logia, 학문)'의 합성어
분야사건의 연도 결정
사건의 순서 배열
목적역사적 사건의 정확한 위치 파악 및 연구
활용
역사 연구사건의 전후 관계 파악 및 분석
고고학유물 및 유적의 연대 측정
지질학지층 및 화석의 연대 측정
우주론우주의 역사 및 진화 연구
편년체 역사서술
정의역사적 사실을 연대순으로 기록하는 방식
특징사건의 인과 관계보다 시간적 순서에 초점을 맞춤
예시삼국사기
관련 용어
편년사건을 연대순으로 배열하는 것
시대 구분역사를 일정한 기준으로 나누는 것
연표사건을 연대순으로 정리한 표

2. 연대 측정법

연대 측정은 과거 사건의 시기를 과학적, 역사적 방법으로 정확하게 파악하는 기술이다. 연대 측정은 주로 역사학과 연대 측정법에 의존한다.

연대 편년에는 두 사물을 비교하여 오래됨과 새로움을 결정하는 '''상대 연대 편년'''과, 하나의 사물의 연대를 미리 결정하여 지표로 삼는 '''절대 연대 편년'''이 있다. 토기는 고고학의 절대 연대 편년에 자주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유구 등과 같이 층위적인 전후 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층위에 공반하는 토기 등의 유물군이 연대 결정, 편년의 기초 자료가 된다. 그러나 층위를 파악할 수 없는 일본의 유적의 경우에는, 유구의 절단 관계(A 유구를 B 유구가 파괴하고 있는 상황은 B는 A보다 새롭다는 등)에 따라 연대의 전후 관계를 파악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유적에도 절단 관계에 따른 전후 관계가 보이는 경우에는, 유적 간마다 연대의 그물망이 구성되어 보다 정확한 연대적 배열(=편년)을 만들 수 있다.

연륜 연대 측정법에 사용할 수 있는 목재 조각, 건물 터에 따른 유물이나 묘 등의 유구에 따라 연대가 쓰여 있거나 새겨진 토기, 도자기, 기념비 등의 기년명 자료와 거기에 공반하는 일괄 유물, 연대가 밝혀진 화산재층 등은 연대를 결정하는 정점이 되기도 한다. 구석기 유물 날조 사건은 화산재층에 대한 지식을 반쯤 악용한 행위였다.

절대 연대 편년은 연대 배열 결정에 필수적이지만, 종래에는 수법이 확립되지 않아 모호했다. 최근에는 과학적 수법에 의해 유물의 절대 연대 측정이 이루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편년이 이루어지는 사례가 있다.

2. 1.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

연대 측정법의 일종인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은 생물이 살아있을 때 몸 속에 존재했던 탄소 함량 중 탄소-14 동위 원소의 비율을 측정하여 그 생물이 언제 살았었는지를 추정한다. 연륜 연대기는 나무의 나이테를 통해 해당 지역에서 연도별로 나타나는 기후 변화와 비교하여 나무의 나이를 추정하는 방법이며,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에서 측정값을 보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2. 2. 연륜 연대기

연륜 연대기는 나무의 다양한 나이테를 해당 지역의 연도별 기준 시퀀스와 상관 관계를 통해 연도별 기후 변화를 반영하여 나무의 나이를 추정한다. 연륜 연대기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 곡선의 보정 기준으로 사용된다.

2. 3. 기타 연대 측정법

연대 측정법에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 연륜 연대기 외에도 열발광 연대 측정, 아미노산 연대 측정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

3. 달력과 연대기

달력과 연대기는 시간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두 가지 기본 개념이다. 8세기 동안 기원에 속하는 달력은 베다가 사용한 율리우스력이었지만, 1582년 이후에는 그레고리력을 사용했다.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약 500년)는 오늘날 지구상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연대기(서기)의 창시자였다. 연대표는 연대기가 시작되는 날짜(보통 연도)이다.[1]

3. 1. 달력

달력연대기(번호가 매겨진 달력 연도의 일관된 체계)는 연대기의 두 가지 상호 보완적인 기본 개념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8세기 동안 기원에 속하는 달력은 베다가 8세기에 사용한 율리우스력이었지만, 1582년 이후에는 그레고리력이었다.[1]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약 500년)는 오늘날 지구상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연대기의 창시자였다.[1] 연대표는 연대기가 시작되는 날짜(보통 연도)이다.[1]

3. 2. 연대기 (Era)

연대기(Era)는 특정 사건을 기준으로 연도를 세는 방식이다. 서기(AD), 기원전(BC), 단기 등 다양한 연대기가 사용된다. ''달력''과 ''연대기''(번호가 매겨진 달력 연도의 일관된 체계)는 상호 보완적인 두 가지 기본 개념이다. 예를 들어, 8세기 동안 기원에 속하는 달력은 베다가 사용한 율리우스력이었지만, 1582년 이후에는 그레고리력이었다.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약 500년)는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서기 연대의 창시자였다. 연대표는 연대기가 시작되는 날짜(보통 연도)이다.

3. 2. 1. Ab Urbe condita (AUC)

''Ab Urbe condita''는 라틴어로 "(로마) 건국부터"를 의미하며,[4] 전통적으로 기원전 753년으로 간주된다. 이는 일부 로마 역사가들이 로마 연도를 식별하는 데 사용했다. 현대 역사가들은 로마인들이 사용했던 것보다 훨씬 더 자주 사용한다. 로마 연도를 식별하는 지배적인 방법은 그 해에 재임했던 두 명의 집정관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었다. 로마 역사 작품의 현대 비평판이 나오기 전에는, AUC가 이전 편집자들에 의해 무차별적으로 추가되어 실제 사용 빈도보다 더 널리 사용된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이는 약 400년에 이베리아 역사가 오로시우스에 의해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사용되었다. 교황 보니파시오 4세는 약 600년에 이 연대와 서기를 연결한 최초의 인물인 것으로 보인다. (서기 1년 = AUC 754년.)

3. 2. 2. 천문 연대기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의 서기 연대는 베다에 의해 완전한 기독교 연대로 확장되었다. 베다는 모든 달력 연도 기원전(BC)을 포함하였지만, '0년'은 사용하지 않았다. 베다 이후 10세기, 프랑스 천문학자 필리프 드 라 이르(1702년)와 자크 카시니(1740년)는 특정 계산을 단순화하기 위해 율리우스력 연대기(1583년 요제프 스칼리거에 의해 제안됨)와 천문 연대기를 사용했는데, 이는 1년(서기)에 앞서 윤년 0년을 포함한다.[5]

4. 고고학에서의 연대

연대 측정 방법은 역사학자에게 매우 중요하며, 천문학, 지질학, 고생물학, 고고학 등 대부분의 과학 분야에서 사용된다.

문헌 역사가 없고, 연대기나 왕조 목록이 없는 상황에서, 19세기 후반의 고고학자들은 도자기 기법과 양식을 기반으로 상대적 연대기를 개발할 수 있었다. 이집트학 분야에서 윌리엄 플린더스 페트리는 선왕조 시대의 신석기 시대에 접근하기 위해 시퀀스 데이팅(Sequence Dating)을 개척했다. 그는 무덤에서 한 번에 함께 묻힌 동시대 유물들을 사용하여 이집트의 초기 역사 단계를 거슬러 체계적으로 작업했다. 이 데이팅 방법은 연속식 배열이라고 알려져 있다.[6]

때로는 매우 멀리 떨어진 유적의 지층에서 발견된 무역의 산물인 알려진 도자기는 연대기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일부 문화권은 자신들이 무엇이라고 불렀는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특징적인 형태를 언급하여 붙여진 이름을 유지해 왔다. 예를 들어, 기원전 3천년기의 북유럽의 "비커 문화"가 있다. 도자기 및 기타 문화 유물을 일종의 순서로 배치하는 연구는 분류 및 유형학의 두 단계로 진행된다. 분류는 설명을 위해 범주를 만들고, 유형학은 유물을 순서대로 배치할 수 있는 변화를 식별하고 분석하려고 한다.[6]

20세기 중반 이후 특히 개발된 실험실 기술은 특정 문화 지역에 대해 개발된 연대기를 끊임없이 수정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관련 없는 데이팅 방법은 연대기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보강 증거의 공리이다. 이상적으로는, 유적의 연대 측정에 사용되는 고고학적 재료는 서로 보완되어야 하며 상호 검증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단 하나의 지원되지 않는 기술에서 얻은 결론은 일반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6]

4. 1. 상대 연대

연대 편년에는 두 사물을 비교하여 오래됨과 새로움을 결정하는 '''상대 연대 편년'''이 있다.[6] 유구 등과 같이 층위적인 전후 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층위에 공반하는 토기 등의 유물군이 상대적 시간 순서 결정의 기초 자료가 된다. 층위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구의 절단 관계(A 유구를 B 유구가 파괴하고 있는 상황은 B는 A보다 새롭다는 등)에 따라 전후 관계를 파악한다. 다른 유적에도 절단 관계에 따른 전후 관계가 보이면, 유적 간 연대의 그물망이 구성되어 보다 정확한 연대적 배열을 만들 수 있다.[6]

4. 2. 절대 연대

절대 연대 편년은 유물의 연대를 측정하여 구체적인 시기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토기는 고고학의 절대 연대 편년에 자주 이용된다.[6]

일반적으로 유구 등과 같이 층위적인 전후 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층위에 공반하는 토기 등의 유물군이 연대 결정의 기초 자료가 된다. 그러나 층위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구의 절단 관계(A 유구를 B 유구가 파괴하고 있는 상황은 B는 A보다 새롭다는 등)에 따라 연대의 전후 관계를 파악하기도 한다. 다른 유적에도 절단 관계에 따른 전후 관계가 보이면, 유적 간 연대의 그물망이 구성되어 보다 정확한 연대 배열을 만들 수 있다.[6]

연륜 연대 측정법에 사용할 수 있는 목재 조각, 건물 터에 따른 유물이나 묘 등의 유구에 따라 연대가 쓰여 있거나 새겨진 토기, 도자기, 기념비 등의 기년명 자료와 거기에 공반하는 일괄 유물, 연대가 밝혀진 화산재층 등도 연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구석기 유물 날조 사건은 화산재층에 대한 지식을 악용한 사례이다. 다만, 연대가 새겨져 있더라도 폐기된 판비나 고전 등의 이동된 자료는 기년명이 있어도 편년의 기준으로 삼을 수 없다.[6]

최근에는 과학적 수법에 의해 유물의 절대 연대 측정이 이루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편년이 이루어지는 사례가 늘고 있다.[6]

5. 역사 기록에서의 연대기

역사 기록은 과거 사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연대기는 이러한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는 데 필수적이다. 연대기는 사건들을 동기화하여 현재와 연결하고 다른 사건과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

역사학자들은 한 국가나 지역의 역사를 다른 지역의 역사와 관련시키기 위해 왕과 지도자들의 통치 기간을 동기화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했다. 에우세비우스의 연대기(서기 325년)는 역사적 동기화의 주요 저작 중 하나이다.

게오르기우스 싱켈루스(약 811년 사망)와 같은 후대의 연대기 작가들은 에우세비우스의 연대기를 분석하고 자세히 설명했다. 요세푸스 유스투스 스칼리게르(1540-1609)는 마지막 위대한 연대기 작가였다.[7]

전통적인 연대기 작가들이 사용한 문학적 동기화 방법 외에도, 고고학적 또는 천문학적 수단을 통해 사건을 동기화할 수 있다.

5. 1. 동기화 (Synchronism)

연대기의 근본적인 문제는 여러 사건을 시간적으로 연결하여 상호 관계를 파악하고, 현재 시간과 연결하며, 다른 사건과 비교하는 것이다. 역사학자들은 한 국가나 지역의 역사를 다른 지역의 역사와 관련시키기 위해 왕과 지도자들의 통치 기간을 동기화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5. 1. 1. 역사적 동기화

에우세비우스의 연대기(서기 325년)는 역사적 동기화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 책은 갈대아, 아시리아, 메디아, 리디아, 페르시아, 히브리,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아시아 및 로마의 아홉 개 왕국의 역사를 서술하고, 긴 표를 통해 각 왕국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병렬적으로 비교하여 동시대에 어떤 사건이 일어났는지, 사건들 사이에 시간 간격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7] 에우세비우스는 모든 사건을 동일한 시간 척도에 배치하기 위해 세계 기원 연대(A.M.)를 사용했는데, 이는 히브리 오경창세기에서 계산된 세계의 시작으로 추정되는 기원전 5199년부터 사건의 연도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에우세비우스의 연대기는 중세 시대에 역사적 사건의 날짜와 시간을 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게오르기우스 싱켈루스(약 811년 사망)와 같은 후대의 연대기 작가들은 에우세비우스의 연대기를 분석하고 자세히 설명했다.[7] 요세푸스 유스투스 스칼리게르(1540-1609)는 잃어버린 연대기를 재구성하고 그의 저서 《시간 수정에 관하여》(1583)와 《시간의 보고》(1606)에서 고대 역사의 모든 것을 동기화했다. 현대 고대 세계의 역사적 연대기는 대부분 이 두 저서에서 파생되었다.[7] 스칼리게르는 율리우스일의 개념을 고안하기도 했다.

전통적인 연대기 작가들이 사용한 문학적 동기화 방법 외에도, 고고학적 또는 천문학적 수단을 통해 사건을 동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로도토스의 책에 묘사된 탈레스의 일식은 리디아 전쟁의 연대를 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8] 고대 기록에 묘사된 다양한 일식 및 기타 천문학적 사건은 역사적 사건을 천문학적으로 동기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8] 연대 측정을 위해 도자기와 같은 고고학적 발견물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5. 1. 2. 천문학적 동기화

에우세비우스의 연대기(서기 325년)는 역사적 동기화의 주요 저작 중 하나이다. 이 책은 갈대아, 아시리아, 메디아, 리디아, 페르시아, 히브리,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아시아 및 로마의 아홉 개 왕국의 역사적 사건들을 병렬적인 표를 사용하여 동기화하였다. 에우세비우스는 세계 기원 연대 (A.M.)를 사용하여 사건의 연도를 계산했다.[7] 게오르기우스 싱켈루스(약 811년 사망)와 같은 후대의 연대기 작가들은 에우세비우스의 연대기를 분석하고 자세히 설명했다. 요세푸스 유스투스 스칼리게르(1540-1609)는 잃어버린 연대기를 재구성하고 고대 역사를 동기화하여, 현대 고대 세계 역사 연대기의 대부분은 그의 저서에서 파생되었다.[7]

이러한 문학적 동기화 방법 외에도, 천문학적 수단을 통해 사건을 동기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헤로도토스의 첫 번째 책에 묘사된 탈레스의 일식은 리디아 전쟁의 연대를 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고대 기록에 묘사된 다양한 일식 및 기타 천문학적 사건은 역사적 사건을 천문학적으로 동기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8]

6. 재해 대응에서의 연대기

재해 대응에서 정보, 사건, 경과 등을 시간 순서대로 기록하는 것[12], 재해 시 상황, 활동 내용 등을 시계열로 기록한 정보 또는 그 기법을 말한다[13].

7. 한국 역사에서의 연대기 활용과 중요성

한국사 연구에서 연대기는 역사적 사건의 시기와 인과 관계를 파악하고, 시대별 특징을 규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참조

[1] 서적 Mapping Time: The Calendar and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 백과사전
[3] 웹사이트 chronology http://www.memidex.c[...] 2010-09-25
[4] 문서 Literally translated as "From the city having been founded"
[5] 서적
[6] 웹사이트 Archaeology: An Introduction http://www.staff.ncl[...]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2007-11
[7] 서적 Joseph Scaliger: A Study in the History of Classical Schola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8] 서적 Exploring Ancient Skies: A Survey of Ancient and Cultural Astronomy https://archive.org/[...] Springer 2011
[9] 백과사전 クロノロジー
[10] 백과사전 編年
[11] 간행물 大阪府立近つ飛鳥博物館
[12] 간행물 災害対策マニュアル3版 東北大学病院
[13] 간행물 「「クロノロジー」型災害情報共有システムの開発と中部国際空港での適用」 日本ユニシス、国土交通省
[14] 서적
[1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memidex.c[...] 2011-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