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덕궁주 (인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덕궁주는 고려 인종의 왕비로, 본관은 인천 이씨이며 이자겸의 셋째 딸이다. 1124년 인종의 왕비가 되었으나, 이자겸의 권력 축출 이후 1126년에 폐위되었다. 폐위 후에도 인종의 후한 대접을 받았으며, 1139년에 소생 없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09년 출생 - 아폰수 1세 (포르투갈)
    아폰수 1세는 포르투갈의 초대 국왕이자 백작으로, 어머니와의 전투에서 승리 후 무어인들을 격파하여 왕으로 선포되었고, 카스티야-레온으로부터 독립을 인정받고 교황으로부터 왕국을 공식 인정받아 포르투갈 건국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1109년 출생 - 공예왕후
    공예왕후는 고려 인종의 왕후이자 장흥 임씨 임원후의 딸로, 이자겸의 난 이후 왕비로 간택되어 인종과 혼인하여 5남 5녀를 낳았으며, 인종 사후 대비가 되어 정치에 관여했으나 무신정변 이후 불운한 말년을 보냈다.
  • 1139년 사망 - 야로폴크 2세
    야로폴크 2세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아들로, 1132년부터 1139년까지 키예프 대공으로 재위했으나, 모노마흐 가문 내부 갈등과 스뱌토슬라프 가문의 도전, 그리고 폴로츠크 공국의 부흥으로 인해 불안정한 통치를 이어가며 키예프 대공국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
  • 1139년 사망 - 서하 숭종
    서하 숭종은 혜종의 급사로 즉위하여 량태후의 섭정을 받다가 친정을 시작하여 개혁 정치를 펼치고 요나라 멸망에 기여하여 영토를 확장한 서하의 제4대 황제이다.
  • 이자겸 - 척준경
    척준경은 고려 중기의 무신으로, 윤관과 함께 여진 정벌에 공을 세워 동북 9성 축조에 기여했으나, 이자겸과 결탁하여 권세를 누리다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다.
  • 이자겸 - 예종 (고려)
    예종은 고려의 제16대 왕으로, 여진과의 갈등, 9성 반환, 교육 진흥 등에 힘썼으며 1122년 종양으로 사망했다.
연덕궁주 (인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궁주, 폐후
별칭폐후(廢后)
배우자고려 인종
가문경원 이씨
왕조고려 왕조
아버지이자겸
어머니미상
친척문경왕태후(언니), 복창원주(동생)
출생일미상
사망일1139년 음력 8월 4일
사망 장소고려
종교불교
생애
재위 기간1124년–1126년 (폐위)
즉위1124년
전임순덕왕후
후임폐비 이씨(복창궁주)

2. 생애

인주(현재의 인천광역시) 출신으로, 이자겸의 셋째 딸이다. 언니는 예종의 왕후인 순덕왕후였으며, 인종에게는 이모였다. 하지만 당시 권력가였던 이자겸은 자신의 권력이 분산될 것을 염려하여 셋째 딸을 인종의 왕후로 삼게 하였다.[8]

인종은 이자겸의 압력으로 1124년(인종 2년) 음력 8월 이모와 혼인하여 왕비가 되었으나, 1126년(인종 4년) 음력 6월 20일[9] 이자겸이 실각하면서 왕의 이모가 왕비가 될 수는 없다는 신하들의 반대로 동생과 함께 폐위되었다. 하지만 왕은 그녀를 후하게 대접하였고, 1139년(인종 17년) 사망할 때까지 자녀는 없었으며, 폐후였기 때문에 능은 조성되지 않았다.

2. 1. 왕비 책봉

1124년(인종 2년) 음력 8월 이자겸의 압력으로 인종의 왕비가 되어 연덕궁주에 책봉되었다.[8]동국통감》에는 그녀가 왕후가 되던 날 소나기가 쏟아지고 바람이 세차게 불어 나무가 뽑혔다고 기록되어 있다.[6]

2. 2. 폐위

1126년(인종 4년) 음력 6월 20일[9], 이자겸이 실각하면서 신하들이 '궁주는 왕의 종모(從母)이니 왕후가 될 수 없다.'라고 간언하였다. 이에 따라 연덕궁주는 동생 폐후 이씨와 함께 폐위되었다.[9] 하지만 폐위된 후에도 왕은 그녀를 후하게 대접하였다.

2. 3. 폐위 이후

1126년(인종 4년) 음력 6월 20일[9] 신하들이 '궁주는 왕의 종모(從母)이니 왕후가 될 수 없다.'라고 간언하여 동생 폐후 이씨와 함께 폐위되었다. 하지만 폐위된 후에도 인종은 그녀를 후하게 대접하였다.

1139년(인종 17년)에 소생 없이 사망하였다. 폐후였던 관계로 능은 조성되지 않았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 ~ 사망비고
아버지이자겸? ~ 1126년
시어머니, 언니순덕왕후 이씨? ~ 1118년이자겸의 둘째 딸
남편, 조카인종1109년 ~ 1146년재위: 1122년 ~ 1146년
동생폐비 이씨? ~ 1195년이자겸의 넷째 딸



연덕궁주는 이자겸의 셋째 딸로, 인종은 이자겸의 외손자이자 이자겸 딸들의 조카였지만, 이자겸의 압력으로 이모들과 혼인해야 했다.[4] 1126년(인종 4년) 이자겸이 실각하면서 연덕궁주와 동생 폐비 이씨는 폐위되어 궁에서 쫓겨났다.[4]

3. 1. 부모

3. 2. 시어머니이자 언니

이자겸의 둘째 딸인 순덕왕후 이씨는 연덕궁주의 시어머니이자 언니였다.

3. 3. 남편이자 조카

인종 (1109년 ~ 1146년, 재위:1122년 ~ 1146년)[4]

3. 4. 동생

폐비 이씨 (? ~ 1195년)는 이자겸의 넷째 딸이다.[4]

4. 평가

이자겸의 권력욕으로 인해 왕비가 되었지만, 이자겸 실각 후 폐위되어 불행한 삶을 살았던 인물로 평가된다. 이자겸 세력 척결의 정당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4][5][6]

참조

[1] 웹사이트 고려 인종 2년, 갑진년(甲辰年), 1124년 https://m.terms.nave[...] 2021-10-08
[2] 학위논문 Property and subjectivity: Women's property rights in Joseon Korea (1392–1910) 2004
[3]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7-08
[4]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4-21
[5]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7-08
[6] 웹사이트 고려 인종 3년, 을사년(乙巳年), 1125년 https://m.terms.nave[...] 2021-07-08
[7] 서적 고려사
[8]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 《동국통감》 권21 〈고려기〉 https://terms.naver.[...]
[9] 서적 고려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