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방방위군작전지도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방방위군작전지도사령부(EinsFüKdoBw)는 독일 연방군의 해외 군사 작전을 지휘하는 사령부이다. 육군, 해군, 공군, 전력기반군 등 독일 연방군 내 모든 부대의 지휘 계통 상위에 위치하며, 해외 임무 계획 및 지휘를 담당한다. 2001년 7월 1일 창설되었으며, 사령관은 연방군 감찰관에게 작전 병력 지휘에 대한 책임을 진다. 현재 NATO, EU, UN 등 다양한 국제 기구의 임무에 참여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아프가니스탄, 코소보 등지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연방방위군의 사령부 - 연방방위군화생방방호사령부
    독일 연방군의 화생방 방호 및 재난 구호를 담당하는 연방방위군화생방방호사령부는 1956년 설립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 체제를 갖추었으며, 화생방 공격 대비, 재난 구호,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유럽연합 및 NATO 군사위원회에 대한 독일 측 군사 대리인 역할을 수행한다.
  • 독일 연방방위군의 사령부 - 연방방위군야전엽병사령부
    독일 연방방위군 소속의 군사 경찰 부대인 연방방위군 야전엽병사령부는 규율 유지, 교통 통제, 범죄 수사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산하에 여러 연대와 야전엽병 장교를 양성하는 학교를 두고 있다.
  • 2001년 설립 - 금융정보분석원
    금융정보분석원은 대한민국의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금지 관련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금융위원회 소속 기관으로, 특정금융거래정보의 수집·분석 및 수사기관 제공, 외국 금융정보분석기구와의 협력 등의 직무를 수행한다.
  • 2001년 설립 -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는 국가인권위원회법에 따라 2001년 설립된 독립적인 국가기관으로, 인권 관련 법령 및 제도 개선, 인권침해 및 차별행위 조사와 구제, 인권 교육 및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한국 사회의 인권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연방방위군작전지도사령부
개요
연방군 출동 지휘 사령부 휘장
연방군 출동 지휘 사령부 휘장
명칭연방군 출동 지휘 사령부 (Einsatzführungskommando der Bundeswehr; EinsFüKdoBw)
약칭EinsFüKdoBw
종류고등사령부
역할작전 지휘
조직
소속전력 기반군
규모군단급 사령부
인원840여명
명령 체계전군 지휘 막료 감부
상위 부대전군 지휘 막료 감부
위치 및 창설
위치브란덴부르크주 포츠담-겔토프
창설2001년 7월 1일
기타
웹사이트연방군 출동 지휘 사령부

2. 설치

제4군단 해산 후, 해당 지역에 있던 사령부 시설과 인원을 승계하여 설립되었다. 사령부는 국외에서 발생하는 여러 분쟁에 대한 군사 작전에 관해, 국외에 파견된 모든 독일 연방군 부대에 책임을 진다. 이에 따라 포츠담-게르토의 사령부 시설에서 상시 지휘를 실행한다.

3. 임무

연방방위군작전지도사령부(EinsFüKdoBw)는 독일 연방군을 구성하는 육군, 해군, 공군, 전력기반군, 구호업무군 및 행정 부문의 지휘 계통 상위에 위치한다. 기본적으로 독일 연방군의 모든 해외 임무를 계획하고 지휘하며, 이는 국가적 맥락이든 다국적 맥락(NATO, EU, UN 등)이든 상관없다. 계획 과정에서 군사 임무와 이를 위해 필요한 병력 및 자원이 조정된다.

연방방위군작전지도사령부는 연방군의 작전 사령부이며, 작전 지역의 파견대장에게 국가 지시를 내리는 유일한 부서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다국적 사령부로부터 명령을 받는다. 작전 사령부는 독일군의 배치가 임무에 따라 수행되고 독일 연방 공화국의 법적 규범이 위반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연방방위군작전지도사령부의 사령관은 지휘 하에 있는 작전 병력 지휘에 대해 연방군 감찰관에게 책임을 진다.

사령부는 2001년 7월 1일에 창설되었다. 제4군단 해산 당시 여단장 베른트 호그레페(Bernd Hogrefe)의 지휘 하에 있던 참모진을 활용하여 이를 구축했다. 창설 후 몇 주 만에 9.11 테러로 인해 첫 번째 주요 과제를 맞이했다. 사령부는 항구적 자유 작전(OEF)과 국제 안보 지원군(ISAF)의 독일 파견대 지휘를 맡았다.

군사적 위기 관리 활동에 제공하는 군대를 위해 유럽 연합 주체의 전략 본부(작전사령부, Operation Headquarters, OHQ)를 겔토 시설에 설정하고 있다. 2009년 이후, 사령부 기능은 울름에 소재하고 있다.

2022년 9월부터 연방군의 영토 지휘부(:de:Territoriale Führungskommando der Bundeswehr)가 국내 작전을 지휘하고 있다.

4. 조직

연방방위군작전지도사령부의 내부 조직은 다국적 사령부 형식을 따르고 있다. 최고 간부는 사령관, 부사령관 및 참모장 3인으로 구성된다. 전문가의 지휘 지원은 법적 조언 분야 및 보도 관계 통제에 해당한다. 각 부서는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한 약어가 사용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J"는 영어의 "jointness(통합성)"에서 따온 것으로, 이 원칙에 따라 통합군 지휘를 실행하고 있다.


  • 제1부(J1) - 인사.
  • 제2부(J2) - 정보통신.
  • 제3·5·7부(J3/5/7) - 작전(제1부터 제4까지의 작전 그룹이 2009년 4월 1일부터 기능한다).
  • 제4부(J4) - 병참.
  • 제6부(J6) - 지휘 지원.
  • 제8부(J8) - 관리.
  • 제9부(J9) - 군민 협력.
  • 위생부(JMED) - 위생 업무.


또한, 사령부 편제에 직할 부대로 '''사령부·통신 대대'''가 예속되어 있다.

4. 1. 부서

영어의 "jointness(통합성)"에서 따온 "J"를 사용하여 통합군 지휘를 실행하고 있다.

  • 제1부(J1): 인사
  • 제2부(J2): 정보통신
  • 제3·5·7부(J3/5/7): 작전 (2009년 4월 1일부터 제1부터 제4까지의 작전 그룹이 기능한다)
  • 제4부(J4): 병참
  • 제6부(J6): 지휘 지원
  • 제8부(J8): 관리
  • 제9부(J9): 군민 협력
  • 위생부(JMED): 위생 업무


사령부 편제에 직할 부대로 사령부·통신 대대가 예속되어 있다.

5. 작전

5. 1. 현재 진행 중인 작전

연방방위군작전지도사령부는 현재 다양한 국제 임무 및 작전에 참여하고 있다.

NATO의 임무에는 코소보군(KFOR)을 통한 코소보 보호(1999년 6월부터), 테러 방지를 위한 액티브 엔데버 작전(OAE)이 지중해 지역에서 진행 중(2001년 11월부터)이다. 또한, NATO 지원 에게해를 통해 그리스 및 터키 해안 경비대와 프론텍스의 해상 감시를 지원하고 있다(2016년 2월부터).

유럽 연합의 임무로는 소말리아 해안에서 해적 퇴치를 위한 아탈란타 작전(2008년 12월부터)과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헌법 구조 구축 및 해적 퇴치를 위한 훈련 임무인 EUCAP 네스토르(2012년 8월부터)가 있다. 말리 훈련 임무(EUTM 말리, 2013년 4월부터)와 소말리아 소말리아 보안군의 기본 군사 훈련을 지원하는 EUTM 소말리아(2014년 4월부터)도 진행 중이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유럽 연합 군사 임무(EUFOR RCA, 2014년 4월부터)와 지중해에서 인신매매 및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유럽 연합 군사 임무(EU NAVFOR Med, 2015년 6월부터)도 수행하고 있다.

국제 연합의 임무로는 유엔 아프가니스탄 지원단(UNAMA)을 통해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헌법 구조 수립 및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2002년 3월부터). 레바논 해안 감시를 위한 유엔 레바논 임시군(UNIFIL, 2006년 10월부터), 남수단 평화 유지를 위한 UNMISS(2011년 7월부터), 서사하라의 국제 연합 관찰 임무인 서사하라 주민투표를 위한 유엔 임무(MINURSO, 2013년 10월부터)에도 참여하고 있다.

5. 2. 종료된 작전

유엔 말리 다차원 통합 안정화 임무 (MINUSMA)는 말리 분쟁 해결을 위한 임무로 2013년 7월부터 2023년까지 진행되었다. UNAMID는 수단 다르푸르 지역의 분쟁 해결을 위한 임무로 2012년 11월부터 시작되었다. 액티브 펜스 작전은 2013년 1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수행되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폭스 임무 부대(TFF), 연합 조화 작전(OAH), 콩코르디아 작전(OC)이 차례로 진행되었다. 쿠웨이트에서는 2002년 2월부터 2003년 6월까지 항구적 자유 작전(OEF)의 일환으로 250명의 병력이 파견되어 핵, 생물, 화학 무기 공격 및 테러 공격으로부터 연합군과 쿠웨이트 주민을 보호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는 2006년 6월부터 11월까지 유럽 연합 부대 콩고 민주 공화국 파견(EUFOR RD Congo) 임무를 통해 선거 보호 활동을 지원했다. 또한, 유럽 연합은 콩고 민주 공화국 치안 부문 개혁을 위한 조언 임무인 유럽 연합 안보 분야 개혁·콩고 민주 공화국 임무(EUSEC RD Congo)를 수행했다.

조지아에서는 1993년 8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유엔 조지아 감시단(UNOMIG)이 파견되어 조지아와 압하스 정부 간 휴전 합의를 감시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유럽 연합 부대(EUFOR)가 평화 이행군(IFOR) 및 평화 안정화군(SFOR)의 후속 임무인 알테아 작전을 수행했다.

아프리카의 뿔에서는 항구적 자유 작전 해양 임무(OEF Marine)를 통해 해상 수송로 안전을 보장했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국제 안보 지원군(ISAF)이 국제 평화 유지군으로 활동했다.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간 국경 분쟁 감시를 위해 유엔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파견단(UNMEE)이 파견되었다. 남수단에서는 유엔 수단 임무단(UNMIS)이 평화 활동을 전개했다.

6. 역대 지휘관

역대 연방방위군작전지도사령부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사령관
번호이름부터까지비고
7{{llang 중장2021년 12월 16일
6{{llang 중장2015년 11월 4일2021년 12월 16일
5{{llang 중장2013년 4월 23일2015년 11월 4일
4{{llang 중장2009년 4월 22일2013년 4월 23일
3{{llang 중장2006년 3월 16일2009년 4월 22일
2{{llang 중장2004년 9월 1일2006년 3월 16일
1{{llang 중장2001년 7월 1일2004년 9월 1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