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릉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릉군은 기원전 111년 전한에 의해 설치된 중국의 옛 행정 구역이다. 형주에 속했으며, 왕망 대에는 구의군으로 개칭되기도 했다. 후한 시대에 영릉군은 13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촉한의 장완과 후한 말의 유파가 영릉군 출신이다. 진나라, 남조의 송나라와 제나라를 거쳐 수나라에 의해 폐지되었다가, 수나라 대업 연간에 잠시 부활하여 당나라 초까지 존속하다가 영주로 개칭되며 사라졌다.

2. 역사

기원전 111년(원정 6년) 전한에서 영릉군이 설치되었다. 왕망 때 구의군으로 개칭되었다가[1], 후한이 건립되자 영릉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2]

진나라 때 영릉군은 11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송나라와 남조 제나라 때 영릉군은 상주에 속했으며 7개 현을 관할했다.[4][5]

589년(개황 9년), 수나라남조 진나라를 멸망시키자 영릉군은 폐지되어 영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영주는 영릉군으로 개칭되었고, 5개 현을 관할했다.[6]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소선을 평정하자 영릉군은 영주로 개칭되었으며 4개 현을 관할했다. 742년(천보 원년) 영주가 다시 영릉군으로, 758년(건원 원년)에는 영릉군이 다시 영주로 개칭되면서 영릉군의 명칭은 사라졌다.[7]

2. 1. 전한

기원전 111년(원정 6년)에 설치되었다. 형주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1,092호, 139,378명이었다. 10개 현(5개 현, 3개 후국, 2개 도)을 두었다.[8]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영릉현零陵縣구이린시 취안저우현 남서양해산(陽海山)에서 상수가 나와 북으로 영(酃)에 이르러 강수로 들어가니, 영릉·장사 두 군을 지나 2,530리를 간다.
영도營道융저우시 닝위안현 동남남쪽에 구의산(九疑山)이 있었다.
시안현始安縣구이린시
부이후국夫夷侯國사오양시 사오양현 서
영포현營浦縣융저우시 다오현 북동
도량후국都梁侯國사오양시 우강시 북동노산(路山)의 자수(資水)가 이곳에서부터 흘러, 북동으로 익양에 이르러 원수(沅水)로 들어가니, 영릉·장사 두 군을 지나 1,800리를 간다.
영도泠道
천릉후국泉陵侯國융저우시 링링 구장사정왕의 아들 유현의 봉국이다. 한서 왕자후표에서는 중릉(衆陵)이라 하는데, 오기이다.
도양현洮陽縣구이린시 취안저우현 북서
종무현鍾武縣헝양시 헝양현 서후한 때 중안(重安)으로 고쳤다.



왕망(王莽) 때는 구의(九疑)라고 하였으며,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영도(營道)구의정(九疑亭)
영도(泠道)영릉(泠陵)
천릉(泉陵)단윤(漙閏)
도양(洮陽)도치(洮治)
종무(鍾武)종환(鍾桓)


2. 2. 후한

후한 시대 영릉군은 전한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면서 일부 변경되었다. 13개 현을 관할했으며, 212,284호 1,001,578명이 거주했다.[10] 촉한의 재상 장완과 후한 말의 명사 유파 등이 이곳 출신이다.

후한 시대 영릉군 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천릉현泉陵縣융저우 시 링링 구
영릉현零陵縣구이린 시 취안저우 현 남서현내에 양삭산(陽朔山)이 있었고 상수가 나온다.
영도營道융저우 시 닝위안 현 동남현 남쪽에 구의산(九疑山)이 있었다.
영포현營浦縣융저우시 다오 현 북동
영도泠道
도양현洮陽縣구이린 시 취안저우 현 북서
도량현都梁縣사오양 시 우강 시 북동현내에 노산(路山)이 있었다.
부이후국夫夷侯國사오양 시 사오양 현 서
시안후국始安候國구이린 시
중안후국重安候國헝양 시 헝양 현 서북본래 종무현(鐘武縣)이었으나 128년(후한 순제 영건 3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상향현湘鄕縣샹탄 시 샹샹 시촉한의 재상이었던 장완이 태어난 곳이다.
소양현昭陽縣사오양 시 사오둥 현 북동
증양현烝陽縣사오양 시 사오둥 현 동남본래 장사군에 속했다. 유파가 태어난 곳이다.

[2]

2. 3. 진 (서진·동진)

진나라 때 영릉군은 천릉, 기양, 영릉, 영포, 도양, 영창, 관양, 영도, 춘릉, 영도, 응양의 11개 현을 관할했다.[3]

2. 4. 남조 (송·제)

남조 송나라 때 영릉군은 상주에 속했으며, 천릉, 도양, 영릉, 기양, 응양, 관양, 영창의 7개 현을 관할했다.[4] 남조 제나라 때도 영릉군은 앞선 송나라와 동일하게 천릉, 도양, 영릉, 기양, 응양, 관양, 영창의 7개 현을 관할했다.[5]

2. 5. 수·당

589년(개황 9년), 수나라남조 진나라를 멸망시키자 영릉군은 폐지되어 영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영주는 영릉군으로 개칭되었다. 영릉군은 영릉, 상원, 영양, 영도, 풍승의 5개 현을 관할했다.[6]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소선을 평정하자 영릉군은 영주로 개칭되었으며, 영릉, 상원, 기양, 관양의 4개 현을 관할했다. 742년(천보 원년), 영주는 영릉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영릉군은 영주로 개칭되어 영릉군의 명칭은 사라졌다.[7]

3. 행정 구역

기원전 111년(원정 6년) 영릉군이 설치된 이후, 시대별로 영릉군이 관할했던 현(縣)은 다음과 같다.

영릉군 속현 변천
전한[1][2]후한[2][3]남조 송[4]·제[5][6][7]
영릉영릉영릉영릉영릉영릉
영도구의정(九疑亭)영도영도영도
시안시안
부의부의
영포영포영포
두량두량
영도영릉(泠陵)영도춘릉
천릉단윤(漙閏)천릉천릉천릉
도양도치(洮治)도양도양도양영양
종무종환(鍾桓)중안
상향
소양
증양
기양기양기양
영창영창
관양관양관양
응양응양
상원상원
풍승


3. 1. 전한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영릉현零陵縣구이린시 취안저우현 남서양해산(陽海山)에서 상수가 나와 북으로 영(酃)에 이르러 강수로 들어가니, 영릉·장사 두 군을 지나 2,530리를 간다.
영도營道융저우시 닝위안현 동남남쪽에 구의산(九疑山)이 있었다.
시안현始安縣구이린시
부이후국夫夷侯國사오양시 사오양현 서
영포현營浦縣융저우시 다오현 북동
도량후국都梁侯國사오양시 우강시 북동노산(路山)의 자수(資水)가 이곳에서부터 흘러, 북동으로 익양에 이르러 원수(沅水)로 들어가니, 영릉·장사 두 군을 지나 1,800리를 간다.
영도泠道
천릉후국泉陵侯國융저우시 링링 구장사정왕의 아들 유현의 봉국이다. 한서 왕자후표에서는 중릉(衆陵)이라 하는데, 오기이다.
도양현洮陽縣구이린시 취안저우현 북서
종무현鍾武縣헝양시 헝양현 서후한 때 중안(重安)으로 고쳤다.



기원전 111년(원정 6년), 영릉군이 설치되었다.[8] 전한의 영릉군은 형주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1,092호, 139,378명이었다.[8]

3. 2. 신

왕망(王莽)의 때는 구의(九疑)라고 하였으며,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2]

전한
영도(營道)구의정(九疑亭)
영도(泠道)영릉(泠陵)
천릉(泉陵)단윤(漙閏)
도양(洮陽)도치(洮治)
종무(鍾武)종환(鍾桓)


3. 3. 후한

후한 시대 영릉군은 13개 현, 212,284호, 1,001,578명을 거느렸다.[10]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천릉현泉陵縣융저우 시 링링 구
영릉현零陵縣구이린 시 취안저우 현 남서현내에 양삭산(陽朔山)이 있었고 상수가 나왔다.
영도營道융저우 시 닝위안 현 동남현 남쪽에 구의산(九疑山)이 있었다.
영포현營浦縣융저우시 다오 현 북동
영도泠道융저우시 닝위안 현 동
도양현洮陽縣구이린 시 취안저우 현 북서
도량현都梁縣사오양 시 우강시 북동현내에 노산(路山)이 있었다.
부이후국夫夷侯國사오양 시 사오양현 서
시안후국始安候國구이린 시
중안후국重安候國헝양 시 헝양 현 서북본래 종무현(鐘武縣)이었으나 128년(후한 순제 영건 3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상향현湘鄕縣샹탄 시 샹샹 시촉한의 재상이었던 장완이 태어난 곳이다.
소양현昭陽縣사오양 시 사오둥 현 북동
증양현烝陽縣사오양 시 사오둥 현 동남본래 장사군에 속했다. 유파가 태어난 곳이다.


3. 4. 진 (서진·동진)

진나라 시대 영릉군은 천릉, 기양, 영릉, 영포, 도양, 영창, 관양, 영도, 춘릉, 영도의 10개 현과 응양을 속현으로 삼았다.[3]

현명비고
천릉
기양
영릉
영포
도양
영창
관양
영도
춘릉
응양


3. 5. 남조 (송·제)

남조 시대 송나라 때 영릉군은 상주에 속했으며, 천릉, 도양, 영릉, 기양, 응양, 관양, 영창 7개 현을 관할했다.[4]

현명비고
천릉
도양
영릉
기양
응양
관양
영창



남조 제나라 때도 영릉군은 상주에 속했으며, 이전과 동일하게 천릉, 도양, 영릉, 기양, 응양, 관양, 영창 7개 현을 관할했다.[5]

현명비고
천릉
도양
영릉
기양
응양
관양
영창


3. 6. 수·당

隋朝|수나라중국어가 陳|진중국어나라를 멸망시키자 영릉군은 폐지되어 영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영주는 영릉군으로 개칭되었으며, 영릉군은 영릉, 상원, 영양, 영도, 풍승의 5개 현을 관할했다.[6]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소선을 평정하자 영릉군은 영주로 개칭되었으며, 영릉, 상원, 기양, 관양의 4개 현을 관할했다. 742년(천보 원년), 영주는 영릉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영릉군은 영주로 개칭되어 영릉군의 명칭은 사라졌다.[7]

수, 당 시대의 영릉군 속현은 다음과 같다.

왕조
수나라영릉, 상원, 영양, 영도, 풍승
당나라영릉, 상원, 기양, 관양


4. 지리

영릉군은 산과 강이 어우러진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4. 1. 산

영릉현에는 양해산(陽海山)과 상수가 있고, 영도 남쪽에는 구의산(九疑山), 도량현에는 노산(路山)이 있었다.[8][10]

4. 2. 강

구이린시 취안저우현 남서쪽에 있는 양해산(陽海山)에서 상수가 나와 북쪽으로 영(酃)에 이르러 강수로 들어간다. 상수는 영릉군과 장사 두 군을 지나 2,530리를 간다.[8] 사오양시 우강시 북동쪽에 있는 노산(路山)에서는 자수(資水)가 나온다. 자수는 북동쪽으로 익양에 이르러 원수로 들어가는데, 영릉군과 장사군 두 군을 지나 1,800리를 간다.[8]

5. 인물

영릉군 출신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漢書
[2] 서적 後漢書
[3] 서적 晋書
[4] 서적 宋書
[5] 서적 南斉書
[6] 서적 隋書
[7] 서적 旧唐書
[8]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9] 서적 후한서 권14 종실삼왕사후열전 중 성양공왕
[10] 서적 후한서 112권 지 제 22 군국 4 형주 영릉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