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양아과는 소과에 속하는 영양의 아과로, 다양한 종을 포함하며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대륙에 분포한다. 이 아과에는 영양족, 사이가산양족, 네오트라구스족 등이 있으며, 클라크가젤, 스프링복, 인도영양, 가젤, 게레눅 등을 포함한다. 영양아과는 초원, 숲, 고산대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풀, 잎, 뿌리 등을 먹는 초식성 동물이 많다. 일부 종은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개체수가 감소하는 등 인간의 활동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아과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영양아과 - 스프링복
스프링복은 남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영양으로, 등 중앙의 피부 주름, 잎을 주식으로 하는 점, 프롱킹이라는 도약 행동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상징 동물로도 활용된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영양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영양아과 정보 | |
![]() | |
학명 | Antilopinae |
명명자 | Gray, 1821 |
분류군 | 블랙벅족 바위타기영양족 네오트라구스족 |
분류학적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아목 | 소아목 |
과 | 소과 |
아과 | 영양아과 |
2. 하위 분류
영양아과는 소과에 속하는 아과로, 영양족(Antilopini), 사이가산양족(Saigini), 네오트라구스족(Neotragini) 등 다양한 족으로 분류된다. 영양족에는 가젤, 스프링복 등이 속하며, 사이가산양족은 사이가산양 단일 종, 네오트라구스족은 베이라영양, 작은영양, 꼬마영양 등 소형 영양류를 포함한다. 라피케루스속은 영양아과의 한 속이다.
2. 1. 영양족 (Antilopini)

영양족(Antilopini)은 소과 영양아과에 속하는 족이다.
- 클라크가젤속 (''Ammodorcas'')
- * 클라크가젤 (''Ammodorcas clarkei'')
- 스프링복속 (''Antidorcas'')
- * 스프링복 (''Antidorcas marsupialis'')
- 인도영양속 (''Antilope'')
- * 인도영양 (''Antilope cervicapra'')
- 에우도르카스속 (''Eudorcas'')
- * 몬갈라가젤 (''Eudorcas albonotata'')
- * 코린가젤 (''Eudorcas rufifrons'')
- * 톰슨가젤 (''Eudorcas thomsonii'')
- 가젤속 (''Gazella'')
- * 데프레지아아속 (''Deprezia'')
- ** 가젤라 프솔레아(''Gazella psolea'') †
- * ''Gazella'' 아속
- ** 아라비아가젤 (''Gazella arabica'')
- ** 유럽가젤 (''Gazella borbonica'') †
- ** 친카라 (''Gazella benettii'')
- ** 셰바여왕가젤 (''Gazella bilkis'') †
- ** 도르카스가젤 (''Gazella dorcas'')
- ** 산가젤 (''Gazella gazella'')
- ** 사우디가젤 (''Gazella saudiya'') †
- ** 스피크가젤 (''Gazella spekei'')
- * 트라켈로켈레아속 (''Trachelocele'')
- ** 퀴비에가젤 (''Gazella cuvieri'')
- ** 림가젤 (''Gazella leptoceros'')
- ** 혹가젤 (''Gazella subgutturosa'')
- 게레눅속 (''Litocranius'')
- * 게레눅 (''Litocranius walleri'')
- 다마가젤속 (''Nanger'')
- * 다마가젤 (''Nanger dama'')
- * 그랜트가젤 (''Nanger granti'')
- * 죄머링가젤 (''Nanger soemmerringii'')
- 프로카프라속 (''Procapra'')
- * 제렌 (''Procapra gutturosa'')
- * 고아 (''Procapra picticaudata'')
- * 프제발스키가젤 (''Procapra przewalskii'')
'''화석 속'''[1]
- †데멕켄네미아속(''Demecquenemia'')
- †데프레지아속(''Deprezia'')
- †디티코도르카스속(''Dytikodorcas'')
- †히스파노도르카스속(''Hispanodorcas'')
- †호모이오도르카스속(''Homoiodorcas'')
- †마조레아스속(''Majoreas'')
- †니시도르카스속(''Nisidorcas'')
- †우조케루스속(''Ouzocerus'')
- †파란티도르카스속(''Parantidorcas'')
- †파라스트렙시케로스속(''Parastrepsiceros'')[2]
- †프레아마도콰속(''Praemadoqua'')[3]
- †프로스트렙시케로스속(''Prostrepsiceros'')
- †시나포도르카스속(''Sinapodorcas'')
- †티렌노트라구스속(''Tyrrhenotragus'')
2. 2. 사이가산양족 (Saigini)
사이가산양족(Saigini)은 현존하는 1속 1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이가산양속(''Saiga'')
- 사이가산양(''Saiga tatarica'')
2. 3. 네오트라구스족 (Neotragini)
- 베이라영양속 (''Dorcatragus'')
- * 베이라영양 (''Dorcatragus megalotis'')
- 작은영양속 (''Madoqua'')
- * 권터작은영양 또는 권터딕딕 (''Madoqua guentheri'')
- * 커크작은영양 또는 커크딕딕 (''Madoqua kirkii'')
- * 은색작은영양 또는 은색딕딕 (''Madoqua piacentinii'')
- * 솔트작은영양 또는 솔트딕딕 (''Madoqua saltiana'')
- 네오트라구스속 (''Neotragus'')
- * 베트영양 또는 베이츠피그미영양 (''Neotragus batesi'')
- * 수니영양 (''Neotragus moschatus'')
- * 꼬마영양 (''Neotragus pygmaeus'')
- 바위타기영양속 또는 오레오트라구스속 (''Oreotragus'')
- 오리비영양속 (''Ourebia'')
- * 오리비영양 (''Ourebia ourebi'')
- 라피케루스속 (''Raphicerus'')
3.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주라노(Zurano) 등의 연구에 기초한 영양아과의 계통 분류이다.[9]
검은꼬리영양아과는 검은꼬리영양족, 클립스프링어족, 로열앤티롭족의 3개 족으로 구성되지만, 이들은 단계통군이 아닌 다계통군이다. 계통 위치는 불확실하며, 블랙벅족(Blackbuck tribe)의 자매군[7]이거나, 영양아과의 자매군이다.[4][5][6]
- 로열앤티롭속
- * 베이츠앤티롭
- * 수니
- * 로열앤티롭
4. 형태
가장 큰 종은 다마가젤로, 몸길이는 145cm~172cm이고 몸무게는 40kg~85kg이다. 가장 작은 종은 로열앤틸롭으로 몸길이는 45cm~55cm이고 몸무게는 1.5kg~2.5kg이다.[1]
블랙벅족은 많은 종에서 수컷과 암컷 모두 뿔이 있지만, 로열앤틸롭족은 주로 수컷만 뿔이 있다.[1]
5. 분포
아프리카 대륙, 유라시아 대륙
6. 생태
초원, 숲, 고산대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세력권을 형성하며, 특정 장소에 냄새샘을 문지르거나 소변을 뿌리거나 배설물을 쌓아 세력권을 주장한다. 위험을 감지하면 숨어서 상대를 피하거나 달아난다.
식성은 초식성으로, 풀이나 나무의 잎, 새싹, 뿌리 등을 먹는다.
번식 방법은 태생이다. 한 번에 새끼 한 마리를 낳는다.
7. 인간과의 관계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사냥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는 종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ntilopini
https://www.biolib.c[...]
[2]
논문
Parastrepsiceros koufosi n. sp. (Mammalia: Bovidae); note on the possible presence of a Prostrepsiceros descendant in the latest Pliocene of northern Greece
1998
[3]
웹사이트
Praemadoqua
https://paleobiodb.o[...]
[4]
논문
SuperTRI: A new approach based on branch support analyses of multiple independent data sets for assessing reliability of phylogenetic inferences
http://www.normalesu[...]
[5]
논문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Cetartiodactyla (Mammalia, Laurasiatheria), as reveal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omes
http://www.sciencedi[...]
[6]
논문
A revised phylogeny of Antilopini (Bovidae, Artiodactyla) using combined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s
http://www.sciencedi[...]
[7]
논문
Phylogenetic analyses and improved resolution of the family Bovidae based on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http://www.sciencedi[...]
[8]
논문
Cetartiodactyla: Updating a time-calibrated molecular phylogeny
[9]
논문
Cetartiodactyla: Updating a time-calibrated molecular phyloge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