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천 은해사 중암암 삼층석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천 은해사 중암암 삼층석탑은 경상북도 영천시 은해사 중암암에 있는 고려 초기의 석탑이다. 통일신라 양식을 따르지만, 기단부 약화, 옥개석 경사 심화 등의 특징을 보인다. 높이 약 3m로, 2층 기단과 3층 탑신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의 세부적인 구조와 특징이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특히 상륜부에는 노반과 보륜석이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석탑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은 백제 석탑 양식을 일부 유지한 고려시대 전기 석탑으로, 목조 탑파 형식을 모방하여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며, 기단부 백제 시대 기와 조각과 사리장치, 그리고 목탑 존재 흔적 등이 특징이다.
  • 고려의 석탑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은 고려 말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대리석 석탑으로, 1348년에 건립되어 국보 제86호로 지정되었으며, 섬세한 조각과 목조건축 양식을 재현한 것이 특징이다.
  • 삼층석탑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 고선사 옛 터에 세워진 석탑으로, 덕동댐 건설로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이전되었으며,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초기 석탑 양식의 중요한 유물이다.
  • 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된 높이 4.1m의 석탑으로, 2중 기단 위에 세워진 3층 석탑이며, 각 면 기둥 형태 조각과 1층 탑신 문비 조각이 특징이고 통일신라 후기 석탑 양식을 보여주는 보물이다.
영천 은해사 중암암 삼층석탑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천 은해사 중암암 삼층석탑
영천 은해사 중암암 삼층석탑
이름영천 은해사 중암암 삼층석탑
로마자 표기Yeongcheon Eunhaesa Jungamam Samcheungseoktap
한자 표기永川 銀海寺 中巖庵 三層石塔
문화재 정보
국가대한민국
위치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산25-1번지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332
지정일2001년 11월 1일
시대고려 시대
소유자은해사
문화재청 ID21,03320000,37
기타 정보
디지털영천문화대전은해사 중암암 삼층 석탑
저자박홍국
확인 날짜2017-12-10

2. 역사 및 평가

중암암은 불당이 암벽 아래 암석 틈에 위치하여 '돌구멍절'이라고도 불린다. 불당지 한켠에는 고려시대 어골문(魚骨文) 기와 조각이 남아 있어, 불당 창건 시기를 추정할 수 있게 한다.[2]

석탑은 통일신라 양식을 따르지만, 기단부 약화, 옥개석 경사 심화, 전체 규모 축소 등 고려 초기의 특징을 보인다.[2][1][3][4] 손상이 거의 없고 보존 상태가 깨끗하여 가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2]

영천 은해사 중암암 삼층석탑은 큰 바위 사이 협소한 대지에 위치한 독특한 입지 조건과 간결하고 균형 잡힌 형태를 갖춘 뛰어난 석탑이다.[3]

3. 구조

이 석탑은 높이가 약 3m로, 잘 다듬은 4개의 장대석을 지대석으로 깔고, 그 위에 2층 기단과 3층의 탑신부를 올렸다.[2][1][4][3]

지대석은 규격을 달리하고 있으나 잘 치석한 장대석을 정방형으로 결합시켜 깔았다.[2] 치석된 지대석 한 변의 길이는 183cm이고, 높이 13cm이다.[1] 땅에 묻힐 아랫부분은 가공하지 않고 대강 치석했다.[3]

'''기단부'''

영천 은해사 중암암 삼층석탑의 기단은 2층으로, 상·하층 기단의 각 면석에는 기둥 모양(탱주)과 모서리 기둥 모양의 조각(우주)이 새겨져 있다.[2][1] 하층 기단은 4매의 면석으로 구성되었고, 그 위에 3매의 돌로 결구된 하층 기단 갑석을 올렸다. 갑석 상면에는 상층 기단 면석을 받치기 위한 1단의 괴임이 있다.[1] 하층 기단 갑석의 낙수면은 약간 경사가 져 있다.[3]

상층 기단 역시 4매의 면석으로 구성되었고, 그 위에 1매의 돌로 된 상층 기단 갑석을 얹었다. 상층 기단 갑석 아랫면에는 1단의 부연이 있고, 윗면에는 2단의 옥신 받침이 조각되어 있다.[3][1]

'''탑신부'''

탑신은 모두 정육면체로서 층위가 올라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것 외에는 동일한 양식이다.[2][1] 1층, 2층, 3층 탑신 모두 네 모서리에 우주를 새겼다.[1] 1층 탑신은 정육면체 모양의 한 돌인데, 높이는 39cm, 너비는 48cm이다. 2층 탑신은 높이 16.5cm, 너비는 42cm이며, 3층 탑신은 높이 14cm, 폭 35.5cm이다.[1]

'''옥개석'''

옥개석은 모두 낙수면의 경사가 심하고 우동과 전각(轉角)의 반전이 심한 편이다.[2][1] 옥개받침은 1층은 4단, 2층과 3층은 3단으로 줄어들었다.[2][1] 옥개석 윗면에는 괴임을 새겼고, 아랫면에는 물끊기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풍탁공은 없다.[3]

1층 옥개석은 받침 4단, 괴임 1단이며, 최대 너비 81cm, 전체 높이 32cm이다. 2층 옥개석은 받침 3단, 괴임 1단이며, 최대 너비 72cm, 높이 28cm이다. 3층 옥개석은 받침 3단, 괴임 1단인데, 이 옥개 윗면의 괴임과 그 위에 방형의 노반까지를 한 돌로 만들었다. 최대 너비 61cm, 전체 높이 24cm이며, 노반은 높이 8cm, 너비 30cm이다.[1]

'''상륜부'''

상륜부(相輪部)는 3층 옥개석(屋蓋石)과 같은 돌로 만들어진 노반(露盤)과 앙화(仰花)로 추정되는 부재 하나가 남아 있다.[4] 보륜석은 노반 위에 얹혀 있는데 반구 모양이며, 가운데 찰주공(擦柱孔)이 노반까지 관통하고 있다.[2][1] 4엽의 복련을 새긴 것으로 추정되나, 마모가 심해 확인하기 어렵다.[1]

3. 1. 기단부

영천 은해사 중암암 삼층석탑의 기단은 2층으로, 상·하층 기단의 각 면석에는 기둥 모양(탱주)과 모서리 기둥 모양의 조각(우주)이 새겨져 있다.[2][1] 하층 기단은 4매의 면석으로 구성되었고, 그 위에 3매의 돌로 결구된 하층 기단 갑석을 올렸다. 갑석 상면에는 상층 기단 면석을 받치기 위한 1단의 괴임이 있다.[1] 하층 기단 갑석의 낙수면은 약간 경사가 져 있다.[3]

상층 기단 역시 4매의 면석으로 구성되었고, 그 위에 1매의 돌로 된 상층 기단 갑석을 얹었다. 상층 기단 갑석 아랫면에는 1단의 부연이 있고, 윗면에는 2단의 옥신 받침이 조각되어 있다.[3][1]

3. 2. 탑신부

탑신은 모두 정육면체로서 층위가 올라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것 외에는 동일한 양식이다.[2][1] 1층, 2층, 3층 탑신 모두 네 모서리에 우주를 새겼다.[1] 1층 탑신은 정육면체 모양의 한 돌인데, 높이는 39cm, 너비는 48cm이다. 2층 탑신은 높이 16.5cm, 너비는 42cm이며, 3층 탑신은 높이 14cm, 폭 35.5cm이다.[1]

3. 3. 옥개석

옥개석은 모두 낙수면의 경사가 심하고 우동과 전각(轉角)의 반전이 심한 편이다.[2][1] 옥개받침은 1층은 4단, 2층과 3층은 3단으로 줄어들었다.[2][1] 옥개석 윗면에는 괴임을 새겼고, 아랫면에는 물끊기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풍탁공은 없다.[3]

1층 옥개석은 받침 4단, 괴임 1단이며, 최대 너비 81cm, 전체 높이 32cm이다. 2층 옥개석은 받침 3단, 괴임 1단이며, 최대 너비 72cm, 높이 28cm이다. 3층 옥개석은 받침 3단, 괴임 1단인데, 이 옥개 윗면의 괴임과 그 위에 방형의 노반까지를 한 돌로 만들었다. 최대 너비 61cm, 전체 높이 24cm이며, 노반은 높이 8cm, 너비 30cm이다.[1]

3. 4. 상륜부

상륜부(相輪部)는 3층 옥개석(屋蓋石)과 같은 돌로 만들어진 노반(露盤)과 앙화(仰花)로 추정되는 부재 하나가 남아 있다.[4] 보륜석은 노반 위에 얹혀 있는데 반구 모양이며, 가운데 찰주공(擦柱孔)이 노반까지 관통하고 있다.[2][1] 4엽의 복련을 새긴 것으로 추정되나, 마모가 심해 확인하기 어렵다.[1]

참조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문화재청 문화재 은해사중암암삼층석탑
[3] 웹인용 은해사 중암암 삼층 석탑 http://yeongcheon.gr[...] 2017-12-10
[4] 웹인용 은해사 중암암 삼층석탑[銀海寺中巖庵三層石塔] http://www.doopedia.[...] 2017-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