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덕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덕나무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붉은 새싹과 잎, 그리고 잎의 모양과 쓰임새로 특징지어진다. 일본어로는 '아카메가시와'라고 불리며, 떡갈비를 만드는 데 잎이 사용되기도 했다. 나무 껍질은 위궤양 치료에 사용되고, 열매는 구충 효과가 있으며, 목재는 건축, 땔감 등으로 활용된다. 또한, 잎과 수피는 약재로 사용되며, 잎은 식용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5년 기재된 식물 - 박달나무
박달나무는 온대 북부 지방에 자라는 낙엽활엽수로, 단단하고 치밀한 재질 덕분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고조선 시대부터 활을 만드는 데 쓰여 신성한 나무로 여겨지고 한국의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신단수로도 추정된다. - 1865년 기재된 식물 - 물봉선
물봉선은 대한민국 각지에 분포하는 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로, 붉은 줄기, 톱니 모양 잎, 홍자색 나팔꽃 모양의 꽃이 특징이며, 탄력 있는 꼬투리 속 씨앗이 터져 번식하는 습지 식물이다. - 대극과 - 피마자
피마자는 잎, 꽃, 기름 생산을 위해 다양한 특징을 지닌 식물로, 독성 물질인 리신을 함유한 씨앗을 가지며 피마자유는 윤활유, 화장품, 의약품 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 대극과 - 파라고무나무
파라고무나무는 남아메리카 아마존강 유역이 원산지로 높이 30미터에 달하는 큰 나무이며, 잎에서 추출되는 라텍스는 천연 고무의 주요 원료이고, 19세기 후반 동남아시아로 전파되어 현재는 주로 그 지역에서 재배되며 천연 고무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나무 - 커스터드애플
커스터드애플은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이 원산인 뽀뽀나무과에 속하는 작은 교목으로, 전 세계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며, 단맛이 나는 열매는 생으로 먹거나 가공하여 섭취하고 씨앗, 잎, 나무껍질 등은 약재로도 사용되는 식물이다. - 나무 - 가로수길
가로수길은 고대 이집트, 중국, 프랑스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래되었으며, 주택이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나무들의 배열로, 햇빛을 가리고 바람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상 기후로 인한 피해와 교통사고의 위험도 존재하는 조경 요소이다.
예덕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말로투스 야포니쿠스 (Mallotus japonicus) |
명명자 | (L.f.) Müll.Arg. (1865년) |
일본어 이름 | 아카메가시와 (赤芽槲、赤芽柏) |
영어 이름 | Japanese Mallotus |
한국어 이름 | 예덕나무 |
중국어 이름 | 野梧桐 (yě wútóng, 예우퉁) |
분류 | |
계 | 식물계 (Plantae) |
문 (미분류) |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강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아강 (미분류) | 장미군 (Rosids) |
목 | 말피기아목 (Malpighiales) |
과 | 대극과 (Euphorbiaceae) |
아과 | 아칼리파아과 (Acalyphoideae) |
족 | 아칼리파에아이 (Acalypheae) |
속 | 아카메가시와속 (Mallotus) |
종 | 아카메가시와 (M. japonicus) |
분포 | |
서식지 | 한국, 중국, 일본 |
이명 |
2. 명칭
일본명 アカメガシワ|아카메가시와jpn는 새싹이 붉은빛을 띠고[11], 잎이 가시와처럼 커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참고로 カシワ|가시와jpn는 잎을 음식 찌는 데 사용한 것에서 유래하여 '삶는(かし) 잎(葉)'이라는 의미가 변형된 것이다. 가시와가 자라지 않는 지역에서는 이 나무의 잎을 가시와 잎 대신 떡갈비를 만드는 데 사용했기 때문에 아카메가시와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한반도를 비롯하여 일본의 혼슈 이와테현·아키타현 이남, 시코쿠, 규슈, 오키나와 등과 타이완, 중국 남부 등 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주로 2차림에서 많이 발견되며, 산야, 평지, 강의 둑 등에서 자생한다. 산이나 들의 숲 가장자리, 길가, 덤불처럼 햇볕이 잘 드는 밝은 곳에서 잘 자란다. 전형적인 개척 수종으로 분류된다. 온대에서 아열대 지역에 걸쳐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에 추위에 약한 편이며, 햇볕을 좋아하고 생장이 빠르다. 과거에는 열대성 식물이었으나, 낙엽성을 획득하면서 온대 지역으로 분포를 넓힌 것으로 추정된다.
''예덕나무''는 초식 동물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저항 특성을 보인다.[4] 잎 표면에서 생성되는 털(모용)은 물리적 저항 특성으로 작용한다. 잎 표면에 존재하는 투명한 반점은 일반적으로 유독성 대사 물질 또는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며 화학적 저항 특성으로 기능한다. 또한, 이 식물은 잎 가장자리에 꿀샘(꽃밖꿀샘, EFNs)과 잎 및 줄기 표면에 영양체(진주체)를 가지고 있어 생물학적 저항 특성을 나타낸다. 꽃밖꿀샘은 주로 당분을 포함하고, 영양체는 지질이 풍부한 입자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특성은 개미를 유인하며, 개미는 식물에서 초식 동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예덕나무는 잎의 나이와 비생물적 서식지 조건에 따라 이러한 방어 특성의 조합을 변경할 수 있다.[4][5]
''예덕나무''는 베르게닌을 함유하고 있다.[6] 열매껍질에는 말로토페논, 말로토크로멘[7], 말로토자포닌, 이소말로토크로멘, 말로토크로만 등이 들어 있다.[8] 나무 껍질에는 11-O-갈로일베르게닌, 4-O-갈로일베르게닌, 11-O-갈로일데메틸베르게닌[9] 및 가수분해성 탄닌인 1,2-디-O-갈로일-3,6-(R)-헥사하이드록시디페노일-베타-D-글루코스, 1-O-디갈로일-3,6-(R)-헥사하이드록시디페노일-베타-D-글루코스, 1-O-갈로일-2,4-엘라에오카르푸시노일-3,6-(R)-발로네아일-베타-D-글루코스(말로자포닌), 1-O-갈로일-2,4-엘라에오카르푸시노일-베타-D-글루코스(말로닌), 말로투시닌 등이 함유되어 있다.[10]
큰 잎은 음식을 포장하는 데 사용되었다. 어린 잎은 삶아서 먹을 수 있으며, 무침이나 데침으로 요리한다.[13] 재질은 부드러워 마루 기둥, 나막신, 땔감, 숯으로 사용한다. 씨앗과 잎은 염료의 재료가 되기도 한다.
예덕나무는 초식동물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저항 특성을 보인다.[4] 잎 표면에 생성되는 털(Trichome)은 물리적 저항 역할을 한다. 잎 표면의 투명한 반점에는 일반적으로 유독성 대사 물질이나 에센셜 오일이 포함되어 있어 화학적 저항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잎 가장자리의 꿀샘(EFNs)과 잎 및 줄기 표면의 영양체(진주체)는 생물학적 저항 특성을 나타낸다. 꿀샘은 주로 당분을 함유하고, 영양체는 지질이 풍부한 입자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특성은 개미를 유인하며, 개미는 식물에서 초식 동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예덕나무는 잎의 나이나 비생물적 서식지 조건에 따라 이러한 방어 특성의 조합을 조절할 수 있다.[4][5]
같은 속의 식물로는 야에야마 열도 이남에 분포하는 우라지로아카메가시와가 있다. 외관은 비슷하지만 잎 뒷면이 새하얗다는 특징이 있다. 이 종은 동남아시아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또한, 더 북쪽(토카라 열도 이남)까지 분포하는 쿠스노하가시와는 잎이 단단하고 가늘며 털이 적어 외관상 예덕나무와는 상당히 다른 인상을 준다. 오키나와 제도에는 얀바루아카메가시와가 자생하는데, 겉보기에는 예덕나무와 비슷하지만 더 크고 얇은 막질의 잎을 가지며, 열매 이삭을 길게 늘어뜨리는 모습이 독특하다.
[1]
서적
Monograph of Chinese butterflies
https://books.google[...]
Hen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일본 지방에 따라서는 ゴサイバ|고사이바jpn[11] 또는 アカガシワ|아카가시와jpn 등으로도 불린다. 별명인 ゴサイバ|고사이바jpn(五菜葉)는 이 식물의 잎으로 음식을 쌌던 것에서 유래했다. 옛 일본 이름은 楸|히사기jpn이다. 중국 식물명은 野梧桐|야오동zho이다.[11]
3. 분포 및 생육지
4. 형태 및 생태
낙엽 활엽수의 소교목 또는 고목이다. 나무의 높이(수고)는 5m에서 10m에 달한다. 줄기는 황갈색에서 짙은 회색이며 다소 붉은 기를 띤다. 나무껍질(수피)은 잿빛 갈색이며 어린 나무는 세로 방향으로 갈라지고, 나이가 들면 그물 모양으로 갈라진다. 어린 가지는 옅은 회갈색으로 굵고, 별 모양의 털(성상모)이 빽빽하게 나 있다. 봄의 새싹과 어린 잎은 선명한 붉은색을 띠어 아름답고, 별 모양의 털이 빽빽하다.
잎은 붉고 긴 잎자루를 가지고 어긋나기하며, 모양은 거꾸로 된 달걀 모양에서 마름모꼴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다. 어린 나무에서는 잎이 얕게 2~3 갈래로 갈라지기도 한다. 잎몸의 길이는 큰 것은 20cm 정도이며, 잎자루를 포함하면 잎 전체 길이는 30cm 정도가 된다. 3개의 주요 잎맥이 있으며, 잎맥이 갈라지는 지점에는 작은 샘(선체)이 있다. 잎 뒷면에는 노란색의 작은 점(선점)들이 있어 개미가 모이기도 한다. 잎이 무성해지는 초여름에도 가지 끝에는 갓 돋아난 붉은 잎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가을에는 선명한 노란색으로 단풍이 들어 눈에 잘 띄며, 잎자루만 붉은색으로 물든다.
꽃 피는 시기는 초여름(6~7월)이다. 암수딴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다른 나무에서 핀다.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흰색의 작은 꽃을 많이 피운다. 수나무의 수꽃에는 노란색의 꽃밥(약)이 눈에 띈다. 암나무의 암꽃차례는 수꽃차례보다 작고 꽃의 수가 적으며, 꽃잎은 없고 붉은 암술머리가 보인다.
열매는 삭과이며, 연한 가시가 있는 삼각형에 가까운 편평한 구형으로 지름 8mm 정도의 크기이다. 꽃차례에 많이 달린다. 열매에는 부드러운 가시가 나 있으며, 가을인 9~10월경에 갈색으로 익으면 3~4 갈래로 갈라져 3~4개의 검은 자줏빛 씨앗을 내보낸다. 씨앗이 빠져나간 열매 껍질은 겨울에도 가지에 남아 있거나, 열매차례째 나무 아래에 떨어져 있기도 하다. 씨앗은 거의 구형이며, 광택이 있는 검은색을 띠고 있다. 종피는 얇고 벗겨지기 쉽다.
겨울눈은 옅은 갈색의 별 모양 털이 빽빽하게 난 헐벗은 눈(나아)이다. 가지 끝에 달리는 정아(끝눈)는 크고 어린 잎이 모여 있으며, 가지 옆에 어긋나게 달리는 측아(곁눈)는 달걀 모양으로 작다. 잎이 떨어진 자리인 잎자국은 크고 거의 원형이며, 관다발 자국이 다수 고리 모양이나 U자형으로 배열된다.
나무의 뿌리는 생명력이 강하고, 땅속줄기나 뿌리에서 새순(슈트)을 내어 번식하기도 한다. 또한, 씨앗은 고온에 노출되면 발아하기 쉬워지는 특성이 있어, 벌채나 산불로 인해 기존 산림이 파괴된 자리에 빠르게 번성하는 개척 식물의 특징을 보인다.
5. 화학적 성분
또한 쓴맛 성분인 베르게닌, 루틴과 탄닌(게라니인), 말로치신산, 말로틴산 등도 포함하고 있다.[12]
6. 이용
일본 약국방에 기재된 생약으로도 쓰이는데, 수피는 野梧桐|야고동일본어, 잎은 野梧桐葉|야고동엽일본어이라고 하며 건위제로 사용된다. 약재로 쓸 때는 잎은 여름에 채취하여 물로 씻은 후 햇볕에 말리고, 수피는 가을에 채취하여 잘게 썰어 건조시킨다. 수피를 달인 물은 초기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산 과다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말린 잎을 목욕물에 넣어 입욕하면 땀띠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민간요법에서는 잎이나 수피를 하루에 5g에서 10g 정도를 물 500ml에서 600ml 정도에 넣고 달여서, 세 번에 나누어 마시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열매는 구충 효과가 있어, 열매를 연하게 우려낸 물은 구충약으로 사용한다.
7. 생태적 특성
일본에서는 혼슈의 이와테현 및 아키타현 이남 지역, 시코쿠, 규슈, 오키나와에 분포하며, 국외로는 한반도, 타이완, 중국 남부 등 아시아 지역에서도 자생한다. 일본에서는 주로 2차림에서 많이 발견되며, 산야, 평지, 강가의 둑 등에서도 자란다. 산이나 들의 숲 가장자리, 길가, 덤불처럼 햇볕이 잘 드는 밝은 곳을 선호한다. 전형적인 개척 수종으로 분류된다. 원래 온대에서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던 식물이기 때문에 추위에 약한 편이며, 햇볕을 좋아하고 생장이 빠르다. 고대에는 열대성 식물이었으나, 낙엽성을 획득하면서 온대 지역으로 분포를 넓힌 것으로 추정된다.
낙엽 활엽수이며, 소교목에서 고목까지 자란다. 나무의 높이(수고)는 5m에서 10m에 달한다. 줄기는 황갈색에서 짙은 회색을 띠며 약간 붉은 기운이 돈다. 나무껍질(수피)은 잿빛 갈색이며, 어린 나무는 세로 방향으로 갈라지다가 나중에는 그물 모양으로 갈라진다. 어린 가지는 옅은 회갈색으로 굵고, 별 모양의 털(성모)이 빽빽하게 나 있다. 봄에 돋아나는 새싹과 어린 잎은 선명한 붉은색을 띠어 눈에 잘 띄며, 역시 별 모양의 털이 빽빽하다.
잎은 붉고 긴 잎자루를 가지며 어긋나기로 달린다. 잎 모양은 거꾸로 된 달걀 모양에서 마름모꼴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어린 나무의 잎은 얕게 2~3갈래로 갈라지기도 한다. 잎몸의 길이는 큰 경우 20cm 정도이고, 잎자루를 포함한 전체 잎 길이는 30cm 정도 된다. 잎에는 3개의 주요 잎맥이 있으며, 잎맥이 갈라지는 지점에는 선체(꿀샘)가 있다. 잎 뒷면에는 노란색 선점이 있어 개미가 모이기도 한다. 잎이 무성해지는 초여름에도 가지 끝에는 새로 돋아난 붉은 잎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가을에는 잎이 선명한 노란색으로 단풍이 들어 눈에 잘 띄며, 잎자루만 붉은색으로 물든다.
꽃은 초여름(6~7월)에 핀다. 암수딴그루이다.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흰색의 작은 꽃이 많이 달린다. 수나무의 수꽃은 노란색 약(꽃밥)이 눈에 띈다. 암나무의 암꽃차례는 수꽃차례보다 작고 꽃의 수가 적으며, 꽃잎은 없고 붉은 암술머리가 보인다. 열매는 삭과 형태로, 연한 가시가 있는 삼각형 모양의 납작한 구형이며 지름은 8mm 정도이다. 꽃차례에 많이 달린다. 열매 표면에는 부드러운 가시가 나 있다. 가을(9~10월경)에 갈색으로 익으면 3~4갈래로 갈라져 3~4개의 검은 자줏빛 씨앗을 내보낸다. 겨울에도 가지에 열매가 남아 있거나, 열매차례째 나무 아래에 떨어져 있기도 한다. 씨앗은 거의 구형이며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고, 씨앗 껍질(종피)은 얇고 벗겨지기 쉽다.
겨울눈은 옅은 갈색의 별 모양 털이 빽빽하게 난 나출눈(헐벗은 눈)이다. 가지 끝에 달리는 정아는 크고 어린 잎이 모여 있으며, 옆에 어긋나게 달리는 측아는 달걀 모양으로 작다. 잎이 떨어진 자리(잎자국)는 크고 거의 원형이며, 관다발 자국이 여러 개 링 모양이나 U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나무의 뿌리는 생명력이 강하며, 땅속줄기를 뻗어 번식하기도 한다. 또한, 씨앗은 고온에 노출되면 발아가 촉진되는 특성이 있어, 벌채나 산불 등으로 인해 산림이 파괴된 지역에서 빠르게 번성하는 경향이 있다.
8. 유사종
다른 속에 속하지만 언뜻 보기에 비슷한 나무로는 오오바베니가시와가 있다. 중국이 원산지인 낙엽 활엽 관목으로, 어린 잎이 선명한 붉은색을 띠어 아름답기 때문에 정원수로 이용된다. 잎에는 그물 모양의 엽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오오바베니가시와와 같은 속에 속하는 아미가사기리는 남서 제도 지역에 자생한다.
참조
[2]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01-04
[3]
웹사이트
Taxon: Mallotus japonicus (L. f.) Müll. Arg.
https://npgsweb.ars-[...]
2020-08-06
[4]
논문
Leaf ageing promotes the shift in defence tactics inMallotus japonicusfrom direct to indirect defence
[5]
논문
Different combinations of multiple defence traits in an extrafloral nectary-bearing plant growing under various habitat conditions
[6]
논문
Hepatoprotective effects of bergenin, a major constituent of Mallotus japonicus, on carbon tetrachloride-intoxicated rats
[7]
논문
Studies on Cytotoxic Constituents in Pericarps of Mallotus japonicus, Part I. Munehisa Arisawa, Akio Fujita, Rieko Suzuki, Toshimitsu Hayashi, Naokata Morita, Nobusuke Kawano and Saburo Koshimura
[8]
논문
Cytotoxic and antiherpetic activity of phloroglucinol derivatives from Mallotus japonicus (Euphorbiaceae)
[9]
논문
Bergenin derivatives from Mallotus japonicus
[10]
논문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LXXXIV.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ve new hydrolyzable tannins from the bark of Mallotus japonicus
[11]
YList
2023-03-25
[12]
서적
和漢薬の辞典
朝倉書店
2018-12-13
[13]
간행물
飲食事典
平凡社
1958-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