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기노 슈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기노 슈지는 일본 출신의 병리학자이자 분자 병리 역학 분야의 선구자이다. 도쿄 대학교 의학부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병리학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후, 하버드 의과대학 및 다나-파버 암 연구소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분자 병리 역학 연구를 이끌고 있다. 그는 2010년 분자 병리학과 역학을 통합한 분자 병리 역학(MPE)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대장암 연구에 적용하여 대장직장 연속성 모델 등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또한 국제 분자병리역학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톰슨 로이터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자'에 여러 차례 선정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병리학자 - 히타치노미야 마사히토 친왕
    쇼와 천황과 고준 황후의 차남인 히타치노미야 마사히토 친왕은 1964년 쓰가루 하나코와 결혼하여 히타치노미야를 창설, 암 연구 기여와 여러 공익 단체 활동을 통해 국제 교류에 힘쓰고 있으며 현재 일본 황위 계승 순위 3위이다.
  • 일본의 병리학자 - 모리 와타루
    모리 와타루는 멜라토닌 발견과 급성 간염 메커니즘 규명에 기여하고 도쿄 대학 총장을 역임한 일본의 의학자이자 교육자이다.
  • 하버드 대학교 교수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하버드 대학교 교수 - 힐러리 클린턴
    힐러리 클린턴은 미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아칸소주 영부인, 미국의 영부인, 뉴욕주 연방 상원의원,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다.
  • 도쿄 대학 동문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 도쿄 대학 동문 - 김상협
    김상협은 삼양그룹 창업주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의 조카로, 도쿄대 졸업 후 고려대 교수와 총장,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교육자이며,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오기노 슈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오기노 슈지
원어명荻野周史
로마자 표기Ogino Shuji
출생일1968년 4월 24일
국적일본
직업분자병리역학자
병리학자
역학자
소속하버드 의학대학원 브리검 여성병원
하버드 T.H. 찬 보건대학원
경력
주요 경력하버드 의학대학원 브리검 여성병원 병리학 교수
하버드 T.H. 찬 보건대학원 부교수

2. 학력 및 경력

오기노 슈지는 나다 중학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도쿄 대학 의학부를 졸업했다. 도쿄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여러 대학과 병원에서 경력을 쌓았다.

연도기관학위/직책
1981년-1987년나다 중학교·고등학교
1987년-1993년도쿄 대학 이과 삼류 및 도쿄 대학 의학부 의학과
1994년-1995년오키나와 주둔 미국 해군 병원연수
1995년-1997년드렉셀 대학교 앨러게니 종합 병원병리과 인턴
1997년-1999년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병리과 인턴
1999년-2001년펜실베이니아 대학교분자 병리학 임상 펠로우 및 박사 후 연구원
2001년도쿄 대학 대학원 의학계 연구과박사 과정 수료
2001년미국 해부 병리학 및 임상 병리학 전문의 자격 취득
2001년-2004년하버드 의과대학원, 다나-파버 암 연구소 병원, 브리검 여성 병원병리학 강사
2003년미국 분자 유전 병리학 최고 전문의 자격 취득 (일본인 최초)
2004년-2008년하버드 의과대학원, 다나-파버 암 연구소 병원, 브리검 여성 병원병리학 조교수
2008년-2015년하버드 의과대학원, 다나-파버 암 연구소 병원, 브리검 여성 병원부교수
2010년하버드 T.H. 챈 공중보건대학원역학 석사 과정 수료
2012년-2015년하버드 T.H. 챈 공중보건대학원부교수 겸임
2013년- 현재국제 분자 병리 역학 회의의장
2014년- 현재J Dis Markers, Annal Clin Cyto Pathol, Austin J Pub Health Epidemiol, J OncoPathol분자 병리 역학 섹션 편집자
2015년- 현재하버드 의과대학원, 다나-파버 암 연구소 병원, 브리검 여성 병원, 하버드 T.H. 챈 공중보건대학원병리학 교수 및 역학 교수[118]
2016년-현재브리검 여성 병원병리 부분자 병리 역학 부문장
2017년-현재MIT와 하버드의 브로드 연구소어소시에이트 멤버


2. 1. 일본에서의 초기 경력

오기노는 1993년 도쿄 대학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2001년 도쿄 대학 대학원 의학계 연구과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118] 1994년부터 1995년까지 일본 오키나와 미 해군 오키나와 병원에서 인턴으로 근무하였다.[118]

연도내용
1981년-1987년나다 중학교·고등학교
1987년-1993년도쿄 대학 이과 삼류 및 도쿄 대학 의학부 의학과
1994년-1995년미국의 병리학 의사를 지망, 그 준비를 위해 오키나와 주둔 미국 해군 병원에서 연수
2001년도쿄 대학 대학원 의학계 연구과 박사 과정 수료


2. 2. 미국에서의 경력

오기노는 1994년부터 1995년까지 일본 미 해군 오키나와 병원에서 인턴 과정을 거쳤다.[118]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1995년부터 1997년까지 드렉셀 대학교 소속 앨러게니 종합 병원에서,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소속 유니버시티 병원 케이스 메디컬 센터에서 해부 병리 및 임상 병리 레지던트 과정을 밟았다.[118] 1999년부터 2000년까지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분자 병리 펠로우십 과정을 수료했다.[118]

2001년 다나-파버 암 연구소, 브리검 여성 병원,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병리학 강사로 합류했으며,[118] 2004년 조교수, 2008년 부교수를 거쳐 2015년에 정교수로 승진했다.[118] 2010년 하버드 T.H. 챈 공중보건대학원에서 역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2012년에는 부교수, 2015년에는 정교수로 임명되었다.[118]

2016년 브리검 여성 병원 MPE 분자 병리 역학 프로그램 책임자가 되었고, 2017년에는 MIT와 하버드의 브로드 연구소 준회원이 되었다.[118] 2003년에는 일본인 최초로 미국 분자 유전 병리학 초전문의 자격을 취득했으며, 대장암 분자 검사를 비롯한 다양한 분자 병리학 검사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118]

3. 분자병리역학(MPE) 연구

오기노 슈지는 분자병리역학(MPE) 연구의 선구자로, 이 분야의 발전과 확산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연구는 분자 수준의 질병 기전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대장암 연구 분야에서 MPE 개념을 활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GWAS-MPE 접근법, 특이 암 원리, 특이 질병 원리, 병인의 장 효과 모델 등 다양한 연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분자병리역학 개념 정립

오기노는 2010년에 역학을 배경으로 한 분자 병리학 연구를 독립된 분야로 간주해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분자 병리학적 역학(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MPE)"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3] 그의 제안 이후, MPE 개념과 패러다임은 널리 사용되었으며,[4][5][6][7][8][9][10][11][12][16][17][18][19][20] 미국 암 연구 협회(AACR),[21] 역학 연구 학회 (SER),[22] 미국 예방 종양학회(ASPO)와 같은 국제 회의에서 논의되었다.[23]

MPE 접근법은 분자 병리학을 역학에 적용하여 분자, 개인 및 인구 수준에서 질병의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기노는 병리조직과 역학조사로 얻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경, 식이, 생활습관, 유전적 요인과 같은 병의 위험요인과 대장암의 PIK3CA 돌연변이와 같은 분자병리학적 특질의 관계를 규명하는 많은 연구논문을 출판하였다.[24][25][26][27][28][29][30][31][32][33] MPE 접근법을 이용한 오기노의 발견에는 아스피린 복용과 대장암의 PIK3CA 돌연변이의 상호작용,[42] 대장 내시경 검사와 CpG 아일랜드 메틸레이터 표현형 (CIMP) 및 미세 부수체 불안정성(MSI)을 가진 대장암 발병과의 연관성 등이 있다.[43]

그는 2013년에 국제 분자병리역학회 (International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Meeting)를 처음으로 열고 학회장을 역임하였으며,[44] 두 번째 학회는 2014년 12월 4일과 5일에 보스턴에서 열렸다.[45]

3. 2. 대장암 연구에의 적용

오기노는 대장암 연구에 분자 병리학적 역학(MPE) 개념을 도입하여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하였다. 그는 대장을 근위대장과 원위대장으로 나누는 기존의 '두 개의 대장' 개념에서 대장직장 연속성 모델로의 전환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은 1,400개 이상의 대장암 증례 데이터베이스에서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MSI), CIMP, BRAF 돌연변이의 빈도와 대장암 발생 위치의 선형적 상호작용을 관찰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였다.[41] 이러한 대장직장 연속성 모델은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지지받고 있다.[42][43]

그는 이 외에도 전장유전체연관성분석-분자병리역학적 접근 (The GWAS-MPE approach),[44] 특이 암 원리(the unique tumor principal),[45] 특이 질병 원리(the unique disease principle),[46] 병인의 장 효과 모델(the etiologic field effect model)[47]과 같은 새로운 인식체계와 연구체계를 소개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분자병리역학과 관련이 있다.

오기노는 분자 병리 역학에서 파생된 개념으로 대장의 연속성 모델(the colorectal continuum model)을 제창했다.[92] 기존 대장암의 분자 병리 지표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구강 측과 항문 측의 2상으로 구분(the two-colon concept)하는 것이 주류였다.[93][94][95][96] 오기노는 1,400명 이상의 대장암 환자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빈도,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 (CIMP) 빈도 및 BRAF 변이 빈도가 대장의 부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증명했다.[97][98]

3. 3. MPE 관련 새로운 패러다임 및 연구 프레임워크

오기노는 2010년에 역학을 배경으로 한 분자 병리학 연구를 별개의 분야로 간주해야 한다고 제안했으며, "분자 병리학적 역학(MPE)"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3] 그의 제안 이후, MPE 개념과 패러다임은 널리 사용되었으며,[4][5][6][7][8][9][10][11][12][13][14][15][16][17][18][19][20] 미국 암 연구 협회(AACR),[21] 역학 연구 학회 (SER),[22] 및 미국 예방 종양학회(ASPO)와 같은 국제 회의의 주제가 되어 왔다.[23] MPE 접근법은 분자 병리학을 역학에 적용하여 분자, 개인 및 인구 수준에서 질병의 병인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는 기존 역학 연구 내의 조직 병리학적 자원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험 요인 (예: 환경적, 식이, 생활 방식 및 유전적 요인) 노출과 질병의 분자 병리학적 특징 (예: 대장암의 PIK3CA 돌연변이) 간의 상호 관계를 증명하는 다수의 원본 논문을 발표했다.[24][25][26][27][28][29][30][31][32][33] MPE의 개념을 발전시킨 논문도 있다.[36][37][38][39][40][41]

MPE 접근법을 통한 오기노의 발견에는 아스피린 사용과 대장암의 PIK3CA 돌연변이 간의 상호 작용,[42] 내시경 검사와 CIMP 및 미세 부수체 불안정성 MSI를 가진 대장 내시경 검사 후 대장암 간의 상호 작용이 포함된다.[43] 그는 2013년에 국제 분자 병리학적 역학 (MPE) 회의 시리즈를 시작했으며,[44] 회의 의장으로 활동해 왔다. 두 번째, 세 번째 및 네 번째 회의는 각각 2014년 12월,[45][46] 2016년 5월,[47] 및 2018년 5월에 보스턴에서 개최되었다.[48]

오기노는 대장암 연구의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하기 위해 MPE 개념을 사용했다. 그는 두 개의 대장 개념 (근위 및 원위 대장)[49][50][51][52]에서 대장 연속체 모델로의 전환을 제안했는데, 이는 1,400건 이상의 대장암 사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분석 결과 대장의 위치와 미세 부수체 불안정성 (MSI), CpG island 메틸화 표현형 (CIMP) 및 BRAF 돌연변이 빈도 간의 선형 관계가 관찰됨으로써 뒷받침되었다.[54] 이 대장 연속체 모델은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55][56][57]

오기노는 "GWAS-MPE 접근법",[58] "고유 종양 원리",[59] "고유 질병 원리",[60] "병인적 장 효과 모델",[61] "통합 평생 역학 - MPE 모델",[62] "약리-MPE 모델"[63] 및 "면역학-MPE 모델"[64]을 포함하여 MPE 분야와 관련된 여러 새로운 패러다임과 연구 프레임워크를 도입했다.

3. 4. 국제 분자병리역학회

오기노는 2010년에 역학을 배경으로 한 분자 병리학 연구를 별개의 분야로 간주해야 한다고 제안했으며, "분자 병리학적 역학(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MPE)"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3] 그의 제안 이후, MPE 개념과 패러다임은 널리 사용되었으며,[4][5][6][7][8][9][10][11][12][13][14][15][16][17][18][19][20] 미국 암 연구 협회(AACR),[21] 역학 연구 학회 (SER),[22] 미국 예방 종양학회(ASPO)와 같은 국제 회의의 주제가 되어 왔다.[23]

MPE 접근법은 분자 병리학을 역학에 적용하여 분자, 개인 및 인구 수준에서 질병의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는 기존 역학 연구 내의 조직 병리학적 자원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험 요인 (예: 환경적, 식이, 생활 방식 및 유전적 요인) 노출과 질병의 분자 병리학적 특징 (예: 대장암의 PIK3CA 돌연변이) 간의 상호 관계를 증명하는 다수의 원본 논문을 발표했다.[24][25][26][27][28][29][30][31][32][33] 또한 MPE의 개념을 발전시킨 논문도 발표했다.[36][37][38][39][40][41]

MPE 접근법을 통한 오기노의 발견에는 아스피린 사용과 대장암의 PIK3CA 돌연변이 간의 상호 작용,[42] 내시경 검사와 CpG 아일랜드 메틸레이터 표현형 (CIMP) 및 미세 부수체 불안정성 (MSI)을 가진 대장 내시경 검사 후 대장암 간의 상호 작용이 포함된다.[43] 그는 2013년에 국제 분자 병리학적 역학 (MPE) 회의 시리즈를 시작했으며,[44] 회의 의장으로 활동해 왔다. 이후 2014년 12월,[45][46] 2016년 5월,[47] 2018년 5월에 보스턴에서 회의가 개최되었다.[48]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2004년분자 병리학 협회(AMP) 임원상
2011년미국 및 캐나다 병리학 아카데미 람지 코트란 젊은 연구자상
2012년분자 병리학 협회(AMP) 공로상
2014년톰슨 로이터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자: 2014[65]
2014년미국 임상 연구 학회 (ASCI) 선출 회원
2014년FASEB 과학 우수성상 위원회 위원[66]
2015년NCI R35 최우수 연구자상 수상자[67]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톰슨 로이터 및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선정, 피인용 연구자[68][69][70]
2018년미국 조사 병리학회(ASIP) 최우수 연구자상[71]


5. 인물됨

알레게니 종합 병원에서 연수할 때 뇌 신경 외과 교수였던 후쿠시마 타카노리를 만나 큰 영향을 받았다.[126][127]

인체 공학 키보드를 제조하는 키네시스 제품을 애용한다. QWERTY 자판을 사용하지 않고 인간 공학적으로 개선되었다고 하는 드보락 자판에 독자적인 개량을 가한 "modified 드보락 자판"을 사용한다. 유일한 단점은 여행 시 항상 이 키보드를 휴대해야 한다는 점이라고 언급했다.[127]

취미는 장기, 테니스, 자전거, 산책, 클래식 음악 감상이며, 특히 수많은 작곡가에 대해 조예가 깊다.[127]

참조

[1] 웹사이트 Program in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MPE) https://www.brighama[...] 2021-09-02
[2] 웹사이트 Our faculty: Associate and affiliate members https://www.broadins[...] 2008-05-08
[3] 논문 Lifestyle factors and microsatellite instability in colorectal cancer: the evolving field of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4] 논문 CpG Island Methylation in Colorectal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5] 논문 Cancer classification using the Immunoscore: A worldwide task force
[6] 논문 Gene discovery in familial cancer syndromes by exome sequencing: Prospects for the elucidation of familial colorectal cancer type X
[7] 논문 Can Tissue-Based Immune Markers be Used for Studying the Natural History of Cancer?
[8] 서적 Adaptive and Innate Immunity, Non Clonal Players in Colorectal Cancer Progression InTech
[9] 논문 Molecular Epidemiology of EGFR and KRAS Mutations in 3,026 Lung Adenocarcinomas: Higher Susceptibility of Women to Smoking-Related KRAS-Mutant Cancers
[10] 논문 Integrative Cancer Epidemiology--The Next Generation
[11] 논문 Conventional and Nanotechniques for DNA Methylation Profiling
[12] 논문 The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 What's in a Name? https://cris.maastri[...]
[13] 논문 Cellular metabolism in colorectal carcinogenesis: Influence of lifestyle, gut microbiome and metabolic pathways
[14] 논문 Epidemiological transition of colorectal cancer in developing countries: Environmental factors, molecular pathways, and opportunities for prevention
[15] 논문 Lifestyle, Diet, and Colorectal Cancer Risk According to (Epi)genetic Instability: Current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s of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16] 논문 Bioactive Nutrients and Nutrigenomics in Age-Related Diseases
[17] 논문 Aspirin in pancreatic cancer: Chemopreventive effects and therapeutic potentials
[18] 논문 Obesity and colorectal cancer: Molecular features of adipose tissue
[19] 논문 Developing drugs that target the Wnt pathway: Recent approaches in cancer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20] 논문 Cancer subtypes in aetiological research https://researchonli[...]
[21] 간행물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MPE): Overview of its paradigm and wide applicability even without tumor tissue
[22] 논문 The role of epidemiology in the era of molecular epidemiology and genomics: Summary of the 2013 AJE-sponsored Society of Epidemiologic Research Symposium
[23] 논문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International Molecular Cancer Prevention Research: An ASPO Molecular Epidemiology and the Environment and International Cancer Prevention Interest Groups Report
[24] 논문 Aspirin use and risk of colorectal cancer according to cyclooxygenase-2 expression
[25] 논문 Aspirin use and survival after diagnosis of colorectal cancer
[26] 논문 Association of CTNNB1 (β-catenin) alterations, body mass index, and physical activity with survival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27] 논문 Tumor microenvironment contributes to innate RAF-inhibitor resistance through HGF secretion
[28] 논문 Aspirin use and colorectal cancer incidence risk according to BRAF mutation status
[29] 논문 Predictive and prognostic analysis of PIK3CA mutation in stage III colon cancer intergroup trial
[30] 논문 Restriction of intestinal stem cell expansion and the regenerative response by YAP
[31] 논문 Aspirin and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in relation to the expression of 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 (HPGD)
[32] 논문 Dietary patterns and risk of colorectal cancer subtypes classified by Fusobacterium nucleatum in tumor tissue
[33] 논문 Aspirin use and colorectal cancer survival according to tumor CD274 (programmed cell death 1 ligand 1) expression status
[36] 논문 Lifestyle factors and colorectal cancer microsatellite instability –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science, based on unique tumour principle
[37] 논문 How many molecular subtypes? Implications of the unique tumor principle in personalized medicine
[38] 논문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of epigenetics: emerging integrative science to analyze environment, host, and disease
[39] 논문 one size does not fit all
[40] 논문 Discovery of colorectal cancer PIK3CA mutation as potential predictive biomarker: power and promise of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41] 논문 Progress and opportunities in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of colorectal premalignant lesions
[42] 논문 Aspirin use, tumor PIK3CA mutation, and colorectal-cancer survival
[43] 논문 Long-term colorectal-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after lower endoscopy
[44] 웹사이트 1st International MPE Meeting https://www.hsph.har[...] 2019-02-26
[45] 웹사이트 Ogino MPE Lab http://ogino-mpe-lab[...]
[46] 논문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MPE) meeting
[47] 논문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MPE) meeting
[48] 논문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MPE) meeting 2019
[49] 논문 Are there two sides to colorectal cancer?
[50] 논문 Two colons-two cancers: Paradigm shift and clinical implications
[51] 논문 One Colon Lumen but Two Organs
[52] 논문 Colorectal cancers choosing sides
[53] 논문 Colorectal cancer: Dichotomous or continuum model? Perhaps, a combination of both: Table 1
[54] 논문 Assessment of colorectal cancer molecular features along bowel subsites challenges the conception of distinct dichotomy of proximal versus distal colorectum
[55] 논문 A nationwide Danish cohort study challenging the categorisation into right-sided and left-sided colon cancer
[56] 논문 Colorectal cancer: Dichotomous or continuum model? Perhaps, a combination of both: Table 1
[57] 논문 Classifying Colorectal Cancer by Tumor Location Rather than Sidedness Highlights a Continuum in Mutation Profiles and Consensus Molecular Subtypes
[58] 논문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of colorectal neoplasia: An emerging trans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field
[59] 논문 How many molecular subtypes? Implications of the unique tumor principle in personalized medicine
[60] 논문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of epigenetics: Emerging integrative science to analyze environment, host and disease
[61] 논문 Etiologic field effect: Reappraisal of the field effect concept in cancer predisposition and progression
[62] 논문 Lifecourse epidemiology and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63] 논문 Integration of pharmacology, molecular pathology, and population data science to support precision gastrointestinal oncology
[64] 논문 The role of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in the study of neoplastic and non-neoplastic diseases in the era of precision medicine
[65]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Influential Scientific Minds 2014 http://thomsonreuter[...] Thomson Reuter
[66] 웹사이트 FASEB Ordinary Committees (July 2020 - June 2021) https://www.faseb.or[...]
[67] 간행물 Accelerating Transdisciplinary Epidemiology of Colorectal Cancer http://grantome.com/[...]
[68] 웹사이트 Highly Cited Researchers 2015 http://highlycited.c[...]
[69] 웹사이트 Archived Lists https://clarivate.co[...]
[70] 웹사이트 Highly Cited Researchers List 2017 https://clarivate.co[...]
[71] 웹사이트 ASIP Outstanding Investigator Award Recipients https://www.asip.org[...] 2021-09-02
[72] 논문 Lifestyle factors and microsatellite instability in colorectal cancer: the evolving field of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editorial]
[73] 논문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MPE) Meeting 2015-05-09
[74] 간행물 日本がん疫学・分子疫学研究会 News Letter Feb 2015, No.111 http://www.aichi-med[...]
[75] 논문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MPE) meeting 2017-01-17
[76] 문서 https://cancerstagin[...]
[77] 논문 NCCN Task Force report: Evaluating the clinical utility of tumor markers in oncology
[78] 논문 Aspirin use and risk of colorectal cancer according to cyclooxygenase-2 expression
[79] 논문 Aspirin use and survival after diagnosis of colorectal cancer
[80] 논문 Association of CTNNB1 (β-catenin) alterations, body mass index, and physical activity with survival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81] 논문 Aspirin use, tumor PIK3CA mutation, and colorectal-cancer survival
[82] 논문 Tumor microenvironment contributes to innate RAF-inhibitor resistance through HGF secretion
[83] 논문 Aspirin use and colorectal cancer incidence risk according to BRAF mutation status
[84] 논문 Long-term colorectal-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after lower endoscopy
[85] 논문 Predictive and prognostic analysis of PIK3CA mutation in stage III colon cancer intergroup trial
[86] 논문 Restriction of intestinal stem cell expansion and the regenerative response by YAP
[87] 논문 Aspirin and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in relation to the expression of 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 (HPGD)
[88] 논문 Lifestyle factors and microsatellite instability in colorectal cancer: the evolving field of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editorial]
[89] 논문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MPE): Overview of its paradigm and wide applicability even without tumor tissue. [abstract]
[90] 논문 The role of epidemiology in the era of molecular epidemiology and genomics: Summary of the 2013 AJE-sponsored Society of Epidemiologic Research Symposium
[91] 논문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International Molecular Cancer Prevention Research: An ASPO Molecular Epidemiology and the Environment and International Cancer Prevention Interest Groups Report
[92] 논문 Colorectal cancer: a tale of two sides or a continuum?
[93] 논문 Are there two sides to colorectal cancer?
[94] 논문 Two colons-two cancers: paradigm shift and clinical implications
[95] 논문 One colon lumen but two organs
[96] 논문 Colorectal cancers choosing sides
[97] 논문 Colorectal cancer: a tale of two sides or a continuum?
[98] 논문 Assessment of colorectal cancer molecular features along bowel subsites challenges the conception of distinct dichotomy of proximal versus distal colorectum
[99] 논문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of colorectal neoplasia: an emerging trans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field
[100] 논문 How many molecular subtypes? Implications of the unique tumor principle in personalized medicine
[101] 논문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of epigenetics: emerging integrative science to analyze environment, host, and disease
[102] 논문 Etiologic field effect: reappraisal of the field effect concept in cancer predisposition and progression
[103] 논문 Lifecourse epidemiology and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104] 논문 Integration of pharmacology, molecular pathology, and population data science to support precision gastrointestinal oncology
[105] 논문 The role of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in the study of neoplastic and non-neoplastic diseases in the era of precision medicine
[106] 웹사이트 https://scholar.goog[...] 2017-12-25
[107] 논문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of colorectal neoplasia: an emerging trans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field
[108] 논문 Cancer immunology – integrated analysis of host and tumor factors for personalized medicine
[109] 논문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o integrate pathology and epidemiology: Towards molecular and population-level health science
[110] 논문 Lifestyle factors and colorectal cancer microsatellite instability –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science, based on unique tumour principle
[111] 논문 How many molecular subtypes? Implications of the unique tumor principle in personalized medicine
[112] 논문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of epigenetics: emerging integrative science to analyze environment, host, and disease
[113] 논문 The merits of subtyping obesity: one size does not fit all
[114] 논문 Discovery of colorectal cancer PIK3CA mutation as potential predictive biomarker: power and promise of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115] 논문 Etiologic field effect: reappraisal of the field effect concept in cancer predisposition and progression
[116] 논문 The role of epidemiology in the era of molecular epidemiology and genomics: Summary of the 2013 AJE-sponsored Society of Epidemiologic Research Symposium
[117] 논문 Progress and opportunities in molecular pathological epidemiology of colorectal premalignant lesions
[118] 문서 현재, 하버드 대학에 있어서 병리학 및 疫學의 양쪽 교원을 역임하는 유일한 인물이다
[119]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Influential Minds:2014 http://thomsonreuter[...] Thomson Reuters 2014-09-05
[120] 웹사이트 http://www.faseb.org[...] 2014-09-15
[121] 웹사이트 http://grantome.com/[...]
[122] 웹사이트 Highly Cited Researchers 2015 http://highlycited.c[...] Thomson Reuters 2015-09-24
[123] 웹사이트 https://clarivate.co[...]
[124] 웹사이트 https://clarivate.co[...]
[125] 웹사이트 http://asip18.asip.o[...]
[126] 웹사이트 http://biomedcircus.[...] 2015-03-12
[127] 웹사이트 http://ogino-mpe-la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