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버헤드 프로젝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밝은 광원과 렌즈를 사용하여 OHP 시트에 담긴 그림이나 텍스트를 스크린에 투영하는 장치이다. 광학 시스템은 투명 필름을 사용하며, 프레넬 렌즈와 거울을 통해 이미지를 반전시켜 스크린에 표시한다. 1940년대 미국 육군 훈련에 도입된 후 학교와 기업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에 3M을 비롯한 여러 회사에서 생산되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액정 프로젝터, 실물화상기, 데이터 프로젝터 등의 등장으로 점차 사용이 줄어들었다.

2. 구조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매우 밝은 광원과 냉각 팬을 내장한 상자 위에 렌즈가 장착된 장치이다. 상자 위에는 암(arm)이 있고, 이 암에 달린 거울이 빛을 반사하여 프로젝션 스크린에 투영한다. OHP 시트를 렌즈 위에 놓으면 광원의 빛이 OHP 시트를 투과하고 반사경에 모여 스크린에 OHP 시트의 내용이 표시된다. 발표자는 OHP 시트에 직접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이는 청중에게 실시간으로 보여진다.[28]

슬라이드 투영 방식과 비교했을 때,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큰 시트를 사용할 수 있고, 밝은 광원 덕분에 어두운 방이 필요 없으며, 시트 내용 추가나 전환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28][29] 또한, 발표자는 청중과 마주 보는 위치에서 직접 그림을 가리키면서 설명할 수 있다.[28]

2. 1. 광학 시스템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슬라이드 프로젝터와 유사한 원리로 작동하지만, 더 큰 투명 필름을 사용하고, 발표자가 읽을 수 있도록 윗면이 위로 향하게 놓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광학 시스템은 거울을 포함하여 수평 방향으로 접히며, 이 거울은 상을 반전시켜 스크린에 투영된 상이 발표자가 보는 상과 일치하도록 한다.[1]

투명 필름이 놓이는 유리판에는 프레넬 렌즈가 위치하거나 그 일부를 구성한다. 프레넬 렌즈는 대부분의 빛을 초점 렌즈를 향해 수렴시키는 집광 렌즈 역할을 한다.[2] 프레넬 렌즈 아래의 거울이나 다른 집광 요소는 전구 출력의 일부를 프레넬 렌즈에 도달하도록 돕는다.

2. 1. 1. 초점 조절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일반적으로 수동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장치는 초점 렌즈(접이식 거울 포함)의 위치를 위아래로 조절하여 대상 거리(슬라이드와 렌즈 사이의 광학적 거리)와 상 거리(프로젝션 스크린까지의 거리)에 맞게 초점을 맞춘다. 초점 렌즈의 고정된 초점거리로 인해 다양한 투사 거리를 사용할 수 있다.

투사 거리를 늘리거나 줄이면 초점 시스템의 배율이 변동하여 사용 중인 프로젝션 스크린에 맞게 조정된다(때로는 방 크기에 맞추기 위해서만 조정될 수도 있다). 투사 거리가 변경되면 선명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 초점을 다시 조정해야 한다.

2. 1. 2. 광원

오버헤드 프로젝터의 램프 기술은 최신 LCD 또는 DLP 비디오 프로젝터에 비해 단순한 편이다. 대부분의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최대 750와트 또는 1000와트를 소비하는 고출력 할로겐 램프를 사용한다.[3] 이때 발생하는 열 때문에 전구가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한 바람을 내는 블로어가 필요하며, 이 블로어는 종종 조명이 꺼진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타이머에 연결되어 있다.

강한 열은 고강도 램프의 수명을 단축시켜 100시간도 채 되지 않아 자주 소손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램프 교체가 빈번하게 필요하며, 이는 프로젝터 소유 비용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기도 한다.[4] 반면, 최신 LCD 또는 DLP 프로젝터는 광 효율이 더 높고 수천 시간 동안 지속되는 초고성능 램프를 사용한다.[5] 다만, 이러한 램프는 예열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구형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그릇 모양의 연마된 반사경 위에 장착된 관형 석영 전구를 사용했다. 램프가 반사경 위와 바깥쪽에 매달려 있었기 때문에 많은 양의 빛이 프로젝터 본체 내부로 흩어져 손실되었다. 따라서 충분한 스크린 조명을 얻기 위해서는 더 높은 출력의 램프가 필요했다. 최신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램프와 원뿔형 반사경을 통합한 조립체를 사용하여 램프를 반사경 깊숙이 배치한다. 이를 통해 더 많은 빛을 프레넬 렌즈로 보내 동일한 밝기의 스크린 조명을 얻는 데 필요한 램프 출력을 낮출 수 있다.

램프와 반사경이 통합된 오버헤드 프로젝터에는 이중 램프 제어 장치가 있어 빠르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장치는 두 개의 램프를 이동식 소켓에 설치하여, 발표 중 하나의 램프가 고장나면 레버를 움직여 예비 램프를 제자리에 넣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프로젝션 장치를 열거나 고장난 전구가 식을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발표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3. 역사

오버헤드 프로젝터(OHP)의 기원은 17세기 아타나시우스 키르허(Athanasius Kircher)의 "스테가노그래픽 거울"과 같은 초기 투영 시스템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키르허는 1645년 저서 ''빛과 그림자의 위대한 예술(Ars Magna Lucis et Umbrae)''에서 오목 거울에 텍스트나 그림을 그려 햇빛을 반사하는 원시적인 투영 시스템을 설명했다.[6] 1654년 벨기에 수학자 앙드레 타케(André Tacquet)는 키르허의 기술을 사용하여 마르티노 마르티니(Martino Martini)의 중국에서 벨기에까지의 여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주었다.[7]

19세기에는 에드몽 베크렐(Edmond Becquerel)이 최초의 오버헤드 프로젝션 장치를 개발하고, 쥘 뒤보스크(Jules Duboscq)가 시연했다. 1857년, 볼티모어(Baltimore) 화가 데이비드 에이치슨 우드워드는 태양 카메라(solar enlarging camera) 특허를 받았다. 이 카메라는 햇빛과 복사 렌즈를 사용하여 작은 네거티브를 큰 사진 감광 용지나 캔버스에 확대했다.[11] 헨리 모튼(Henry Morton)이 설계한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1880년경 "수직 랜턴"으로 판매되었다.[13]

20세기 초, 미국 육군(U.S. Army)은 제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 중 오버헤드 프로젝터를 훈련에 도입했으며,[14] 이후 교육 기관과 기업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15] 미국 육군사관학교(U.S. Military Academy)와 같은 학교에서도 사용되었다.[13] 1952년 4월 ''고등 교육''(Higher Education) 저널은 플라스틱을 응축 렌즈 제조에 적용함으로써 강의 시연 프로젝터의 혁신적인 재설계가 가능해졌다고 언급했다.[16] 1923년 독일에서 개발된 오자라이드(Ozalid (trade mark)) 건식 인쇄 공정은 훈련 문서와 그림을 투영 투명판에 복사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는 현장에서도 쉽게 수행할 수 있고 교육 자료의 균일성을 보장하는 공정이었다.[17][18][19][20]

3. 1. 발전 과정

오자라이드 프린터(Ozalid printer)에 문서를 넣는 작업자


매직 랜턴(magic lantern)과 같은 일부 고대 프로젝터(projector)는 오버헤드 프로젝터의 전신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오버헤드 프로젝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된 것은 스테가노그래픽 거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1853년 프랑스 물리학자 에드몽 베크렐(Edmond Becquerel)은 최초의 오버헤드 프로젝션 장치를 개발했고, 1866년 프랑스의 기계 제작자이자 발명가인 쥘 뒤보스크(Jules Duboscq)에 의해 시연되었다.[10][11]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초기에는 9인치 스테이지 위에 셀로판 롤을 사용하여 경찰 업무에 사용되었는데, 얼굴 특징을 스테이지 위로 굴려 보여줄 수 있었다.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3M(3M)과 같은 회사에서 오버헤드 프로젝터와 투명 필름 기술을 발전시키면서 학교와 기업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21]

1957년, 미국의 보조금(subsidy) 프로그램인 교육 지원 연방법(Federal Aid to Education)은 오버헤드 프로젝터의 판매를 촉진시켰고, 이는 1990년대 후반과 21세기 초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24]

1950년대 후반, 3M(3M)의 로저 애플던은 투명판 투영 공정을 개발하여 최초의 시장성 있는 투명 필름을 만들었다. 3M은 자체 오버헤드 프로젝터를 개발하여 1962년 1월 15일에 저렴하고 접을 수 있는 버전을 선보였다. 이 프로젝터는 새로운 프레넬 렌즈를 사용하여 유리 렌즈보다 훨씬 저렴하면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23]

한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오버헤드 프로젝터가 학교와 기업에 본격적으로 보급되어 교육 및 회의 환경을 변화시켰다.

4. 대안 및 쇠퇴

1980년대 초부터 1990년대까지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교실 컴퓨터 디스플레이/프로젝션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플라스틱 프레임에 장착된 액정 패널을 오버헤드 프로젝터 위에 놓고 컴퓨터의 비디오 출력에 연결했는데, 일반 모니터 출력에서 분리하는 경우가 많았다. LCD 패널 프레임의 냉각 팬은 과열로 인해 이미지가 흐릿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LCD에 냉각 공기를 불어넣었다.[27]

1990년대 중반부터 액정 프로젝터가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실물화상기, 전용 컴퓨터 프로젝션 시스템,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에 의해 서서히 대체되었다.[27][21] 이 시스템들은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리브레오피스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접 자료를 투영할 수 있게 해주며, 애니메이션, 인터랙티브 구성 요소, 비디오 클립 등을 프레젠테이션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컬러 투명 필름을 인쇄하거나 복사할 필요가 없어졌다.[27]

종이 자료나 입체 샘플을 본체 상단의 유리판에 올려놓기만 해도 투영할 수 있는 실물화상기나, 컴퓨터 화면을 스크린이나 벽 등에 비추는 데이터 프로젝터가 도입되면서 오버헤드 프로젝터는 점차 사라져 갔다.[30]

2000년대 이후에는 서화카메라 등을 사용하여 촬영한 원고를 대형 컴퓨터 모니터나 비디오 프로젝터에 비추거나,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등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대체되었다.[31]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의 보급 또한 쇠퇴의 한 원인으로 여겨진다.

5. 팝 문화 참조

2005년 monochrom이라는 그룹이 "사라져가는 미디어"인 오버헤드 프로젝터에 대한 애절한 전자 팝 음악을 만들었다.[32]

참조

[1] 서적 Optics and Lasers: Including Fibers and Optical Waveguid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 서적 Designing Communic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s https://books.google[...] Educational Technology
[3] 서적 Teaching of Social Studies https://books.google[...] PHI Learning
[4] 웹사이트 Classroom Projector Lamp Life Guide https://www.outdoorm[...] 2019-07-10
[5] 논문 UHP lamp systems for projection applications https://www.research[...]
[6] 서적 Ars Magna Lucis et Umbrae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De zeventiende eeuw. Jaargang 10 http://www.dbnl.org/[...]
[8] 서적 Photography, essays & images : illustrated readings in the history of photography https://www.worldcat[...] Museum of Modern Art 1980
[9] 간행물 Pioneers of photography : their achiev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SPSE--The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 [Boston, Mass.] : Distributed by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1987
[10] 논문 Projection Apparatus for Science in Late Nineteenth Century America
[11] 서적 Encyclopedia of Nineteenth-Century Photogra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 뉴스 Liverpool Mercury 1859-05-25
[13] 웹사이트 Overhead Projectors http://americanhisto[...] 2012-04-03
[14] 논문 The Projection of Chemical Lecture Experiments onto the Screen 1940-05
[15] 잡지 Honeywell uses overhead projection Business Screen Magazine 1951-11
[16] 잡지 New developments in audio-visual materials Higher Education 1952-04-01
[17] 간행물 Local Preparation of Training Aids Naval Training Bulletin 1949-03
[18] 간행물 Local Preparation of Training Aids Naval Training Bulletin 1949-07
[19] 간행물 Transparencies made to order Naval Training Bulletin 1951-07
[20] 간행물 Local Preparations – 20th Century Naval Training Bulletin 1951-07
[21]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classroom tech, from wax tablets to the iPad https://www.pcworld.[...] 2013-08-26
[22] 웹사이트 Kodak Carousel Projectors Revolutionized the Lecture https://edtechmagazi[...] 2016-09-26
[23] 서적 A Century of Innovation: the 3M Story http://multimedia.3m[...] 3M
[24] 서적 PowerPoint, Communication, and the Knowledge Socie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The pedagogic perfection of the overhead projector – and why interactive whiteboards alone won't ever match it' https://www.tes.com/[...] 2017-03-06
[26] 논문 Use of Over Head Projector for teaching and learning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skills to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 http://jermt.org/wp-[...] 2015
[27] 서적 Science: Teaching School Subjects 11-19 https://books.google[...] Routledge
[28] 서적 実践工業科教育法 東京電機大学出版局
[29] 서적 実践工業科教育法 東京電機大学出版局
[30] 웹사이트 プロジェクターのさらなる発展を期待 https://annex.jsap.o[...] 日本光学会 2022-09-02
[31] 웹사이트 「マッチを使える子どもが激減」アルコールランプが学校から消えた衝撃の理由 https://times.abema.[...] 2020-08-16
[32] 웹사이트 FAREWELL TO OVERHEAD http://www.monochr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