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구드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구드역은 캐나다 토론토 지하철 1호선 영-유니버시티 노선에 있는 역이다. 1963년 개통 당시 비트로라이트 타일로 마감되었으나, 1970년대에 지하 수위 문제로 인해 타일이 슬랫과 세라믹 타일로 교체되었다. 2006년 포 시즌스 센터 건설과 함께 엘리베이터를 갖춘 새로운 입구가 추가되어 2007년부터 완전한 접근성을 확보했다. 온타리오선이 건설될 예정이며, 주변에는 포 시즌스 센터, 토론토 시청 등이 위치해 있다. 퀸 노면 전차 노선과 연결된다.

2. 역사 및 건설

오스구드역 콘코스


오스구드역은 아일랜드식 승강장을 갖추고 개착식 공법으로 건설되었다. 역 남쪽 끝에는 남행 열차의 방향 전환을 위한 포켓 트랙이 설치되어 있다.[2] 건설 당시 미래의 퀸 스트리트 지하철 계획을 염두에 두고 일부 준비 작업이 이루어졌으나, 실제 건설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개통 초기에는 세인트 앤드류 역과 유사하게 비트로라이트 타일로 벽면을 마감했으나,[3] 높은 지하 수위로 인한 타일 균열 문제로 1970년대에 대부분 교체되었다. 2016년에는 원래 디자인을 연상시키는 패널로 다시 변경되었다.[4]

초기 역 입구는 온타리오주 상위 법원 건물인 오스구드 홀을 상징하는 '정의의 저울' 문양이 새겨진 독특한 디자인이었으나, 이후 일반적인 TTC 스타일로 바뀌었다. 2006년 포 시즌스 센터 건설과 함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새로운 입구가 생겼고, 2007년부터는 승강장까지 엘리베이터가 연결되어 완전히 접근 가능한 역이 되었다.[5]

입구 계단 우물의 원래 디자인

2. 1. 초기 역사



오스구드역은 아일랜드식 승강장을 가지고 있으며, 개착식 공법을 사용하여 건설되었다. 역의 남쪽 끝에는 남행 열차가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포켓 트랙이 있다.[2]

오스구드역 건설 당시, 미래에 계획되었지만 건설되지 않은 퀸 스트리트 지하철의 "로어 오스구드(Lower Osgoode)"역을 위해 일부 유틸리티 라인이 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전되었지만, 로어 퀸과는 달리 실제 건설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스구드역은 개통 당시 세인트 앤드류 역과 마찬가지로 벽면에 비트로라이트 타일을 사용했다.[3] 역의 높은 지하 수위로 인해 타일에 균열이 발생하자, TTC(토론토 교통국)는 1970년대에 트랙 반대편 외벽의 타일 대부분을 수직 슬랫으로 덮고, 승강장 구조 요소에는 세라믹 타일을 덧붙였다. 2016년에는 외벽의 슬랫이 원래 디자인을 연상시키는 오프 화이트 패널로 교체되었다.[4]

초기 역 입구는 보도에서 바로 이어지는 개방형 계단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입구 위 상인방 패널에는 온타리오주 상위 법원 건물인 오스구드 홀을 상징하는 정의의 저울 문양이 새겨져 있었다. 이후 개조 공사를 거치면서 이 독특한 상징은 일반적인 TTC 스타일로 변경되었다. 2006년 포 시즌스 센터가 건설되면서 콘코스 층까지 엘리베이터로 접근할 수 있는 새 입구가 만들어졌다. 이후 요금 구역 내 승강장까지 엘리베이터가 추가로 설치되어, 2007년부터는 역 전체 시설을 교통약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5] 2008년 계획에 따르면, 포 시즌스 센터(오페라 하우스) 설계를 맡았던 다이아몬드 앤 슈미트 건축가가 교차로의 나머지 세 모퉁이에도 기존 입구와 조화를 이루는 지붕 있는 입구를 설계하기로 했다.[6]

2. 2. 건설 과정의 특징



오스구드역은 아일랜드식 승강장 구조이며, 개착식 공법으로 건설되었다. 역 남쪽 끝에는 남행 열차가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포켓 트랙이 설치되어 있다.[2]

건설 당시, 미래에 계획되었으나 실현되지 않은 퀸 스트리트 지하철의 "로어 오스구드(Lower Osgoode)"역 건설을 대비하여 일부 시설 라인이 역에서 떨어진 곳으로 미리 옮겨졌다. 하지만 로어 퀸 역과 달리 실제 건설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개통 당시 오스구드역은 세인트 앤드류 역처럼 벽면에 비트로라이트 타일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었다.[3] 그러나 역 주변의 높은 지하 수위로 인해 타일에 균열이 발생하자, 1970년대 TTC(토론토 교통국)는 대부분의 타일을 트랙 반대편 외벽을 따라 수직 슬랫으로 덮고, 승강장 구조물에는 세라믹 타일을 덧붙였다. 2016년에는 외벽의 슬랫을 원래 디자인과 유사한 느낌의 오프 화이트 색상 패널로 교체했다.[4]

초기 역 입구는 모두 보도에서 바로 이어지는 개방형 계단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입구 위 상인방 패널에는 온타리오주 상위 법원 건물인 오스구드 홀을 상징하는 정의의 저울 문양이 새겨져 있었다. 이후 개보수를 거치면서 이 독특한 상징 대신 일반적인 TTC 스타일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2006년에는 포 시즌스 센터 건설과 연계하여 콘코스 층까지 엘리베이터로 접근 가능한 새로운 입구가 만들어졌다. 요금 지불 구역 내에서 승강장까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도 함께 설치되어, 2007년부터 역은 장애인 등 교통약자도 완전히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5] 2008년 계획에 따르면, 포 시즌스 센터 설계를 맡았던 다이아몬드 앤 슈미트 건축가가 교차로의 나머지 세 모퉁이에도 기존 입구와 조화를 이루는 지붕이 있는 입구를 설계할 예정이었다.[6]

'''입구 변화'''

2. 3. 최근의 변화



오스구드역은 개통 당시 세인트 앤드류 역과 마찬가지로 벽면에 비트로라이트 타일을 사용했다.[3] 그러나 역의 높은 지하 수위로 인해 타일에 균열이 생기자, TTC는 1970년대에 대부분의 타일을 선로 맞은편 벽을 따라 수직 슬랫으로 덮고, 승강장 구조 요소에는 세라믹 타일을 덧붙였다. 2016년에는 이 외벽 슬랫을 원래 디자인과 유사한 느낌을 주는 오프 화이트 색상의 패널로 교체하였다.[4]

역의 초기 입구는 모두 보도에서 바로 이어지는 개방형 계단 형태였으며, 입구 위 상인방 패널에는 인근의 온타리오주 상위 법원 건물인 오스구드 홀을 상징하는 정의의 저울 무늬가 새겨져 있었다. 하지만 이후 진행된 개조 공사를 통해 이 독특한 상징은 사라지고 일반적인 TTC 스타일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2006년에는 포 시즌스 센터 건설과 연계하여 콘코스 층까지 엘리베이터로 접근 가능한 새로운 입구가 설치되었다. 이와 함께 요금 구역 내에서 승강장까지 이어지는 엘리베이터도 설치되어, 2007년부터 오스구드역은 완전히 접근 가능한 역이 되었다.[5] 2008년에는 오페라 하우스 설계를 맡았던 다이아몬드 앤 슈미트 건축가가 교차로의 나머지 세 모퉁이에도 새로운 디자인의 지붕 있는 입구를 설계할 계획을 세웠다.[6]

3. 역 구조

오스구드역은 토론토 지하철 영-유니버시티 선에 위치한 지하역이다. 역 내부는 승객들이 열차를 이용하는 승강장 층과 개찰구 및 역무 시설 등이 있는 콘코스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출입구

역으로의 입구는 모두 보도에서 열린 계단 형태로 건설되었다. 초기에는 상인방 위의 패널에 정의의 저울이 새겨져 있었는데, 이는 근처의 온타리오주 상위 법원인 오스구드 홀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후 진행된 개조 공사로 인해 이 독특한 상징은 사라지고 일반적인 토론토 교통국(TTC) 스타일로 변경되었다.

2006년에는 포 시즌스 센터 건설과 연계하여 콘코스 층까지 엘리베이터로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입구가 만들어졌다. 또한 요금 지불 구역 내에서 승강장 층까지 이어지는 엘리베이터도 설치되어, 2007년부터 오스구드역은 장애인 등 교통 약자도 완전히 이용 가능한 역이 되었다.[5] 2008년 계획에 따르면, 포 시즌스 센터(오페라 하우스) 설계를 담당했던 다이아몬드 앤 슈미트 건축가가 교차로의 나머지 세 모퉁이에도 기존 입구와 조화를 이루는 지붕 있는 입구를 설계할 예정이었다.[6]

4. 미래

메트로링스온타리오선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이 노선은 1호선 영-유니버시티의 남쪽 순환선과 2호선 블로어-댄포스의 동쪽 구간을 연결하며, 북쪽으로는 사이언스 센터역까지 연장되어 5호선 에글린턴과 환승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온타리오선의 선호 경로는 사이언스 센터에서 전시회장까지이며, 오스구드역 역시 이 새로운 노선에 포함될 계획이다. 온타리오선은 현재 오스구드역보다 더 깊은 지하 암반층에 건설될 예정이다.[7]

5. 인접한 역

wikitext


6. 주변 지역

주변 랜드마크로는 공연 예술을 위한 포 시즌스 센터, 토론토 시청, 네이선 필립스 광장, 오스구드 홀, 남아프리카 전쟁 기념비, 299 퀸 스트리트 웨스트, 캐나다 라이프 빌딩 및 미국 영사관 등이 있다.

7. 대중교통 연결편

오스구드역에서 연결되는 지상 교통편으로 환승하려면 역 밖에 있는 정류장에서 탑승해야 하며, 이때 프레스토 카드나 환승 표 등 요금을 지불했다는 증명이 필요하다.

7. 1. 버스 및 노면 전차

오스구드역에서 연결되는 지상 교통편은 아래와 같다. 지하철에서 버스 또는 노면 전차로 갈아타려면 역 밖에 있는 정류장에서 탑승해야 하며, 이때 프레스토 카드 또는 환승 표 등 출발 지점에서 요금을 냈다는 증명이 필요하다.

노선 번호노선명구분동쪽 종점서쪽 종점비고
301퀸 (Queen)심야 노면 전차네빌파크 루프롱브랜치역퀸 스트리트 경유
501퀸 (Queen)상시 노면 전차네빌파크 루프롱브랜치역퀸 스트리트 경유


참조

[1] 웹사이트 Wi-fi Now Available At http://www.tconnect.[...] TCONNECT 2015-01-08
[2] 뉴스 "It's a miracle': How two TTC subway trains came within seconds of a disastrous collision" https://www.thestar.[...] 2021-06-04
[3] 웹사이트 The University Subway – Under Construction – Transit Toronto – Content https://transittoron[...] 2023-04-24
[4] 웹사이트 Gordon on Instagram: "Before and after. Osgoode station. #toronto #TTC #beforeandafter #Osgoode #subway #oldandnew " https://www.instagra[...]
[5] 웹사이트 Installation Of Elevators At Osgoode Station http://www.transitst[...] 2009-12-30
[6] 웹사이트 Retrofit Of Subway/Srt Open Stairway Entrances http://www.ttc.ca/po[...] 2009-12-30
[7] 웹사이트 The Ontario Line – Neighbourhood Updates – Downtown https://www.metrolin[...] 2020-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