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솔새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솔새류는 명금류에 속하는 조류 분류군으로, 과거에는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내 아과로 여겨졌으나, 분자 유전학 연구를 통해 Pardalotidae와 자매 분류군임이 밝혀졌다. 이들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인도네시아, 뉴기니 등 남서 태평양 지역에 분포하며, 곤충을 주로 먹지만 일부는 씨앗이나 과일을 섭취한다. 대부분의 종은 육상성이며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살아가며, 일부 종에서는 협동 번식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종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지만, 로드하우솔새는 멸종되었고, 노퍽섬솔새는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스트레일리아솔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Acanthizidae |
명명자 | 보나파르트, 1854 |
크기 | 8 ~ 19cm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하강 | 신악하강 |
상목 | 신조류 |
목 | 참새목 |
아목 | 명금류 |
상과 | 꿀빨기새상과 |
과 | 가시부리새과 (Acanthizidae) |
속 | |
속 목록 | 안나이드리속 (Pycnoptilus) 메지로야부무시クイ속 (Acanthornis) 이와무시クイ속 (Origma) Calamanthus Pyrrholaemus 시다무시クイ속 (Oreoscopus) Crateroscelis 야부무시クイ속 (Sericornis) 코바시무시クイ (Smicrornis) 센뇨무시クイ속 (Gerygone) 가시부리새속 (Acanthiza) 카오지로무시クイ속 (Aphelocephala) 킨가오모즈가라속 (Pachycare) |
2. 분류
시블리-알퀴스트 분류 (1990)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솔새류를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내의 아과(Acanthizinae)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이후 진행된 분자 유전학 연구들은 이러한 분류를 지지하지 않는다.[3]
최근의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 결과들은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Acanthizidae)의 분류학적 위치를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2019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는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인 보석새과(Pardalotidae)와 자매 분류군 관계에 있다.[3] 이는 Gerdner 등 (2010)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는데,[9] 이 연구들은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와 보석새과가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하고, 이 그룹은 다시 꿀빨기새과(Meliphagidae)와 자매 관계를 이룬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수염솔새과(Dasyornithidae), 요정굴뚝새과(Maluridae) 등과 함께 꿀빨기새상과(Meliphagoidea) 내에서 단계적으로 분기된 것으로 나타났다.[9][12]
분류 체계 변경의 예로 금눈모즈새(''Pachycare flavogriseum'')가 있다. 이 종은 과거 모즈히타키과(Pachycephalidae) 또는 오스트레일리아울새과(Petroicidae)로 분류되었으나, 연구를 통해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로 재분류되었다.[10]
과거 Sibley & Ahlquist (1990)는 오스트레일리아솔새아과(Acanthizinae)를 덤불솔새족(Sericornithini)과 오스트레일리아솔새족(Acanthizini)으로 나누기도 했으나, 현재 이들 족 또는 아과는 다계통군으로 여겨진다.
2. 1. 하위 속
1999년 쇼데(Schodde)와 메이슨(Mason)의 분류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는 2개 아과, 14개 속, 63종, 196개 분류군으로 이루어진다.- Sericornithinae 아과
- ''Pycnoptilus''
- ''Origma''
- ''Oreoscopus''
- ''Crateroscelis'' - 3종
- ''Sericornis'' - 13종
- ''Acanthornis''
- ''Hylacola'' - 2종
- ''Calamanthus'' - 2종
- ''Pyrrholaemus'' - 2종
- Acanthizinae 아과
- ''Smicrornis''
- ''Gerygone'' - 19종
- ''Acanthiza'' - 13종
- ''Aphelocephala'' - 3종
다른 분류 체계에서는 15개 속에 67종을 포함하기도 한다.[4]
- ''넓적부리솔새속'' (Pachycare) – 금면조 (Goldenface, ''Pachycare flavogriseum'')
- ''오레오스코푸스속'' (Oreoscopus) – 고사리솔새 (Fernwren, ''Oreoscopus gutturalis'')
- ''가시새속'' (Acanthornis) – 스크럽티트 (Scrubtit, ''Acanthornis magna'')
- ''작은부리솔새속'' (Smicrornis) – 위빌 (Weebill, ''Smicrornis brevirostris'')
- ''갈대밭솔새속'' (Calamanthus) – 들솔새 (Fieldwrens) (3종)
- ''힐라콜라속'' (Hylacola) – 히스솔새 (Heathwrens) (2종)
- ''파일로트새속'' (Pycnoptilus) – 파일럿버드 (Pilotbird, ''Pycnoptilus floccosus'')
- ''붉은목솔새속'' (Pyrrholaemus) – 레드스로트와 얼룩솔새 (Speckled Warbler) (2종)
- ''오리가마속'' (Origma) – 록워블러와 두 종의 마우스워블러 (Mouse-Warblers) (3종)
- ''네오세리코르니스속'' (Neosericornis) – 노란목스크럽솔새 (Yellow-throated Scrubwren, ''Neosericornis citreogularis'')
- ''에토미아스속'' (Aethomyias) – 스크럽솔새와 이색마우스워블러 (Bicoloured Mouse-warbler) (6종)
- ''세리코르니스속'' (Sericornis) – 스크럽솔새 (Scrubwrens) (8종)
- ''게리곤속'' (Gerygone) – 게리곤 (20종, 멸종된 1종 포함)
- ''가시덤불솔새속'' (Acanthiza) – 쏜빌 (Thornbills) (14종)
- ''아펠로케팔라속'' (Aphelocephala) – 화이트페이스 (Whitefaces) (3종)
국제 조류 학회 (IOC)는 현존하는 속과 종을 확인했으며,[11] 현재 13속 64종이 인정된다.
- ''Pycnoptilus''
- ''Pycnoptilus floccosus'', Pilotbird, 파일럿새
- ''Acanthornis''
- ''Acanthornis magnus'', Scrubtit, 메지로야부무시쿠이
- ''Origma''
- ''Origma solitaria'', Rockwarbler, 이와무시쿠이
- ''Calamanthus'' (''Hylacola'' 포함)
- ''Calamanthus pyrrhopygius'', Chestnut-rumped Heathwren, 코시아카아레치무시쿠이 (''H. pyrrhopygia'', Chestnut‐rumped Hylacola)
- ''Calamanthus cautus'', Shy Heathwren, 오구로아레치무시쿠이 (''H. cautus'', Shy Hylacola)
- ''Calamanthus fuliginosus'', Striated Fieldwren, 키바라노하람시쿠이 (Striated Calamanthus)
- ''Calamanthus montanellus'', Western Fieldwren
- ''Calamanthus campestris'', Rufous Fieldwren, 노하라무시쿠이 (Rufous Calamanthus)
- ''Pyrrholaemus'' (''Chthonicola'' 포함)
- ''Pyrrholaemus brunneus'', Redthroat, 노도아카아레치무시쿠이
- ''Pyrrholaemus sagittatus'', Speckled Warbler, 타테후무시쿠이 (''C. sagittatus'')
- ''Oreoscopus''
- ''Oreoscopus gutturalis'', Fernwren, 시다무시쿠이
- ''Crateroscelis''
- ''Crateroscelis murina'', Rusty Mouse‐warbler, 네즈미무시쿠이
- ''Crateroscelis nigrorufa'', Bicolored Mouse‐warbler, 미야마네즈미무시쿠이
- ''Crateroscelis robusta'', Mountain Mouse‐warbler, 야마네즈미무시쿠이
- ''Sericornis'' 야부무시쿠이속
- ''Sericornis spilodera'', Pale‐billed Scrubwren, 하시지로야부무시쿠이
- ''Sericornis papuensis'', Papuan Scrubwren, 파푸아야부무시쿠이
- ''Sericornis keri'', Atherton Scrubwren, 메구로야부무시쿠이
- ''Sericornis frontalis'', White‐browed Scrubwren, 마미지로야부무시쿠이
- ''Sericornis humilis'', Tasmanian Scrubwren, 크리이로야부무시쿠이 (Brown Scrubwren; ''S. frontalis'' 에서 분리)
- ''Sericornis citreogularis'', Yellow‐throated Scrubwren, 키노도야부무시쿠이
- ''Sericornis magnirostris'', Large‐billed Scrubwren, 하시나가야부무시쿠이
- ''Sericornis beccarii'', Tropical Scrubwren, 히메야부무시쿠이 (Beccari’s Scrubwren; ''S. magnirostris'' 에서 분리)
- ''Sericornis virgatus'', Perplexing Scrubwren, 아카가오야부무시쿠이 (''S. nouhuysi'' 에서 분리)
- ''Sericornis nouhuysi'', Large Scrubwren, 미야마야부무시쿠이
- ''Sericornis perspicillatus'', Buff‐faced Scrubwren, 키가오야부무시쿠이
- ''Sericornis rufescens'', Vogelkop Scrubwren, 아르파쿠야부무시쿠이
- ''Sericornis arfakianus'', Grey‐green Scrubwren, 코야부무시쿠이
- ''Smicrornis''
- ''Smicrornis brevirostris'', Weebill, 꼬마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속
- ''Gerygone mouki'', Brown Gerygone, 갈색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igata'', Grey Gerygone, 뉴질랜드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modesta'', Norfolk Gerygone, 노퍽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Norfolk Island Gerygone)
- ''Gerygone albofrontata'', Chatham Gerygone, 채텀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Chatham Islands Gerygone)
- ''Gerygone flavolateralis'', Fan‐tailed Gerygone, 뉴칼레도니아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ruficollis'', Brown‐breasted Gerygone, 갈색가슴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sulphurea'', Golden-bellied Gerygone, 말레이시아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dorsalis'', Rufous‐sided Gerygone, 붉은옆구리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levigaster'', Mangrove Gerygone, 맹그로브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inornata'', Plain Gerygone, 티모르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fusca'', Western Gerygone, 서부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tenebrosa'', Dusky Gerygone, 어두운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magnirostris'', Large‐billed Gerygone, 부리큰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hypoxantha'', Biak Gerygone (''G. magnirostris''에서 분리)
- ''Gerygone chrysogaster'', Yellow-bellied Gerygone, 노란배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cinerea'', Ashy Gerygone, 잿빛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Mountain Gerygone)
- ''Gerygone chloronotus'', Green‐backed Gerygone, 녹색등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olivacea'', White-throated Gerygone, 흰목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palpebrosa'', Fairy Gerygone, 검은목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 ''Gerygone insularis'', Lord Howe Island Gerygone, 로드하우센뇨오스트레일리아솔새 (멸종)
- ''Acanthiza'' 가시부리솔새속
- ''Acanthiza katherina'', Mountain Thornbill, 산가시부리솔새
- ''Acanthiza pusilla'', Brown Thornbill, 갈색가시부리솔새
- ''Acanthiza apicalis'', Inland Thornbill
- ''Acanthiza ewingii'', Tasmanian Thornbill, 태즈메이니아 가시부리솔새
- ''Acanthiza murina'', New Guinea Thornbill, 파푸아가시부리솔새 (Papuan Thornbill)
- ''Acanthiza uropygialis'', Chestnut-rumped Thornbill, 밤색엉덩이가시부리솔새
- ''Acanthiza reguloides'', Buff-rumped Thornbill, 엷은색엉덩이가시부리솔새
- ''Acanthiza inornata'', Western Thornbill, 서부 가시부리솔새
- ''Acanthiza iredalei'', Slender-billed Thornbill, 가느다란부리가시부리솔새
- ''Acanthiza chrysorrhoa'', Yellow-rumped Thornbill, 노랑엉덩이가시부리솔새
- ''Acanthiza nana'', Yellow Thornbill, 노랑가시부리솔새
- ''Acanthiza lineata'', Striated Thornbill, 줄무늬가시부리솔새
- ''Acanthiza robustirostris'', Slaty-backed Thornbill, 잿빛등가시부리솔새
- ''Aphelocephala'' 흰얼굴오스트레일리아솔새속
- ''Aphelocephala leucopsis'', Southern Whiteface, 흰얼굴오스트레일리아솔새
- ''Aphelocephala pectoralis'', Chestnut‐breasted Whiteface, 밤색가슴흰얼굴오스트레일리아솔새
- ''Aphelocephala nigricincta'', Banded Whiteface, 띠흰얼굴오스트레일리아솔새
- ''Pachycare''
- ''Pachycare flavogriseum'', Goldenface, 황금얼굴솔새 (キンガオモズガラ|킨가오모즈가라jpn)
3.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명금류 내 참새아목의 계통 분류이다.[12] 이 연구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는 보석새과와 가장 가까운 관계(자매군)를 형성하며, 이 두 과가 이루는 분기군은 꿀빨기새과와 자매군 관계에 있다. 더 나아가 이 그룹은 수염솔새과 및 요정굴뚝새과 등과 단계적으로 유연관계를 맺으며 하나의 큰 분기군을 형성한다.
시블리-알퀴스트 분류 (1990)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솔새류를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내의 아과(''Acanthizinae'')로 분류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의 분자 유전학 연구 결과들은 이러한 분류를 지지하지 않는다. 털부리새를 포함하는 ''Dasyornithidae''는 과거 ''Acanthizidae'' 또는 ''Pardalotidae'' 내의 아과(''Dasyornithinae'')로 간주되거나 독립된 과로 취급되었다(Schodde & Mason 1999).
2019년에 발표된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는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Acanthizidae'')가 보석새과(Pardalotidae)와 자매 분류군 관계에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보석새과는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이다.[3] Gerdner 등의 2010년 연구[9]에 따른 계통수에서도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는 꿀빨기새상과 내에서 보석새과와 가장 가까운 자매군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눈모즈새(''Pachycare'')는 과거 모즈히타키과(Pachycephalidae) 또는 오스트레일리아울새과(Petroicidae)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로 이동되었다.[10] 한편, ''Amalocichla'' 속을 오스트레일리아울새과에서 이동시키려는 제안도 있었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Sibley & Ahlquist (1990)는 당시 오스트레일리아솔새아과(''Acanthizinae'', 현재의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에 해당하며 금눈모즈새 제외)를 덤불솔새족(''Sericornithini'')과 오스트레일리아솔새족(''Acanthizini'')으로 나누었다. 이들을 각각 덤불솔새아과(''Sericornithinae'')와 오스트레일리아솔새아과(''Acanthizinae'')로 승격시키는 분류도 있었으나, 후속 연구 결과 이들 족과 아과는 모두 다계통군으로 밝혀졌다.
4. 생태
대부분의 종은 땅 위에서 생활하며 주로 곤충을 먹지만, 일부는 씨앗을 먹기도 한다. 특히 화이트페이스는 많은 양의 씨앗을 먹으며, 다른 종은 과일을 먹기도 한다. 수액을 빨아먹는 곤충의 분비물이나 곤충 자체를 먹는 것도 일부 종에게서 관찰된다. 위빌처럼 나무 꼭대기에서 먹이를 찾거나, 바위울새처럼 바위에 서식하여 땅 위 생활을 덜 하는 종도 있다.
열대 우림에 사는 종은 한 번에 1~2개의 알을 낳고, 사막이나 태즈메이니아에 사는 종은 3~4개의 알을 낳는다. 아칸시자과의 포란 기간은 매우 길어, 까마귀과와 같은 큰 참새류와 비슷한 수준인데, 이는 작은 참새류로서는 이례적인 특징이다.[5] 또한, 포란 기간이 긴데도 불구하고 알은 거의 동시에 부화하며, 먼저 부화한 새끼 때문에 다른 새끼가 죽는 일은 없다. 아칸시자과에 속하는 새들은 비교적 오래 사는 편으로, 많은 종이 야생에서 10년 이상 생존한다.[6]
협동 번식은 위빌에게서 나타나며, 모든 화이트페이스 종과 대부분의 세리코르니스속 및 아칸시자속 종에서도 덜 발달된 형태로나마 관찰된다.[7][8]
5. 분포
오스트레일리아솔새류는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및 남서 태평양 지역에 서식한다. 가장 다양한 종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되며, 35종이 고유종이다. 뉴기니에는 15종이 서식한다. 바누아투, 누벨칼레도니, 솔로몬 제도에 각각 1종이 서식하며, 뉴질랜드 지역에는 채텀 제도와 노퍽 섬의 고유종을 포함하여 3종이 더 서식한다. 아시아에서는 2종이 인도네시아에만 서식하며, 다른 1종은 필리핀과 아시아 본토에서 발견된다. 대부분의 종은 정착 생활을 하며, 섬개개비속을 제외하고는 이동하지 않는다. 이 과는 열대 우림에서 건조 지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식지에 분포한다.
6. 보존
대부분의 분류군은 관심 필요 없음으로 분류된다. 로드하우솔새는 1930년대 초 검은쥐의 포식으로 멸종되었다. 노퍽섬솔새는 취약종이며 밤색가슴흰얼굴은 거의 위협받는 종이다.
참조
[1]
서적
Notes Ornithologiques sur les Collections Rapportées en 1853, par M.A. Delattre, de son Voyage en Californie et dans le Nicaragua [et Classification Parallélique des Passereaux Chanteurs]
Mallet-Bachelier
[2]
웹사이트
Family ACANTHIZIDAE Bonaparte, 1854
https://biodiversity[...]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Climate Change, Energy, the Environment and Water
2015-01-05
[3]
논문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4]
웹사이트
Bristlebirds, pardalotes, Australasian warbler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7
[5]
간행물
"Sibling competition, hatching asynchrony, incubation period, and lifespan in altricial birds"
Current Ornithology
[6]
서적
Encyclopaedia of Animals: Birds
Merehurst Press
[7]
간행물
"Life In the Slow Lane: Reproductive Life History of the White-Browed Scrubwren, An Australian Endemic"
[8]
웹사이트
"Old endemics and new invaders: alternative strategies of passerines for living in the Australian environment"
http://www.tau.ac.il[...]
[9]
간행물
Phylogeny and evolution of the Meliphagoidea, the largest radiation of Australasian songbirds
[10]
간행물
Relationships of the New Guinean songbird genera Amalocichla and Pachycar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sequences
[11]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version 2.5)
http://www.worldbird[...]
[12]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