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하마나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하마나호는 1989년 일본에서 건조된 연락선이자 카페리이다. 일본에서 페리 아케보노라는 이름으로 운항하다가, 2003년 청해진해운에 도입되어 인천-제주 항로에 투입되었다. 선박 구조는 전통 선루 갑판형이며, 2014년 기준 여객 정원은 937명, 화물 적재량은 컨테이너 180개였다. 2011년과 2013년 엔진 고장으로 표류하는 사고가 있었으며, 1996년에는 가고시마항 방파제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후 외국으로 매각되어 2018년 방글라데시에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여객선 - 세월호
세월호는 1994년 일본에서 건조되어 대한민국 청해진해운에 도입된 여객선으로, 2014년 전라남도 진도군 해상에서 침몰하여 대규모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으며, 2017년 인양되어 목포신항에 거치되어 있다. - 1989년 선박 - PCC-772 천안
PCC-772 천안은 대한민국 해군의 포항급 초계함으로, 대잠 작전을 주 임무로 하였으며 1999년 제1연평해전에 참전했으나 2010년 백령도 해상에서 침몰하여 46명의 해군 장병이 전사했고 현재는 박물관 배로 전시 중이다. - 1989년 선박 - PCC-778 속초
PCC-778 속초는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으로, 하푼 미사일 등 다양한 무장을 탑재하여 대함전력 증강과 해상 방어 능력 향상에 기여했으며, 1980년대 북한 해군 위협에 대응하고 대잠 작전에도 활용되었다. - 일본의 배 - 메이코마루
메이코마루는 1861년 영국에서 건조된 철제 스크루선으로, 기슈 번이 매입 후 남북 전쟁 봉쇄 돌파선, 조슈 정벌, 화객선 등으로 사용되다 이로하마루와 충돌 후 스마우라 마루로 개명되었으나 야마시로 마루와 충돌하여 침몰, 현재 복원되어 일본 해상자위대에 보존되어 있다. - 일본의 배 - 이네노후나야
일본 교토부 이네정의 이네노후나야는 어업 중심으로 발전한 독특한 해안 마을로, 1층은 배 보관, 2층은 주거 공간인 전통 가옥 "후나야"가 특징이며 아름다운 경관으로 관광 상품으로 활용되지만 관광객 증가, 고령화, 빈집 문제 등 과제에 직면해 있다.
오하마나호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페리 아케보노 (초대) |
로마자 표기 | Peri Akeobono (chodae) |
선종 | 페리 |
선적 | (1989-2003) (2003-2014) (2015-2018) |
소유자 | 오시마 운수 (1989-2003) 청해진해운 (2003-2014) |
운영자 | 오시마 운수 (1989-2003) 청해진해운 (2003-2014) |
건조 조선소 | 미쓰비시 중공업 시모노세키 조선소 (제928번 선박) |
모항 | 해당 없음 |
자매선 | 해당 없음 |
건조 비용 | 해당 없음 |
항행 구역 | 근해 구역 (비국제) |
선급 | JG (제2종 선박) |
신호 부호 | 해당 없음 |
IMO 번호 | 8905373 |
MMSI 번호 | 해당 없음 |
개명 | 오하마나 |
발주 | 해당 없음 |
기공 | 1988년 5월 15일 |
진수 | 1989년 6월 22일 |
준공 | 1989년 9월 27일 |
취항 | 1989년 9월 |
처녀 항해 | 해당 없음 |
운항 종료 | 2003년 2월 |
최종 항해 | 해당 없음 |
퇴역 | 2018년 4월 18일 |
은퇴 | 해당 없음 |
제적 | 해당 없음 |
최종 상태 | 2018년 4월 18일 해체 |
현재 상태 | 해당 없음 |
비고 | 해당 없음 |
선박 제원 | |
톤수 | 해당 없음 |
총 톤수 | 6,466 톤 |
재화 중량 톤수 | 4,425 톤 |
배수량 | 해당 없음 |
길이 | 해당 없음 |
전체 길이 | 141.50 m |
등록 길이 | 해당 없음 |
수선간 길이 | 130.00 m |
폭 | 해당 없음 |
형폭 | 22.00 m |
전체 폭 | 해당 없음 |
깊이 | 해당 없음 |
등록 깊이 | 해당 없음 |
형심 | 7.60 m |
높이 | 해당 없음 |
흘수 | 해당 없음 |
만재 흘수 | 6.20 m |
갑판 수 | 해당 없음 |
기관 및 성능 | |
기관 | 디젤 |
보일러 | 해당 없음 |
주 엔진 | NKK-필스틱 12PC2-6V 2기 |
추진기 | 5엽 2축 |
최대 출력 | "18,000 PS" (연속) |
정격 출력 | "16,200 PS" (상용) |
최대 속력 | "23.70 노트" (시운전 최대) |
항해 속력 | 21.0 노트 |
항속 거리 | 2,700 해리 |
수용 능력 | |
여객 정원 | 695 명 |
승무원 | 37 명 |
컨테이너 적재량 | 10피트 컨테이너 261개 |
차량 탑재량 | 8톤 트럭 48대, 소형차 73대 |
기타 정보 | |
RORO선 | 여객·화물 겸용선 (RoPax) |
컨테이너 수송 능력 | 180개 |
승용차 수송 능력 | 50대 |
5톤 트럭 수송 능력 | 50대 |
2. 제작 및 도입
1989년 9월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 시모노세키 조선소에서 건조한 연락선이자 카페리이다. 건조 후 일본 오시마 운수(현 마루에이 페리)에서 페리 아케보노/フェリーあけぼの일본어라는 이름으로 가고시마시~오키나와현 나하시 사이를 2003년 2월까지 운항하였다.[2] 2003년 3월, 청해진해운에서 인천~제주 사이를 운항하기 위해 오하마나호를 들여왔다.[2] 오시마 운수는 마루에이 페리로 사명을 변경한 후 새 배를 들여와 2008년 6월에 2대 페리 아케보노 호를 가고시마~나하 항로에 취항시켰다. 오하마나호의 명칭 유래는 동남 방언으로, '아니 벌써'라는 뜻의 하마나에서 따온 합성어이다.[2] 한동안 외국으로 팔렸다가 2018년 4월 18일 방글라데시 치타공부근 항구에서 해체되면서 현재는 볼수 없게 되었다.[3]
2. 1. 한국 도입
1989년 9월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 시모노세키 조선소에서 건조한 연락선이자 카페리이다. 건조 후 일본 오시마 운수(현 마루에이 페리)에서 '페리 아케보노'(フェリーあけぼの)라는 이름으로 가고시마시~오키나와현 나하시 사이를 2003년 2월까지 운항하였다.[2] 2003년 3월, 청해진해운에서 인천~제주 사이를 운항하기 위해 오하마나호를 들여왔다.[2] 오시마 운수는 마루에이 페리로 사명을 변경한 후 새 배를 들여와 2008년 6월에 2대 페리 아케보노 호를 가고시마~나하 항로에 취항시켰다. 오하마나호의 명칭 유래는 동남 방언으로, '아니 벌써'라는 뜻의 하마나에서 따온 합성어이다.[2] 한동안 외국으로 팔렸다가 2018년 4월 18일 방글라데시 치타공부근 항구에서 해체되면서 현재는 볼수 없게 되었다.[3]2. 2. 퇴역 및 매각
3. 구조 변경
오하마나호의 여객 정원은 2003년 3월 국내 취항 당시 695명에서 2014년 현재 937명으로 35% 증가했다. 화물 수송 능력 또한 컨테이너 적재 한도가 109개에서 180개로 증가했다.[4]
3. 1. 여객 정원 증가
오하마나호의 여객 정원은 2003년 3월 국내 취항 당시 695명에서 2014년 현재 937명으로 35% 증가했다. 화물 수송 능력 또한 컨테이너 적재 한도가 109개에서 180개로 증가했다.[4]3. 2. 화물 수송 능력 증대
오하마나호의 여객 정원은 2003년 3월 국내 취항 당시 695명에서 2014년 현재 35% 증가한 937명으로 늘었다.[4] 화물 수송 능력 또한 컨테이너 적재 한도가 109개에서 180개로 증가했다.[4]4. 선박 구조 및 시설
선형은 전통 선루 갑판형으로, 바우 스러스터, 스턴 스러스터, 핀 안정기를 장비한다. 양현 선미에 램프웨이를 장비하여, 트럭, 승용차 등을 롤 온/롤 오프 방식으로 차량 갑판에 탑재하는 외에, 선수 갑판이 컨테이너 공간이 되어, 컨테이너를 데릭(K-7형 1기, 능력 25톤)에 의한 리프트 온/리프트 오프 방식으로 탑재한다.
오하마나호의 선내 시설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시설 |
---|---|
특등실 | "로열" (양실 2명 × 3실) |
1등실 | "디럭스" (양실 3명 × 4실, 화양실 6명 × 1실, 화실 12명 × 1실) |
2등 침대 | "캐빈 A" (양실 17명 × 1실) |
2등실 | "캐빈" (양실 8명 × 4실, 10명 × 2실, 20명, 18명 각 1실, 화실 48명 × 4실, 49명, 42명, 18명, 28명 각 1실) |
여성 전용 2등실 | "프리지아 룸" (양실 8명 × 4실, 화실 28명 × 1실, 18명 × 1실) |
기타 시설 | 로비, 안내소, 매점, 담화실, 살롱, 카페테리아 레스토랑 "아케보노", 찻집 "스타더스트", 일식 "미야코", 그릴 "오션", 엔트런스 홀, 오락실, 욕실, 게임 코너, 드라이버 룸 (10명), 상우회 객실 (10명) |
프로메나드 데크에는 2등실 "캐빈"(화실 49명 × 1실, 14명 × 2실)과 전망실 "오션 라운지"가 있었다.
4. 1. 선박 구조
선형은 전통 선루 갑판형으로, 바우 스러스터, 스턴 스러스터, 핀 안정기를 장비한다. 양현 선미에 램프웨이를 장비하여, 트럭, 승용차 등을 롤 온/롤 오프 방식으로 차량 갑판에 탑재하는 외에, 선수 갑판이 컨테이너 공간이 되어, 컨테이너를 데릭(K-7형 1기, 능력 25톤)에 의한 리프트 온/리프트 오프 방식으로 탑재한다.4. 2. 선내 시설
오하마나호의 선내 시설은 다음과 같다.구분 | 시설 |
---|---|
특등실 | "로열" (양실 2명 × 3실) |
1등실 | "디럭스" (양실 3명 × 4실, 화양실 6명 × 1실, 화실 12명 × 1실) |
2등 침대 | "캐빈 A" (양실 17명 × 1실) |
2등실 | "캐빈" (양실 8명 × 4실, 10명 × 2실, 20명, 18명 각 1실, 화실 48명 × 4실, 49명, 42명, 18명, 28명 각 1실) |
여성 전용 2등실 | "프리지아 룸" (양실 8명 × 4실, 화실 28명 × 1실, 18명 × 1실) |
기타 시설 | 로비, 안내소, 매점, 담화실, 살롱, 카페테리아 레스토랑 "아케보노", 찻집 "스타더스트", 일식 "미야코", 그릴 "오션", 엔트런스 홀, 오락실, 욕실, 게임 코너, 드라이버 룸 (10명), 상우회 객실 (10명) |
프로메나드 데크에는 2등실 "캐빈"(화실 49명 × 1실, 14명 × 2실)과 전망실 "오션 라운지"가 있었다.
5. 운항 항로
1989년부터 1994년 6월까지 오하마나호와 나미노우에마루 (3대)가, 이후에는 페리 나미노우에 2척이 2일에 1편씩 가고시마항에서 나하항까지 운항하였다. 운항 경로는 가고시마항 신항을 출발하여 아마미오섬(나제항 신항 지구), 도쿠노섬(카메토쿠항), 오키노에라부섬(와도마리항), 요론섬(요론항), 모토부항을 거쳐 나하항 나하 부두에 도착하는 것이었다.
5. 1. 일본 운항 항로 (1989년 ~ 2003년)
1989년부터 1994년 6월까지 오하마나호와 나미노우에마루 (3대)가, 이후에는 페리 나미노우에 2척이 2일에 1편씩 가고시마항에서 나하항까지 운항하였다. 운항 경로는 가고시마항 신항을 출발하여 아마미오섬(나제항 신항 지구), 도쿠노섬(카메토쿠항), 오키노에라부섬(와도마리항), 요론섬(요론항), 모토부항을 거쳐 나하항 나하 부두에 도착하는 것이었다.5. 2. 한국 운항 항로 (2003년 ~ 2014년)
6. 사고 이력
2011년 4월과 2013년 2월 두 차례 바다에서 엔진 고장으로 5시간 동안 표류하여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은 적이 있다.[5][6][7]
1996년7월 31일, 18시 15분경, 가고시마항 신항 지구에 입항하던 중 조류에 밀려 북 방파제의 남동단에 선수를 부딪쳤다. 충돌로 인해 본선은 우현 선수부의 외판에 파공이 생겼고, 북 방파제는 충돌 지점이 일부 손상되었다. 사고 발생 당시에는 대조로 항구 입구 부근에 약 2.7노트의 북쪽으로 흐르는 조류가 있었다. 사고 원인은 조류에 대한 조치가 불충분하여 북 방파제에 압류된 것으로 밝혀졌다.
6. 1. 1996년 방파제 충돌 사고
1996년 7월 31일 18시 15분경, 오하마나호는 가고시마항 신항 지구에 입항하던 중 조류에 밀려 북 방파제의 남동단에 선수를 부딪치는 사고를 겪었다. 이 충돌로 오하마나호는 우현 선수부 외판에 파공이 생겼고, 북 방파제는 충돌 지점이 일부 손상되었다. 사고 당시 대조로 항구 입구 부근에는 약 2.7노트의 북쪽으로 흐르는 조류가 있었다. 사고 원인은 조류에 대한 조치가 불충분하여 북 방파제에 압류된 것으로 밝혀졌다.6. 2. 2011년 엔진 고장
2011년 4월에 엔진 고장으로 5시간 동안 바다 한가운데 멈춰 서 승객들에게 큰 불편을 끼친 바 있다. 오하마나호는 당시 승객 622명을 태우고 인천항을 출항한 지 30분 만에 엔진 고장으로 운항을 중단했다. 여객선은 해상에서 긴급수리를 마친 뒤 5시간여 만에 인천항으로 회항했다.6. 3. 2013년 엔진 고장
2013년 2월 옹진군 대이작도 인근 해상에서 5시간가량 표류했다. 발전기 쪽 연료 필터에 결함이 발생한 것이 원인이었다. 이 사고로 여객선은 도착 예정시간보다 6시간가량 늦게 인천항에 입항했다. 승객 250여 명 중 일부는 환불을 요구했지만 청해진해운은 환불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다며 거부해 승객들이 항의하는 소동이 빚어졌다.참조
[1]
웹사이트
http://tonywheeler.c[...]
[2]
뉴스
'[횡설수설/최영훈]‘사진예술가’ 유병언과 뱁새'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4-05-02
[3]
웹사이트
http://tonywheeler.c[...]
[4]
뉴스
합수부, 구조 변경된 쌍둥이 배도 압수수색
http://www.kihoilbo.[...]
기호일보
2014-04-25
[5]
뉴스
세월호 선사는 여객선 사고 '단골손님'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4-19
[6]
뉴스
"<여객선침몰> 세월호 목포서 181명분 객실 증설"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4-04-17
[7]
웹인용
OHAMANA-8905373-RORO/PASSENGERSHIP
http://maritime-conn[...]
2014-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