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온도조절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온도 조절기는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하는 장치로, 17세기 부화기에서 시작되어 현재 기계식, 전자식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기계식은 바이메탈, 왁스 펠릿 등을 사용하여 직접 제어하고, 전자식은 서미스터나 반도체 소자를 통해 LCD 화면으로 온도 설정 및 시간별 설정을 제공하며, PID 제어기와 적응형 알고리즘을 통해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다. 자동차 엔진 냉각, 가정용 난방/냉방 시스템, 산업 설비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을 위해 프로그래밍 가능한 모델이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치 - 배선도
    배선도는 건물 내 콘센트, 조명, 전기 설비의 위치와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설비의 설치 위치와 종류를 표준 기호로 표시하여 전기 검사 및 안전 점검 시 활용된다.
  • 스위치 - 버튼
    버튼은 다양한 기계 및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산업 현장에서는 안전 장치로 활용되며, 비상 상황에서는 스크램 스위치로 사용되기도 한다.
온도조절기
기본 정보
명칭온도 조절기
로마자 표기ondo jojeolgi
분야자동 제어
용도온도 유지
관련 항목바이메탈
서미스터
열전대
상세 정보
작동 원리온도 변화 감지 및 제어 장치 작동
종류바이메탈식
액체 팽창식
전자식
응용 분야난방 시스템
냉방 시스템
전기 제품
산업 설비
추가 정보
특징설정 온도 유지, 에너지 절약, 자동 작동
주의 사항정확한 온도 설정, 주기적인 점검
관련 표준
관련 표준KS C IEC 60730
UL 873

2. 역사

온도 조절 장치의 가장 초창기 기록은 1620년경 잉글랜드에서 네덜란드 혁신가인 코르넬리우스 드레벨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닭 부화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수은 온도 조절 장치를 발명했다.[6] 이는 최초로 기록된 피드백 제어 장치 중 하나이다.

현대적인 온도 조절 장치는 1830년대 스코틀랜드의 화학자 앤드루 어어에 의해 개발되었다. 당시 섬유 공장들은 최적의 작동을 위해 일정하고 안정적인 온도가 필요했기에 어어는 온도가 상승하면 금속 중 하나가 팽창하면서 구부러져 에너지 공급을 차단하는 바이메탈 온도 조절 장치를 설계했다.[7]

워렌 S. 존슨은 1883년 바이메탈 실내 온도 조절 장치를 특허냈고, 2년 후 최초의 다중 구역 온도 조절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8][9] 앨버트 부츠는 전기 온도 조절 장치를 발명하여 1886년 특허를 받았다.

온도 조절 장치의 최초 산업적 사용 중 하나는 가금류 부화기의 온도 조절이었다. 영국 엔지니어인 찰스 허슨은 1879년 가금류 농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최초의 현대적인 부화기를 설계했다.[10] 1885년 앨버트 부츠는 온도조절기를 발명하였으며, 이는 프로세스 제어 방법의 최초 사례로 알려져 있다. 이 발명은 현재 하니웰(Honeywell)사의 기원이 되었다.[27]

1936년에는 세르기우스 베르네에 의해 왁스 입자의 팽창을 이용한 온도 조절기가 발명되어, 수냉 엔진의 자동차 부품으로서의 서모스탯(내연기관)(Wax thermostatic element)으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3. 종류 및 작동 원리

온도 조절기는 난방 또는 냉방 장치를 켜고 끄거나, 열 전달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여 온도를 유지하는 장치이다. 주변 공기 제어부터 자동차 냉각수 제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곳에서 난방 또는 냉방 시스템의 주요 제어 장치로 사용된다. 건물 난방, 중앙 난방, 에어컨, 주방 장비 (오븐, 냉장고 등), 의료 및 과학 배양기 등 설정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하는 모든 장치 또는 시스템에 사용된다.

온도 조절기는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사용한다. 크게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나눌 수 있다.


  • 기계식 온도 조절기: 바이메탈 스트립을 사용하여 온도 변화를 기계적 변위로 변환, 난방 또는 냉방 장치를 제어한다.
  • 전자식 온도 조절기: 써미스터 또는 기타 반도체 센서를 사용하여 온도 변화를 전자 신호로 처리, 난방 또는 냉방 장비를 제어한다.


기존의 온도 조절기는 "온-오프 제어기" 방식으로 작동한다. 설정값에 도달하면 최대 용량으로 작동하거나 완전히 꺼지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간단하지만, 장비가 설정값을 중심으로 과도하게 빠르게 작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히스테리시스를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온도를 매우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렵고, 1~2°C 정도의 온도 변화가 발생한다.[2] 하지만 압축기와 같은 부품의 경우, 지속적으로 가변적인 용량을 허용하는 더 진보된 장치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3]

온도 조절기는 설정값에 도달하기 약간 전에 난방/냉방을 중단하는 "예상기"를 포함하여 시스템의 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시스템이 잠시 동안 계속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4] 설정값에서 정확히 끄면 실제 온도가 원하는 범위를 초과하는 "오버슈트" 현상이 발생한다. 바이메탈 센서는 얇은 전선을 가진 물리적 "예상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전류가 전선을 통과하면 소량의 열이 발생하여 바이메탈 코일로 전달된다. 전자식 온도 조절기는 전자적 동등물을 가지고 있다.[5]

초기 기술로는 유리관에 전극을 직접 삽입한 수은 온도계가 사용되었다. 수은이 특정 온도에 도달하면 접점이 닫히는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1도 이내의 정확도를 보였다.

오늘날 사용되는 일반적인 센서 기술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센서는 직접 기계적 제어, 전기 신호, 공압 신호를 통해 난방 또는 냉방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더 높은 제어 정밀도가 필요한 경우, PID 또는 MPC 제어기가 선호된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반도체 제조 공장이나 박물관과 같은 산업적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3. 1. 기계식 온도 조절기

건물용 바이메탈 온도 조절기

  • 바이메탈: 서로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가진 두 금속을 붙여 만든 스트립으로, 온도 변화에 따라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주로 가정용 난방 시스템, 오븐, 다리미 등에 사용된다.[14] 바이메탈 감지는 현재 전자 센서로 대체되고 있지만, 개별 전기 대류 히터나 에어컨과 같이 국소 제어가 필요한 곳에서는 여전히 사용된다.
  • 왁스 펠릿: 특정 온도에서 녹고 팽창하는 왁스를 밀폐된 용기 안에 넣어 온도 변화에 따른 부피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주로 자동차 엔진 냉각 시스템, 샤워기, 온도 조절 혼합 밸브 등에 사용된다. 왁스 펠릿 구동 밸브는 화상 방지, 동결 방지, 과열 방지, 태양열 에너지 또는 태양열, 자동차 및 항공우주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 가스 팽창: 가스로 채워진 벌브가 가느다란 구리 튜브를 통해 제어 장치에 연결된 형태로, 온도 변화에 따른 가스 팽창으로 다이어프램에 압력을 가하여 버너로의 가스 흐름을 조절한다. 주로 가스 오븐에 사용된다.
  • 공압식 온도 조절기: 일련의 공기 충전 제어 튜브를 통해 난방 또는 냉방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튜브 내 압력 변화에 따라 밸브나 댐퍼를 작동시킨다.[11] 공압식 온도 조절기는 1895년 워렌 존슨에 의해 발명되었다.[12]

3. 2. 전자식 온도 조절기

서미스터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서미스터 외에 다양한 반도체 센서를 활용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난방 또는 냉방 장치를 제어한다. 열전대는 서로 다른 두 금속을 접합하여 만든 센서로, 온도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측온 저항체는 백금 등의 금속을 사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이다.[14]

최신 디지털 온도 조절기는 온도를 측정하는 기계 장치가 없으며, 대신 서미스터 또는 저항 온도 감지기와 같은 다른 반도체 소자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작동하려면 하나 이상의 일반 배터리를 설치해야 하지만, 소위 "전력 절도" 디지털 온도 조절기(에너지 수확을 위해 작동)는 일반적인 24볼트 AC 회로를 전원으로 사용한다. 다만 일부 용광로에 사용되는 열전대 전원 "밀리볼트" 회로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각 온도 조절기는 현재 온도와 현재 설정을 표시하는 LCD 화면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은 또한 시계와 시간별, 심지어 주별 온도 설정을 가지고 있어 쾌적함과 에너지 절약에 사용된다. 일부 고급 모델에는 터치 스크린이 있거나 홈 오토메이션 또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디지털 온도 조절기는 HVAC 장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기 위해 릴레이 또는 트라이액(TRIAC)과 같은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다. 릴레이가 있는 장치는 밀리볼트 시스템에서 작동하며, 켜거나 끌 때 "딸깍"하는 소리가 들릴 수 있다.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HVAC 시스템은 내장된 PID 제어기가 있는 온도 조절기와 결합하여 더욱 부드러운 작동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관성 경향이 있는 시스템 동작을 더욱 개선하기 위한 적응형 알고리즘을 특징으로 하는 최신 온도 조절기도 있다. 예를 들어, 아침 7시에 온도를 21°C로 설정하면, 기존의 온도 조절기는 그 시간에 작동을 시작하지만, 적응형 알고리즘은 해당 시간에 온도가 21°C가 되도록 하기 위해 시스템을 언제 활성화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18] 온/오프 제어가 적합하지 않은 공정/산업 제어에 사용되는 다른 온도 조절기는 PID 제어를 통해 온도를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19][20]

4. 구성 및 제어

온도 조절기는 난방 또는 냉방 장치를 켜고 끄거나, 필요에 따라 열 전달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여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장치이다. 주변 공기 제어부터 자동차 냉각수 제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곳에서 활용된다.

온도 조절기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사용한다. 기계식 온도 조절기는 바이메탈 스트립을, 전자식 온도 조절기는 써미스터나 기타 반도체 센서를 사용한다.

기존의 온도 조절기는 "온-오프 제어기" 방식을 사용한다. 설정값에 도달하면 시스템이 최대 용량으로 작동하거나 완전히 꺼진다. 이 방식은 단순하지만, 장비의 과도한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히스테리시스를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온도를 매우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렵고, 1-2°C 정도의 온도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2]

온도 조절기는 "예상기" 기능을 통해 설정값에 도달하기 전에 난방/냉방을 미리 중단시켜 "오버슈트"를 방지할 수 있다. 바이메탈 센서는 얇은 전선을 통해 열을 전달받는 "예상기"를 포함하며, 전자식 온도 조절기는 전자적 방식으로 이를 구현한다.[5]

더 정밀한 온도 제어가 필요한 경우 PID 또는 MPC 제어기가 사용되지만, 주로 산업용으로 활용된다.

물과 증기를 이용한 중앙 난방 시스템은 전통적으로 벽에 부착된 바이메탈 스트립 온도 조절기로 제어되었다. 이는 두 금속의 팽창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하고 스위치를 작동시킨다.[14] 바이메탈 감지는 현재 전자 센서로 대체되고 있으며, 주로 개별 전기 대류 히터나 에어컨에 사용된다.

밀리볼트 온도 조절기 메커니즘


일반적인 가정용 온도 조절기 내부 구조는 다음과 같다. (전기 가스 밸브를 통해 천연 가스 연소식 히터를 제어하는 예시)

1. 설정값 조절 레버: 온도를 높이려면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2. 바이메탈 스트립 (코일 형태): 코일 중심은 회전 기둥에 부착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움직인다.

3. 유연한 와이어: 히터 제어 밸브에 연결된다.

4. 이동 접점: 바이메탈 코일에 부착되어 히터 컨트롤러로 연결된다.

5. 고정 접점 나사: 제조사에 의해 조정되며, 열전대 및 히터의 전기 작동 가스 밸브에 연결된다.

6. 자석: 접촉 시 양호한 접촉을 보장하고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한다. (일부 온도 조절기는 수은 스위치 사용)

이러한 온도 조절기는 열전堆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하며, 파일럿 램프가 낭비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현대적인 난방/냉방/열 펌프 온도 조절기는 저전압(24V AC) 제어 회로에서 작동한다. 제어 변압기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며, 계전기, 접촉기 등을 작동시킨다.[15] 예상 기능이 내장되어 온도 제어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배선 색상 코드 표준은 없지만, 일반적인 단자 코드와 색상은 다음과 같다.[16][17]

단자 코드색상설명
R빨간색24V (기기로의 반환선)
Rh빨간색24V HEAT 부하(반환선 열)
Rc빨간색24V COOL 부하(반환선 냉방)
C검정/파랑/갈색/청록색릴레이에 대한 24V 공통 연결
W / W1흰색
W2다양함/흰색/검정색2단계 / 백업 열
Y / Y1노란색냉방
Y2파랑/주황/보라/노랑/흰색2단계 냉방
G녹색
O다양함/주황색/검정색역전 밸브 냉방 작동 (열 펌프)
B다양함/파랑/검정/갈색/주황색역전 밸브 난방 작동 (열 펌프) 또는 공통
E다양함/파랑/분홍/회색/베이지색비상 난방 (열 펌프)
S1/S2갈색/검정/파랑온도 센서(일반적으로 열 펌프 시스템의 실외)
T다양함/베이지색/회색실외 예열기 재설정, 서미스터
X다양함/검정색비상 난방 (열 펌프) 또는 공통
X2다양함2단계/비상 난방 또는 표시등
L다양함서비스 등
U다양함사용자 프로그래밍 가능(일반적으로 가습기용)
K노랑/녹색결합된 Y 및 G
PS다양함2중 파이프 열/냉방 시스템용 파이프 센서
V다양함가변 속도(대부분은 W2로 작동 가능)



선간 전압 온도 조절기는 전기 공간 난방 장치에 주로 사용되며, 시스템 전원이 온도 조절기에 의해 직접 전환된다.

주택용 디지털 온도 조절기


럭스 프로덕츠(Lux Products) TX9000TS 터치 스크린 온도 조절기


럭스 프로덕츠 WIN100 난방 및 냉방 프로그래밍 가능 콘센트 온도 조절기


최신 디지털 온도 조절기는 서미스터나 저항 온도 감지기를 사용하며, LCD 화면을 통해 정보를 표시한다. 배터리로 작동하거나, 24V AC 회로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홈 오토메이션이나 빌딩 자동화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모델도 있다.

디지털 온도 조절기는 릴레이나 트라이액(TRIAC)을 사용하여 HVAC 장치를 제어한다.

5. 현대적 응용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온도 조절기가 개발되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자동차: 내연 기관 냉각 시스템 온도조절기는 냉각수의 흐름을 라디에이터로 조절하여 엔진을 최적의 작동 온도 근처로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왁스 펠릿이 들어 있는 밀폐된 챔버를 사용하여 작동 온도가 초과되면 밸브를 여는 막대를 작동시킨다.[1] 작동 온도는 왁스의 구성에 따라 결정되며,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개방을 점진적으로 늘리거나 줄여 엔진 온도를 최적 범위 내에서 유지한다.[1]
  • 가정용: 가정용 온도 조절기는 크게 바이메탈, 전자식, 프로그래밍 가능, 그리고 스마트 온도 조절기로 나눌 수 있다.
  • 바이메탈 온도 조절기: 두 금속의 팽창률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하고 스위치를 작동시킨다.[14]
  • 전자식 온도 조절기: 서미스터나 저항 온도 감지기 같은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여 온도를 측정하고, LCD 화면으로 현재 온도와 설정을 표시한다.
  • 프로그래밍 가능 온도 조절기: 시간대별, 요일별 온도 설정을 통해 에너지 절약과 쾌적함을 제공한다.[21]
  • 스마트 온도 조절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원격 제어, 자동 온도 조절, 에너지 사용량 분석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현대적인 난방/냉방/열 펌프 온도 조절기는 대부분 저전압(24V AC) 제어 회로에서 작동하며, 제어 변압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15] 배선 색상 코드에는 표준이 없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관례가 있다.[16][17]

단자 코드색상설명
R빨간색24V (기기로의 반환선, 종종 Rh 및 Rc에 결합됨)
Rh빨간색24V HEAT 부하(반환선 열)
Rc빨간색24V COOL 부하(반환선 냉방)
C검정/파랑/갈색/청록색릴레이에 대한 24V 공통 연결
W / W1흰색
W2다양함/흰색/검정색2단계 / 백업 열
Y / Y1노란색냉방
Y2파랑/주황/보라/노랑/흰색2단계 냉방
G녹색
O다양함/주황색/검정색역전 밸브 냉방 작동 (열 펌프)
B다양함/파랑/검정/갈색/주황색역전 밸브 난방 작동 (열 펌프) 또는 공통
E다양함/파랑/분홍/회색/베이지색비상 난방 (열 펌프)
S1/S2갈색/검정/파랑온도 센서(일반적으로 열 펌프 시스템의 실외)
T다양함/베이지색/회색실외 예열기 재설정, 서미스터
X다양함/검정색비상 난방 (열 펌프) 또는 공통
X2다양함2단계/비상 난방 또는 표시등
L다양함서비스 등
U다양함사용자 프로그래밍 가능(일반적으로 가습기용)
K노랑/녹색결합된 Y 및 G
PS다양함2중 파이프 열/냉방 시스템용 파이프 센서
V다양함가변 속도(대부분은 W2로 작동 가능)



최근의 디지털 온도조절기는 PID 제어기를 내장하거나 적응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더욱 정밀한 온도 제어를 제공하기도 한다.[18]

5. 1. 자동차

오늘날 사용되는 순수 기계식 온도조절기의 가장 일반적인 예는 내연 기관 냉각 시스템 온도조절기로, 냉각수의 흐름을 공랭식 라디에이터로 조절하여 엔진을 최적의 작동 온도 근처로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온도조절기는 설정된 온도에서 녹고 팽창하는 왁스 펠릿이 들어 있는 밀폐된 챔버를 사용하여 작동한다. 챔버의 팽창은 작동 온도가 초과되면 밸브를 여는 막대를 작동시킨다.[1] 작동 온도는 왁스의 구성에 따라 결정된다. 작동 온도에 도달하면 온도조절기는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개방을 점진적으로 늘리거나 줄여 냉각수 재순환 흐름과 라디에이터로의 냉각수 흐름의 균형을 동적으로 맞춰 엔진 온도를 최적 범위 내에서 유지한다.[1]

자동차 엔진 온도 조절기


모든 크라이슬러 그룹과 제너럴 모터스 제품을 포함한 많은 자동차 엔진에서 온도조절기는 히터 코어로의 흐름을 제한하지 않는다.[1] 라디에이터의 조수석 측 탱크는 온도조절기로의 바이패스로 사용되어 히터 코어를 통해 흐른다.[1] 이렇게 하면 온도조절기가 열리기 전에 증기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조절기가 열리기 전에 히터가 작동할 수 있다.[1] 또 다른 장점은 온도조절기에 고장이 발생해도 라디에이터를 통해 일부 흐름이 있다는 것이다.[1]

5. 2. 가정용



가정용 온도 조절기는 크게 바이메탈, 전자식, 프로그래밍 가능, 그리고 스마트 온도 조절기로 나눌 수 있다.

  • 바이메탈 온도 조절기: 전통적인 방식으로, 두 금속의 팽창률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하고 스위치를 작동시킨다.[14] 주로 개별 전기 대류 히터나 에어컨에 사용된다.
  • 전자식 온도 조절기: 서미스터나 저항 온도 감지기 같은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여 온도를 측정한다. LCD 화면으로 현재 온도와 설정을 표시하며, 일부 모델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연동 가능하다.
  • 프로그래밍 가능 온도 조절기: 시간대별, 요일별 온도 설정을 통해 에너지 절약과 쾌적함을 제공한다. 기본 설정으로도 30%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21]
  • 스마트 온도 조절기: (주어진 원본 소스에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요약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원격 제어, 자동 온도 조절, 에너지 사용량 분석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현대적인 난방/냉방/열 펌프 온도 조절기는 대부분 저전압(24V AC) 제어 회로에서 작동하며, 제어 변압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15] 온도 조절기는 예상 기능을 통해 온도 제어를 향상시키기도 한다.

배선 색상 코드에는 표준이 없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관례가 있다.[16][17]

단자 코드색상설명
R빨간색24V (기기로의 반환선, 종종 Rh 및 Rc에 결합됨)
Rh빨간색24V HEAT 부하(반환선 열)
Rc빨간색24V COOL 부하(반환선 냉방)
C검정/파랑/갈색/청록색릴레이에 대한 24V 공통 연결
W / W1흰색
W2다양함/흰색/검정색2단계 / 백업 열
Y / Y1노란색냉방
Y2파랑/주황/보라/노랑/흰색2단계 냉방
G녹색
O다양함/주황색/검정색역전 밸브 냉방 작동 (열 펌프)
B다양함/파랑/검정/갈색/주황색역전 밸브 난방 작동 (열 펌프) 또는 공통
E다양함/파랑/분홍/회색/베이지색비상 난방 (열 펌프)
S1/S2갈색/검정/파랑온도 센서(일반적으로 열 펌프 시스템의 실외)
T다양함/베이지색/회색실외 예열기 재설정, 서미스터
X다양함/검정색비상 난방 (열 펌프) 또는 공통
X2다양함2단계/비상 난방 또는 표시등
L다양함서비스 등
U다양함사용자 프로그래밍 가능(일반적으로 가습기용)
K노랑/녹색결합된 Y 및 G
PS다양함2중 파이프 열/냉방 시스템용 파이프 센서
V다양함가변 속도(대부분은 W2로 작동 가능)



최근의 디지털 온도조절기는 PID 제어기를 내장하거나 적응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더욱 정밀한 온도 제어를 제공하기도 한다.[18]

6. 더미 온도 조절기

사무실 건물에 설치된 많은 온도 조절기는 작동하지 않는 가짜 장치로, 입주자 직원들에게 통제 착각을 주기 위해 설치되었다는 보고가 있다.[24][25] 이러한 가짜 온도 조절기는 일종의 플라시보 버튼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 조절기는 제어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더라도 해당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데 자주 사용되며, 이 기능은 종종 "잠금"이라고 불린다.[26]

참조

[1] 간행물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survey U.S. Dept. Energy 2001
[2] 웹사이트 Easy Home Heating: Get Started with the Danfoss Wireless Thermostat https://thermostathu[...] 2023-06-26
[3] 논문 Evaluation of energy-saving potential for optimal time response of HVAC control system in smart buildings https://linkinghub.e[...] 2020-08
[4] 논문 An introduction to the assessment of line-voltage thermostat performance for electric heating applications https://ieeexplore.i[...] 1962
[5] 서적 AudelHVAC Fundamentals: Volume 2: Heating System Components, Gas and Oil Burners, and Automatic Controls John Wiley & Sons 2004
[6] 웹사이트 Tierie, Gerrit. Cornelis Drebbel. Amsterdam: HJ Paris, 1932. http://www.drebbel.n[...] 2013-05-03
[7] 웹사이트 An Early History Of Comfort Heating http://www.achrnews.[...] BNP Media 2001-11-06
[8] 웹사이트 Thermostat Maker Deploys Climate Control Against Climate Change https://web.archive.[...] America.gov 2009-10-03
[9] 웹사이트 Johnson Controls Inc. {{pipe}} History http://www.johnsonco[...] Johnsoncontrols.com 2007-11-07
[10] 서적 Barns of New York: Rural Architecture of the Empire State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2014-11-02
[11] 웹사이트 Dr-Fix-It Explains a Common Pneumatic Comfort Control Circuit https://web.archive.[...] RTWEB 2005
[12] 간행물 Mechanical Engineering: A Century of Progress NorCENergy Consultants, LLC 1980-10-10
[13] 웹사이트 Pneumatic-to-digit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http://www.freepaten[...]
[14] 웹사이트 Thermostats: Everything You Need to Know https://engineerware[...] 2019-10-21
[15] 문서 Electrical potentials at and below 24 volts are classed as "Safety Extra-Low Voltage" under most [[electrical code]]s when supplied through an isolation transformer.
[16] 웹사이트 Thermostat Wire Color Codes https://web.archive.[...] 2015-03-07
[17] 웹사이트 Thermostat signals and wiring http://wiki.xtronics[...] 2015-03-07
[18] 문서 Honeywell smart response technology
[19] 웹사이트 Smart PID temperature control http://smartpid.com/[...] 2016-09-19
[20] 웹사이트 Temperature Controllers Using Hysteresis https://na.industria[...] 2011-10-18
[21] 웹사이트 Summary of Research Findings From the Programmable Thermostat Market https://www.energyst[...] Energy Star 2021-03-12
[22] 웹사이트 Room Sensor and Thermostat: Mounting and Maintenance Application Guide https://www.kmccontr[...] 2021-04-12
[23] 논문 Thermostat strategies impact on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s https://www.scienced[...] 2011-02-01
[24] 뉴스 Employees Only Think They Control Thermostat https://www.wsj.com/[...] 2009-09-02
[25] 웹사이트 "Dummy" Thermostats Cool Down Tempers, Not Temperatures http://news.thomasne[...] 2003-04-11
[26] 문서 Example datasheet of current art thermostat, exhibiting lockout functionality : http://cgproducts.johnsoncontrols.com/MET_PDF/12011079.pdf
[27] 웹사이트 LibGuides: Honeywell: Overview https://libguides.mn[...] 2024-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