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고이코르코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고이코르코이는 몽골 고비 사막에 산다는 전설 속의 생물로, 주로 50cm에서 최대 1.5m까지의 소시지 모양이며, 머리와 다리가 없고 강력한 독을 지닌다고 묘사된다. 1926년 로이 채프먼 앤드루스가 처음 기록했으며, 이후 여러 탐사대가 실체를 찾으려 했으나,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몽골리안 데스웜은 파충류, 뱀, 도마뱀, 전기뱀장어 등 다양한 동물로 추정되며, 영화, 게임, 소설 등 대중문화에서도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전설의 생물 - 정괴
- 아시아의 전설의 생물 - 예티
예티는 히말라야 산맥에 전해지는 전설적인 유인원으로, 과학적 증거는 부족하지만 문화적 중요성을 가지며 관광 산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 고비 사막 - 인산산맥
인산산맥은 황하 굴곡부 북쪽에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오래된 변성암으로 이루어진 따칭산, 얼텅 산, 우라 산 등의 봉우리와 후허바스거 산을 최고봉으로 하는 산맥으로, 남쪽 평야 지역의 농업과 내몽골 자치구 주요 도시 및 허베이성과 관련이 깊다. - 고비 사막 - 더르너고비주
더르너고비주는 몽골 남동부에 위치하며 사인샨드를 주도로 하고 자민우드를 교통 중심지로 하는 곳으로, 다양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며 대한민국 강남구, 광주시, 일본 시즈오카현과 교류하고 있다.
올고이코르코이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다른 이름 | 몽골리안 데스 웜 (Mongolian Death Worm) 올고이-호르호이 () |
종류 | 미확인 동물 |
서식지 | 고비 사막 |
외형 | |
크기 | 약 0.5m ~ 1.5m |
형태 | 굵은 창자 모양 |
색상 | 짙은 붉은색 |
생태 및 행동 | |
활동 시기 | 6월과 7월 (가장 더운 시기) |
이동 방식 | 모래 속으로 숨거나, 기어 다니거나, 공중으로 떠다니는 것으로 추정 |
공격 방식 | 전기 충격 또는 독 분사 |
목격 및 연구 | |
최초 언급 | 로이 채프먼 앤드루스의 저서 "고대인을 찾아서 (On The Trail Of Ancient Man)" (1926년) |
탐험 | 여러 차례의 탐험이 이루어졌으나, 실질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음 |
연구 | 생물학적 실체에 대한 회의론 존재 기후 변화에 따른 모래뱀의 일종이라는 추측 존재 |
대중 문화 | |
영화 | 몽골리안 데스 웜 (영화)몽골리안 데스 웜 (영화) |
2. 초기 보고 및 묘사
올고이코르코이에 대한 이야기는 미국의 고생물학자 로이 채프먼 앤드루스가 1926년에 쓴 책 ''고대인의 발자취를 따라서''(''On the Trail of Ancient Man'')[15]를 통해 서구 사회에 처음으로 알려졌다. 앤드루스는 1922년 당시 몽골 총리였던 담딘바자르로부터 이 생물에 대한 설명을 듣고 책에 기록했다. 그 내용은 약 약 0.61m 길이의 소시지 모양에 머리와 다리가 없으며, 접촉만으로도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맹독을 지녔고 고비 사막의 가장 외진 곳에 서식한다는 것이었다. 앤드루스는 1932년 다른 저서 ''중앙 아시아의 새로운 정복''(''The New Conquest of Central Asia'')에서도 이 생물을 언급하며 서식지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지만, 정작 그 자신은 이러한 이야기가 전설일 뿐 실제 존재한다고 믿지는 않았다.[16]
2. 1. 앤드루스의 기록
이 미확인 생물은 로이 채프먼 앤드루스의 1926년 저서 ''고대인의 발자취를 따라서''(''On the Trail of Ancient Man'')[15]를 통해 서양에 처음 알려졌다. 앤드루스는 몽골 관료들과의 모임에서 이 생물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으나, 그 존재를 확신하지는 않았다. 그는 "참석자 중 아무도 그 생물을 본 적은 없었지만, 그들은 모두 그 존재를 굳게 믿고 상세하게 설명했다"고 기록했다.[16]앤드루스는 ''고대인의 발자취를 따라서''에서 1922년 당시 몽골 총리였던 담딘바자르가 묘사한 내용을 인용했다.
: 길이가 약 약 0.61m (약 60cm) 정도 되는 소시지 모양이며, 머리나 다리가 없다. 매우 독성이 강해 만지기만 해도 즉사한다. 고비 사막의 가장 황량한 지역에 서식한다.
1932년, 앤드루스는 자신의 또 다른 저서 ''중앙 아시아의 새로운 정복''(''The New Conquest of Central Asia'')에 이 내용을 다시 싣고, "고비 서부의 가장 건조하고 모래가 많은 지역에 서식한다고 전해진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그러나 앤드루스 자신은 이러한 이야기가 전설일 뿐이며, 실제 생물의 존재를 믿지 않았다.
2. 2. 몽골 현지 전승
로이 채프먼 앤드루스는 그의 저서 ''고대인의 발자취를 따라서''(''On the Trail of Ancient Man'')에서 1922년 당시 몽골 총리였던 담딘바자르가 올고이코르코이를 묘사한 내용을 인용했다. 담딘바자르는 이 생물에 대해 "길이가 약 약 0.61m 정도의 소시지 모양이며, 머리나 다리가 없고 매우 독성이 강해 만지기만 해도 즉사한다. 고비 사막의 가장 황량한 지역에 서식한다"고 설명했다. 앤드루스는 1932년 저서 ''중앙 아시아의 새로운 정복''(''The New Conquest of Central Asia'')에서 이 내용을 다시 언급하며 "서부 고비의 가장 건조하고 모래가 많은 지역에 서식한다고 전해진다"고 덧붙였지만, 그 자신은 이 생물의 존재를 믿지 않았다.올고이코르코이는 서부[4] 또는 남부[6] 고비 사막에 서식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탐험가 이반 매커를레는 1987년 저서 ''알타이 차아닥 고브드''(''Altajn Tsaadakh Govd'')에서 몽골의 전설을 소개하며, 이 생물이 땅속을 이동하며 모래 표면에 물결을 일으켜 그 존재를 알 수 있다고 썼다.[5] 또한 멀리서 독액을 뿜거나 전기 방전을 통해 먹이를 죽일 수 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6][7]
주로 땅속에 굴을 파고 살며, 지상으로 나오는 경우는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6] 일부 전승에 따르면 비가 내린 후 물 근처에서 나타나기도 한다.[8]
3. 형태 및 생태
몽골에서는 이 외에도 윙드 살라미(Winged salamieng)라고 불리는 미확인 생물이 보고된 바 있는데, 이 역시 올고이코르코이와 동일한 생물일 가능성이 제기된다[28].
3. 1. 크기 및 외형
체장은 약 50cm이며, 성체는 1.5m에 달한다[19]. 체중은 약 9kg으로 알려져 있다[14]. 몸 색깔은 어두운 붉은색을 띤다고 하지만[19], 스스로 빛을 내는 개체를 목격했다는 이야기도 존재한다[20].보통 땅속에 파놓은 구멍에 숨어 지내지만, 고비 사막에 우기가 찾아오는 6월부터 7월 사이에 지상으로 나온다고 한다. 이때 주변의 거미나 뱀은 자취를 감춘다고 전해진다[19]. 올고이코르코이는 '고요(Goyo)'라는 식물 주변을 선호하며, 이 식물의 독성분을 몸 안에 흡수한다고 알려져 있다[19]. 하지만 이 '고요'라는 식물은 실제로는 겨우살이의 일종인 기생 식물이며, 독이 없고 예로부터 약초로 귀하게 여겨져 왔다.
먹이를 발견하면 몸의 양쪽 끝을 들어 올리는 듯한 행동으로 상대를 위협한 뒤, 독액을 뿜어 공격한다[21]. 이 독액은 치명적이며 노란색의 증기 상태로, 닿으면 마치 산에 닿은 듯한 통증을 유발한다고 한다. 다만, 7월이 지나면 독성이 크게 약해진다고 알려져 있다[22]. 또한, 멀리 떨어진 상대에게 전격과 같은 자극을 줄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동물학자 이반 마카르는 이러한 능력에 대해 소문이 과장된 것이라며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23].
3. 2. 독성 및 공격성
올고이코르코이는 고요(гоё|Goyomn)라는 식물 주변을 좋아하며, 이 식물의 독성분을 체내에 흡수한다고 알려져 있다[19]. 하지만 실제로 고요는 겨우살이의 일종인 기생 식물로 독이 없으며, 예로부터 약초로 사용되어 왔다.먹이를 발견하면 몸의 양쪽 끝을 들어 올리는 행동으로 상대를 위협한 뒤, 독액을 뿜어 공격한다[21]. 이 독액은 매우 치명적이며 노란색 증기 형태를 띤다고 전해진다. 독액에 닿으면 마치 산에 닿은 듯한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지만, 7월이 지나면 독성이 크게 약해진다고 한다[22]. 또한, 멀리 있는 상대에게 전기 충격과 같은 자극을 줄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동물학자 이반 마카르는 이러한 능력에 대해 소문이 과장된 것이라며 의문을 제기했다[23].
4. 탐사 및 연구
올고이코르코이에 대한 전설은 이반 예프레모프와 같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19세기 초 러시아 탐사대도 그 존재를 인지했던 것으로 전해진다.[24] 소련 붕괴 이후 외국인들의 조사가 활발해졌다.[20]
1990년대 이반 마케를레의 탐사를 시작으로,[5][20] 2000년대에는 리처드 프리먼,[10][25] TV 프로그램 ''데스티네이션 트루스'', 데이비드 파리어 등이 고비 사막에서 탐사를 진행했지만,[10][11][12][13] 현재까지 올고이코르코이의 존재를 과학적으로 입증할 만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목격담과 전설을 바탕으로 올고이코르코이의 정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 파충류[27] 또는 특정 도마뱀[21] (뱀도마뱀[21][28], 데스 아더[21], 양발도마뱀[10], 모래보아[30] 등)
- 육상으로 진화한 전기뱀장어의 일종[20]
- 거대 지렁이[29]
4. 1. 초기 탐사
러시아의 고생물학자이자 과학 소설 작가인 이반 예프레모프는 1940년대 고비 사막에서 화석을 연구하면서 올고이코르코이에 대한 전설을 여러 차례 들었다고 기록했다. 그는 로이 채프먼 앤드루스의 저서에서 영감을 받아 1944년에 '올고이코르코이'라는 제목의 단편 소설을 쓰기도 했지만, 정작 사막에서는 그것을 직접 봤다고 주장하는 사람을 만나지는 못했다고 한다.[9]일부 기록에 따르면, 1800년대 초 러시아 탐사대도 데스 웜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수백 명이 데스 웜의 독 때문에 목숨을 잃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24] 소련 붕괴 이후 외국인들의 데스 웜 조사가 활발해졌다.[20]
1990년과 1992년, 체코의 미확인 동물학자 이반 마케를레는 소규모 탐사팀을 이끌고 고비 사막 남단에서 데스 웜 조사를 진행하며 많은 목격담을 수집했다.[20] 그는 프랭크 허버트의 소설 ''듄''에서 거대한 모래 벌레가 리듬감 있는 진동에 이끌려 지표면으로 나오는 장면에서 영감을 받아, 모터로 작동하는 '쿵쿵거리는 장치'를 만들고 작은 폭발까지 일으키며 웜을 찾으려 시도했다.[5]
2005년에는 동물학 저널리스트인 리처드 프리먼이 포티안 동물학 센터를 중심으로 탐험대를 꾸려 데스 웜 수색에 나섰다. 프리먼은 탐사 전에는 데스 웜의 치명적인 독은 전설일 뿐이며 생물 자체는 실존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으나,[25] 결국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했다. 그는 데스 웜에 대한 이야기들이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목격담은 아마도 땅속에 사는 알려지지 않은 도마뱀이나 양발도마뱀 종류를 잘못 본 것일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10][26] 다만 조사 과정에서 땅속을 파고드는 정체불명의 파충류를 목격했다는 기록도 남겼다.[26]
이후에도 데스 웜을 찾으려는 시도는 계속되었다. 미국의 리얼리티 텔레비전 시리즈 ''데스티네이션 트루스'' 팀이 2006년부터 2007년까지 탐사를 진행했고, 2009년 8월에는 뉴질랜드의 텔레비전 기자 데이비드 파리어가 TV3 뉴스 탐험대에 합류하여 조사를 벌였지만[10][11][12] 역시 성과 없이 돌아왔다.[13] 파리어는 현지인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데스 웜 목격담이 1950년대에 가장 많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4. 2. 이반 마케를레의 탐사
1990년과 1992년, 체코의 미확인 동물학자 이반 마케를레는 올고이코르코이를 찾기 위해 소규모 탐사팀을 이끌고 고비 사막 남단으로 향했다.[20] 그는 프랭크 허버트의 소설 ''듄''에서 거대한 모래 벌레가 리듬감 있는 진동에 이끌려 지표면으로 나오는 것에 영감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마케를레는 모터로 작동하는 "쿵쿵거리는 장치"를 만들고 작은 폭발물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올고이코르코이를 유인하려 시도했다.[5] 이 조사를 통해 마케를레는 다수의 목격담을 수집할 수 있었다.[20]4. 3. 리처드 프리먼의 탐사
2005년, 동물학 저널리스트인 리처드 프리먼(Richard Freeman)은 포티안 동물학 센터(Centre for Fortean Zoology)를 통해 올고이코르코이를 찾기 위한 탐험대를 조직했다.[10] 수색에 앞서 프리먼은 올고이코르코이의 치명적인 능력은 전설적인 이야기일 뿐이며, 생물 자체는 실존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25] 그러나 고비 사막에서의 탐사는 별다른 성과 없이 빈손으로 끝났다.[10] 프리먼은 탐사 이후, 올고이코르코이는 가공의 생물이며 목격담들은 알려지지 않은 종류의 웜 도마뱀이나 양발도마뱀과 같은 파충류를 잘못 본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10][26] 다만 조사 과정 중 땅속을 파고드는, 독이 없는 파충류로 보이는 생물이 목격되기도 했다.[26]4. 4. 기타 탐사
러시아의 고생물학자이자 과학 소설 작가인 이반 예프레모프는 앤드루스의 저서에서 영감을 받아 단편 소설 '올고이코르코이'(Olgoi-Khorkhoi, 1944)를 썼다. 그는 1946년부터 1949년까지 고비 사막에서 화석을 연구하면서 올고이코르코이에 대한 전설을 여러 번 들었지만, 그것을 봤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기록했다.[9]1990년과 1992년, 이반 마케를레는 소규모 탐사팀을 이끌고 웜을 찾기 위해 고비 사막으로 들어갔다. 프랭크 허버트의 소설 ''듄''에서 거대한 가상의 모래 벌레가 리듬감 있는 진동에 의해 표면으로 올라오는 것에 영감을 받아, 마케를레는 모터 구동식 "쿵쿵거리는 장치"를 제작했으며, 심지어 작은 폭발을 사용하여 웜을 찾으려 시도했다.[5]
2005년, 동물학 저널리스트인 리처드 프리먼은 포티안 동물학 센터에서 죽음의 벌레를 사냥하기 위한 탐험대를 조직했지만, 빈손으로 돌아왔다. 프리먼은 웜의 능력에 대한 이야기는 사실이 아닐 것이며, 목격담은 미지의 웜 도마뱀이나 양발도마뱀을 잘못 본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10]
리얼리티 텔레비전 시리즈 ''데스티네이션 트루스''는 2006년부터 2007년까지 탐험을 진행했다.
뉴질랜드의 텔레비전 연예 기자 데이비드 파리어는 2009년 8월 TV3 뉴스의 탐험대에 참여했지만[10][11][12] 역시 빈손으로 돌아왔다.[13] 그는 웜을 봤다고 주장하는 현지인들과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목격담이 1950년대에 최고조에 달했다고 언급했다.
5. 정체에 대한 가설
1800년대 초 러시아 탐사대가 올고이코르코이의 존재를 처음 인식했으며, 당시 기록에는 수백 명이 그 독으로 사망했다는 내용이 전해진다.[24] 소련 붕괴 이후 외국인들의 조사가 활발해졌는데,[20] 1990년부터 1992년까지 체코의 미확인 동물학자 이반 마카르는 고비 사막 남단에서 조사를 벌여 다수의 목격담을 수집했다.[20]
2005년에는 동물학 저널리스트 리처드 프리먼이 이끄는 영국 연구팀이 수색에 나섰다. 프리먼은 수색 전, 올고이코르코이가 실존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면서도 치명적인 독은 전설일 것이라고 예상했다.[25] 그러나 수색 결과 올고이코르코이를 발견하지 못했고, 결국 가상의 생물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조사 과정에서 땅속을 파고드는 파충류로 보이는 무독성 생물이 목격되기도 했다.[26] 이처럼 올고이코르코이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27][21][28][30][20][29]
5. 1. 파충류
데스 웜의 정체에 대한 가설 중 하나로 파충류가 꼽힌다.[27]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파충류들이 후보로 거론된다.- 도마뱀[21]
- 뱀도마뱀[21][28]
- 데스 아더[21]
- 모래보아[30]
5. 2. 기타 동물
데스 웜의 정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거론되고 있다.6. 대중문화 속 몽골리안 데스웜
몽골리안 데스웜은 빅풋이나 네스호 괴물과 같은 다른 유명 크립티드에 비해 대중적인 인지도는 다소 낮지만, 그 기괴하고 강력한 능력에 대한 묘사 덕분에 여러 대중문화 창작물에서 흥미로운 소재로 다루어지고 있다.
6. 1. 영화
- 1990년 영화 불가사리 시리즈에 등장하는 괴물 그라보이드는 올고이코르코이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흔히 언급된다.
- 2010년 5월 8일, 미국 Syfy 채널에서 몽골리안 데스 웜( Mongolian Death Wormeng )이라는 제목의 TV 영화가 방영되었다.
- 일부에서는 프랭크 허버트의 고전 과학 소설 듄과 이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 시리즈에 등장하는 아라키스 행성의 거대 모래벌레(Sandworm)가 올고이코르코이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보기도 한다.
6. 2. 게임
- 공식 던전 앤 드래곤 자료에는 지하에서 굴을 파고 강력한 독을 사용하여 먹이를 죽이는 보라색 웜이라는 생물이 등장하는데, 이는 올고이코르코이의 특징과 유사성을 보인다.
- 프롬 소프트웨어의 게임 다크 소울 3에는 '멸망 호수' 지역에서 만날 수 있는 미니 보스 '카르투스 샌드 웜'이 등장한다. 이 몬스터는 올고이코르코이와 같은 크립티드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 스튜디오 와일드카드의 게임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의 확장팩 '스코치드 어스'에는 '데스 웜'이라는 생물이 등장한다. 이 생물의 게임 내 학명은 "Khorkoi Arrakis"로, 이는 몽골 데스 웜(올고이코르코이)과 프랭크 허버트의 소설 듄에 등장하는 샌드웜 모두를 암시한다.
- 일부에서는 듄 시리즈의 샌드웜 자체가 올고이코르코이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보기도 하며, 이는 관련 게임 프랜차이즈에도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6. 3. 소설
러시아의 고생물학자이자 과학 소설 작가인 이반 예프레모프는 앤드루스의 저서에서 영감을 받아 1944년에 단편 소설 '올고이코르코이'(Олгой-Хорхойrus)를 썼는데, 이 소설은 올고이코르코이를 소재로 다루었다.[9]일부에서는 프랭크 허버트의 고전 과학 소설 ''듄''에 등장하는 거대한 샌드웜(Sandworm)이 몽골 데스웜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보기도 한다.
6. 4. 만화
IDW 퍼블리싱에서 출판한 만화 ''닌자 거북이'' 시리즈의 닌자 거북이: 더 라스트 로닌 설정에서, 미켈란젤로의 적인 몽골 군벌의 이름이 "데스 웜"이다.참조
[1]
서적
On The Trail Of Ancient Man
http://archive.org/d[...]
1926
[2]
간행물
Ах, Гоби! Путешествие по Монголии в поисках легенды
https://www.novayaga[...]
2012-03-29
[3]
서적
Земноводные Монголии
http://www.sevin.ru/[...]
КМК
2017
[4]
서적
The New Conquest of Central Asia: a narrative of the explorations of the Central Asiatic expeditions in Mongolia and China, 1921–1930
https://archive.org/[...]
1932
[5]
웹사이트
Olgoi-Khorkhoi: The Mongolian Death Worm
2013-01-08
[6]
웹사이트
Mongolian Death Worm: Elusive Legend of the Gobi Desert
https://www.livescie[...]
2021-01-04
[7]
웹사이트
The Mongolian death worm
http://www.unexplain[...]
2010-01-29
[8]
뉴스
The monster detectives: on the trail of the Ninki-Nanka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6-07-12
[9]
서적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шести томах : Дорога Ветров; На краю Ойкумены.
1992
[10]
웹사이트
The Hunt for the Mongolian Death Worm Begins Anew
http://io9.com/53249[...]
2010-01-29
[11]
웹사이트
David Farrier goes on hunt for Mongolian Death Worm
http://www.3news.co.[...]
2010-01-01
[12]
웹사이트
New Zealanders Embark on Hunt for Mongolian Death Worm
http://www.montsame.[...]
2010-01-29
[13]
웹사이트
Digitising, the NZPA Report… & photos.
http://www.deathworm[...]
2010-01-01
[14]
문서
並木『世界怪奇事件ファイル』、66頁
[15]
문서
日本では『恐竜探検記』の名で出版されている
[16]
웹사이트
The Mongolian Death Worm
http://www.virtuesci[...]
2010-01-29
[17]
URL
Ах, Гоби! Путешествие по Монголии в поисках легенды
https://www.novayaga[...]
[18]
URL
Кузьмин С.Л., Дунаев Е.А., Мунхбаяр Х., Мунхбаатар М., Оюунчимэг Ж., Тэрбиш Х. Земноводные Монголии. Москва, КМК, 2017, с. 17-18
http://www.sevin.ru/[...]
[19]
문서
並木『世界怪奇事件ファイル』、71頁
[20]
문서
並木『未確認動物UMA大全』、311-314頁
[21]
문서
並木『世界怪奇事件ファイル』、73頁
[22]
문서
並木『世界怪奇事件ファイル』、69,73頁
[23]
문서
並木『世界怪奇事件ファイル』、73-74頁
[24]
문서
並木『世界怪奇事件ファイル』、68頁
[25]
문서
並木『世界怪奇事件ファイル』、74,76頁
[26]
웹사이트
The Hunt for the Mongolian Death Worm Begins Anew
http://io9.com/53249[...]
2010-01-29
[27]
문서
羽仁礼『超常現象大事典』(成甲書房, 2001年4月)、176頁
[28]
서적
The Beasts That Hide from Man
NY: Paraview
[29]
문서
ASIOS(2018)、p.36
[30]
문서
ASIOS(2018)、p.3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