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덴부르크 자유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덴부르크 자유주는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존재했던 주(州)로, 1918년 독일 혁명 이후 수립되어 1946년 니더작센 주에 통합될 때까지 존속했다. 1919년 헌법 제정 이후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민주당, 독일 중앙당의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나치당의 부상으로 1932년 카를 뢰버 내각이 출범하며 나치 주도 정부가 들어섰다. 나치 정권은 국가원수 직을 통해 통제를 강화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점령 하에서 독립을 모색했으나 니더작센 주에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덴부르크 - 올덴부르크 대공국
    올덴부르크 대공국은 1815년 올덴부르크 공국과 비르켄펠트 공국이 합쳐져 빈 회의에서 대공국으로 승격되었고, 북독일 연방과 독일 제국에 가입했다가 1918년 독일 혁명으로 해체되어 올덴부르크 자유주가 되었다.
올덴부르크 자유주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바이마르 공화국 내의 올덴부르크 자유국(빨간색)
바이마르 공화국 내의 올덴부르크 자유국(빨간색)
기본 정보
공식 명칭 (독일어)Freistaat Oldenburg (프리스타트 올덴부르크)
일반 명칭올덴부르크
국가독일
정부 형태공화국
수도올덴부르크
면적 (1925년)6,427 km²
인구 (1925년)545,172명
현재 국가독일
역사
시작1918년 11월 11일
종료1946년 11월 23일
시작 사건올덴부르크 대공국으로부터 시작
종료 사건니더작센 주로 합병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에 일부 합병
라인란트-팔츠 주에 일부 합병
정치
국가 원수 대리1933년 5월 6일 ~ 1942년 5월 15일: 카를 레버
1942년 5월 27일 ~ 1945년 4월: 파울 베게너
주 총리1919년 7월 21일 ~ 1923년 4월 17일: 테오도르 탄첸
1923년 4월 17일 ~ 1930년 7월 13일: 오이겐 폰 핀크
1930년 11월 14일 ~ 1932년 6월 16일: 프리드리히 카세봄
1932년 6월 16일 ~ 1933년 5월 5일: 카를 레버
통계
면적 (1939년 5월)5396 km²
인구 (1939년 5월)582,400명

2. 역사

올덴부르크 자유주의 역사는 1918년 독일 혁명으로 올덴부르크 대공이 폐위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USPD)의 베른하르트 쿤트가 이끄는 주 총국(Landesdirektorium)이 설립되어 1919년 3월까지 존속했다.[5]

바이마르 시대 주의회는 3년 임기의 보통 선거로 선출되었으며, 최대 48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주 행정부는 국무총리가 이끌었으며, 주의회에 책임을 지고 불신임 투표로 해임될 수 있었다.[1] 바이마르 시대 대부분 동안 좌우 정당 모두 안정적인 의회 연정을 구성하지 못해 주 정부는 대개 무소속 정치인 기술관료가 이끌었다.[2]

1925년부터 1927년까지 올덴부르크는 바이에른처럼 아돌프 히틀러의 공적 모임 참여를 금지했다.[3] 그러나 1932년 5월 주의회 선거에서 나치당은 48%의 득표율로 최대 정당이 되었고, 독일 주 최초로 주의회 의석 과반수를 차지했다. 가우 베저-엠스의 가울라이터 카를 뢰버가 1932년 6월 16일 국무총리가 되면서 올덴부르크는 나치가 전국적으로 권력을 잡기 전에 나치 주도 정부를 설치한 5개 주 중 하나가 되었다.[4]

나치는 전국 권력 장악 이후 "제2차 국가와 제국의 조정에 관한 법"을 제정하여 ''국가원수''(Reich Governor) 직을 신설하고 주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1933년 5월 5일, 뢰버는 올덴부르크와 브레멘의 국가원수에 임명되었고, 게오르크 요엘이 국무총리직을 계승했다.[4] 1942년 5월 15일 뢰버 사후에는 파울 베게너가 국가원수가 되었다.

2. 1.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1918년 ~ 1933년)

독일 혁명의 여파로 올덴부르크 대공이 폐위된 후, 1918년 11월 11일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USPD)의 베른하르트 쿤트 아래 주 총국(Landesdirektorium)이 설립되어 1919년 3월 3일까지 존속했다.[5]

바이마르 시대 주의회는 변동하는 의원 수(최대 48명)를 가졌으며, 3년 임기의 보통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다. 주 행정부는 국무총리가 이끌었으며, 주의회에 책임을 지고 불신임 투표로 해임될 수 있었다.[1]

올덴부르크 자유주의 역대 주 총리 목록은 다음과 같다.

기간주 총리정당
1918년–1919년베른하르트 쿤트USPD
1919년–1923년테오도어 탄첸DDP
1923년–1930년오이겐 폰 핑크무소속
1930년–1932년프리드리히 카세봄무소속
1932년–1933년카를 뢰버NSDAP


2. 1. 1. 제헌 의회와 헌법 제정

노병 레테가 올덴부르크-오스트프리슬란트 레테 공화국 수립을 선언한 후,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의 베른하르트 쿤트 아래 주 총국(Landesdirektorium)이 설립되어 1919년 3월 3일까지 존속되었다.[5]

1919년 2월, 독일 국 정부의 개입으로[6] 쿤트는 체포되었다. 같은 해 2월 23일 제헌 의회가 발족했고,[7] 6월에는 "올덴부르크 자유주 헌법"이 제정되었다. 6월 21일, 제1회 주 의회가 개회되었고,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민주당, 독일 중앙당의 3당 연립 정권인 제1차 테오도어 탄첸 내각이 발족했다.

2. 1. 2. 정치적 불안정과 나치당의 부상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올덴부르크 자유주에서는 좌파와 우파 정당 모두 안정적인 의회 연정을 구성하지 못해 정치적 교착 상태가 이어졌다. 이 때문에 주 정부는 대개 무소속 정치인 기술관료가 이끌었다.[2] 1919년 10월에는 질서 경찰이 설립되어 치안 유지에 큰 변화가 있었다. 질서 경찰은 반란 진압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독일 국 정부로부터 설립 자금의 80%가 제공되었다. 설립 후 즉시 주요 도시인 뤼스트린겐, 올덴부르크, 델멘호르스트의 경찰 임무를 관할했으며, 뤼베크 및 비르켄펠트에서는 영토 방위에 임했다.

1923년 4월 17일에는 무소속의 오이겐 폰 핑크가 주 총리로 선출되어 1930년까지 재임했으며, 이어서 프리드리히 카세봄이 1930년 11월 14일부터 1932년 6월 16일까지 주 총리직을 맡았다.

1925년부터 1927년까지 올덴부르크는 바이에른의 선례를 따라 아돌프 히틀러의 공적 모임 참여를 금지한 여러 독일 주 중 하나였다.[3] 그러나 1931년 5월 17일 올덴부르크 주 의회 선거에서 나치당이 득표율 37.2%로 주 의회 제1당이 되었다.[9] 1932년 5월 주의회 선거에서는 나치당이 득표율 48%로 최대 정당이 되었고, 독일 주 최초로 주의회 의석의 과반수를 차지했다.[4] 가우 베저-엠스의 나치당 ''가울라이터'' 카를 뢰버가 1932년 6월 16일 국무총리가 되면서 올덴부르크는 나치가 전국적으로 권력을 잡기 전에 나치 주도 정부를 설치한 5개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4]

나치의 전국적 권력 장악 이후, 나치 정부는 새로운 강력한 ''국가원수''(Reich Governor) 직을 통해 주에 대한 보다 직접적인 통제를 확립하는 "제2차 국가와 제국의 조정에 관한 법"을 제정했다. 뢰버는 1933년 5월 5일 올덴부르크와 브레멘 모두에서 이 직위에 임명되었으며, 국무총리직은 게오르크 요엘이 계승했다.

2. 2. 나치 독일 시대 (1933년 ~ 1945년)

1932년 5월 올덴부르크 주의회 선거에서 나치는 48%의 득표율로 최대 정당이 되었고, 독일 주 최초로 주의회 의석 과반수를 차지했다.[4] 가우 베저-엠스의 나치당 ''가울라이터'' 카를 뢰버가 1932년 6월 16일 국무총리가 되면서 올덴부르크는 나치가 전국적으로 권력을 잡기 전에 나치 주도 정부를 설치한 5개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4]

나치의 전국적 권력 장악 이후, 나치 정부는 "제2차 국가와 제국의 조정에 관한 법"을 제정하여 주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이 법에 따라 카를 뢰버는 1933년 5월 5일 올덴부르크와 브레멘의 국가원수에 임명되었고, 게오르크 요엘이 국무총리직을 계승했다.[4] 1942년 5월 15일 뢰버가 사망하자 파울 베게너가 국가원수가 되었다.

1933년 5월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올덴부르크 자유주는 브레멘 주와 함께 국가 대리관 아래에 놓였다. 국가 대리관에는 주 총리 뢰버가 취임했고, 1942년 5월에는 파울 베게너로 교체되었다.

2. 2. 1. 강제 병합과 영토 변화

나치의 권력 장악 이후, 1937년 4월 1일부터 시행된 대(大) 함부르크법에 따라 올덴부르크 자유주는 큰 변화를 겪었다. 원래 올덴부르크는 올덴부르크 지역 본토 외에 발트 해안 근처의 오이틴과 독일 남서부의 비르켄펠트 공국이라는 두 월경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 법에 따라 두 월경 지역은 프로이센 자유주에 넘어가게 되었고, 대신 빌헬름스하펜을 얻었다.[4] 이러한 영토 변화로 1939년 전쟁 발발 당시 올덴부르크의 면적은 5375km2, 인구는 58만 명이 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 1946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올덴부르크는 영국군의 점령 하에 놓였다. 영국군정부와 협력하여 올덴부르크를 독립국으로 존속시키려는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테오도어 탄첸이 임시 총리로 임명되었다. 새 주 정부는 내무 장관 아우구스트 베그만, 재무 장관 하랄트 코흐, 교육 장관 프리츠 케스트너 등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올덴부르크 주의 새 헌법을 만들기 위해 제헌위원회가 설치되었고, 1946년 봄에 새로운 주의회에서 승인되었다.[12]

올덴부르크 자유주의 청사. 1946년부터 2004년까지 주지사 관저였다.


그러나 올덴부르크 독립안은 최종 기각되었고, 니더작센 주의 일부로 편입되는 것이 결정되었다. 1946년 8월 23일 영국 군정 포고령 제46호에 따라 영국 점령 지역의 여러 주를 독립 국가로 선언하면서 올덴부르크 자유주는 올덴부르크 공화국이 되었다.

1946년 11월 23일, 올덴부르크는 브라운슈바이크 공화국(소련 점령 하에 있으며 작센-안할트 주에 통합된 동부 블랑켄부르크 군과 칼펠데의 월경지 및 헬름슈테트 군은 제외), 하노버 주 (소련 점령 하의 엘베 강 우안 제외) 및 샤움부르크-리페 공화국과 함께 니더작센 주에 통합되었다.

3. 통치자

올덴부르크 자유주의 통치자는 주 총리(Minister-Presidents)와 국가 대리관(Reichsstatthalter)으로 나뉜다.

1918년부터 1946년까지 재임한 주 총리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베른하르트 쿠흐트 (USPD): 1918년 11월 11일 ~ 1919년 3월 3일
  • 테오도어 탄첸 (DDP): 1919년 6월 21일 ~ 1923년 4월 17일
  • 오이겐 폰 핑크 (무소속): 1923년 4월 17일 ~ 1930년 11월 14일
  • 프리드리히 카세봄 (무소속): 1930년 11월 14일 ~ 1932년 6월 16일
  • 카를 뢰버 (NSDAP): 1932년 6월 16일 ~ 1933년 5월 5일
  • 게오르크 요엘 (NSDAP): 1933년 5월 6일 ~ 1945년 4월
  • 테오도어 탄첸 (FDP): 1945년 4월 ~ 1946년


1932년 5월 29일 주의회 선거에서 나치당은 48.5%의 득표율로 과반수를 확보했다.[10] 이로써 나치당은 정권을 장악했고, 1933년부터 1945년까지 카를 뢰버와 게오르크 요엘이 주 총리를 역임했다.

1933년부터 1945년까지 재임한 국가 대리관(Reichsstatthalter)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카를 뢰버 (나치당): 1933년 5월 6일 ~ 1942년 5월 15일
  • 게오르크 요엘 (나치당): 1942년 ~ 1945년
  • 파울 베게너 (나치당): 1942년 5월 27일 ~ 1945년 4월

3. 1. 주 총리 (Minister-Presidents)

정당이름재임 기간
USPD베른하르트 쿠흐트1918년 11월 11일 ~ 1919년 3월 3일
DDP테오도어 탄첸1919년 6월 21일 ~ 1923년 4월 17일
무소속오이겐 폰 핑크1923년 4월 17일 ~ 1930년 11월 14일
무소속프리드리히 카세봄1930년 11월 14일 ~ 1932년 6월 16일
NSDAP카를 뢰버1932년 6월 16일 ~ 1933년 5월 5일
NSDAP게오르크 요엘1933년 5월 6일 ~ 1945년 4월
FDP테오도어 탄첸1945년 4월 ~ 1946년



1918년 11월 11일,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USPD)의 베른하르트 쿠흐트가 주 총국(Landesdirektorium)을 설립하여 1919년 3월 3일까지 주 총리직을 수행했다.[5] 1919년 2월 독일 국 정부의 개입으로[6] 쿠흐트는 체포되었고, 이후 제헌 의회가 구성되었다.[7]

1919년 6월 21일, 사회민주당, 민주당, 중앙당의 연립 정부인 제1차 테오도어 탄첸 내각이 출범했다. 1923년 3월 28일, 탄첸 내각은 루르 점령에 대한 중앙 정부의 쿠노 내각의 저항과 관련하여[8] 주 의회의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하고 총사퇴했다.

1923년 4월 17일, 무소속의 오이겐 폰 핑크가 주 총리로 선출되어 1930년까지 재임했다. 이후 프리드리히 카세봄이 1930년 11월 14일부터 1932년 6월 16일까지 주 총리직을 수행했다.

1932년 5월 29일 주 의회 선거에서 나치당이 득표율 48.5%로 과반수를 확보하면서[10] 6월 16일, 카를 뢰버를 주 총리로 하는 최초의 나치당 주 정부가 수립되었다.[11] 1933년 5월 6일부터는 게오르크 요엘이 주 총리직을 맡아 1945년 4월까지 재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인 1945년 4월, 테오도어 탄첸이 다시 주 총리로 임명되어 1946년까지 재임했다.

3. 2. 국가 대리관 (Reichsstatthalter)

카를 뢰버는 1933년 5월 6일부터 1942년 5월 15일까지 올덴부르크 자유주의 국가 대리관을 역임했다.[1] 그는 나치당(NSDAP) 소속이었다.[1] 게오르크 요엘은 1942년부터 1945년까지 국가 대리관을 역임했으며, 그 역시 나치당 소속이었다.[2] 파울 베게너는 1942년 5월 27일부터 1945년 4월까지 국가 대리관을 역임했다.[3]

이름취임퇴임정당
카를 뢰버1933년 5월 6일1942년 5월 15일나치당
게오르크 요엘1942년1945년나치당
파울 베게너1942년 5월 27일1945년 4월나치당


4. 행정 구역

올덴부르크 대공국의 행정 구역은 올덴부르크 자유주에서도 거의 그대로 이어졌다. 그러나 1933년 대대적인 행정 개혁을 통해 기존의 행정 구역이 6개 지구로 재편되었다.[1]

1937년에는 프로이센 자유주 하노버 주로부터 빌헬름스하펜을 편입하는 대신, 비르켄펠트 지구와 뤼베크 지구를 프로이센 자유주로 넘겨주었다. 이 때 군 독립시였던 뤼스트린겐은 빌헬름스하펜에 합병되었다.[1]

4. 1. 1급 도시 (군 독립시)

4. 2. 행정 사무소 (1939년 이후 군청)

행정 사무소 (군청)관할 구역주요 도시 및 지역
암머란트구 올덴부르크 지역 일부, 베스터슈테데 지역베스터슈테데
클로펜부르크클로펜부르크 구, 프리조이테 지역클로펜부르크, 프리조이테
프리스란트예페르, 파렐, 예페르 지역, 파렐 지역예페르, 파렐
올덴부르크구 올덴부르크 지역 일부, 델멘호르스트 지역, 빌데스하우젠 지역올덴부르크, 델멘호르스트, 빌데스하우젠
페히타페히타 지역페히타
베저마르슈브라케 지역, 부트야딩겐 지역, 엘스플레트 지역브라케, 부트야딩겐, 엘스플레트


5. 상징

올덴부르크 자유주의 주기와 문장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주기1919년 10월 3일 주 내무성 통달에 의해 제정되었다. 파란색 바탕을 붉은 십자 모양으로 4등분한 직사각형이다.[1]
문장4분할된 방패의 제1, 제4 구역에는 금색 바탕에 빨간색 가로 줄무늬 2개가 있고, 제2, 제3 구역에는 파란색 바탕에 끝이 넓고 홈이 파여 있으며 하단에 뾰족한 부분이 있는 금색 십자가 배치되어 있다.[1]


5. 1. 주기

1919년 10월 3일 주 내무성 통달에 의해 파란색 바탕을 붉은 십자 모양으로 4등분한 직사각형으로 제정되었다.[1]

5. 2. 문장

4분할된 방패의 제1, 제4 구역에는 금색 바탕에 빨간색 가로 줄무늬 2개가 있고, 제2, 제3 구역에는 파란색 바탕에 끝이 넓고 홈이 파여 있으며 하단에 뾰족한 부분이 있는 금색 십자가가 배치되어 있다.[1]

6. 인구와 면적

1939년 5월을 기준으로 올덴부르크 자유주의 면적은 5396km2이고, 인구는 582,400명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er Freistaat Oldenburg Überblick http://www.gonschior[...] 2023-03-02
[2] 웹사이트 Der Freistaat Oldenburg Die Staatsministerien 1918–1933 http://www.gonschior[...] 2023-03-02
[3] 서적 Hitler's Rise to Power: The Nazi Movement in Bavaria, 1923-1933 Harper & Row
[4] 서적 The History of the Nazi Party: 1919–1933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5] 웹사이트 Chronologie http://www.gonschior[...]
[6] 서적 Oldenburgische Landesgeschichte Oldenburg
[7] 웹사이트 Wahlergebnisse http://www.gonschior[...]
[8] 웹사이트 Chronologie http://www.gonschior[...]
[9] 웹사이트 Wahlergebnisse http://www.gonschior[...]
[10] 웹사이트 Ergebnisse http://www.gonschior[...]
[11] 웹사이트 Chronologie http://www.gonschior[...]
[12] 웹사이트 NLA OL Rep 400 Best. 131 Nr. 526 - Organisation des Staatsmini... - Arcinsys Detailseite http://www.arcinsys.[...] 2018-04-17
[13] 간행물 Niedersächsisches Gesetz- und Verordnungsblatt (5321) Nr. 27/2011 2011-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