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롱가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롱가포는 필리핀 잠발레스 주에 위치한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수빅 만 북동쪽에 자리 잡고 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해군 기지로 개발되었으며, 미국 점령기를 거치며 해군 시설로서 중요성을 얻었다. 1941년 일본의 공격으로 파괴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어 미국 해군 제7함대의 모항으로 사용되었다. 1959년 필리핀에 반환되었고, 1966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1991년 피나투보 화산 폭발과 미군 철수를 겪었다. 현재는 수빅 베이 자유무역지구의 일부로, 상업 및 관광 중심지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항구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항구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올롱가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 | |
![]() | |
![]() | |
공식 명칭 | Lungsod ng Olongapo |
별칭 | 자원봉사자의 도시 |
표어 | 투명성과 훌륭한 거버넌스 |
국가 | 필리핀 |
지역 | 중앙 루손 |
주 | 삼발레스 주 (지리적으로만 해당) |
구 | 제1 입법 구역 |
설립 | 1750년 11월 4일 |
시 승격 | 1966년 6월 1일 |
고도 도시 | 1983년 12월 7일 |
시장 | 롤렌 C. 파울리노 주니어 |
부시장 | 아퀼리노 Y. 코르테스 주니어 |
하원 의원 | 제퍼슨 F. 콩훈 |
시의회 | 크리스타벨 마리 C. 파울리노 로델 S. 세레소 케이에이 앤 S. 레가스피 자미엘 줄스 K. 에스칼로나 제롬 마이클 S. 바카이 사라 루게르나 F. 리푸마노 로돌포 S. 카탈로간 시니어 비센테 H. 마그사이사이 2세 지나 S. 굴라네스-페레즈 에르멜란도 N. 아노낫 |
유권자 | 174,249 명 (2022년 필리핀 총선) |
정치 체제 | 고도 도시 |
지리 | |
면적 | 103.3 제곱킬로미터 |
고도 | 34 미터 |
최대 고도 | 1281 미터 |
최소 고도 | 0 미터 |
바랑가이 수 | 17개 |
인구 | |
총인구 (2020년) | 260,317 명 |
가구 수 | 68,378 가구 |
경제 | |
소득 등급 | 1등급 도시 |
빈곤율 | 4.6% |
총 수익 | 2,078,737,987.86 페소 (2022년) |
자산 | 8,323,620,431.82 페소 (2022년) |
지출 | 1,902,765,057.67 페소 (2022년) |
부채 | 338,877,349.42 페소 (2022년) |
식별 코드 | |
우편 번호 | 2200, 2222 (수빅 경제자유구역) |
PSGC | 037110000 |
지역 번호 | 47 |
기후 | |
기후 | 열대 몬순 기후 |
기타 | |
토착 언어 | 삼발어 |
전력 공급 | Zambales I Electric Cooperative, Inc. (ZAMECO I) |
웹사이트 | 올롱가포 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1868년, 스페인 군사 원정대는 카비테 해군 기지의 비위생적인 조건 때문에 수빅 만으로 이전할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파견되었다.[6][7][8]1884년, 스페인의 알폰소 12세 국왕은 왕실 칙령을 통해 수빅 만(당시 수빅(Subig)이라고 불림)을 스페인의 극동 거점으로 삼았다. 후안 바우티스타 데 안티키에라 부제독은 올롱가포를 스페인 해군의 거주지로 만들었다.[6][7][8]
1885년 3월 8일, 스페인 해군 위원회는 올롱가포에 조선소 건설을 승인했다. 스페인은 해군 기지와 올롱가포 마을을 섬으로 변모시켜 반란군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계획이었다. 스페인 해군 조선소는 스페인 문(Spanish Gate) 동쪽 전체 지역을 차지했다. 필리핀 노동자들을 고용하여 항구와 내부 분지를 대대적으로 준설하고 배수로를 건설했다. 이 운하는 조선소 주변 습지대의 배수와 방어선 형성의 두 가지 목적을 모두 달성했다.[6][7][8]
10년 안에 스페인인들은 조선소를 울타리로 둘러싸기 위해 벽과 표지를 세웠다. 그들은 상점과 건물을 세웠다. 스페인 정부는 해군 기지 개발에 15년 가까이 투자했다. 상급 해군 사령부로부터 수빅 만 입구에 있는 그란데 섬을 요새화하라는 명령이 내려왔다.[6][7][8] 한편, 필리핀 혁명 기간 동안 쿠바계 필리핀인 제독인 빈센테 카탈란(Vicente Catalan)이 이끄는 함대가 제1 필리핀 공화국을 위해 수빅-올롱가포의 해군 기지를 스페인으로부터 점령했다.
2. 2. 미국 점령기
1898년 5월 1일, 드위 제독의 기함인 올림피아(C-6)가 아시아 함대를 이끌고 마닐라 만으로 진입하여 해군 조선소를 포격했다. 스페인은 항복 후 필리핀에 대한 모든 권리를 미국에 양도했으며, 이는 300년 이상 지속된 스페인의 섬 지배 종식을 의미했다.[9][6]
미국 해군은 올롱가포의 해군 시설로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기지 운영을 지속했다. 1901년 11월 9일, 테오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행정 명령을 통해 수빅 만의 해역과 인근 토지를 해군 목적으로 예약했다.[9][6] 해군 기지가 확장되면서, 필리핀 주둔 미군의 방위 시설은 스페인 해군 시설을 인수하는 형태로 확충되었다.
해군 기지가 성장함에 따라 올롱가포도 함께 성장했다. 해군이 제공하는 일자리 덕분에 더 많은 사람들이 올롱가포로 이주했으며, 이는 당시 필리핀 사람들에게 환영받는 변화였다. 젊은이들은 상점 직원이나 사무직원으로 일하기 위해 농장과 어선을 떠나 해군 조선소로 향했고, 일부는 미국 해군에 합류하기도 했다. 올롱가포는 방문객들에게 깨끗하고 질서정연한 도시라는 인상을 주었다.[9][6]
2. 3. 일본 점령기
1941년 12월 14일, 일본 폭격기가 올롱가포/수빅만 지역을 공격했다.[10] 10일 후, 수빅만 해군 기지를 불태우고 철수하라는 명령이 내려졌고, 일본군의 도착을 예상한 필리핀인들이 올롱가포에 불을 질렀다.[10] 미 해군 ''뉴욕''호는 수빅만에서 자침되었다.[10] 미군이 바탄 반도에서 최후의 저항을 펼쳤을 때, 해군 기지는 버려졌고 일본군이 오기 전에 대부분의 시설이 불타 버렸다.1945년, 올롱가포는 다시 폭격과 포격을 당하며 불타 버렸다.[10] 미국 육군, 필리핀 연방군, 필리핀 경찰의 합동 사령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이후 올롱가포에 위치했으며, 중부 루손 해방을 위한 일본군과의 작전을 수행한 후 1946년까지 활동했다. 미군과 필리핀 연방군 지상군은 게릴라 전사들을 도와 일본군으로부터 올롱가포를 해방시켰다.[10] 전쟁 전 올롱가포 본당이었던 기지 예배당(Station Chapel)과 스페인 문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랜드마크는 전쟁에서 살아남지 못했다.[10]
2. 4. 독립 이후
필리핀은 1946년에 독립을 획득했지만, 올롱가포는 미국이 유지한 주요 해군 기지 중 하나로 남았다.[6] 전투가 끝난 후, 해군은 도시 재건을 시작했고, 올롱가포는 이전 위치에서 북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새로운 미개발 지역에 건설되었다. 전쟁 전 도시 지역은 기지의 일부가 되었다.[6]전후 초기 몇 년 동안 새로운 올롱가포는 전력, 배수 시스템, 상수도, 위생 시설 부족과 포장되지 않은 도로 등 어려움을 겪었다.[6] 그러나 점차 새로운 사업체 설립, 주택 프로젝트 계획, 시민 시설 복구를 통해 새로운 공동체로 발전했다.[6]
한국 전쟁 동안 미국은 1억 7천만 달러 이상을 투입하여 기지를 해군 제7함대의 모항으로 전환하고 쿠비 해군항공기지(Cubi Naval Air Station)를 아시아에서 가장 큰 미국 시설로 개발했다.[11] 해군 당국은 주택지를 이전 공공사업센터 지역에서 현재 리살 애비뉴(Rizal Avenue)와 라몬 마그사이사이 드라이브(Ramon Magsaysay Drive)가 교차하는 지역과 뉴 아시난(New Asinan)과 뉴 칼랄라케(New Kalalake) 지역으로 이전했다.[11] 올롱가포의 구획은 도로가 직선으로 건설되는 미국 방식을 본떠 이루어졌다.[11] 올롱가포와 수빅 만 지역의 대규모 시설 건설은 올롱가포의 성장과 번영을 가져왔으며, 1956년까지 인근 도시와 주에서 온 이주민들로 인구가 39,180명으로 증가했다.[11]

1946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으로부터 독립한 필리핀의 다른 지역과 달리, 올롱가포는 미국의 해군 기지 예하에 있었다.[12] 서브익 베이 해군기지 사령관은 올롱가포 시의회, 교육위원회 및 병원 위원회의 의장을 겸임했다.[12] 올롱가포에 거주하는 6만 명의 필리핀인들은 미국 해군에 세금을 납부했으며, 미국 군인과 관련된 범죄로 기소된 사람들은 미국 해군 법원에서 재판을 받았다.[12] 1955년 7월, 마닐라 시장 아르세니오 락손은 올롱가포에서 미국 해군이 필리핀인들을 학대한 것에 대한 항의로 마닐라에서 범죄를 저지른 미국 군인들은 필리핀 법원에서 재판을 받을 것이라고 발표했다.[12]
1959년 10월 23일, 올롱가포의 자동차 부품 가게 주인인 미국인 로버트 그랜트가 살해되고 미국 해군이 그를 사살한 해군 보급창 감시병을 확인하거나 재판하지 않자 계엄령이 선포되었다.[12]
올롱가포는 1950년대 미국이 필리핀에 반환한 마지막 필리핀 영토였다.[6][13] 1959년 12월 7일, 전기, 전화, 상하수도 시설이 갖춰진 5만 6천 에이커의 토지가 필리핀 외무장관 펠릭스베르토 세라노에게 양도되었다.[12] 최초로 임명된 시장은 시민 지도자 루벤 제로니모였으며, 이후 사업가 일데폰소 아리올라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12]
6년 후, 의회 의원 Ramon Magsaysay Jr.와 상원 의원 Genaro Magsaysay의 노력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R.A. 4645에 서명하여, 올롱가포는 1966년 6월 1일 시로 승격되었다.[14] 올롱가포는 1983년 12월 7일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HUC)로 승격되었다.
2. 5. 마르코스 독재 시대
1970년대 초, 필리핀 전역과 올롱가포, 삼발레스는 격변의 시기를 겪었다.[15][16]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 대통령으로서 최초의 재선을 위한 1969년 재선 운동 기간 동안 외채로 충당된 공공 사업 프로젝트를 전례 없는 규모로 시작했다.[17][18] 이는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를 야기하여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을 심각하게 증가시켰다.[19][20][21][22]헌법상 허용된 마지막 대통령 임기가 1년 남은 상황에서, 마르코스는 1972년 9월 필리핀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14년 동안 권력을 유지했다.[23] 이 시기는 마르코스 정권의 인권 침해 기록으로 기억되며,[24][25] 특히 정치적 반대자, 학생 운동가, 언론인, 종교 종사자, 농민 등이 주요 표적이 되었다.[26]
올롱가포에서는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인접한 수빅만 해군기지에 미 해군이 계속 증가했다.[30] 1967년 베트남 전쟁 절정기에는 매달 215척의 함선이 기지를 방문했고 1만 5천 명의 필리핀 민간인이 고용되었다.[30] 그러나 이는 기지 주변 지역에서 매춘의 급증을 야기했다.[27] 마르코스 정권은 필리핀 경제로 더 많은 통화 유입을 위해 성 산업 성장을 조장했다.[28][29]
1960년대 후반 주로 농업에 의존했던 올롱가포와 인근 삼발레스 지역 경제는 1970년대 중반까지 바(bar)와 같은 성 산업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발전했다.[28][29] 해군기지 정문과 리살 애비뉴 사이 라몬 마그사이사이 드라이브를 따라 있는 나이트클럽은 그 해 기지에 방문한 4,225,000명의 군인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었다.[30] 선원들은 음악 공연, 저렴한 산미구엘 맥주, 매력적인 10대 매춘부, 에로틱한 플로어 쇼, 해군기지로 돌아가는 지프니 탑승, 해군기지 정문 앞 하구 배수로 위 다리에서 동전을 줍는 아이들 등을 인기 있는 편의시설로 꼽았다.[31][32][33]
2. 6. 피나투보 화산 폭발과 미군 철수
1991년 6월 15일, 올롱가포 시에서 20km 떨어진 피나투보 산(Mount Pinatubo)이 1980년 5월 세인트헬렌스 산(Mount St. Helens) 분화보다 8배나 강력한 폭발을 일으켰다.[34] 화산재 구름이 태양을 가렸고, 화산 지진과 짙은 진흙비, 그리고 중부 루손 상공을 지나는 태풍으로 인한 뇌우로 인해 36시간 동안 지역이 어둠에 잠겼는데, 이는 "검은 토요일"로 알려지게 되었다.[34] 이로 인해 미국 시설과 올롱가포 시에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다.
1991년 9월 16일, 필리핀 상원 지도자들은 필리핀 공화국과 미국 간의 기존 RP-US 군사기지 협정을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하여 필리핀 내 미군 주둔을 종결시켰다.
2. 7. 현대
올롱가포는 리처드 고든 시장 재임 기간 동안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의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고든 시장은 미군 철수에 반대했지만, 1992년 시설 인계와 자유무역지대로의 전환을 위해 로비를 벌였다.[34] 고든은 피나투보 화산 폭발과 미군 철수 후 침체된 경제를 번영으로 이끌기 위해 자원봉사 전략을 주도했다. 이 전략은 모든 인구 통계에 걸쳐 효과를 거두었으며, 8,000명의 강력한 자원봉사자들이 밀렵꾼으로부터 버려진 기지 시설을 보호하고 보존하는 데 기여했다. 고든은 이와 함께 해당 지역을 보호구역 및 산업지대로 전환하기 위한 적극적인 옹호 운동을 병행했다. 이후 그는 적극적인 국제 투자 유치 활동을 펼쳐 필리핀의 주요 산업 및 관광 지역인 서브익베이 자유무역지구(SBFZ) 개발을 가속화했다.[34]
자치시이자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서 올롱가포는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죄악의 도시"라는 평판에서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에는 "모범 도시"로 이미지가 개선되었다.[13]
최근 인종 연구에 따르면 팜팡가주 앙헬레스, 마닐라, 삼발레스주 올롱가포는 필리핀의 미국 식민지배와 미군 기지 주둔으로 인해 태어난 25만 명의 아메라시안(혼혈 미국-아시아인)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지역이었다.[35][36]
3. 지리
잠발레스 주 남쪽 입구이자 수빅 만 북동쪽 내륙에 위치한 올롱가포 시(Olongapo City)는 이바에서 78km 떨어져 있으며, 마닐라에서 북서쪽으로 126km 떨어져 있다.
올롱가포 시의 면적은 103.3km2이다. 시가지는 6.48km2의 간척지에 위치하며, 삼면이 험준한 잠발레스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고, 기저부에는 바탕가스 주와 수빅 만이 있다. 이러한 특이한 지리적 위치 때문에 도시 토지 개발이 제한적이다. 또한, 인근 마을과의 영토 경계가 제대로 표시되어 있지 않다.[37]
==== 기후 ====
올롱가포는 열대 계절풍 기후(쾨펜 기후 구분)(''Am'')를 가지고 있다.[40] 12월, 1월, 2월에는 비교적 기온이 서늘하고, 3월부터 5월까지는 필리핀 이 지역의 가장 더운 달이므로 기온이 약간 상승한다.
12월부터 4월까지는 매우 건조하지만, 나머지 기간에는 우기가 지속된다. 8월에는 월 강수량이 1038.1mm에 달한다.
이 도시는 매년 평균 3375mm의 강수량을 기록한다. 기온은 1월의 평균 약 26.3도에서 4월의 약 29.4도까지 다양하다.
올롱가포(수빅, 삼발레스에 위치한 기상 관측소, 1992년~2010년)와 쿠비 포인트 해군 항공 기지(1994년~2012년 극값 기록)의 기후 자료는 다음과 같다.[49][50]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최고 기온 (°C) | 35.2 | 38.0 | 36.5 | 38.2 | 38.8 | 37.7 | 36.2 | 35.0 | 35.7 | 35.3 | 34.7 | 34.4 | 38.8 |
평균 최고 기온 (°C) | 31.2 | 32.1 | 33.5 | 34.5 | 33.1 | 31.7 | 30.9 | 30.4 | 30.7 | 31.6 | 31.7 | 31.0 | 31.9 |
평균 기온 (°C) | 26.8 | 27.4 | 28.5 | 29.6 | 29.1 | 28.2 | 27.7 | 27.4 | 27.5 | 27.9 | 27.8 | 27.1 | 27.9 |
평균 최저 기온 (°C) | 22.5 | 22.7 | 23.6 | 24.8 | 25.1 | 24.8 | 24.4 | 24.4 | 24.3 | 24.2 | 23.9 | 23.2 | 24.0 |
최저 기온 (°C) | 17.9 | 18.7 | 19.8 | 21.5 | 21.5 | 19.0 | 20.0 | 21.4 | 21.0 | 20.6 | 20.6 | 18.5 | 17.9 |
강수량 (mm) | 6.0 | 4.2 | 16.1 | 22.5 | 416.8 | 385.7 | 759.7 | 753.5 | 695.8 | 214.5 | 81.9 | 21.9 | 3378.6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2 | 1 | 3 | 3 | 12 | 17 | 23 | 24 | 21 | 13 | 8 | 5 | 132 |
평균 상대 습도 (%) | 67 | 66 | 65 | 65 | 73 | 78 | 81 | 81 | 82 | 77 | 73 | 68 | 73 |
==== 행정 구역 ====
올롱가포는 행정 구역상 17개의 바랑가이로 나뉜다. 각 바랑가이는 푸록으로 구성되며, 일부는 시티오를 포함한다.
- 바레토
- 이스트 바하크바하크
- 이스트 타피낙
- 고든 하이츠
- 칼락란
- 마바유안
- 뉴 아시난
- 뉴 바니카인
- 뉴 카발란
- 뉴 일라림
- 뉴 카바바에
- 뉴 칼랄라케
- 올드 카발란
- 파가사
- 산타 리타
- 웨스트 바하크바하크
- 웨스트 타피낙
3. 1. 기후
올롱가포는 열대 계절풍 기후(쾨펜 기후 구분)(''Am'')를 가지고 있다.[40] 12월, 1월, 2월에는 비교적 기온이 서늘하고, 3월부터 5월까지는 필리핀 이 지역의 가장 더운 달이므로 기온이 약간 상승한다.12월부터 4월까지는 매우 건조하지만, 나머지 기간에는 우기가 지속된다. 8월에는 월 강수량이 1038.1mm에 달한다.
이 도시는 매년 평균 3375mm의 강수량을 기록한다. 기온은 1월의 평균 약 26.3도에서 4월의 약 29.4도까지 다양하다.
올롱가포(수빅, 삼발레스에 위치한 기상 관측소, 1992년~2010년)와 쿠비 포인트 해군 항공 기지(1994년~2012년 극값 기록)의 기후 자료는 다음과 같다.[49][50]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최고 기온 (°C) | 35.2 | 38.0 | 36.5 | 38.2 | 38.8 | 37.7 | 36.2 | 35.0 | 35.7 | 35.3 | 34.7 | 34.4 | 38.8 |
평균 최고 기온 (°C) | 31.2 | 32.1 | 33.5 | 34.5 | 33.1 | 31.7 | 30.9 | 30.4 | 30.7 | 31.6 | 31.7 | 31.0 | 31.9 |
평균 기온 (°C) | 26.8 | 27.4 | 28.5 | 29.6 | 29.1 | 28.2 | 27.7 | 27.4 | 27.5 | 27.9 | 27.8 | 27.1 | 27.9 |
평균 최저 기온 (°C) | 22.5 | 22.7 | 23.6 | 24.8 | 25.1 | 24.8 | 24.4 | 24.4 | 24.3 | 24.2 | 23.9 | 23.2 | 24.0 |
최저 기온 (°C) | 17.9 | 18.7 | 19.8 | 21.5 | 21.5 | 19.0 | 20.0 | 21.4 | 21.0 | 20.6 | 20.6 | 18.5 | 17.9 |
강수량 (mm) | 6.0 | 4.2 | 16.1 | 22.5 | 416.8 | 385.7 | 759.7 | 753.5 | 695.8 | 214.5 | 81.9 | 21.9 | 3378.6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2 | 1 | 3 | 3 | 12 | 17 | 23 | 24 | 21 | 13 | 8 | 5 | 132 |
평균 상대 습도 (%) | 67 | 66 | 65 | 65 | 73 | 78 | 81 | 81 | 82 | 77 | 73 | 68 | 73 |
3. 2. 행정 구역
올롱가포는 행정 구역상 17개의 바랑가이로 나뉜다. 각 바랑가이는 푸록으로 구성되며, 일부는 시티오를 포함한다.- 바레토
- 이스트 바하크바하크
- 이스트 타피낙
- 고든 하이츠
- 칼락란
- 마바유안
- 뉴 아시난
- 뉴 바니카인
- 뉴 카발란
- 뉴 일라림
- 뉴 카바바에
- 뉴 칼랄라케
- 올드 카발란
- 파가사
- 산타 리타
- 웨스트 바하크바하크
- 웨스트 타피낙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올롱가포시의 인구는 260,317명이다.
== 언어 ==
이 도시의 인구는 다양한 주요 언어를 사용하는데, 특히 타갈로그어, 삼발어, 팜팡가어, 팡가시난어, 이로카노어 등이 있다. 타갈로그어와 영어를 섞어 쓰는 타글리시(타갈로그어와 영어의 혼합어)와 같이, 모국어와 필리핀 영어를 섞어 쓰는 현상도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흔하다. 다른 지역 출신 사람들이 사용하는 더 많은 언어들 또한 사용된다.
== 종교 ==
올롱가포 시민 대다수는 로마 가톨릭 신자이며, 그다음으로 인그레시아 니 크리스토 신자가 많다. 개신교, 복음주의, 재생 운동 신자, 여호와의 증인, 몰몬교, 하나님의 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니치렌 불교 (국제 창가학회), 감리교회, 그리고 이슬람교 신자들도 있다.
올롱가포 시의 10개의 로마 가톨릭 본당은 산호세 사목구(Vicariate of San Jose)로 묶여 있으며, 로마 가톨릭 이바 교구의 관할 아래 있다. 본당은 다음과 같다.
- 동바하크바하크(East Bajac-Bajac) 마을의 성 요셉 본당 (1920년)
- 뉴 아시난(New Asinan) 마을의 성 콜롬반 본당 (1963년)
- 산타 리타(Santa Rita) 마을의 산타 리타 본당 (1967년)
- 뉴 카발란(New Cabalan) 마을의 성 삼위일체 본당 (1975년)
- 고든 하이츠(Gordon Heights) 마을의 성 안나 본당 (1985년)
- 바레토(Barretto) 마을의 잉마쿨라다 컨셉션 본당 (1986년)
- 뉴 칼랄라케(New Kalalake) 마을의 산 로렌조 루이스 본당 (1991년)
- 칼락란(Kalaklan) 마을의 성가정 본당 (1992년)
- 올드 카발란(Old Cabalan) 마을의 성 빈센트 드 폴 준본당
- 수빅 베이 자유무역지구의 산 로케 준본당
4. 1. 언어
이 도시의 인구는 다양한 주요 언어를 사용하는데, 특히 타갈로그어, 삼발어, 팜팡가어, 팡가시난어, 이로카노어 등이 있다. 타갈로그어와 영어를 섞어 쓰는 타글리시(타갈로그어와 영어의 혼합어)와 같이, 모국어와 필리핀 영어를 섞어 쓰는 현상도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흔하다. 다른 지역 출신 사람들이 사용하는 더 많은 언어들 또한 사용된다.4. 2. 종교
올롱가포 시민 대다수는 로마 가톨릭 신자이며, 그다음으로 인그레시아 니 크리스토 신자가 많다. 프로테스탄트, 복음주의, 재생 운동 신자, 여호와의 증인, 몰몬교, 하나님의 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니치렌 불교 (국제 창가학회), 감리교회, 그리고 이슬람교 신자들도 있다.올롱가포 시의 10개의 로마 가톨릭 본당은 산호세 사목구(Vicariate of San Jose)로 묶여 있으며, 로마 가톨릭 이바 교구의 관할 아래 있다. 본당은 다음과 같다.
- 동바하크바하크(East Bajac-Bajac) 마을의 성 요셉 본당 (1920년)
- 뉴 아시난(New Asinan) 마을의 성 콜롬반 본당 (1963년)
- 산타 리타(Santa Rita) 마을의 산타 리타 본당 (1967년)
- 뉴 카발란(New Cabalan) 마을의 성 삼위일체 본당 (1975년)
- 고든 하이츠(Gordon Heights) 마을의 성 안나 본당 (1985년)
- 바레토(Barretto) 마을의 잉마쿨라다 컨셉션 본당 (1986년)
- 뉴 칼랄라케(New Kalalake) 마을의 산 로렌조 루이스 본당 (1991년)
- 칼락란(Kalaklan) 마을의 성가정 본당 (1992년)
- 올드 카발란(Old Cabalan) 마을의 성 빈센트 드 폴 준본당
- 수빅 베이 자유무역지구의 산 로케 준본당
5. 정치
잠발레스 주의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서, 올롱가포시의 정부 관리들은 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된다. 주 정부는 시 정부의 지역 거래에 대해 정치적 관할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 도시의 주민들은 시가 잠발레스 제1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국회의원 대표를 제외하고는 주 차원에서 출마할 수 없다.
올롱가포시는 지방자치법에 따라 지방 최고 책임자인 시장과 입법 기관인 시의회에 의해 통치된다. 시장과 10명의 시의원 모두 3년마다 실시되는 선거를 통해 국민에 의해 직접 선출된다.
바랑가이는 또한 선출된 관리들인 바랑가이장(Barangay Captain), 바랑가이 의회의 수장인 바랑가이 의원들에 의해 이끌어진다. 바랑가이는 SK 의장이 이끄는 바랑가이를 대표하는 SK 연합회를 가지고 있으며, 그 구성원은 SK 의원이라고 불린다. 모든 관리들 또한 3년마다 선출된다.
5. 1. 역대 시장
6. 공공 안전
6. 1. 소방 및 구조
올롱가포시 재난 위험 감소 및 관리 사무소(Olongapo City DRRMO)는 시 정부와 국가 재난 위험 감소 및 관리 위원회(NDRRMC), 국방부(DND), 내무 및 지방 정부부(DILG)를 포괄하는 정부 기관이다. 모든 종류의 재난에 대비한 자체 소방 및 구조 장비와 응급 대응 서비스를 갖추고 있으며, 과거 미국 해군 기지의 미국 군인들로부터 도입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DRRMO는 소방청(Bureau of Fire Protection)(DILG-BFP) 산하 올롱가포시 소방서(OCFS)와는 별개로 운영된다.각 지역 사회에는 최초 대응자 역할을 하는 자체 바랑가이(Barangay) 소방 서비스가 있다. 수빅베이 자유무역지구(Subic Bay Freeport Zone)에는 수빅베이 대도시청(Subic Bay Metropolitan Authority)이 관리하는 소방서가 있으며, DRRMO와 유사하게 미국이 남긴 최고 수준의 훈련을 받은 인력과 구조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이 제작한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소방차는 1991년 피나투보 화산 폭발(1991 eruption of Mount Pinatubo),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수습(Fukushima disaster cleanup), 2013년 하이옌 태풍 수색 및 구조 활동 등 주요 재난에 대응해 왔다.
6. 2. 치안
올롱가포 시는 올롱가포 시 경찰서(OCPO)의 관할 아래 6개의 경찰서를 두고 있으며, 필리핀 국가경찰(PNP)의 지휘를 받는다. 시 경찰의 주둔지는 바레토 마을에 있는 캠프 카발(현지인들에게는 "164"로 알려짐)에 있다. 추가적인 치안 기관은 수빅 베이 대도시 관리청 법 집행 부서(SBMA-LED)의 통제를 받는데, 이 부서는 공화국 법률 7227호에 따라 수빅 베이 해안과 인근 자유무역지구를 보호한다. (일반적으로 "SBMA 경찰"로 알려져 있다).교통 단속과는 별도로, 시에는 교통 관리 및 공공 안전국(OTMPS)이라는 법 집행 기관이 있다. 이 기관은 색상 코드 운송 계획 이행, 정부 소유 시설 보안, 공공 시장 조직 및 교통 단속 안전 제공에 중점을 두며, 육상 운송 사무소와 협력한다.
7. 교통
==== 공항 ====
올롱가포 자체에는 공항이 없지만, 인접한 마을인 모롱의 수빅베이 국제공항이 올롱가포 지역을 운영하고 있다. 이 공항은 수빅베이 자유무역지구 내에 있으며, 미국 공군기지였을 당시에는 쿠비포인트 해군항공기지로 알려져 있었다.
==== 항구 ====
올롱가포는 수빅만관리청(Subic Bay Metropolitan Authority)이 운영 및 관리하는 수빅만 항구(Port of Subic Bay)를 이용한다. 항만 시설 중 일부는 수빅 자유무역지대(Subic Freeport Zone)의 올롱가포 지역에 위치하며, 알라바(Alava), 브라보(Bravo), 리베라(Rivera) 부두가 있다.
==== 도로 ====
올롱가포 시는 직사각형 형태의 도로망이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다. 올롱가포를 다른 지역과 연결하는 주요 도로는 호세 아바드 산토스 애비뉴(Jose Abad Santos Avenue)이다. 시 중심 지역에서는 남북으로 뻗은 도로 이름이 알파벳 순서대로 붙어 있으며, 동서로 뻗은 도로는 남쪽 평행선에서부터 시작하여 1번부터 27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짝수 번 도로는 시의 동쪽에, 홀수 번 도로는 서쪽에 위치한다. 올롱가포의 도로 대부분은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다.
==== 대중교통 ====
올롱가포는 필리핀에서 처음으로 색상 코드 체계의 대중교통 시스템을 도입한 도시이다. 모든 정부 허가 지프니와 삼륜차는 운행하는 지역, 구역 또는 노선에 따라 고유한 색상 코드를 가지고 있다. 택시 서비스도 운영되지만 제한적이다.
빅토리 라이너(Victory Liner)와 사울로그 트랜짓(Saulog Transit)은 이 도시에 자체 터미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도시 안팎으로 사람들을 수송하는 주요 버스 운영업체이다. 지역 버스 터미널도 있으며, 주로 인근 도시와 수빅 베이 자유무역지구(Subic Bay Freeport Zone) 내부의 교통에 이용된다.
7. 1. 공항
올롱가포 자체에는 공항이 없지만, 인접한 마을인 모롱의 수빅베이 국제공항이 올롱가포 지역을 운영하고 있다. 이 공항은 수빅베이 자유무역지구 내에 있으며, 미국 공군기지였을 당시에는 쿠비포인트 해군항공기지로 알려져 있었다.7. 2. 항구
올롱가포는 수빅만관리청(Subic Bay Metropolitan Authority)이 운영 및 관리하는 수빅만 항구(Port of Subic Bay)를 이용한다. 항만 시설 중 일부는 수빅 자유무역지대(Subic Freeport Zone)의 올롱가포 지역에 위치하며, 알라바(Alava), 브라보(Bravo), 리베라(Rivera) 부두가 있다.
7. 3. 도로
올롱가포 시는 직사각형 형태의 도로망이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다. 올롱가포를 다른 지역과 연결하는 주요 도로는 호세 아바드 산토스 애비뉴(Jose Abad Santos Avenue)이다. 시 중심 지역에서는 남북으로 뻗은 도로 이름이 알파벳 순서대로 붙어 있으며, 동서로 뻗은 도로는 남쪽 평행선에서부터 시작하여 1번부터 27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짝수 번 도로는 시의 동쪽에, 홀수 번 도로는 서쪽에 위치한다. 올롱가포의 도로 대부분은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다.7. 4. 대중교통
올롱가포는 필리핀에서 처음으로 색상 코드 체계의 대중교통 시스템을 도입한 도시이다. 모든 정부 허가 지프니와 삼륜차는 운행하는 지역, 구역 또는 노선에 따라 고유한 색상 코드를 가지고 있다. 택시 서비스도 운영되지만 제한적이다.빅토리 라이너(Victory Liner)와 사울로그 트랜짓(Saulog Transit)은 이 도시에 자체 터미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도시 안팎으로 사람들을 수송하는 주요 버스 운영업체이다. 지역 버스 터미널도 있으며, 주로 인근 도시와 수빅 베이 자유무역지구(Subic Bay Freeport Zone) 내부의 교통에 이용된다.
8. 공공 시설
==== 전기 ====
올롱가포의 전력 서비스는 도시 설립 이후 정부 운영 공공시설부(Public Utilities Department, PUD)가 담당해 왔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 도시는 전력 공급업체에 50억 페소에 달하는 전력 배분 비용 부채에 직면하여 루손 전력망에서 도시를 차단하겠다는 위협을 받았다. 당시 시장 제임스 고든 주니어(James Gordon Jr.)는 소비자의 미납금 또는 부채, 광범위한 전력 절도, 그리고 PUD 내 부패로 인한 낮은 징수율을 위기의 원인으로 지목했다.[42]
민간 부문 자산 및 부채 관리 공사(Private Sector Assets and Liabilities Management Corp., PSALM)의 이자 부과, 에너지 규제위원회(Energy Regulatory Commission, ERC)의 요금 인상 거부, 그리고 PUD 민영화 지연 등으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42]
2013년, 공화국 법률 제10373호를 통해 PUD는 카가얀 전력 및 조명 회사(Cagayan Electric Power and Light Company, CEPALCO)의 계열사인 올롱가포 전력 배분 회사(Olongapo Electricity Distribution Company, OEDC)에 6억 1천만 페소에 매각되었으며, OEDC는 도시의 전력 배급업체를 인수할 25년의 권한을 부여받았다. 이후 회사는 도시의 노후되고 낙후된 배전망을 업그레이드하고 도시의 전력 서비스를 크게 개선했다.[43]
==== 상수도 ====
올롱가포의 상수도 서비스는 수빅 상하수도 회사(Subic Water and Sewerage Company, Subic Water)가 제공한다.[44] 수빅 상하수도 회사는 인근 도시에 상수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개의 회사인 수빅 상수도 지역(Subic Water District, SWD)과는 다른 회사이다. 2013년, 수빅시는 도시의 수빅 상수도 지분을 마닐라 수도 서비스 Inc. (Maynilad)에 매각하여 도시의 상수도 서비스 현대화를 추진했으나,[44] 2016년 3월, 수빅시는 수빅 상수도 고객의 대다수가 도시 주민들이라는 점을 들어 수빅 상수도에 대한 대표권을 갖고자 지분을 다시 매입했다.[44]
8. 1. 전기
올롱가포의 전력 서비스는 도시 설립 이후 정부 운영 공공시설부(Public Utilities Department, PUD)가 담당해 왔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 도시는 전력 공급업체에 50억 페소에 달하는 전력 배분 비용 부채에 직면하여 루손 전력망에서 도시를 차단하겠다는 위협을 받았다. 당시 시장 제임스 고든 주니어(James Gordon Jr.)는 소비자의 미납금 또는 부채, 광범위한 전력 절도, 그리고 PUD 내 부패로 인한 낮은 징수율을 위기의 원인으로 지목했다.[42]민간 부문 자산 및 부채 관리 공사(Private Sector Assets and Liabilities Management Corp., PSALM)의 이자 부과, 에너지 규제위원회(Energy Regulatory Commission, ERC)의 요금 인상 거부, 그리고 PUD 민영화 지연 등으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42]
2013년, 공화국 법률 제10373호를 통해 PUD는 카가얀 전력 및 조명 회사(Cagayan Electric Power and Light Company, CEPALCO)의 계열사인 올롱가포 전력 배분 회사(Olongapo Electricity Distribution Company, OEDC)에 6억 1천만 페소에 매각되었으며, OEDC는 도시의 전력 배급업체를 인수할 25년의 권한을 부여받았다. 이후 회사는 도시의 노후되고 낙후된 배전망을 업그레이드하고 도시의 전력 서비스를 크게 개선했다.[43]
8. 2. 상수도
올롱가포의 상수도 서비스는 수빅 상하수도 회사(Subic Water and Sewerage Company, Subic Water)가 제공한다.[44] 수빅 상하수도 회사는 인근 도시에 상수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개의 회사인 수빅 상수도 지역(Subic Water District, SWD)과는 다른 회사이다. 2013년, 수빅시는 도시의 수빅 상수도 지분을 마닐라 수도 서비스 Inc.(Maynilad Water Services Inc.)(Maynilad)에 매각하여 도시의 상수도 서비스 현대화를 추진했으나,[44] 2016년 3월, 수빅시는 수빅 상수도 고객의 대다수가 도시 주민들이라는 점을 들어 수빅 상수도에 대한 대표권을 갖고자 지분을 다시 매입했다.[44]9. 환경
올롱가포는 멸종 위기에 처한 필리핀 독수리[45]와 올리브각시거북[46]를 포함한 여러 중요한 필리핀 종들의 서식지이다.
10. 자매 도시
올롱가포는 다음과 같은 자매 도시를 가지고 있다.[47][48]
- 카바나투안, 필리핀
- 브레머턴, 미국
- 내셔널 시티, 미국
- 버지니아 비치, 미국
11. 올롱가포 출신 유명인
- 지지 드 라나(1995년생), 가수 겸 배우이다.
- 리처드 J. 고든(1945년생), 정치인이자 필리핀 적십자 회장이다.
- 앤젤리 델로스 레이예스(1987년생), 2013년 미스 필리핀 어스이다.
- 앤젤루 드 레온(1979년생), GMA 네트워크 배우이다.
- 아넬 피네다(1967년생), 저니의 보컬리스트이다.
- 블랙디약(조셉 아모토-포마란)(1969~2016), 가수, 코미디언, 배우였다.
- 마이크 코건(1918~1989), 미국 축구 선수였다.
- 에릭 크레이(1988년생), 육상 선수로, 201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 프레디 아길라르(1953년생), 저명한 음악가이자 싱어송라이터이다.
- 제이크 바르가스(1992년생), GMA 네트워크 모델 겸 배우이다.
- 리젤 로페즈(1997년생), 배우, 모델, 스타스트럭 참가자이다.
- 케이 브로사스(1975년생), 코미디언, 가수, ABS-CBN 진행자이다.
- 크리스토퍼 마틴(1994년생), GMA 네트워크 배우이다.
- 로렌 영(1993년생), GMA 네트워크 배우이다.
- 메건 영(1990년생), GMA 네트워크 배우 겸 진행자이자, 2013년 미스 월드 필리핀 및 2013년 미스 월드이다.
- 멜리사 릭스(1990년생), ABS-CBN 배우 겸 진행자이다.
- 모이라 델라 토레(1993년생), ABS-CBN 싱어송라이터이다.
- 라이코 마테오(2008년생), ABS-CBN 아역 배우로, 호네스토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 사무엘 모리슨(1991년생), 태권도 선수로, 2019년 동남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이다.
- 리코 바레라(1981년생), ABS-CBN 모델 겸 배우로, ''피노이 빅 브라더'' 시즌 1에 출연했다.
- 사이먼 이바라(1960년생), 배우 겸 모델이다.
- 톰 로드리게스(1987년생), GMA 네트워크 배우이다.
- 윌리 밀러(1977년생), 농구 선수이다.
- 와위 드 구즈만(1976년생), ABS-CBN 배우이다.
- 토팩스 로빈슨(1974년생), 전 피닉스 퓨얼 슈퍼 LPG 마스터스 감독이다.
- 이즈 밀(1998년생), 래퍼 겸 작사가이다.
참조
[1]
뉴스
AUICK Newsletter No.54 AUICK News
http://www.kicc.jp/a[...]
2019-04-14
[2]
뉴스
Gift of a legacy
http://tribune.net.p[...]
2019-04-14
[3]
뉴스
Intense race to City Hall in Olongapo
http://www.manilatim[...]
2019-04-14
[4]
문서
DILG detail
[5]
웹사이트
Building Globally Competitive Metro Areas in the Philippines
http://www.neda.gov.[...]
[6]
웹사이트
The Olongapo Story
http://www.subicbayp[...]
[7]
웹사이트
Olongapo City Barangay and History
http://olongapo-city[...]
2009-11-14
[8]
웹사이트
History of Olongapo City
http://www.olongapoc[...]
2024-02-00
[9]
웹사이트
History of Subic Bay and Olongapo City
http://olongapo-subi[...]
2011-12-13
[10]
웹사이트
Subic Bay History – 1940's
http://www.subicbayp[...]
Subicbaypi.com
1942-04-08
[11]
웹사이트
World War II
http://www.olongapoc[...]
[12]
서적
Subic Bay from Magellan to Pinatubo: The History of the U.S. Naval Station Subic Bay
2009
[13]
웹사이트
World Bank – Olongapo Profile
http://info.worldban[...]
[14]
웹사이트
Olongapo City – Brief History
http://members.tripo[...]
[15]
서적
Marcos Martial Law: Never Again
Filipinos for a Better Philippines, Inc.
2016
[16]
웹사이트
https://www.official[...]
2024-08-00
[17]
저널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dirp4.pids.g[...]
2022-11-06
[18]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9]
저널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20]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21]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7
[22]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23]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1998
[24]
웹사이트
Alfred McCoy, Dark Legacy: Human rights under the Marcos regime
http://www.hartford-[...]
Ateneo de Manila University
1999-09-20
[25]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
[26]
뉴스
Gone too soon: 7 youth leaders killed under Martial Law
https://www.rappler.[...]
2018-06-15
[27]
문서
Pipe Dream for the Ladies: Constructs of Rights of Prostituted Women among Social Actors in the Sex Industry of Olongapo City, Zambales
[28]
서적
Sex, Money, and Morality: Prostitution and Tourism in South-east Asia
Zed Books
1990
[29]
문서
Sexuality, Gender, and US Imperialism after Philippine Independence: An Examination of Gender and Sexual Stereotypes of Pilipina Entertainment Workers and US Servicemen
2015
[30]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2011
[31]
서적
Afterburner: Naval Aviators and the Vietnam War
NYU Press
2004
[32]
웹사이트
LIBERTY CALL: Olongapo City
http://denniscleveng[...]
Dennis Clevenger
2012-08-03
[33]
웹사이트
Olongapo
http://www.usswilhoi[...]
Dave Payson
2024-12-00
[34]
웹사이트
Twin Disasters- Olongapo City Official Website
http://www.olongapoc[...]
[35]
보도자료
200,000–250,000 or More Military Filipino Amerasians Alive Today in Republic of the Philippines according to USA-RP Joint Research Paper Finding
http://amerasianrese[...]
2016-07-11
[36]
논문
The Case for Categorization of Military Filipino Amerasians as Diaspora
http://amerasianrese[...]
Michigan State University
2012-10-01
[37]
웹사이트
Philippines Travel and Hotel Guide
http://www.philtrave[...]
[38]
웹사이트
Subic, Zambales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39]
웹사이트
Cubi Point Subic, Olongapo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40]
웹사이트
Average Weather For Subic Bay Freeport Zone, Philippines
http://weatherspark.[...]
2013-05-11
[41]
뉴스
Gordons lose; Payumos fall in Bataan
http://www.philstar.[...]
2013-05-17
[42]
뉴스
Olongapo's power debt burden
http://newsinfo.inqu[...]
2016-07-03
[43]
뉴스
Aquino signs law on Olongapo power privatization
http://newsinfo.inqu[...]
2016-07-03
[44]
뉴스
Olongapo sells 10% of Subic Water to Maynilad
http://www.rappler.c[...]
2016-07-03
[45]
뉴스
Endangered Philippine hawk-eagle rescued in Olongapo
https://newsinfo.inq[...]
2021-02-08
[46]
웹사이트
https://www.pna.gov.[...]
2024-08-01
[47]
웹사이트
MINUTES OF THE REGULAR MEETING OF THE CITY COUNCIL AND COMMUNITY DEVELOPMENT COMMISSION OF NATIONAL CITY, CALIFORNIA
http://www.nationalc[...]
2016-12-17
[48]
웹사이트
Sister Cities Association of Virginia Beach
http://vbsca.org/olo[...]
2016-03-31
[49]
웹인용
Subic, Zambales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50]
웹인용
Cubi Point Subic, Olongapo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