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픽 바이애슬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스키와 사격을 결합한 동계 올림픽 종목이다. 1960년 동계 올림픽에서 남자 20km 개인 경기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1968년 남자 계주, 1980년 남자 스프린트, 1992년 여자 종목, 2002년 추적, 2006년 매스 스타트, 2014년 혼성 계주가 추가되었다. 남자 경기는 개인전, 스프린트, 추적, 매스 스타트, 계주로 구성되며, 여자 경기는 개인전, 스프린트, 추적, 매스 스타트, 계주, 혼성 경기는 남녀 혼성으로 팀을 이루어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애슬론 대회 - 바이애슬론 월드컵
    바이애슬론 월드컵은 매년 11월/12월부터 3월까지 스프린트, 개인, 추격, 매스스타트, 계주 등의 종목으로 구성된 국제 바이애슬론 경기 대회 시리즈이며, 시즌 종합 성적에 따라 크리스털 글로브가 수여된다.
  • 1960년 시작된 행사 - 미스 인터내셔널
    미스 인터내셔널은 1960년 미국에서 시작된 미인 대회로, 여성의 내면의 아름다움을 통해 세계 평화를 추구하며, 대한민국은 미스코리아 선발대회를 통해 대표를 선발한다.
  • 올림픽 바이애슬론 - 2002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2002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개인, 스프린트, 추적, 계주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노르웨이가 금메달 4개로 메달 순위 1위를, 올레 에이나르 비에른달렌은 4관왕을, 독일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총 34개국이 참가했다.
  • 올림픽 바이애슬론 - 196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196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프랑스 그르노블에서 남자 20km 개인전과 4x7.5km 릴레이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개인전 금메달은 마그나르 솔베르그, 릴레이 금메달은 소련이 획득했고, 총 16개국이 참가했으며 캐나다, 동독, 서독, 체코슬로바키아가 처음으로 참가했다.
올림픽 바이애슬론
올림픽 바이애슬론
바이애슬론 픽토그램
바이애슬론 픽토그램
일반 정보
종목 코드BTH
스포츠바이애슬론
올림픽 참가 정보
남자 종목5
여자 종목5
혼성 종목1
올림픽 역사
동계 올림픽1924 (시범 종목)
1928 (시범 종목)
1932 (시범 종목)
1936 (시범 종목)
1948 (시범 종목)
1952 (시범 종목)
1956 (시범 종목)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관련 단체
국제 경기 연맹국제 바이애슬론 연맹
국제 경기 연맹 약자IBU

2. 역사

바이애슬론은 원래 군사 훈련의 일환으로 시작된 군사 정찰 경기에서 유래했다. 군사 정찰 경기는 1924년 동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기도 했으나, 이후 몇 차례 시범 종목으로만 열렸다.[1]

1960년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에서 남자 개인 경기가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올림픽 바이애슬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남자 계주, 스프린트 종목이 추가되었고,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는 여자 종목이 신설되었다. 21세기에 들어서는 추적, 매스 스타트, 혼성 계주 등 새로운 세부 종목들이 추가되면서 더욱 다양한 경기가 펼쳐지게 되었다.

2. 1. 군사 정찰 경기

1960년 동계 올림픽에서 바이애슬론이 정식 종목으로 처음 등장하기 전에, 군사 정찰 경기가 1924년 동계 올림픽, 1928년 동계 올림픽, 1936년 동계 올림픽, 그리고 1948년 동계 올림픽 등 총 네 번의 동계 올림픽에서 개최되었다. 이 중 1924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군사 정찰 종목에 정식으로 메달이 수여되었지만, 나머지 세 번의 올림픽에서는 시범 종목으로만 진행되었다. 국제 바이애슬론 연맹은 이 군사 정찰 경기를 현대 바이애슬론의 전신으로 간주하고 있다.[1]

2. 2. 동계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

바이애슬론이 동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기 전, 그 전신이라 할 수 있는 군사 정찰 종목이 있었다. 군사 정찰은 1924년 샤모니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메달이 수여되었으나, 이후 1928년 생모리츠, 1936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1948년 생모리츠 대회에서는 시범 종목으로만 열렸다. 국제 바이애슬론 연맹은 이 군사 정찰을 바이애슬론의 기원으로 보고 있다.[1]

1960년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에서 남자 20km 개인 경기가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올림픽 바이애슬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올림픽 대회를 거치며 세부 종목들이 다음과 같이 점차적으로 추가되었다.

역대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세부 종목 채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종목 / 연도1900년대2000년대합계
242832364852566064687276808488929498020610141822
남자 군사 정찰XXX1
남자 20km 개인17
남자 4 × 7.5km 계주15
남자 10km 스프린트12
남자 12.5km 추적6
남자 15km 매스 스타트5
여자 15km 개인9
여자 4 × 6km 계주[5]9
여자 7.5km 스프린트9
여자 10km 추적6
여자 12.5km 매스 스타트5
혼성 계주3
정식 종목 수11122233366681010111111


  • X는 시범 종목, •는 정식 종목

3. 경기 종목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1960년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에서 남자 20km 개인 한 종목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남자 종목이 꾸준히 추가되었으며,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부터는 여자 종목이 정식으로 도입되었다. 가장 최근에는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혼성 계주 종목이 추가되어,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기준으로 총 11개의 세부 종목이 시행되고 있다.

현재 올림픽 바이애슬론의 세부 종목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각 종목의 상세한 규칙과 역사에 대해서는 아래의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 남자: 개인, 스프린트, 추적, 매스 스타트, 계주
  • 여자: 개인, 스프린트, 추적, 매스 스타트, 계주
  • 혼성: 혼성 계주

3. 1. 남자

올림픽 바이애슬론의 남자 종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확대되었다. 바이애슬론의 전신 격인 군사 정찰 종목은 1924년 샤모니 동계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나, 이후 1928년, 1936년, 1948년 대회에서는 시범 종목으로만 열렸다.

현대 바이애슬론 남자 종목은 1960년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에서 20km 개인 종목이 도입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새로운 종목들이 추가되었다.

남자 바이애슬론 종목 올림픽 도입 역사
종목거리첫 정식 종목 채택 올림픽
개인20km1960년 스쿼밸리
계주4x7.5km1968년 그르노블
스프린트10km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추적12.5km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매스 스타트15km2006년 토리노



각 종목은 지정된 거리를 스키로 주행하며 중간에 사격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3. 2. 여자

(2022년 기준)개인15km1992년9계주 [2]4 × 6km1992년9스프린트7.5km1992년9추적10km2002년6매스 스타트12.5km2006년5


3. 3. 혼성

혼성 계주는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이후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과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도 정식 종목으로 유지되었다.

4. 역대 올림픽 메달 집계

역대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메달 집계 (2022년 동계 올림픽 이후 기준)[4]
순위국가합계
1노르웨이 (NOR)22181555
2독일 (GER)20211354
3프랑스 (FRA)1291132
4러시아 (RUS)105823
5소련 (URS)95519
6스웨덴 (SWE)66618
7벨라루스 (BLR)44311
8동독 (GDR)34411
9슬로바키아 (SVK)3317
10통합팀 (EUN)2226
11캐나다 (CAN)2013
12서독 (FRG)1225
13우크라이나 (UKR)1135
14불가리아 (BUL)1012
15체코 (CZE)0448
16핀란드 (FIN)0426
17오스트리아 (AUT)0336
18이탈리아 (ITA)0167
19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0134
20슬로베니아 (SLO)0112
21카자흐스탄 (KAZ)0101
폴란드 (POL)0101
스위스 (SUI)0101
24크로아티아 (CRO)0011
합계1009795292



;참고사항

참조

[1] 웹사이트 A Quick Look at Biathlon through the Years https://www.biathlon[...] 2022-01-04
[2] 문서
[3] 문서
[4] 웹사이트 Olympic Analytics - Medals by Countries http://olympanalyt.c[...] 2022-02-20
[5] 문서
[6] 웹인용 바이애슬론 http://www.olympic.o[...] 국제 올림픽 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