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바이애슬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스키와 사격을 결합한 동계 올림픽 종목이다. 1960년 동계 올림픽에서 남자 20km 개인 경기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1968년 남자 계주, 1980년 남자 스프린트, 1992년 여자 종목, 2002년 추적, 2006년 매스 스타트, 2014년 혼성 계주가 추가되었다. 남자 경기는 개인전, 스프린트, 추적, 매스 스타트, 계주로 구성되며, 여자 경기는 개인전, 스프린트, 추적, 매스 스타트, 계주, 혼성 경기는 남녀 혼성으로 팀을 이루어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애슬론 대회 - 바이애슬론 월드컵
바이애슬론 월드컵은 매년 11월/12월부터 3월까지 스프린트, 개인, 추격, 매스스타트, 계주 등의 종목으로 구성된 국제 바이애슬론 경기 대회 시리즈이며, 시즌 종합 성적에 따라 크리스털 글로브가 수여된다. - 1960년 시작된 행사 - 미스 인터내셔널
미스 인터내셔널은 1960년 미국에서 시작된 미인 대회로, 여성의 내면의 아름다움을 통해 세계 평화를 추구하며, 대한민국은 미스코리아 선발대회를 통해 대표를 선발한다. - 올림픽 바이애슬론 - 2002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2002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개인, 스프린트, 추적, 계주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노르웨이가 금메달 4개로 메달 순위 1위를, 올레 에이나르 비에른달렌은 4관왕을, 독일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총 34개국이 참가했다. - 올림픽 바이애슬론 - 196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196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프랑스 그르노블에서 남자 20km 개인전과 4x7.5km 릴레이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개인전 금메달은 마그나르 솔베르그, 릴레이 금메달은 소련이 획득했고, 총 16개국이 참가했으며 캐나다, 동독, 서독, 체코슬로바키아가 처음으로 참가했다.
올림픽 바이애슬론 | |
---|---|
올림픽 바이애슬론 | |
일반 정보 | |
종목 코드 | BTH |
스포츠 | 바이애슬론 |
올림픽 참가 정보 | |
남자 종목 | 5 |
여자 종목 | 5 |
혼성 종목 | 1 |
올림픽 역사 | |
동계 올림픽 | 1924 (시범 종목) 1928 (시범 종목) 1932 (시범 종목) 1936 (시범 종목) 1948 (시범 종목) 1952 (시범 종목) 1956 (시범 종목)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
관련 단체 | |
국제 경기 연맹 | 국제 바이애슬론 연맹 |
국제 경기 연맹 약자 | IBU |
2. 역사
바이애슬론은 원래 군사 훈련의 일환으로 시작된 군사 정찰 경기에서 유래했다. 군사 정찰 경기는 1924년 동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기도 했으나, 이후 몇 차례 시범 종목으로만 열렸다.[1]
1960년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에서 남자 개인 경기가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올림픽 바이애슬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남자 계주, 스프린트 종목이 추가되었고,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는 여자 종목이 신설되었다. 21세기에 들어서는 추적, 매스 스타트, 혼성 계주 등 새로운 세부 종목들이 추가되면서 더욱 다양한 경기가 펼쳐지게 되었다.
2. 1. 군사 정찰 경기
1960년 동계 올림픽에서 바이애슬론이 정식 종목으로 처음 등장하기 전에, 군사 정찰 경기가 1924년 동계 올림픽, 1928년 동계 올림픽, 1936년 동계 올림픽, 그리고 1948년 동계 올림픽 등 총 네 번의 동계 올림픽에서 개최되었다. 이 중 1924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군사 정찰 종목에 정식으로 메달이 수여되었지만, 나머지 세 번의 올림픽에서는 시범 종목으로만 진행되었다. 국제 바이애슬론 연맹은 이 군사 정찰 경기를 현대 바이애슬론의 전신으로 간주하고 있다.[1]2. 2. 동계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
바이애슬론이 동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기 전, 그 전신이라 할 수 있는 군사 정찰 종목이 있었다. 군사 정찰은 1924년 샤모니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메달이 수여되었으나, 이후 1928년 생모리츠, 1936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1948년 생모리츠 대회에서는 시범 종목으로만 열렸다. 국제 바이애슬론 연맹은 이 군사 정찰을 바이애슬론의 기원으로 보고 있다.[1]1960년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에서 남자 20km 개인 경기가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올림픽 바이애슬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올림픽 대회를 거치며 세부 종목들이 다음과 같이 점차적으로 추가되었다.
- 1968년 그르노블: 남자 4 × 7.5km 계주 추가
-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남자 10km 스프린트 추가
- 1992년 알베르빌: 여자 종목(15km 개인, 4 × 6km 계주[5], 7.5km 스프린트) 신설
-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남자 12.5km 추적, 여자 10km 추적 추가
- 2006년 토리노: 남자 15km 매스 스타트, 여자 12.5km 매스 스타트 추가
- 2014년 소치: 혼성 계주 추가
역대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세부 종목 채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X는 시범 종목, •는 정식 종목
3. 경기 종목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1960년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에서 남자 20km 개인 한 종목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남자 종목이 꾸준히 추가되었으며,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부터는 여자 종목이 정식으로 도입되었다. 가장 최근에는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혼성 계주 종목이 추가되어,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기준으로 총 11개의 세부 종목이 시행되고 있다.
현재 올림픽 바이애슬론의 세부 종목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각 종목의 상세한 규칙과 역사에 대해서는 아래의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 남자: 개인, 스프린트, 추적, 매스 스타트, 계주
- 여자: 개인, 스프린트, 추적, 매스 스타트, 계주
- 혼성: 혼성 계주
3. 1. 남자
올림픽 바이애슬론의 남자 종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확대되었다. 바이애슬론의 전신 격인 군사 정찰 종목은 1924년 샤모니 동계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나, 이후 1928년, 1936년, 1948년 대회에서는 시범 종목으로만 열렸다.현대 바이애슬론 남자 종목은 1960년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에서 20km 개인 종목이 도입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새로운 종목들이 추가되었다.
종목 | 거리 | 첫 정식 종목 채택 올림픽 |
---|---|---|
개인 | 20km | 1960년 스쿼밸리 |
계주 | 4x7.5km | 1968년 그르노블 |
스프린트 | 10km |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
추적 | 12.5km |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
매스 스타트 | 15km | 2006년 토리노 |
각 종목은 지정된 거리를 스키로 주행하며 중간에 사격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