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크로스컨트리는 1924년 제1회 샤모니 동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1924년부터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까지 진행되었다. 노르웨이가 금메달 52개, 은메달 43개, 동메달 34개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현재 남자 종목은 15km, 30km 스키애슬론, 50km, 4x10km 계주, 개인 스프린트, 팀 스프린트 등 총 6개 세부 종목으로, 여자 종목은 10km, 30km, 4 x 5km 계주, 스키애슬론, 개인 스프린트, 팀 스프린트의 6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스컨트리 스키 대회 - FIS 크로스컨트리 월드컵
    FIS 크로스컨트리 월드컵은 국제스키연맹(FIS)이 주관하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대회로, 장거리와 스프린트 종목에서 선수들이 경쟁하여 시즌 동안 가장 많은 점수를 얻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우승자에게는 크리스탈 글로브가 수여된다.
  • 크로스컨트리 스키 대회 - 메리노 머스터
  •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 1936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1936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는 1936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되었으며, 스웨덴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남자 18km는 에릭 아우구스트 라르손, 50km는 엘리스 비클룬드, 4 x 10km 계주는 핀란드 팀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 1924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1924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는 프랑스 샤모니에서 남자 18km와 50km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노르웨이가 두 종목 모두 금메달을 획득, 토르레이프 하우그는 2관왕을 달성했다.
  •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52년 동계 올림픽 밴디
    1952년 동계 올림픽 밴디는 1952년 오슬로 동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스웨덴이 금메달을, 노르웨이가 은메달을, 핀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올림픽 아이스하키
    올림픽 아이스하키는 남자 아이스하키가 19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시작되어 동계 올림픽으로 전환된 후 1924년부터 꾸준히 개최되었고, 여자 아이스하키는 1998년 동계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캐나다가 남녀 모두 강세를 보인다.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종목 코드CCS
스포츠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종목 수6
여자 종목 수6
올림픽 참가 역사
동계 올림픽 첫 참가1924
참가 연도1924
1928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일반 정보
주관 단체국제 스키 연맹
국제 스키 연맹 단체 약자FIS
세부 종목 수12
남자 세부 종목 수6
여자 세부 종목 수6

2. 역대 올림픽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524334129
232272584
325222168
422273786
51410933
69141336
744311
84217
94048
10310417
113249
122125
132114
142103
151539
161236
171214
171214
190358
200145
200145
220022
230011
합계182180182544


  • 2022년 동계 올림픽까지의 메달 집계이다.
  • 2002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2 × 10킬로미터 추적에서는 금메달 2개와 은메달 없음.
  •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 여자 10킬로미터 프리스타일에서는 동메달 2개 수여.
[1]

3. 세부 종목

역대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세부 종목은 다음과 같다.

종목 / 연도1900년대2000년대합계
242832364852566064687276808488929498020610141822
현행 종목
남자 15km/18km[2]21
남자 50km24
남자 4x10km 계주21
남자 스키애슬론[3]9
남자 개인 스프린트6
남자 단체 스프린트5
여자 10km16
여자 20km/30km[4]11
여자 3/4x5km 계주[5]18
여자 스키애슬론[3]9
여자 개인 스프린트6
여자 단체 스프린트5
과거에 진행되었던 종목
남자 10km3
남자 30km13
여자 5km10
여자 15km4
종목 수222334667777788101010121212121212


  • C: 클래식
  • F: 프리스타일
  • m: 매스 스타트
  • p: 추적
  • s: 스키애슬론


하위 섹션인 '남자'와 '여자' 섹션에서 각 종목별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 1. 남자

종목 / 연도192419281932193619481952195619601964196819721976198019841988199219941998200220062010201420182022합계
15km/18km[2]21
50km24
4x10km 계주21
스키애슬론[3]9
개인 스프린트6
단체 스프린트5
10km3
30km13
종목 수222333444444444555666666


3. 2. 여자

종목 / 년도1900년대2000년대합계
242832364852566064687276808488929498020610141822
현재 진행 중인 종목
10km16
20km/30km[4]11
3/4x5km 계주[5]18
스키애슬론[3]9
개인 스프린트6
단체 스프린트5
과거에 진행되었던 종목
5km10
15km4
종목 수000001223333344555666666


4. 국가별 참가 선수

국가1960196419681972197619801984198819921994199820022006201020142018합계
대한민국한국어1146




참조

[1] 웹사이트 Olympic Analytics - Medals by Countries http://olympanalyt.c[...] 2022-02-20
[2] 문서 1952年オスロ大会まで18km、1956年コルチナ・ダンペッツオ大会から15km。
[3] 문서 2010年バンクーバー大会までは「複合」
[4] 문서 1988年カルガリー大会まで20km、1992年アルベールビル大会から30km。
[5] 문서 1972年札幌大会まで3x5km、1976年インスブルック大会から4x5km。
[6] 웹인용 크로스컨트리 http://www.olympic.o[...] 국제 올림픽 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