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하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하키는 하계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1908년 런던 올림픽에서 남자 경기가 처음 도입되었으며,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부터 여자 경기가 추가되었다. 남자 경기는 인도가 8개의 금메달을 포함하여 총 13개의 메달로 최다 메달을 획득했고, 네덜란드는 여자 경기에서 금메달 5개를 포함, 총 10개의 메달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네덜란드가 남자, 여자 경기 모두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드하키 대회 - 여자 하키 월드컵
여자 하키 월드컵은 국제 하키 연맹 주관의 국제 여자 필드 하키 대회로 1974년 첫 개최되었으며, 네덜란드가 최다 우승국이다. - 필드하키 대회 - 하키 월드컵
하키 월드컵은 국제 하키 연맹(FIH)에 의해 개최되는 대회로, 1971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시작되어 예선과 본선 토너먼트 단계를 거쳐 진행되며, 파키스탄이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다. - 올림픽 하키 - 1980년 하계 올림픽 하키
1980년 하계 올림픽 하키는 1980년 모스크바에서 열렸으며, 남자부에서는 인도가, 여자부에서는 짐바브웨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하키 - 2004년 하계 올림픽 하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하키는 남자부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금메달, 여자부에서 독일이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조별 예선 결과, 순위 결정전, 결선 토너먼트 결과 및 최종 순위 정보를 제공한다. - 올림픽 하키에 관한 - 문영희
문영희는 한국체육대학교를 졸업하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은메달 획득),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여자 하키 국가대표로 참가한 대한민국의 하키 선수이다. - 올림픽 하키에 관한 - 박선미
박선미는 대한민국 여자 하키 선수로서, 아시안 게임과 올림픽에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2010년 아시아 여자 챔피언스트로피 1위, 2010년 아시안 게임 은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 하키 | |
---|---|
올림픽 하키 | |
종목 코드 | HOC |
참가 형태 | 하계 올림픽 종목 |
남자 이벤트 수 | 1 |
여자 이벤트 수 | 1 |
하계 올림픽 참가 연도 | |
1896 | 불참 |
1900 | 불참 |
1904 | 불참 |
1908 | 참가 |
1912 | 불참 |
1920 | 참가 |
1924 | 불참 |
1928 | 참가 |
1932 | 참가 |
1936 | 참가 |
1948 | 참가 |
1952 | 참가 |
1956 | 참가 |
1960 | 참가 |
1964 | 참가 |
1968 | 참가 |
1972 | 참가 |
1976 | 참가 |
1980 | 참가 |
1984 | 참가 |
1988 | 참가 |
1992 | 참가 |
1996 | 참가 |
2000 | 참가 |
2004 | 참가 |
2008 | 참가 |
2012 | 참가 |
2016 | 참가 |
2020 | 참가 |
관련 단체 | |
국제 하키 연맹 | FIH |
관련 정보 | |
기타 링크 | 관련 정보 |
2. 역사
필드하키는 1908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서 남자 경기로 근대 올림픽에 처음 도입되었다.[1] 영국 (잉글랜드)은 1908년과 1920년 대회에서 우승했다.[1] 국제 스포츠 구조의 부재로 인해 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제외되었으나, 국제 하키 연맹(FIH)이 설립되면서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에서 다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1][2][3]
1928년부터 인도는 1964년까지 8번의 올림픽 중 7번 금메달을 획득했고, 1928년부터 1956년까지는 6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는 대기록을 달성했다.[4][5]
파키스탄은 1960년에 첫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 1984년까지 금메달 3개와 은메달 3개를 추가했다.[6] 서독은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1928년 이후 비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1]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부터 올림픽 필드하키 경기는 인조 잔디에서 처음으로 열렸으며, 이 대회에서는 뉴질랜드가 우승했다.[1][7] 1980년대 후반에 아시아 국가들의 강세가 끝나가면서, 인도는 1980년에 마지막 금메달을 획득했고, 파키스탄은 1984년에 금메달을 획득했다.[5][6] 영국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남자 경기에서 1920년 이후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1]
국제 여자 하키 협회(IFWHA)는 1927년에 설립되었지만,여자 필드하키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데뷔했으며, 짐바브웨가 우승했다.[3] 1983년 4월 23일, 여자 하키 프로그램은 FIH에 인수되었고 IFWHA는 해산되었다.[3]
1988년 올림픽까지는 초청 형식으로 진행되었지만, FIH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예선 시스템을 도입했다. 여자 경기에서는 네덜란드와 오스트레일리아가 지배적이었으며, 1980년에 올림픽 프로그램에 도입된 이후 각각 5개와 3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경기의 다른 우승자는 1992년의 스페인, 2004년의 독일, 그리고 2016년의 영국이었다.[1]
1992년 올림픽까지는 초청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나, 국제 하키 연맹(FIH)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예선 시스템을 도입했다.[1] 1990년대 이후, 2004년의 오스트레일리아와 2016년의 아르헨티나를 제외하면 유럽 국가들이 남자 스포츠에서 지배적이었다.[1] 독일과 네덜란드는 각각 금메달 3개를 획득했으며, 2020년에서 벨기에가 유일한 다른 유럽 우승자였다.[1]
남자와 여자 경기의 마지막 판은 2024년 파리 올림픽의 일부로 개최되었으며, 네덜란드가 두 경기 모두 우승했다.[8][9] 인도는 올림픽 남자 경기 최다 출전 기록(22회)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페인은 남자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채 최다 올림픽 남자 경기 출전 기록(19회)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고 성적은 1980년, 1996년, 2008년에서 획득한 은메달이다.[5][10] 오스트레일리아와 네덜란드는 올림픽 여자 경기 최다 출전 기록(11회)을 보유하고 있다.[3] 인도는 금메달 8개를 포함해 13개의 메달로 남자 경기 메달 집계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네덜란드는 금메달 5개를 포함해 10개의 메달로 여자 경기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총 20개의 메달(금메달 8개, 은메달 6개, 동메달 6개)로 전체 메달 집계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다.[11][3]
2. 1. 남자 필드하키의 올림픽 도입과 초기 역사 (1908년 ~ 1972년)
필드하키는 1908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서 남자 경기로 근대 올림픽에 처음 도입되었다.[1] 영국 (잉글랜드)은 1908년과 1920년 대회에서 우승했다.[1] 국제 스포츠 구조의 부재로 인해 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제외되었으나, 국제 하키 연맹(FIH)이 설립되면서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에서 다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1][2][3]1928년부터 인도는 1964년까지 8번의 올림픽 중 7번 금메달을 획득했고, 1928년부터 1956년까지는 6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는 대기록을 달성했다.[4][5]
]]
파키스탄은 1960년에 첫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 1984년까지 금메달 3개와 은메달 3개를 추가했다.[6] 서독은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1928년 이후 비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1]
2. 2. 인조 잔디 도입과 아시아 국가의 퇴조 (1976년 ~ 1992년)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서독이 우승하며 1928년 이후 비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1]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부터 올림픽 필드하키 경기는 인조 잔디에서 처음으로 열렸으며, 이 대회에서는 뉴질랜드가 우승했다.[1][7] 1980년대 후반에 아시아 국가들의 강세가 끝나가면서, 인도는 1980년에 마지막 금메달을 획득했고, 파키스탄은 1984년에 금메달을 획득했다.[5][6] 영국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남자 경기에서 1920년 이후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1]2. 3. 여자 필드하키의 올림픽 도입과 발전 (1980년 ~ 현재)
국제 여자 하키 협회(IFWHA)는 1927년에 설립되었지만,여자 필드하키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데뷔했으며, 짐바브웨가 우승했다.[3] 1983년 4월 23일, 여자 하키 프로그램은 FIH에 인수되었고 IFWHA는 해산되었다.[3]]]
1988년 올림픽까지는 초청 형식으로 진행되었지만, FIH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예선 시스템을 도입했다. 여자 경기에서는 네덜란드와 오스트레일리아가 지배적이었으며, 1980년에 올림픽 프로그램에 도입된 이후 각각 5개와 3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경기의 다른 우승자는 1992년의 스페인, 2004년의 독일, 그리고 2016년의 영국이었다.[1]
여자 경기의 마지막 판은 2024년 파리 올림픽의 일부로 개최되었으며, 네덜란드가 우승했다.[9] 오스트레일리아와 네덜란드는 올림픽 여자 경기 최다 출전 기록(11회)을 보유하고 있다.[3] 네덜란드는 금메달 5개를 포함해 10개의 메달로 여자 경기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총 20개의 메달(금메달 8개, 은메달 6개, 동메달 6개)로 전체 메달 집계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다.[11][3]
국가/지역 / 연도 | 80 | 84 | 88 | 92 | 96 | 00 | 04 | 08 | 12 | 16 | 20 | 참가 횟수 |
---|---|---|---|---|---|---|---|---|---|---|---|---|
8 | ||||||||||||
9 | ||||||||||||
2 | ||||||||||||
1 | ||||||||||||
3 | ||||||||||||
6 | ||||||||||||
7 | ||||||||||||
8 | ||||||||||||
8 | ||||||||||||
2 | ||||||||||||
3 | ||||||||||||
1 | ||||||||||||
5 | ||||||||||||
8 | ||||||||||||
10 | ||||||||||||
8 | ||||||||||||
1 | ||||||||||||
5 | ||||||||||||
1 | ||||||||||||
1 | ||||||||||||
6 | ||||||||||||
1 | ||||||||||||
참가 팀 수 | 6 | 6 | 8 | 8 | 8 | 10 | 10 | 12 | 12 | 12 | 12 |
2. 4. 유럽 국가들의 강세와 최근 동향 (1992년 ~ 현재)
1992년 올림픽까지는 초청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나, 국제 하키 연맹(FIH)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예선 시스템을 도입했다.[1] 1990년대 이후, 2004년의 오스트레일리아와 2016년의 아르헨티나를 제외하면 유럽 국가들이 남자 스포츠에서 지배적이었다.[1] 독일과 네덜란드는 각각 금메달 3개를 획득했으며, 2020년에서 벨기에가 유일한 다른 유럽 우승자였다.[1] 여자 경기에서는 네덜란드와 오스트레일리아가 지배적이었으며, 1980년에 올림픽 프로그램에 도입된 이후 각각 5개와 3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1] 여자 경기의 다른 우승자는 1992년의 스페인, 2004년의 독일, 그리고 2016년의 영국이었다.[1]남자와 여자 경기의 마지막 판은 2024년 파리 올림픽의 일부로 개최되었으며, 네덜란드가 두 경기 모두 우승했다.[8][9] 인도는 올림픽 남자 경기 최다 출전 기록(22회)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페인은 남자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채 최다 올림픽 남자 경기 출전 기록(19회)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고 성적은 1980년, 1996년, 2008년에서 획득한 은메달이다.[5][10] 오스트레일리아와 네덜란드는 올림픽 여자 경기 최다 출전 기록(11회)을 보유하고 있다.[3] 인도는 금메달 8개를 포함해 13개의 메달로 남자 경기 메달 집계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네덜란드는 금메달 5개를 포함해 10개의 메달로 여자 경기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총 20개의 메달(금메달 8개, 은메달 6개, 동메달 6개)로 전체 메달 집계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다.[11][3]
3. 역대 메달 집계
wikitable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전체 메달 | |
---|---|---|---|---|---|
1 | 인도 | 8 | 1 | 3 | 12 |
2 | 네덜란드네덜란드 | 5 | 5 | 6 | 16 |
3 |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 | 4 | 3 | 5 | 12 |
4 | 독일독일 | 4 | 2 | 2 | 8 |
5 | 파키스탄 | 3 | 3 | 2 | 8 |
6 | 영국영국 | 3 | 2 | 6 | 11 |
7 | 스페인스페인 | 1 | 3 | 1 | 5 |
8 | 서독 | 1 | 3 | 0 | 4 |
9 | 뉴질랜드 | 1 | 0 | 0 | 1 |
짐바브웨 | 1 | 0 | 0 | 1 | |
11 | 대한민국 | 0 | 3 | 0 | 3 |
12 |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 0 | 2 | 2 | 4 |
13 | 덴마크 | 0 | 1 | 0 | 1 |
일본 | 0 | 1 | 0 | 1 | |
중국 | 0 | 1 | 0 | 1 | |
체코슬로바키아 | 0 | 1 | 0 | 1 | |
17 | 미국미국 | 0 | 1 | 1 | 2 |
소련 | 0 | 0 | 2 | 2 | |
19 | 독일 연합 | 0 | 0 | 1 | 1 |
벨기에 | 0 | 0 | 1 | 1 | |
합계 | 30 | 30 | 31 | 91 |
3. 1. 남자
1908년 런던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남자 하키는 1912년 하계 올림픽과 1924년 하계 올림픽을 제외하고 모든 올림픽에서 개최되었다. 1908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잉글랜드가 아일랜드를 8-1로 꺾고 우승했으며, 스코틀랜드와 웨일스가 공동 동메달을 획득했다.[17][18][19][20] 1920년 안트베르펜 올림픽에서는 영국이 덴마크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고, 벨기에가 동메달을 획득했다.인도는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부터 1956년 멜버른 올림픽까지 6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남자 하키의 강자로 군림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는 파키스탄이 인도를 1-0으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인도가 다시 파키스탄을 1-0으로 꺾고 금메달을 되찾았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는 서독이 파키스탄을 1-0으로 꺾고 우승했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뉴질랜드가 오스트레일리아를 1-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영국이 서독을 3-1로 꺾고 우승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네덜란드와 독일이 강세를 보였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과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네덜란드가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과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독일이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네덜란드를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첫 우승을 달성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아르헨티나가 벨기에를 4-2로 꺾고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벨기에가 오스트레일리아와 승부샷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하며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네덜란드가 독일과의 승부샷 접전 끝에 승리하며 통산 4번째 금메달을 획득했다.
역대 올림픽 남자 하키에서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한 국가는 인도로, 총 8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독일 (서독 포함)과 네덜란드는 각각 4개와 3개의 금메달로 그 뒤를 잇고 있다.
3. 2. 여자
여자 필드하키는 1980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올림픽 종목에 추가되었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는 짐바브웨가 금메달을 획득했고, 체코슬로바키아가 은메달, 소련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이후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네덜란드가 금메달, 서독이 은메달을 획득했고, 미국과 호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승부차기 끝에 미국이 승리했다.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호주가 대한민국을 2-0으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네덜란드가 영국을 3-1로 이기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스페인이 독일을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금메달을, 영국이 대한민국을 4-3으로 이기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호주가 대한민국을 3-1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고, 네덜란드와 영국의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연장전 후 승부차기 끝에 네덜란드가 승리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호주가 아르헨티나를 3-1로 이기고 금메달을, 네덜란드가 스페인을 2-0으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독일이 네덜란드를 2-1로 이기고 금메달을, 아르헨티나가 중국을 1-0으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네덜란드가 중국을 2-0으로 이기고 금메달을, 아르헨티나가 독일을 3-1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네덜란드가 아르헨티나를 2-0으로 이기고 금메달을, 영국이 뉴질랜드를 3-1로 이기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영국이 네덜란드와 3-3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2-0으로 승리하여 금메달을, 독일이 뉴질랜드를 2-1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네덜란드가 아르헨티나를 3-1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고, 영국이 인도를 4-3으로 이기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네덜란드가 중국과 1-1 무승부 이후 승부차기에서 3-1로 승리하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아르헨티나는 벨기에와 2-2 무승부 이후 승부차기에서 3-1로 승리하며 동메달을 차지했다.
네덜란드는 5번의 우승(1984, 2008, 2012, 2020, 2024)과 2번의 준우승(2004, 2016), 그리고 3번의 동메달(1988, 1996, 2000)로 여자 필드하키 부문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이다. 호주는 3번의 우승(1988, 1996, 2000)을 기록했다.
1980년 대회 이후, 23개의 팀이 최소 한 번 이상 올림픽 여자 필드하키 경기에 출전했다.
3. 3. 국가별 메달 집계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전체 메달 | |
---|---|---|---|---|---|
1 | 8 | 1 | 3 | 12 | |
2 | 5 | 5 | 6 | 16 | |
3 | 4 | 3 | 5 | 12 | |
4 | 4 | 2 | 2 | 8 | |
5 | 3 | 3 | 2 | 8 | |
6 | 3 | 2 | 6 | 11 | |
7 | 1 | 3 | 1 | 5 | |
8 | 1 | 3 | 0 | 4 | |
9 | 1 | 0 | 0 | 1 | |
1 | 0 | 0 | 1 | ||
11 | 0 | 3 | 0 | 3 | |
12 | 0 | 2 | 2 | 4 | |
13 | 0 | 1 | 0 | 1 | |
0 | 1 | 0 | 1 | ||
0 | 1 | 0 | 1 | ||
0 | 1 | 0 | 1 | ||
17 | 0 | 1 | 1 | 2 | |
0 | 0 | 2 | 2 | ||
19 | 0 | 0 | 1 | 1 | |
0 | 0 | 1 | 1 | ||
합계 | 30 | 30 | 31 | 91 |
1960년 하계 올림픽 로마의 메달 시상식[12]
4. 세부 종목
wikitable
종목 | 08 | 20 | 28 | 32 | 36 | 48 | 52 | 56 | 60 | 64 | 68 | 72 | 76 | 80 | 84 | 88 | 92 | 96 | 00 | 04 | 08 | 12 | 16 | 20 | 24 | 계 |
---|---|---|---|---|---|---|---|---|---|---|---|---|---|---|---|---|---|---|---|---|---|---|---|---|
남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
여자 | style="background:#bbbbbb"| | style="background:#bbbbbb"| | style="background:#bbbbbb"| | style="background:#bbbbbb"| | style="background:#bbbbbb"| | style="background:#bbbbbb"| | style="background:#bbbbbb"| | style="background:#bbbbbb"| | style="background:#bbbbbb"| | style="background:#bbbbbb"| | style="background:#bbbbbb"| | style="background:#bbbbbb"| | style="background:#bbbbbb"| | • | • | • | • | • | • | • | • | • | • | 10 |
계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5. 올림픽 기록
wikitext
인도는 올림픽 하키 남자 종목에서 가장 많은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28년부터 2004년까지 18회 연속 출전을 포함하여 총 22회 출전하였으며, 13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최다 메달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8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도 가지고 있다.
인도는 1928년부터 1960년까지 30경기 연승을 기록했으며, 1980년 대회에서는 43골을 넣어 단일 토너먼트 최다 득점을 기록했다. 1928년과 1956년 대회에서는 단 한 골도 허용하지 않아 최소 실점 기록도 세웠다. 1932년 대회에서는 미국을 24-1로 이겨 최고 점수차 승리를 거두었고, 1936년 결승전에서는 독일을 8-1로 꺾어 올림픽 결승전 최고 점수차 승리를 기록했다.
개인 기록으로는 턴 데 누이어(네덜란드), 릭 찰스워스(호주), 데이비드 알레그레 및 폴 아마(스페인)가 5회 출전하여 선수 최다 출전 기록을 가지고 있다. 루프 싱(인도)은 1932년 미국과의 경기에서 10골을 넣어 한 경기 최다 득점을 기록했고, 발비르 싱 시니어(인도)는 1952년 네덜란드와의 결승전에서 5골을 넣어 올림픽 결승전 선수 최다 득점을 기록했다.
호주 및 네덜란드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부터 2024년 파리 올림픽까지 11회 연속으로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6] 최다 메달 기록은 네덜란드가 10개를 획득했다.[16] 네덜란드는 최다 우승(5회) 및 최다 득점(192골) 기록도 보유하고 있으며,[16]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단일 토너먼트 최다 득점(29골)을 기록했다.[16]
선수 개인 최다 출전 기록은 나타샤 켈러(독일)의 5회 출전이다.[16] 선수 최다 득점은 마르티에 파우멘(네덜란드)의 19골이며,[16] 마르티에 파우멘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단일 토너먼트 선수 최다 득점(11골)을 기록했다.[16]
국가/지역 / 연도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참가 횟수 | |
---|---|---|---|---|---|---|---|---|---|---|---|---|---|
• | • | • | • | • | • | • | • | 8 | |||||
• | • | • | • | • | • | • | • | • | 9 | ||||
• | • | 2 | |||||||||||
• | 1 | ||||||||||||
• | • | • | 3 | ||||||||||
• | • | • | • | • | • | 6 | |||||||
• | • | • | • | • | • | • | 7 | ||||||
• | • | • | • | • | • | • | • | 8 | |||||
• | • | • | • | • | • | • | • | 8 | |||||
• | • | 2 | |||||||||||
• | • | • | 3 | ||||||||||
• | 1 | ||||||||||||
• | • | • | • | • | 5 | ||||||||
• | • | • | • | • | • | • | • | 8 | |||||
• | • | • | • | • | • | • | • | • | • | 10 | |||
• | • | • | • | • | • | • | • | 8 | |||||
• | 1 | ||||||||||||
• | • | • | • | • | 5 | ||||||||
• | 1 | ||||||||||||
• | 1 | ||||||||||||
• | • | • | • | • | • | 6 | |||||||
• | 1 | ||||||||||||
참가 팀 수 | 6 | 6 | 8 | 8 | 8 | 10 | 10 | 12 | 12 | 12 | 12 |
5. 1. 남자
인도는 올림픽 하키 남자 종목에서 가장 많은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28년부터 2004년까지 18회 연속 출전을 포함하여 총 22회 출전하였으며, 13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최다 메달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8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도 가지고 있다.인도는 1928년부터 1960년까지 30경기 연승을 기록했으며, 1980년 대회에서는 43골을 넣어 단일 토너먼트 최다 득점을 기록했다. 1928년과 1956년 대회에서는 단 한 골도 허용하지 않아 최소 실점 기록도 세웠다. 1932년 대회에서는 미국을 24-1로 이겨 최고 점수차 승리를 거두었고, 1936년 결승전에서는 독일을 8-1로 꺾어 올림픽 결승전 최고 점수차 승리를 기록했다.
개인 기록으로는 턴 데 누이어(네덜란드), 릭 찰스워스(호주), 데이비드 알레그레 및 폴 아마(스페인)가 5회 출전하여 선수 최다 출전 기록을 가지고 있다. 루프 싱(인도)은 1932년 미국과의 경기에서 10골을 넣어 한 경기 최다 득점을 기록했고, 발비르 싱 시니어(인도)는 1952년 네덜란드와의 결승전에서 5골을 넣어 올림픽 결승전 선수 최다 득점을 기록했다.
5. 2. 여자
호주 및 네덜란드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부터 2024년 파리 올림픽까지 11회 연속으로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6] 최다 메달 기록은 네덜란드가 10개를 획득했다.[16] 네덜란드는 최다 우승(5회) 및 최다 득점(192골) 기록도 보유하고 있으며,[16]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단일 토너먼트 최다 득점(29골)을 기록했다.[16]선수 개인 최다 출전 기록은 나타샤 켈러(독일)의 5회 출전이다.[16] 선수 최다 득점은 마르티에 파우멘(네덜란드)의 19골이며,[16] 마르티에 파우멘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단일 토너먼트 선수 최다 득점(11골)을 기록했다.[16]
국가/지역 / 연도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참가 횟수 |
---|---|---|---|---|---|---|---|---|---|---|---|---|
• | • | • | • | • | • | • | • | 8 | ||||
• | • | • | • | • | • | • | • | • | 9 | |||
• | • | 2 | ||||||||||
• | 1 | |||||||||||
• | • | • | 3 | |||||||||
• | • | • | • | • | • | 6 | ||||||
• | • | • | • | • | • | • | 7 | |||||
• | • | • | • | • | • | • | • | 8 | ||||
• | • | • | • | • | • | • | • | 8 | ||||
• | • | 2 | ||||||||||
• | • | • | 3 | |||||||||
• | 1 | |||||||||||
• | • | • | • | • | 5 | |||||||
• | • | • | • | • | • | • | • | 8 | ||||
• | • | • | • | • | • | • | • | • | • | 10 | ||
• | • | • | • | • | • | • | • | 8 | ||||
• | 1 | |||||||||||
• | • | • | • | • | 5 | |||||||
• | 1 | |||||||||||
• | 1 | |||||||||||
• | • | • | • | • | • | 6 | ||||||
• | 1 | |||||||||||
참가 팀 수 | 6 | 6 | 8 | 8 | 8 | 10 | 10 | 12 | 12 | 12 | 12 |
참조
[1]
웹사이트
Field hockey Olympic records and results
https://www.nbcolymp[...]
2024-06-01
[2]
웹사이트
History {{!}} FIH
https://www.fih.hock[...]
2024-02-02
[3]
웹사이트
Hockey at the Olympics
https://www.olympedi[...]
2024-08-01
[4]
웹사이트
How Indian hockey cast a spell to win the 1928 Olympics gold
https://olympics.com[...]
2021-04-03
[5]
웹사이트
Indian hockey men at the Olympics: A gold-laden history
https://olympics.com[...]
2020-03-20
[6]
웹사이트
How many Olympic medals have Pakistan won
https://olympics.com[...]
2024-06-01
[7]
웹사이트
Olympic history: How artificial surfaces altered the balance of power in world hockey
https://www.moneycon[...]
2024-07-27
[8]
뉴스
Netherlands women secure Olympic gold
https://www.fih.hock[...]
International Hockey Federation
2024-08-09
[9]
뉴스
Netherlands men's team strike Olympic gold
https://www.fih.hock[...]
International Hockey Federation
2024-08-10
[10]
뉴스
Spanish on course to realise Olympic dream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8-08-19
[11]
웹사이트
Indian field hockey records
https://khelnow.com/[...]
2021-08-14
[12]
웹사이트
Olympic Analytics – Medals by Countries
http://olympanalyt.c[...]
2022-01-31
[13]
웹사이트
Men’s Hockey at the Olympic Games: A statistical rewind
https://www.fih.hock[...]
2024-06-01
[14]
웹사이트
Indian field hockey records
https://khelnow.com/[...]
2021-08-14
[15]
웹사이트
Most goals scored by an individual in an Olympic hockey final (male)
https://www.guinness[...]
2024-06-01
[16]
웹사이트
Women’s Hockey at the Olympic Games: A statistical rewind
https://www.fih.hock[...]
2024-06-01
[17]
문서
ENG
[18]
문서
IRL
[19]
문서
WAL
[20]
문서
SCO
[21]
문서
GBR
[22]
웹인용
하키
http://www.olympic.o[...]
국제 올림픽 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