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공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공원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인근의 올림픽공원에서 역명이 유래했다. 1996년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18년 9호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5호선과 9호선 승강장이 있으며, 한국체육대학교의 영문 명칭을 딴 '한국체대'가 병기역명으로 사용된다. 주변에는 올림픽공원, JYP엔터테인먼트, 보성고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공원 (서울) - 올림픽체조경기장
올림픽체조경기장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위해 건설된 체육 시설로, 이후 국내외 아티스트들의 콘서트 및 대규모 공연 장소로 활용되고 있으며, 안전 관리 강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설 노후화와 경쟁 시설 증가로 현대화 및 다양한 활용 방안 모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 올림픽공원 (서울) - 올림픽역도경기장
올림픽역도경기장은 1184석 규모의 좌석과 서라운드 음향 시설을 갖춘 공연 시설로, 뮤지컬과 콘서트 등 다양한 공연이 개최된다. - 서울 송파구의 전철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송파구의 전철역 - 오금역
오금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과 5호선이 환승되는 지하역으로, 5호선 개통 후 3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7개의 출입구를 통해 오금동과 가락동으로 연결되고 2025년 3호선 연장이 예정되어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올림픽공원역 | |
---|---|
역 정보 | |
![]() | |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89 |
좌표 | 37.516143, 127.130871 |
운영사 | 서울교통공사 |
노선 | |
승강장 | 3개 |
선로 | 4개 |
구조 | 지하 |
개업일 | 1996년 3월 30일 (5호선) 2018년 12월 1일 (9호선) |
사건 | 개통 개통 |
버스 노선 | 해당 없음 |
한국어 정보 | |
한국어 역명 | 올림픽공원 (한국체대) |
한자 역명 | 올림픽公園 (韓國體大) |
로마자 역명 | Ollimpikgongwon (Hangukchedae) |
인접 역 | |
5호선 | 이전 역: 둔촌동역 다음 역: 방이역 |
9호선 | 이전 역: 한성백제역 다음 역: 둔촌오륜역 |
9호선 급행 | 이전 역: 석촌역 다음 역: VHS 메디컬 센터 (보훈병원역) |
역 번호 | |
5호선 | P550 |
9호선 | 936 |
통계 | |
승차 인원 (2016년) | 7,219명 |
승하차 인원 (2016년) | 14,314명 |
2. 역명
역명은 인근의 올림픽공원에서 유래되었다.
2. 1. 병기 역명
병기역명은 '''한국체대'''로, 한국체육대학교의 영문 명칭(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을 따른다. 이는 2006년부터 변경되었으며[7], 차내 안내방송에도 반영되었다.[8]3. 연혁
4. 역 구조
수도권 전철 5호선이 서울 지하철 9호선보다 먼저 개통되었으나, 애초부터 9호선 개통과 환승을 고려하여 건설되었다. 9호선 역은 기존 5호선 역에 증설되는 형태로 건설되어 출입구와 대합실 일부를 공유하며, 독자적인 출입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개찰구는 두 노선 모두 지하 1층에 있으며, 지하 2층에는 환승 통로와 환승 개찰구가 있다. 승강장은 5호선이 지하 2층, 9호선이 지하 3층에 각각 위치한다. 출구는 4개이다. 3번 출입구는 5호선 개통 당시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루브르 피라미드와 비슷한 사각뿔 모양이었으나, 2012년 11월 서울 지하철 9호선 3단계 연장 공사 관계로 엘리베이터와 함께 철거되었다. 9호선 공사 과정에서는 오륜교 방면 버스 정류장 방향으로 50m가량 이전되어 올림픽공원 동1문 만남의 광장 바로 앞에 설치된 임시 출입구가 3번 출입구를 대신했으며, 2018년 2월부터 9호선과의 연결을 위해 임시 폐쇄되었다가 같은 해 5월에 다시 개방되었다. 이후 3번 출구는 2018년 12월 1일에 다시 개방되었으며, 임시 출입구는 4번 출구로 바뀌었다.
5호선과 9호선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1. 5호선 승강장

5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2. 9호선 승강장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5. 역 주변
6. 이용객 변동
연도 | 5호선 | 9호선 | ||||
---|---|---|---|---|---|---|
승차 (명) | 하차 (명) | 합계 (명) | 승차 (명) | 하차 (명) | 합계 (명) | |
2000년 | 7,228 | 6,890 | 14,118 | - | - | - |
2001년 | 7,061 | 6,687 | 13,748 | - | - | - |
2002년 | 7,035 | 6,607 | 13,643 | - | - | - |
2003년 | 6,830 | 6,484 | 13,314 | - | - | - |
2004년 | 6,811 | 6,501 | 13,313 | - | - | - |
2005년 | 6,793 | 6,509 | 13,302 | - | - | - |
2006년 | 6,426 | 6,128 | 12,554 | - | - | - |
2007년 | 6,218 | 5,988 | 12,206 | - | - | - |
2008년 | 6,300 | 6,070 | 12,370 | - | - | - |
2009년 | 6,107 | 5,915 | 12,022 | - | - | - |
2010년 | 6,554 | 6,384 | 12,938 | - | - | - |
2011년 | 7,008 | 6,804 | 13,812 | - | - | - |
2012년 | 7,248 | 6,969 | 14,217 | - | - | - |
2013년 | 7,488 | 7,226 | 14,714 | - | - | - |
2014년 | 7,180 | 6,975 | 14,155 | - | - | - |
2015년 | 7,464 | 7,349 | 14,813 | - | - | - |
2016년 | 7,218 | 7,095 | 14,313 | - | - | - |
2017년 | 6,393 | 6,244 | 12,637 | - | - | - |
7. 사진
8. 인접한 역
급행
급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