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AAGPBL)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메이저 리그 야구의 선수 부족을 해결하고 야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 1943년부터 1954년까지 운영된 여성 프로 야구 리그이다. 필립 K. 리글리, 브랜치 리키, 폴 V. 하퍼 등 메이저 리그 야구 임원들이 창설을 주도했으며, 1948년에는 10개 팀으로 확장되어 91만 명의 관람객을 기록했지만, 1950년대 초 관람객 감소와 리그 운영의 어려움으로 인해 1954년에 해체되었다. 리그는 야구와 소프트볼의 규칙을 혼합하여 사용했으며, 유니폼과 행동 규범을 통해 여성성을 강조했다. 영화 《그들만의 리그》를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선수 협회가 결성되어 리그의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리가 MX
    리가 MX는 1943년 창설된 리가 마요르를 전신으로 하며, 18개 클럽이 참가하는 멕시코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서 2시즌제로 운영되고 리기야 플레이오프 시스템, CONCACAF 챔피언스리그 출전권, VAR 도입 등을 특징으로 한다.
  • 미국의 여자 야구 - 노스 아메리칸 위민스 베이스볼 리그
    노스 아메리칸 위민스 베이스볼 리그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운영된 여자 야구 리그로, 뉴잉글랜드 여자 야구 리그의 후신이며, 캔-암 리그 구단주들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었고, 2009년 이후 활동이 중단되었다.
  • 미국의 여자 야구 - 레디스 리그 베이스볼
    레디스 리그 베이스볼은 1997년 창설된 여자 프로 야구 리그로, 5개 팀이 참여한 첫 시즌에서 샌호세 스핏파이어스가 우승했으나, 레이디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로 변경 후 동부 확장 시도와 낮은 팬 동원율로 인해 두 번째 시즌을 취소하고 해산되었다.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
기본 정보
스포츠여자 야구
창립1943년
첫 시즌1943년
해체1954년 9월 5일
참가 팀 수15개
국가미국
최근 우승 팀칼라마주 래시스
최다 우승 팀록퍼드 피치스 (4회)
설립자필립 K. 리글리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슬로건죽느냐 사느냐!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많은 메이저 리그 선수들이 징집되면서 야구 선수 부족 현상이 발생했고, 휘발유 배급으로 팀 이동이 제한되어 메이저 리그가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5] 이러한 상황에서 야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 필립 K. 리글리 등 메이저 리그 야구 임원들은 여성 선수들로 구성된 새로운 프로 리그를 창립하게 되었다.[5]

1943년 봄, 필립 K. 리글리, 켄 셀스, 브랜치 리키, 폴 V. 하퍼 등이 리그 운영을 위한 평의회를 구성했고, 켄 셀스가 리그 이사직을 맡았다. 리그는 비영리 단체로 운영되었다. 전국 각지에서 소프트볼 선수들을 중심으로 스카우트했고, 리글리 필드에서 입단 테스트를 거쳐 60명의 선수를 선발하여 4개 팀에 배정했다. 첫해에는 팀당 108경기를 치렀고, 총 176,612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1944년에는 2개 팀이 추가되어 총 6개 팀으로 리그가 확장되었으나, 팀 간 인기와 관객 동원 수에 차이가 발생했다. 필립 K. 리글리는 자신의 광고 대리인이었던 아서 마이어호프에게 리그 경영권을 넘겼고, 아서 마이어호프는 관리 회사를 설립하여 리그를 운영했다.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맥스 캐리가 1949년까지 리그 이사장을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리그는 군부대 캠프를 순회하거나 부상병을 위문하는 등 군 지원 활동을 펼쳤으며, 이 해 리그는 총 45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전쟁이 끝난 후, 리그는 1948년에 10개 팀까지 확장되었고, 91만 명의 관중을 동원하여 리그 역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다.[25] 리그는 규모를 확장하고, 스프링 트레이닝 장소를 쿠바 아바나까지 확장했다.[25]

리그의 규칙은 점차 야구 규칙에 가까워졌다. 다음 표는 리그 규칙 변화를 시기별로 정리한 것이다.

연도공 크기 (인치)투구 방식투수 마운드 거리 (피트)베이스 간 거리 (피트)
194312언더핸드 윈드밀4065
194810오버핸드 허용5072
19549~9 (정규 야구공)오버핸드6085

[15]

1949년 리그는 8개 구단으로 축소되었고, 메이저리거들의 복귀와 소프트볼 선수들의 참가 어려움, 선수 부족 등의 문제로 관객 수가 감소하기 시작했다.[23] 1949년 맥스 캐리가 이사직에서 물러난 후, 1951년부터 리그 운영은 개별 구단의 독립 채산제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이는 리그의 구심력을 잃는 결과로 이어져, 개별 구단주들이 교대로 리그 이사를 맡는 등 운영이 불안정해졌다. 결국 1954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리그 운영은 종료되었다.[23]

2. 1. 창립 배경 (1943년 이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미국이 참전하면서, 많은 메이저 리그 야구 선수들이 전쟁에 참여하게 되었다.[30] 이로 인해 야구 선수 부족 현상이 발생했고,[30] 휘발유 배급으로 인해 팀 이동이 제한되면서[5] 메이저 리그 야구가 중단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5] 이러한 상황에서 야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 필립 K. 리글리, 브랜치 리키, 폴 V. 하퍼 등 메이저 리그 야구 임원들은 여성 선수들로 구성된 새로운 프로 리그를 창립하게 되었다.[5]

AAGPBL이 최초로 기록된 여자 프로 야구 리그였지만, 여성들은 19세기부터 야구를 해왔다. 1866년 배서 칼리지에서 최초의 여성 야구팀이 결성되었고,[2] 여러 순회 공연을 하는 블루머 걸스 팀도 있었다.([3] 때로는 남성도 포함).[4]

여성 선수들의 초기 트라이아웃은 시카고리글리 필드에서 열렸다. 전국 아마추어 소프트볼 경기를 통해 스카우트된 200명 이상의 여성들이 트라이아웃에 초대되었고, 약 60명이 리그 로스터에 선발되었다. 남성 메이저 리그와 마찬가지로, 이 '여자' 리그 역시 비공식적으로 인종 차별을 했으며, 따라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모집되거나 고용되지 않았다. 여성들은 뛰어난 기량으로 선발되었지만, 선수들은 또한 마케터들이 생각하는 건전하고 여성스러운 이상에 부합해야 했다.[22]

2. 2. 초기 리그 운영 (1943-1944)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메이저 리그 선수들이 대거 징집되면서, 야구계는 리그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시카고 컵스 구단주였던 필립 K. 리글리는 야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 여성 프로 야구 리그 창설을 구상했다. 그는 츄잉껌 제조 회사인 윌리엄 리글리 주니어 컴퍼니의 임원이기도 했다.

1943년 봄, 리그 운영을 위한 평의회가 구성되었다. 평의회는 필립 K. 리글리, 시카고 컵스의 제너럴 매니저 보좌였던 켄 셀스, 당시 브루클린 다저스 대표였던 브랜치 리키, 시카고 컵스의 변호사였던 폴 V. 하퍼 등으로 구성되었다. 리그 이사직은 켄 셀스가 맡았다. 리그는 비영리 단체로 운영되었다.

전미 각지에서 소프트볼 선수들을 중심으로 스카우트가 진행되었고, 같은 해 5월 리글리 필드에서 280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입단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이 중 60명의 선수가 선발되어 15명씩 4개 팀에 배정되었다. 첫 해에는 전기와 후기 리그로 나뉘어 페넌트 레이스가 진행되었고, 팀당 108경기, 총 176,612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1944년에는 2개 팀이 추가되어 총 6개 팀으로 리그가 확장되었다. 그러나 팀 간 인기와 관객 동원 수에 차이가 발생하는 등 운영상의 어려움이 있었고, 자금난을 겪은 필립 K. 리글리는 자신의 광고 대리인이었던 아서 마이어호프에게 리그 경영권을 넘겼다.

아서 마이어호프는 관리 회사를 설립하여 리그를 운영했고,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맥스 캐리가 리그 이사장을 맡아 1949년까지 재임했다.

초창기 리그는 야구와 소프트볼의 혼합된 규칙으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공의 크기는 12인치로 정규 소프트볼 공 크기였고, 투수 마운드는 홈 플레이트에서 40피트 거리에 위치하여 소프트볼보다는 멀고 야구보다는 가까웠다. 투구 방식은 소프트볼처럼 언더핸드 윈드밀 투구였고, 베이스 간 거리는 65피트로 소프트볼보다 5피트 길고 야구보다 25피트 짧았다. 그러나 9명의 선수로 팀이 구성되고 투수 마운드를 사용하는 점은 야구와 유사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당시, 리그는 군부대 캠프를 순회하거나 부상병을 위문하는 등 군 지원 활동을 펼쳤다. 이 해 리그는 2개 구단의 연고지 이전 등을 통해 총 45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2. 3. 리그의 성장과 변화 (1945-1948)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리그는 큰 변화와 성장을 겪었다. 맥스 캐리가 리그 이사장에 취임하여 1949년까지 리그를 이끌었다. 리그는 팀 산하에 14세 이상 선수들로 구성된 주니어 리그를 만들었고, 시카고에는 4개 팀으로 구성된 마이너 리그를 설립하는 등 규모를 확장했다. 스프링 트레이닝 장소는 미국 국내뿐만 아니라 쿠바 아바나까지 확장되었다.[25]

1946년에 8개 팀, 1948년에는 2개 지구제로 10개 팀까지 확장되었으며, 1948년 시즌에는 91만 명의 관중을 동원하여 리그 역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다.[25]

리그의 규칙도 점차 야구 규칙에 가까워졌다. 1948년에는 공의 크기가 10인치로 줄어들었고, 오버핸드 투구가 허용되었으며, 투수 마운드는 50피트로 이동했다.[15]

다음 표는 리그 규칙 변화를 시기별로 정리한 것이다.

연도공 크기 (인치)투구 방식투수 마운드 거리 (피트)베이스 간 거리 (피트)
194312언더핸드 윈드밀4065
194810오버핸드 허용5072
19549~9 (정규 야구공)오버핸드6085

[15]

2. 4. 전성기와 쇠퇴 (1949-1954)

1949년 리그는 8개 구단으로 축소되었고, 징병으로 군 복무를 했던 메이저리거들의 복귀가 일단락되면서 관객 수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점차 야구에 가까운 규칙으로 변경되면서 소프트볼 선수들의 참가가 어려워졌고, 선수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23] 1949년을 마지막으로 맥스 캐리(Max Carey)가 이사직에서 물러나자, 마이어호프의 관리 회사는 1950년 오프 시즌에 구단주들에 의해 인수되었고, 1951년 이후 리그 운영은 개별 구단의 독립 채산제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그것이 오히려 리그의 구심력을 잃는 결과로 이어져, 개별 구단주들이 교대로 리그 이사를 맡는 등 운영이 불안정해졌다. 1952년, 1953년 팀들이 탈퇴하기 시작했고, 리그 운영은 1954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23]

3. 규칙

초창기 리그에서는 야구와 소프트볼을 혼합한 경기가 진행되었다. 1948년에는 공 크기가 약 25.40cm로 줄어들고, 오버핸드 투구가 허용되었으며, 투수 마운드는 약 15.24m로 이동했다. 리그의 규칙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야구 규칙에 가깝게 변화했다. 마지막 시즌인 1954년에는 공 크기가 정규 야구공과 같아졌고, 투수 마운드는 약 18.29m로, 베이스 경로는 약 25.91m로 변경되었다(베이스 간 거리는 여전히 정규 야구보다 약 1.52m 짧았다).[15]

; 연도별 규칙 변화

연도공 크기루간 거리투수-본루 간 거리투구 방식
1943년약 30.48cm약 19.81m약 12.19m언더핸드 투구
1944년약 27.94cm (시즌 중)약 20.73m (시즌 중)약 12.19m언더핸드 투구
1945년약 27.94cm약 20.73m약 12.80m (시즌 중)언더핸드 투구
1946년약 27.94cm약 21.34m약 13.11m언더핸드 투구, 사이드암 투구 (제한적)
1947년약 27.94cm약 21.34m약 13.11m사이드암 투구
1948년약 25.40cm약 21.95m약 15.24m오버핸드 투구
1949년약 25.40cm (빨간색 솔기)약 21.95m약 16.76m (시즌 중)오버핸드 투구
1950년약 25.40cm (더 활발한)약 21.95m약 16.76m오버핸드 투구
1951년 ~ 1952년약 25.40cm (더 활발한)약 21.95m약 16.76m오버핸드 투구
1953년약 25.40cm약 22.86m약 17.07m오버핸드 투구
1954년약 22.86cm약 25.91m약 18.29m오버핸드 투구



이러한 규칙 변화로 인해 점차 소프트볼 선수들의 참가가 어려워졌고, 선수 수급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4. 유니폼 및 행동 규범

밀러 파크에 전시된 1944년 밀워키 칙스 유니폼 복제품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AAGPBL)의 유니폼은 짧은 치마가 달린 한 벌의 플레어 튜닉 형태로, 가슴 중앙에 팀 패치가 있었다. 기본 유니폼은 윌리 컴퍼니의 아트 디렉터 오티스 셰퍼드가 디자인했으며, 시카고 컵스의 아트 디렉터로도 활동하며 리그의 경기 스코어 카드와 홍보 자료를 포함한 모든 시각적 요소를 디자인했다.[25][26][27] 그는 "20세기 중반 야구의 주요 시각화가"로 불리기도 했다.[28]

유니폼은 당시 피겨 스케이팅, 필드 하키, 테니스 의상을 본떠 만들어졌으며, 새틴 반바지, 무릎까지 오는 야구 양말, 야구 모자가 포함되었다.[25] 팀 패치는 각 도시의 문장을 본떠 만들었다.[29] 처음에는 각 팀마다 하나의 유니폼 스타일이 주어졌고, 파스텔 색상을 사용했다. 1948년부터 원정 유니폼이 도입되었다.

창립자 윌리엄 리글리 주니어는 선수들의 "여성스러움"을 중요하게 여겨 헬레나 루빈스타인 뷰티 살롱과 계약하여 선수들에게 훈련 후 참 스쿨 참석을 요구했다. 참 스쿨은 1944년에 폐지되었지만, 선수들에게는 위생 및 복장 등에 대한 세부 규정이 주어졌으며, 이를 위반하면 벌금이 부과되거나 3회 위반 시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다.[25]

4. 1. 유니폼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AAGPBL) 선수들이 착용한 유니폼은 허리띠가 있고 짧은 소매의 튜닉 드레스 형태였으며, 스커트는 약간 퍼져 있었다. 규칙에 따르면 스커트는 무릎 위 6인치 이상 올라갈 수 없었지만, 달리기와 수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 규정은 거의 무시되었다. 둥근 팀 로고가 각 드레스 앞면에 꿰매어졌고, 야구 모자 뒤쪽에는 탄성 밴드가 있어 모든 사람에게 맞는 크기였다.[17]

유니폼은 가슴 중앙에 팀 패치가 달린, 짧은 치마가 달린 한 벌의 플레어 튜닉이었다. 기본 유니폼은 윌리 컴퍼니의 아트 디렉터 오티스 셰퍼드가 윌리 부인 헬렌과 시카고 소프트볼 선수이자 리그 최초 계약 선수인 앤 하넷의 도움을 받아 디자인했다.[25] 셰퍼드는 시카고 컵스의 오랜 아트 디렉터로, 1937년부터 혁신적인 유니폼들을 디자인했다.[26][27]

셰퍼드는 당시 피겨 스케이팅, 필드 하키, 테니스 의상을 모델로 유니폼을 제작했다. 유니폼에는 새틴 반바지, 무릎까지 오는 야구 양말, 야구 모자가 포함되었다.[25] 각 팀의 패치는 해당 도시의 문장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29]

처음에는 각 팀에게 모든 경기에 착용할 하나의 유니폼 스타일이 주어졌다. 셰퍼드는 파스텔 색상의 유니폼을 공개했는데, 케노샤는 녹색, 레이신은 노란색, 사우스 벤드는 파란색, 록포드는 복숭아색이었다. 모자, 벨트, 스타킹과 같은 액세서리는 팀 색상의 짙은 톤으로 구성되었다. 새로운 팀이 추가되면서 새로운 팀 색상이 부여되었는데, 밀워키는 회색, 미니애폴리스는 분홍색이었다. 원정 유니폼은 1948년 시즌부터 리그에 도입되었다.

4. 2. 행동 규범

창립자인 윌리엄 리글리 주니어는 리그가 부가가치를 가지려면 선수들의 "여성스러움"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창설 당시의 스프링 트레이닝 때 리글리는 헬레나 루빈스타인의 뷰티 살롱과 계약하고 선수들에게 훈련 후의 참 스쿨 참석을 요구했다. 참 스쿨은 1944년까지 폐지되었지만, 선수들에게는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위생 및 복장 등에 대한 세부 규정이 마련되었다.[25] 규정을 위반한 경우에는 벌금이 부과되었으며, 3번 규정을 위반하면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다.

  • 사람들 앞에서 옷을 갈아입지 말 것
  • 장발이 바람직하며, 립스틱을 빠뜨리지 말 것
  • 공공장소에서 음주 및 흡연을 하지 말 것
  • 음란한 대화는 삼갈 것
  • 경기 중에는 장신구를 착용하지 말 것
  • 외출 시에는 소재와 연락처를 남길 것
  • 식사 장소, 숙소 등에 대해서는 모두 매니저의 허가를 받을 것
  • 선수 증명서를 상시 휴대할 것. 증명서는 양도해서는 안 된다
  • 유니폼 치마의 길이는 무릎 위 약 15.24cm보다 길게 할 것 (=무릎 위 약 12.70cm를 넘어서는 안 된다)
  • 시즌 중에는 다른 팀의 멤버와 접촉하지 말 것

5. 홍보 및 마케팅

AAGPBL의 홍보 및 마케팅은 리그 창립자 필립 K. 리글리의 광고 철학을 바탕으로 했다. 리그는 초기에 ''타임'', ''라이프'', ''세븐틴'', ''뉴스위크'', ''아메리칸 매거진'' 등 전국적인 정기간행물에 소개되었다.[19] 1943년부터 1950년까지 리그 홍보를 담당했던 아서 E. 마이어호프는 "전쟁 노동자를 위한 레크리에이션", "여성성", "지역 사회 복지", "가족 엔터테인먼트"를 홍보 주제로 활용했다.[19]

1950년대 초, 관람객 및 수입 감소로 리그는 1954년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23]

5. 1. 초기 홍보 전략 (필립 K. 리글리, 아서 E. 마이어호프)

필립 K. 리글리는 광고의 가치를 굳게 믿었으며, 이는 아버지인 윌리엄 리글리로부터 물려받은 가치였다. 이러한 광고 철학은 리그의 초기 홍보 전략에 큰 영향을 미쳤다. 리그는 ''타임(Time)'', ''라이프(Life)'', ''세븐틴(Seventeen)'', ''뉴스위크(Newsweek)'', ''아메리칸 매거진(American Magazine)'' 등 전국적인 정기간행물에 소개되어 널리 알려졌다.[19]

1943년부터 1950년까지 리그의 홍보를 담당했던 아서 E. 마이어호프(Arthur E. Meyerhoff)는 전국적인 정기간행물을 활용하여 리그를 홍보했다. 이러한 잡지 기사들은 리그에 새로운 팬과 선수를 끌어들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마이어호프는 "전쟁 노동자를 위한 레크리에이션", "여성성", "지역 사회 복지", "가족 엔터테인먼트"와 같은 주요 홍보 테마를 통해 리그의 이미지를 구축했다.[19]

5. 2. 후기 홍보 전략 (개별 팀 운영)

1950년대 초, 관람객과 수입이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리그는 선수들에게 덜 매력적으로 다가왔고, 일부는 소프트볼로 다시 돌아갔다. 1954년 시즌 말까지 팀들이 빠르게 운영을 중단하여 결국 5개 팀만 남게 되었고, AAGPBL은 1954년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23]

6. 팀

팀명참가 연도팀의 변천
케노샤 코메츠1943년~1951년
레이신 벨스1943년~1950년1951년~1952년 배틀크릭 벨스, 1953년 머스키건 벨스
록포드 피치스1943년~1954년
사우스벤드 블루 삭스1943년~1954년
그랜드래피즈 칙스1945년~1954년1944년 밀워키 칙스
포트웨인 데이지스1945년~1954년1944년 미니애폴리스 밀러레츠
칼라마주 래시스1950년~1954년1946년~1949년 머스키건 래시스
피오리아 레드윙스1946년~1951년
시카고 콜린스1948년
스프링필드 샐리스1948년



AAGPBL 챔피언
연도우승 팀시리즈준우승 팀
1943년레이신 벨스3–0케노샤 코메츠
1944년밀워키 칙스4–3케노샤 코메츠
1945년록포드 피치스4–1포트웨인 데이지스
1946년레이신 벨스4–2록포드 피치스
1947년그랜드래피즈 칙스4–3레이신 벨스
1948년록포드 피치스4–1포트웨인 데이지스
1949년록포드 피치스3–1사우스벤드 블루삭스
1950년록포드 피치스4–3포트웨인 데이지스
1951년사우스벤드 블루삭스3–2록포드 피치스
1952년사우스벤드 블루삭스3–2록포드 피치스
1953년그랜드래피즈 칙스2–0칼라마주 래시스
1954년칼라마주 래시스3–2포트웨인 데이지스


7. 리그 해체 이후

1950년대 초, 관람객과 수입 감소로 리그는 선수들에게 매력적이지 않게 되었고, 일부 선수들은 소프트볼로 복귀했다. 1954년 시즌 종료 후 AAGPBL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23] 리그 해체 이후, 그 역사와 중요성은 야구 역사가들에게 잊혀졌다. 당시 많은 사람들은 여성이 야구를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여성 선수들은 다른 분야에서 경쟁했다.[38]

하지만 1980년 전 투수 준 페파스가 리그 관계자들과 연락을 시작하면서 1982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리그 최초의 재회가 열렸다. 이후 선수 협회가 결성되어 야구 명예의 전당에 리그를 인정하도록 청원하는 등의 활동을 펼쳤다.[38]

7. 1. 영화 "그들만의 리그"

1992년 개봉한 영화 그들만의 리그는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AAGPBL)의 이야기를 다루며 리그를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22] 이 영화는 지나 데이비스, 로리 페티, 로지 오도넬, 마돈나, 톰 행크스 등이 출연하고 페니 마셜이 감독을 맡았다.[22]

영화는 리그의 창설과 경기들을 흥미롭게 묘사했지만, 실제 역사와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는 허구적인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영화 속 톰 행크스가 연기한 지미 더건 감독 캐릭터는 야구 명예의 전당 멤버인 지미 폭스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지만, 실제 AAGPBL 선수들은 폭스가 항상 신사적이었다고 증언하며 영화 속 캐릭터와는 다르다고 말했다.[14]

7. 2. AAGPBL 선수 협회

1950년대에 많은 사람들이 여성이 야구를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가 1955년에 더 이상 지속될 수 없게 되자 그 역사와 중요성은 야구 역사가들에게 잊혀졌다.[38] 1980년, 전 투수 준 페파스는 친구, 팀 동료, 상대 선수들과 연락하기 위한 뉴스레터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그 결과 1982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리그 최초의 재회가 열렸다. 선수 협회는 지역 여성국 행사였던 Run, Jane, Run의 일환으로 포트 웨인에서 열린 1986년 재회 이후 결성되었다. 야구 명예의 전당이 올 아메리칸 걸스 베이스볼 리그를 인정하도록 청원서를 돌리고 있던 역사학자이자 야구 카드 발행인인 샤론 로프케(저서: ''다이아몬드 걸스'')는 재회에 참석한 선수들에게 이 노력을 돕기 위해 조직할 것을 요청했다. 프란 얀센의 사우스벤드 자택에서 회의가 열렸고, 선수 협회가 탄생했다. 준 페파스가 회장으로 지명되었다.[38] 현재는 야구 팬과 역사학자를 위한 준회원 외에도 선수, 스태프, 자손에게 회원 자격이 제공된다.

65명의 AAGPBL 원년 멤버들이 1988년 야구 명예의 전당 입성을 재현한 장면으로 1992년 영화 ''그들만의 리그''에 출연했다.[39]

2017년 기준으로 AAGPBL 선수 협회 회장은 도로시 맥과이어의 아들인 리처드 채프만이었다. 그는 2017년 어머니가 1981년에 사망한 후, 그녀의 자손으로서 첫 번째 재회에 참석했고, ''베이스볼 아메리카''에 "1982년 재회에 그녀를 대표하러 갔을 때, 그녀가 한 번도 말하지 않았던 그녀의 선수 생활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많은 역사가 사라지고 있습니다.[40]"라고 말했다.

2019년 선수 협회는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 여자 야구 월드컵을 위해 여성 야구를 홍보하는 ''아메리칸 걸스 베이스볼''을 설립했다.[41] AAGPBL 설립자 필립 리글리의 손녀인 미스디 밀러의 지원을 받아 수 파슨스(록퍼드, 1953–54)가 이끄는 이 단체는 2022년에 시작된 토너먼트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스프링 훈련 홈구장인 에드 스미스 스타디움에서 11월에 올 아메리칸 여성 야구 클래식을 개최한다.[42] AGB 토너먼트는 오리지널 AAGPBL 팀을 기리는 이름의 4개 팀(록퍼드, 사우스벤드, 라신, 키노샤)으로 구성되며, 모든 팀은 팀의 색상을 기반으로 한 흰색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저지를 사용한다. 경기는 현대 WBSC 여자 야구 규칙에 따라 진행되며 모든 경기는 7이닝으로 진행된다.

1992년 영화 그들만의 리그(원제: A League of Their Own)가 공개되면서 선수 협회의 활동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이 리그에 참가했던 캐나다 출신 선수들은 1998년 캐나다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선수 협회는 2020년 현재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선수들의 친목 활동이 계속되고 있다.

7. 3. 캐나다 야구 명예의 전당

1992년 영화 그들만의 리그를 통해 리그 활동이 널리 알려지면서, 1998년 리그에 참가했던 캐나다 출신 선수들은 캐나다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7. 4. 기타

1992년 영화 그들만의 리그는 허구적인 내용이지만, 이 리그의 창설과 경기를 다루고 있다. 지나 데이비스, 로리 페티, 로지 오도넬, 마돈나와 톰 행크스가 주연을 맡았으며, 페니 마셜이 감독했다.[22] 1993년에는 6부작 동명의 텔레비전 시리즈가 방영되었다. 2022년에는 동명의 두 번째 스핀오프 텔레비전 시리즈가 공개되었다. 2022년 시리즈는 영화와 여러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쇼러너 애비 제이콥슨은 이 시리즈가 리그에 대한 더욱 진정성 있는 묘사를 목표로 한다고 언급했다.[33] 이 텔레비전 각색은 리그 내의 동성애를 다루고 있으며, 전 선수들이 그 현실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34]

로이스 시겔은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에서 제작한 영화 ''야구 소녀들''에서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를 기록했다.[35] AAGPBL에 대한 여러 역사책도 출판되었다.[36][37]

1980년, 전 투수 준 페파스는 리그 최초의 재회를 이끌었고, 1986년 재회 이후 선수 협회가 결성되었다.[38] 1988년 65명의 AAGPBL 원년 멤버들이 야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39]

2019년 선수 협회는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 여자 야구 월드컵을 위해 여성 야구를 홍보하는 '아메리칸 걸스 베이스볼'을 설립했다.[41]

8. AAGPBL의 유산과 현대적 의미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AAGPBL)는 1955년 해체 이후 그 역사와 중요성이 잊혔지만, 선수들과 여러 사람들의 노력으로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1980년 전 투수 준 페파스는 뉴스레터 프로젝트로 선수들을 다시 연결했고, 1982년 시카고에서 리그 첫 재회가 열렸다. 이후 선수 협회가 결성되어 야구 명예의 전당에 리그를 인정받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38]

1988년 AAGPBL 원년 멤버 65명이 야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으며, 1992년 영화 ''그들만의 리그''는 이 사건을 재현했다.[39] 2019년 선수 협회는 여성 야구 홍보를 위해 '아메리칸 걸스 베이스볼'을 설립, 2022년부터 올 아메리칸 여성 야구 클래식을 개최하며 AAGPBL의 유산을 잇고 있다.[42]

8. 1. 여성 스포츠 발전 기여

1950년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여성이 야구를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AAGPBL)가 1955년에 해체되자 그 역사와 중요성은 잊혀졌다. 대부분의 여성 운동선수들은 다른 분야에서 경쟁해야 했다.[38]

하지만 1980년, 전 투수 준 페파스가 선수들을 연결하는 뉴스레터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1982년 시카고에서 리그 최초의 재회가 열렸다. 1986년 재회 이후 선수 협회가 결성되었고, 역사학자 샤론 로프케는 선수들에게 야구 명예의 전당에 AAGPBL을 인정하도록 청원하는 노력을 돕기 위해 조직할 것을 요청했다. 준 페파스가 회장으로 지명된 선수 협회가 탄생했다.[38]

1988년, 65명의 AAGPBL 원년 멤버들은 야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39] 1992년 영화 ''그들만의 리그''는 이러한 AAGPBL 선수들의 명예의 전당 입성을 재현한 장면을 담고 있다.[39]

2017년 기준 AAGPBL 선수 협회 회장은 도로시 맥과이어의 아들인 리처드 채프만이었다. 그는 어머니의 선수 생활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었고, 많은 역사가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40]

2019년 선수 협회는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 여자 야구 월드컵을 위해 여성 야구를 홍보하는 ''아메리칸 걸스 베이스볼''을 설립했다.[41] 이 단체는 2022년부터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스프링 훈련 홈구장인 에드 스미스 스타디움에서 올 아메리칸 여성 야구 클래식을 개최하고 있다.[42] 이 대회는 AAGPBL 원년 팀들의 이름을 딴 4개 팀이 참가하며, 경기는 현대 WBSC 여자 야구 규칙에 따라 7이닝으로 진행된다.[42]

9. 주요 인물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AAGPBL) 주요 인물
연도이름비고
1999클레어 실레이스
2002페이 댄서
2003도로시 퍼거슨(도티 키)
2005조앤 윈터
2010도로시 카멘셰크
2012진 포
2012도리스 샘스
2013페퍼 페어
2013소피 쿠리스
2017알린 존슨(노가)
2018준 페파스[43]



준 페파스는 1980년 전직 투수로, 선수 협회 결성을 주도했다.[38]

9. 1. 리그 창립 및 운영 관련 인물

필립 K. 리글리는 껌 재벌로,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AAGPBL)를 소유했다.[13] 그는 광고의 가치를 믿었고, 이는 리그의 광범위한 노출과 마케팅에 기여했다. 그의 아버지 윌리엄 리글리로부터 광고의 가치를 배웠다.[19]

아서 마이어호프는 부유한 홍보 담당자로, 1945년부터 1951년까지 리그를 소유했다.[13] 그는 1943년부터 1950년까지 리그의 홍보를 담당했으며, 대중적인 정기간행물을 통한 전국적인 노출에 초점을 맞췄다.[19]

1951년부터 1954년까지는 각 팀이 개별적으로 리그를 소유했다.[13] 리그 회장 프레드 레오는 모든 팀 회장에게 경기 및 훈련 행사에 대한 홍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했지만, 한 팀만이 응답하여 1952년 초 이사회 회의에서 부적절한 홍보에 대해 논의하게 되었다.[21]

맥스 캐리지미 폭스야구 명예의 전당 멤버로, AAGPBL에서 팀을 관리했다.[14] 톰 행크스가 출연한 영화 《그들만의 리그》에서 묘사된 지미 더건 캐릭터는 폭스의 리그 시절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지만, 전 AAGPBL 선수들은 폭스가 항상 신사적이었다고 말했다.[14]

팀 감독은 일반적으로 경쟁적인 운동 경기를 알고 있고 전직 메이저 리그 선수였던 남성이 맡았는데, 이는 팬들에게 리그가 진지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22]

9. 2. 선수

초창기 리그에서는 야구와 소프트볼의 혼합된 경기가 진행되었다. 공의 둘레는 약 30.48cm였고, 투수 마운드는 홈 플레이트에서 약 12.19m 거리에 있었으며, 베이스 간 거리는 약 19.81m였다. AAGPBL과 야구의 주요 유사점으로는 9명의 선수로 구성된 팀과 투수 마운드의 사용이 있었다. 1948년까지 공은 약 26.35cm로 줄어들었고, 오버핸드 투구가 허용되었으며, 마운드는 약 15.24m로 뒤로 이동했다. 리그 역사상 규칙은 점차 야구의 규칙에 가까워졌다. 마지막 시즌인 1954년까지 공은 정규 야구 크기가 되었고, 마운드는 약 18.29m로 뒤로 이동했으며, 베이스 경로는 약 25.91m로 연장되었다.[15] 팀은 일반적으로 전직 메이저 리그 선수였던 남성 감독이 지휘했다.[22]

급여는 여성의 평균 이상이었으며, 초창기에는 주당 45USD–85USD에서 후기에는 주당 약 125USD였다.[16]

여성 야구 선수들이 착용한 유니폼은 허리띠가 있고, 짧은 소매의 튜닉 드레스였으며, 스커트가 약간 퍼져 있었다. 규칙에 따르면 스커트는 무릎 위 약 15.24cm 이상을 착용할 수 없었지만, 달리고 수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 규정은 거의 무시되었다. 둥근 팀 로고가 각 드레스 앞면에 꿰매어졌고, 야구 모자 뒤쪽에는 탄성 밴드가 있어 모든 사람에게 맞는 크기였다.[17]

스프링 트레이닝 동안, 선수들은 헬레나 루빈스타인의 매력 학교에서 저녁 수업을 들어야 했다. 모든 상황에 적합한 에티켓이 가르쳐졌고, 모든 개인 위생, 몸가짐 및 복장 규정의 측면이 모든 선수에게 제시되었다. 각 선수를 가능한 한 육체적으로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각 선수는 뷰티 키트와 사용 방법에 대한 지침을 받았다. 리그의 '행동 규칙'의 일환으로, '소녀들'은 짧은 머리를 할 수 없고, 공공 장소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실 수 없었으며, 바지를 입을 수 없었고, 항상 립스틱을 발라야 했다. 리그의 행동 규칙을 따르지 않는 데 대한 벌금은 첫 번째 위반 시 5달러, 두 번째 위반 시 10달러, 세 번째 위반 시 출장 정지였다.[25] 1944년, 조세핀 "조조" D'안젤로는 머리를 짧게 잘라 해고되었다.[18] 여성의 계약은 남성 리그보다 행동에 대해 훨씬 더 엄격했고, 각 팀은 리그에 의해 자체 채플론을 배정받았다.[22]

1980년, 전 투수 준 페파스는 친구, 팀 동료, 상대 선수들과 연락하기 위한 뉴스레터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그 결과 1982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리그 최초의 재회가 열렸다. 선수 협회는 지역 여성국 행사였던 Run, Jane, Run의 일환으로 포트 웨인에서 열린 1986년 재회 이후 결성되었다. 야구 명예의 전당이 올 아메리칸 걸스 베이스볼 리그를 인정하도록 청원서를 돌리고 있던 역사학자이자 야구 카드 발행인인 샤론 로프케(저서: ''다이아몬드 걸스'')는 재회에 참석한 선수들에게 이 노력을 돕기 위해 조직할 것을 요청했다. 프란 얀센의 사우스벤드 자택에서 회의가 열렸고, 선수 협회가 탄생했다. 준 페파스가 회장으로 지명되었다.[38] 현재는 야구 팬과 역사학자를 위한 준회원 외에도 선수, 스태프, 자손에게 회원 자격이 제공된다.

65명의 AAGPBL 원년 멤버들이 1988년 야구 명예의 전당 입성을 재현한 장면으로 1992년 영화 ''그들만의 리그''에 출연했다.[39]

2017년 기준으로 AAGPBL 선수 협회 회장은 도로시 맥과이어의 아들인 리처드 채프만이었다.[40]

2019년 선수 협회는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 여자 야구 월드컵을 위해 여성 야구를 홍보하는 ''아메리칸 걸스 베이스볼''을 설립했다.[41]

참조

[1] 웹사이트 A League of Their Own (1992) – AFI Catalog Spotlight https://www.afi.com/[...] 2022-07-01
[2] 간행물 Bats, Balls and Books: Baseball and Higher Education for Women at Three Eastern Women's Colleges, 1866–1891 http://innovators.va[...] 1992-06-01
[3] 서적 Women in Baseball Bloomsbury Academic
[4] 서적 The Glory of Their Times: The Story of the Early Days of Baseball Told by the Men Who Played It 1981-06-01
[5] 뉴스 Female players hit a home run for wartime baseball — but were seen, rarely heard http://www.chicagotr[...] Chicago Tribune 2018-06-24
[6] 뉴스 10 Fun Facts About The All-American Girls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https://www.wbez.org[...] 2018-06-04
[7] 웹사이트 Women's baseball trailblazers reflect on the league, 75 years after its founding https://www.sbnation[...] 2018-05-30
[8]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Girls Baseball League https://sabr.org/jou[...]
[9] 웹사이트 National Girls Baseball League https://sites.google[...]
[10] 웹사이트 Their Turn at Bat: The Story of the National Girls Baseball League https://www.national[...]
[11] 웹사이트 National Girls Baseball League's 'Kotch' Kowell dead at 91 https://chicago.sunt[...] 2017-04-10
[12] 뉴스 Obituary: Girls Baseball League Founder Emery A. Parichy https://www.chicagot[...] Chicago Tribune 1992-11-01
[13] 서적 Encyclopedia of Women's History in Americ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0-08-01
[14] Sabrbio Jimmie Foxx 2013-11-16
[15] 웹사이트 Rules of Play http://www.aagpbl.or[...] 2012-01-18
[16] 서적 Great Women in Sports Visible Ink Press 1996-01-01
[17] 웹사이트 Dressed to the Nines - Timeline http://exhibits.base[...]
[18] 웹사이트 The Hidden Queer History Behind "A League of Their Own" http://narrative.ly/[...] 2018-05-30
[19] 서적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All-American Girls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McFarland 2006-01-01
[20] 웹사이트 League Structure https://www.aagpbl.o[...]
[21] 서적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All-American Girls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McFarland 2006-01-01
[22]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and Baseball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6-03-01
[23] 웹사이트 All-American Girls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Collection, 1945-1952, 1976-2020, undated https://vc.bridgew.e[...]
[24] 문서 All-American Girls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 Rules of Play http://www.aagpbl.or[...]
[25] 웹사이트 League History https://www.aagpbl.o[...]
[26] 웹사이트 Otis Shepard, Baseball's Greatest Graphic Artist https://ourgame.mlbl[...] Major League Baseball 2017-08-10
[27] 웹사이트 Possibly the Greatest Example of Uni-Watching Ever https://uni-watch.co[...] 2014-02-14
[28] 서적 Dorothy and Otis: Designing the American Dream: The Pioneering Designers of Baseball, Billboards, and Chewing Gum Harper Design 2014-01-01
[29] 트윗 On top are the logos used in #ALeagueofTheirOwn and on the bottom are the real logos. The logos are actually the city seal of the towns they played in. Why they changed the logos for the movie? Because it looked better on camera. 2018-04-06
[30] 웹사이트 All-American Girls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Player Marg Callaghan Sliding into Home Plate as Umpire Norris Ward Watches http://www.wdl.org/e[...] Library of Congress 1948-04-22
[31] 웹사이트 Victory Song http://www.aagpbl.or[...]
[32] Youtube All-American Girls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Players https://www.youtube.[...] 2007-05-14
[33] 웹사이트 'A League of Their Own' Star Abbi Jacobson on Whether Series Characters Will Call Back to Team From 1992 Film https://www.hollywoo[...] 2022-07-16
[34] 웹사이트 Baseball icon and A League of Their Own inspiration Maybelle Blair comes out as gay at 95 https://www.gaytimes[...] 2022-06-17
[35] 뉴스 Baseball girls https://riverviewpar[...] Riverside Park Review 2019-01-01
[36] 서적 A Whole New Ball Game: The Story of the All-American Girls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Puffin Books
[37] 서적 Girls of Summer: The Real Story of the All-American Girls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HarperCollins
[38] 문서 Minutes of AAGPBL origin meeting; personal recollection of participant Sharon Roepke
[39] 웹사이트 A League of Their Own (1992) – AFI Catalog Spotlight https://www.afi.com/[...] 2022-07-01
[40] 웹사이트 Working to Keep Girls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History Alive https://www.baseball[...] 2024-05-23
[41] 웹사이트 AAGPBL to increase support for women and girls playing baseball https://www.aagpbl.o[...] 2024-05-24
[42] 웹사이트 All-American Woman's Baseball Classic https://americangirl[...] American Girls Baseball 2024-05-24
[43] 웹사이트 Inductees http://www.eteamz.co[...]
[44] 웹사이트 Playing With The Boys: Gender, Race, and Baseball in Post-War America https://sabr.org/jou[...] 201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