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지카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지카레는 왕이 직접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콥토스 칙령 R 석판에 단 한 번 언급된 고대 이집트의 통치자이다. 이 칙령은 콥토스의 민 신전을 훼손하거나 약탈하는 자에게 부과되는 처벌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와지카레에 대한 다른 정보는 부족하며, 일부 학자들은 그의 실존 여부에 의문을 제기한다. 과거에는 누비아의 암석 비문에서 와지카레로 읽혔던 이름이 제11왕조 세게르세니의 왕위명인 멘크카레로 밝혀지기도 했다. 학자들은 와지카레를 다른 통치자와 동일시하려는 시도를 해왔으며, 호루스 이름 제메드-이비-타우이와 연관 짓거나, 제9왕조에 속하는 통치자로 추정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제8왕조의 파라오 - 네페르카레 켄두
- 이집트 제8왕조의 파라오 - 네페르카레 네비
- 기원전 22세기 파라오 - 페피 2세
페피 2세는 6세에 이집트 파라오로 즉위하여 약 94년간 통치하며 고왕국의 쇠퇴, 지방 세력 부상, 중앙 정부 통제력 약화 등의 특징을 보였고, 어린 시절 어머니와 재상의 보좌를 받았으며, 사카라에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했다. - 기원전 22세기 파라오 - 니토크리스
니토크리스는 헤로도토스와 마네토의 기록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고대 이집트 여왕으로, 형제 복수, 살해, 자살 등의 이야기와 함께 이집트 제6왕조 마지막 통치자이자 멘카우레 피라미드 건설자로 묘사되지만 실존 여부는 논쟁 중이며 현대 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고 있다.
와지카레 | |
---|---|
개요 | |
이름 | 와지카레 |
재위 기간 | 불명; 기원전 2150년경 |
다른 이름 | 해당 없음 |
호칭 | |
호루스 이름 | 제메드-이브-타위 (Dmḏ-jb-t3wj) 두 땅의 심장을 통합하는 자 |
호루스 이름 (상형문자) | |
네브티 이름 | 해당 없음 |
네브티 이름 (상형문자) | 해당 없음 |
즉위명 | 와지-카-레 (W3ḏ-k3-Rˁ) 레의 카가 상쾌하다 |
즉위명 (상형문자) | |
황금 호루스 이름 | 해당 없음 |
황금 호루스 이름 (상형문자) | 해당 없음 |
본명 | 해당 없음 |
본명 (상형문자) | 해당 없음 |
가족 관계 | |
선임 파라오 | 불확실; 아마도 카카레 이비 |
후임 파라오 | 불확실; 아마도 와카레 케티 1세 |
왕조 | 이집트 제1중간기 |
아버지 | 해당 없음 |
어머니 | 해당 없음 |
배우자 | 해당 없음 |
자녀 | 해당 없음 |
기타 정보 | |
기념물 | 해당 없음 |
무덤 | 알려지지 않음 |
2. 정체성
와지카레는 왕이 직접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콥토스 칙령 R에 딱 한 번 언급된다.[2] 고고학적 관점에서 이 왕에 대해 알려진 다른 정보는 없으며, 어떤 람세스 왕조 왕 목록에도 언급되지 않아 일부 학자들은 그의 존재에 의문을 제기한다.[3]
누비아 암석 비문에는 과거 와지카레로 읽혔던 왕명이 언급되어 있지만,[4][5] 현재는 제11왕조 지역 통치자 세게르세니의 왕위명인 ''멘크카레''로 여겨진다.[6]
파루크 고마아와 윌리엄 C. 헤이즈 같은 학자들은 호루스 이름 ''제메드-이비-타우이''를 네페르이르카레와 동일시하고, 와지카레를 ''호르-카바우''라는 알려지지 않은 통치자와 동일시한다.[7] 한스 괴디케는 와지카레를 ''제메드-이비-타우이''의 선임자로 보고 두 통치자를 제9왕조에 할당한다.[8]
2. 1. 콥토스 칙령 R
와지카레는 왕이 직접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콥토스 칙령 R(카이로 박물관; 객체 ''JE 41894'')로 알려진 왕실 석회암 석판에 딱 한 번 언급된다. 이 칙령에는 콥토스의 민 신에게 바쳐진 신전을 훼손하거나 약탈하는 모든 사람에게 부과되는 처벌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2]2. 2.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
와지카레는 왕이 직접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콥토스 칙령 R'(카이로 박물관; 객체 ''JE 41894'')로 알려진 왕실 석회암 석판에 단 한 번 언급된다. 이 칙령에는 콥토스의 민 신에게 바쳐진 신전을 훼손하거나 약탈하는 모든 사람에게 부과되는 처벌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2] 고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이 왕에 대해 알려진 다른 정보는 없으며, 어떤 람세스 왕조 왕 목록에도 언급되지 않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그의 존재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3]누비아의 암석 비문에는 과거에 잠정적으로 ''와지카레''로 읽혔던 왕이 언급되어 있다.[4][5] 그러나 현재는 이 비문에 새겨진 왕의 이름이 제11왕조 지역 통치자 세게르세니의 왕위명인 ''멘크카레''인 것으로 여겨진다.[6]
파루크 고마아와 윌리엄 C. 헤이즈와 같은 학자들은 호루스 이름 ''제메드-이비-타우이''를 네페르이르카레라는 통치자와 동일시하고, 와지카레를 ''호르-카바우''라는 알려지지 않은 통치자와 동일시한다.[7] 한스 괴디케는 와지카레를 ''제메드-이비-타우이''의 선임자로 보고 두 통치자를 제9왕조에 할당한다.[8]
2. 3. 누비아 암석 비문
누비아 암석 비문에는 과거 ''와지카레''로 잠정적으로 읽혔던 왕명이 언급되어 있다.[4][5] 그러나 현재 이 비문에 새겨진 왕명은 제11왕조 지역 통치자 세게르세니의 왕위명인 ''멘크카레''로 여겨진다.[6]2. 4. 다른 왕과의 동일시 가능성
와지카레는 단 한 번, 왕이 직접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콥토스 칙령 R'(카이로 박물관; 객체 ''JE 41894'')로 알려진 왕실 석회암 석판에 기록되어 있다. 이 칙령에는 콥토스의 민 신에게 바쳐진 신전을 훼손하거나 약탈하는 모든 사람에게 부과되는 처벌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2] 고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이 왕에 대해 알려진 다른 정보는 없다. 그의 존재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의문시되는데, 그 이유는 그가 어떤 람세스 왕조 왕 목록에도 언급되지 않기 때문이다.[3]누비아의 암석 비문에는 과거에 잠정적으로 ''와지카레''로 읽혔던 왕이 언급되어 있다.[4][5] 현재는 이 비문에 새겨진 왕의 이름이 제11왕조 지역 통치자 세게르세니의 왕위명인 ''멘크카레''인 것으로 여겨진다.[6]
파루크 고마아와 윌리엄 C. 헤이즈와 같은 학자들은 호루스 이름 ''제메드-이비-타우이''를 네페르이르카레라는 통치자와 동일시하고 와지카레를 ''호르-카바우''라는 알려지지 않은 통치자와 동일시한다.[7] 한스 괴디케는 와지카레를 ''제메드-이비-타우이''의 선임자로 보고 두 통치자를 제9왕조에 할당한다.[8]
참조
[1]
서적
Lexikon der Pharaonen
Albatros, Düsseldorf
2002
[2]
서적
Texts from the Pyramid Age
BRILL, Leiden
2005
[3]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Infobase Publishing
2009
[4]
간행물
Nouvelles remarques sur la XIe dynastie
1911
[5]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6]
서적
Handbuch der Ägyptischen Königsnamen
Philip Von Zabern
1999
[7]
서적
Ägypten während der Ersten Zwischenzeit
Reichert, Wiesbaden
1980
[8]
서적
Königliche Dokumente aus dem Alten Reich
Harrassowitz, Wiesbaden
19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