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키노익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키노익티스는 1994년 일본 기타큐슈의 와키노 소군에서 발견된 화석 어류로, 골설어목에 속한다. 와키노익티스는 가늘고 긴 체형이 특징이며, 턱에는 뾰족한 이빨이 있다. 와키노익티스에는 아오키종(W. aokii)과 로부스투스종(W. robustus) 두 종이 있으며, 아오키종은 가늘고 로부스투스종은 더 튼튼한 체형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고생물 - 돌레로바실리쿠스
돌레로바실리쿠스는 아사푸스상과의 일종으로, 머리 미간 뒤쪽 끝의 마디 분리 및 혹, 뚜렷한 선구조, 미간 앞쪽 능선, 네 쌍의 고랑 등의 특징을 가지며, 모식종 요쿠센시스종은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에서 산출되어 국내 자연사 박물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한국의 고생물 - 바실리엘라
바실리엘라는 아사푸스상과에 속하는 삼엽충으로, 머리 미간 뒤쪽 끝이 분리되고 흉부 8마디, 미부가 크며, 한국에서는 최대 30cm, 모로코에서는 51cm에 달하는 화석이 발견되기도 한다. - 일본의 화석 - 브리그모파이세터
브리그모파이세터는 약 1400만~1500만 년 전 미오세에 살았던 멸종된 포식성 향유고래 속으로, 강력한 턱과 에나멜 이빨을 가졌으며 해양 포유류 등을 사냥한 범고래와 유사한 생태적 지위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일본의 화석 - 오토두스 앵거스티덴스
오토두스 앵거스티덴스는 올리고세와 마이오세에 살았던 멸종된 상어 종으로, 백상아지와 비슷하지만 더 크고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진 강력한 포식자였으며, 메갈로돈과 관련이 있고 전 세계에서 화석이 발견되지만 한반도에서는 현재 서식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와키노익티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과 | 와키노익티스과 |
속 | 와키노익티스속 Wakinoichthys |
학명 명명자 | Yabumoto, 1994 |
모식종 | Wakinoichthys aokii |
모식종 명명자 | Yabumoto, 1994 |
종 | 와키노익티스 아오키 W. aokii 와키노익티스 로부스투스 W. robustus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하강 | 진골어하강 |
목 | 골설어목 |
화석 기록 | |
화석 범위 | 백악기 전기 |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문 생략)
2. 1. 발견
1994년, 최초의 ''와키노익티스'' 표본이 기타큐슈의 간몬군에 속하는 와키노 소군에서 발견되었다.[2] 1977년부터 한국과 일본 연구자들은 식물과 연체동물 화석이 발견된 경상 누층군에서 공동으로 화석 발굴 작업을 진행해 왔다. 이러한 공동 연구를 통해 ''와키노익티스'' 표본을 포함한 여러 화석 어류가 발견되었다.[3]속명은 와키노 소군과 물고기를 뜻하는 그리스어 ichthys|익티스grc에서 유래되었다. ''W. aokii''는 표본을 수집하여 기타큐슈 시립 자연사·인류사 박물관에 기증한 아오키 타테유 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W. robustus''는 친척 종에 비해 더 튼튼한 체형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여 명명되었다.[2]
2. 2. 명명
1994년, 최초의 ''와키노익티스'' 표본이 기타큐슈의 간몬군에 속하는 와키노 소군에서 발견되었다.[2] 1977년부터 일본과 한국 연구자들은 식물과 연체동물의 화석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진 경상 누층군에서 화석 발굴에 협력해 왔다. 이러한 공동 연구를 통해 ''와키노익티스'' 표본을 포함한 여러 화석 어류가 발견되었다.[3]속명은 발견지인 와키노 소군과 물고기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익티스(ichthys)'에서 유래되었다. 종명 ''W. aokii''는 표본을 수집하여 기타큐슈 시립 자연사·인류사 박물관에 기증한 아오키 타테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W. robustus''는 친척 종에 비해 더 튼튼한 체형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여 '튼튼하다'는 의미의 라틴어 'robustus'에서 유래하여 명명되었다.[2]
3. 특징
와키노익티스는 전체적으로 몸이 비교적 가느다란 형태를 띠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머리 부분은 길쭉한 턱과 뾰족한 이빨을 가지고 있다.[5] 종에 따라 몸의 가느다란 정도나 체형, 크기 등 세부적인 특징에는 차이가 나타난다.[2][3]
3. 1. 상세 특징
와키노익티스는 비교적 가느다란 몸 형태를 가진 물고기이다. 종에 따라 몸의 가느다란 정도는 차이가 있다.머리 부분을 보면, 턱이 길쭉하게 발달했으며 위턱에는 뾰족한 이빨들이 나 있다. 머리의 부접형골(parasphenoid)에 이빨이 있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몸통에는 척추가 대략 48개 정도 있으며, 가슴지느러미는 길게 뻗어 배지느러미의 안쪽 끝에 닿을 정도이다. 등지느러미와는 별개로, 척추 위 머리 뒤쪽으로 'supraneural bone'이라는 뼈들이 일렬로 늘어서 있는데, 이 뼈들은 대체로 납작한 이파리 모양을 하고 있다. 꼬리 부분에는 하미축골(hypural)이 총 7개 있고, 꼬리지느러미를 이루는 뼈는 가장 바깥쪽의 긴 것부터 안쪽으로 세어 총 18가닥이다.[5]
종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와키노익티스 아오키이''(''Wakinoichthys aokii'')는 몸길이가 7cm 에서 12cm 정도로 자라며, 몸길이가 몸 깊이의 6.4배에 달하는 길고 가느다란 형태를 가졌다. 등지느러미는 몸 뒤쪽에 위치하며, 그 시작점은 뒷지느러미의 시작점보다 뒤에 있다. 등지느러미 기저부의 길이는 뒷지느러미 기저부 길이의 약 절반 정도이다. 가슴지느러미는 길쭉하며 첫 번째 줄기가 튼튼하다. 배지느러미는 배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꼬리지느러미는 두 갈래로 나뉘어 있다. 아래턱은 길고 작은 송곳니 모양의 이빨이 있으며, 위턱의 이빨은 더 크고 두드러진다. 입천장의 내익상골에는 융모 형태의 이빨이 있었다.[2][3]
- ''와키노익티스 로부스투스''(''W. robustus'')는 ''아오키이'' 종보다 더 튼튼한 체형을 가진다. 전체 몸길이는 몸 깊이의 3.8배 정도이며, 머리가 상대적으로 더 크다. 두개골의 등쪽 윤곽은 약간 볼록한 형태를 띈다. 이 종의 모식 표본 크기는 3.86cm이며, 다른 표본들은 일반적으로 이보다 작다.[2]
4. 분류
와키노익티스는 골설어목의 일종이다. 야부모토(Yabumoto, 1994)는 이 속을 골설어목(Osteoglossiformes)으로 분류했는데, 이는 중앙 지느러미의 위치, 상악골과 치골의 치열, 융털 모양의 내익상골 치아 등 여러 형태학적 특징에 근거한다.[2] 그는 와키노익티스가 같은 화석 골설어목인 리콥테라과(Lycopteridae), 후아시아(Huashia) 등과 형태가 유사하다고 기술하였으나, 골설어목 내에서의 정확한 계통학적 위치는 자세히 제시하지 않았다.[5] 골설어목에는 현대의 아로와나, 버터플라이피시, 코끼리물고기, 칼고기 등이 포함된다.[2]
와키노익티스는 기재논문에서 두 개의 종이 명명되었다. 하나는 아오키종(W. aokii)이고 다른 하나는 로부스투스종(W. robustus)이다. 아오키종은 비교적 마른 생김새를 가지며, 로부스투스종은 비교적 통통한 모습에 머리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5]
참조
[1]
웹사이트
PBDB Taxon
https://paleobiodb.o[...]
[2]
논문
Early Cretaceous Freshwater Fish Fauna in Kyushu, Japan
https://www.kmnh.jp/[...]
[3]
논문
The first record of the Early Cretaceous freshwater fish, ''Wakinoichthys aokii'', from Korea
https://www.research[...]
[4]
저널
Early Cretaceous freshwater fishes from Japan and Korea
https://www.research[...]
2006-01-01
[5]
저널
Early Cretaceous Freshwater fish fauna in Kyushu, Japan
https://www.kmnh.jp/[...]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