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 목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 목종은 요 태종의 장남으로, 951년 요 세종을 암살하고 즉위했다. 알코올 의존증과 폭력적인 성향을 보였으며, 사냥을 즐기는 등 요나라의 암흑기를 이끌었다. 후주의 침략으로 연운십육주 탈환 위기를 겪었으며, 964년 만주 북부에서 반란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다. 969년 사냥터에서 시종에게 살해당했으며, 향년 39세로 사망했다. 후주, 북송과의 관계에서 연운십육주와 북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드라마 연운대에서 배우 리닝이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31년 출생 - 유승우 (후한)
    유승우는 오대십국시대 후한의 마지막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불안정한 통치를 하다가 곽위의 반란으로 살해당했다.
  • 931년 출생 - 보리스 2세
    보리스 2세는 불가리아의 차르로, 알려지지 않은 여성과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둔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가계는 크룸 왕조와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969년 사망 - 키예프의 올가
    키예프의 올가는 10세기 키예프 루스의 통치자이자 이고르 1세의 부인으로, 남편의 암살 후 섭정으로서 드레블랴네인에 대한 잔혹한 복수, 세제 개혁을 통한 중앙 집권화 강화, 그리스 정교로의 개종을 통해 루스의 기독교화에 영향을 미쳐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969년 사망 - 고려 대종
    고려 대종은 태조와 신정왕후의 아들로, 성종 즉위 후 왕으로 추존되었으며 능은 태릉이다.
요 목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요 목종 (遼穆宗)
로마자 표기Liao Muzong
중국어 간체辽穆宗
병음Liáo Mùzōng
별칭야율 경 (耶律璟), 술률 (유아명)
중국어 정체耶律璟
병음Yēlǜ Jǐng
병음Shùlǜ
생애
출생일931년 9월 19일
사망일969년 3월 12일
매장지화이릉 (懷陵, 아버지 태종과 함께; 현재 바린 우기, 내몽골 자치구)
통치
재위 기간951년 10월 11일 – 969년 3월 12일
연호응력 (應曆; 951–969)
계승황제 of the Liao dynasty
이전 통치자세종
다음 통치자경종
가족
배우자효황후 소씨 (蕭皇后)
부친태종
모친소문황후
기타 정보
출생명야율 경 (Yelü Jing), 술률 (Shulü, 유아명)
묘호목종 (穆宗)
시호효안경정황제 (孝安敬正皇帝)
칸호천순황제 (天順皇帝)
씨족야율 씨
왕조

2. 생애

요 태종의 장남으로 951년 요 세종을 암살하고 즉위하였다.[1] 천록 5년(951년) 제3대 황제였던 사촌 형 세종이 암살되자, 새로운 황제로 즉위하였다.

목종은 세종과 같이 알코올 의존자로 이유없이 사람을 죽이곤 하는 폭군이었다. 또 사냥을 좋아하였는데 요 세종과 요 목종의 치세는 후대인 요 경종요 흥종 ~ 천조제 시기와 같이 요나라의 암흑기 중 하나였다.

959년 후주시영은 오대의 국가들의 비원이었으며, 북방의 요나라를 견제하기 위해 연운십육주 탈환에 나섰으나, 일련의 전투에서 요나라군을 격파하고 유주을 되찾은 시영은 계속 진군하려 했으나, 갑자기 병환으로 쓰러져 원정은 중지할 수밖에 없었다. 959년 원정에서 돌아오던 도중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964년 만주 북부에서 요에 대한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지만, 966년 반란을 진압했다.

969년 2월 목종은 흑산으로 사냥을 나가 시종들과 축제를 벌였다. 한밤중에 목종은 음식을 요구하였지만 아무도 응답하지 않아 화가 난 황제는 주방장을 죽이려다가 주방장에게 피살당했고, 사후 요 경종이 즉위하였다. 향년 39세였다.

2. 1. 즉위 과정과 성격

요 태종의 장남으로 951년 요 세종을 암살하고 즉위하였다.[1] 천록 5년(951년) 제3대 황제였던 사촌 형 세종이 암살되자, 새로운 황제로 즉위한 것이다.

즉위 후에는 사치에 빠져 정치를 돌보지 않았고, 중신들도 권력 다툼으로 각 파벌로 분열되어 요는 차츰 쇠퇴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목종은 세종과 같이 알코올 의존자로 이유없이 사람을 죽이곤 하는 폭군이었다. 또 사냥을 좋아하였는데 요 세종과 요 목종의 치세는 후대인 요 경종요 흥종 ~ 천조제 시기와 같이 요나라의 암흑기 중 하나였다.

2. 2. 반란과 진압

목종의 치세는 황족과 소씨 일족 모두로부터 그를 향한 음모와 반란으로 얼룩졌다. 그는 세종을 위해 일했던 많은 대신들을 해고했고, 그에게 반기를 든 자들에게 무력을 사용했다. 그러나 그의 가혹한 무력 사용과 탄압은 결국 안정과 왕권의 권위를 회복할 수 있었다.[1]

964년 만주 북부에서 요에 대한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지만, 966년 반란을 진압했다.

3. 대외 관계

목종 재위 기간 동안 요나라는 후주 및 북송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후주는 화북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으나, 이 지역은 이미 거란의 영향권 아래 있었다. 그럼에도 북한은 요나라의 보호를 받으며 독립을 유지했다.[1]

958년 후주는 연운 16주를 되찾기 위해 요나라를 공격했고, 목종은 이에 대응하여 남경(현재의 베이징)으로 진군했다. 그러나 후주 황제 시종의 죽음으로 군사적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1]

이후 북송이 후주를 대체하면서 요나라와 북송의 관계는 대체로 평화로웠다. 그러나 연운 16주와 북한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었고, 이는 훗날 전쟁의 불씨가 되었다. 그럼에도 양국은 매년 사절을 교환하고 무역을 활발히 하는 등 교류를 이어갔다.[1]

3. 1. 후주와의 관계

후주는 목종의 어려움을 틈타 화북에서의 입지를 다졌는데, 이 지역은 세기 초부터 거란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요나라의 보호 아래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다.[1]

958년 후주는 연운 16주를 되찾기 위해 요나라의 거점을 공격했다. 이는 목종이 대군을 이끌고 남경(현재의 베이징)으로 진군하도록 도발했다. 군사적 대치는 후주 황제 시종의 죽음으로 피할 수 있었다. 이듬해 초, 목종은 수도로 돌아갔다.[1]

목종 재위 중반, 북송은 마지막 오대 왕조인 후주를 대체했다. 요나라와 북송 사이의 관계는 목종 재위 기간 동안 평화로웠으나, 목종 재위 이후 전쟁을 초래할 연운 16주 문제와 북한(오대십국)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두 나라는 중국 설날 동안 매년 상호 방문을 시작했고, 양국 간에 수익성 있는 무역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1]

3. 2. 북송과의 관계

후주목종의 어려움을 틈타 화북에서의 입지를 다졌는데, 이 지역은 세기 초부터 거란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요나라의 보호 아래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다.[1]

958년, 후주는 연운 16주를 되찾기 위해 요나라의 거점을 공격했다. 이는 목종이 대군을 이끌고 남경(현재의 베이징)으로 진군하도록 도발했다. 군사적 대치는 후주 황제 시종의 죽음으로 피할 수 있었다. 이듬해 초, 목종은 수도로 돌아갔다.[1]

목종 재위 중반, 북송은 마지막 오대 왕조인 후주를 대체했다. 요나라와 북송 사이의 관계는 목종 재위 기간 동안 평화로웠다. 이러한 평화에도 불구하고, 목종 재위 이후 전쟁을 초래할 두 가지 문제(연운 16주 문제와 북한 문제)가 양국 간에 남아 있었는데, 이 두 가지 문제는 목종 재위 기간 동안 해결되지 않았다. 두 나라는 중국 설날 동안 매년 상호 방문을 시작했으며, 양국 간에 수익성 있는 무역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1]

4. 가계

요 태종과 정안황후 소씨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요 목종이다. 요 목종의 할아버지는 야율아보기이며, 할머니는 술율평이다.[1]

4.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 태조(太祖) 대성제(大聖帝)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
  • '''조모''' : 순흠황후 술율평(述律平)
  • '''부''' : 태종(太宗) 효무제(孝武帝) 야율덕광(耶律德光)
  • '''모''' : 정안황후(靖安皇后) 소온(蕭溫)

4. 2. 후비

요 목종의 정실 부인은 소씨(蕭氏)이다. 목종은 성행위를 싫어했다고 한다.[1]

5. 기년

목종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력
(西曆)
951년952년953년954년955년956년957년958년959년960년
간지
(干支)
신해(辛亥)임자(壬子)계축(癸丑)갑인(甲寅)을묘(乙卯)병진(丙辰)정사(丁巳)무오(戊午)기미(己未)경신(庚申)
연호
(年號)
응력(應曆) 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목종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
서력
(西曆)
961년962년963년964년965년966년967년968년969년
간지
(干支)
신유(辛酉)임술(壬戌)계해(癸亥)갑자(甲子)을축(乙丑)병인(丙寅)정묘(丁卯)무진(戊辰)기사(己巳)
연호
(年號)
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


6. 대중문화

2020년 중국 드라마 《연운대》에서 배우 리닝이 목종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Imperial China: 900-1800 Harvard University Press
[2] 문서 『遼史』太宗本紀に、「天顕六年八月庚申、皇子述律生」との記述がある。穆宗が生まれた天顕6年8月5日はユリウス暦で換算すれば931年9月19日とな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