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도지휘사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동도지휘사사는 명나라가 요동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군사 기구이다. 요동 지역의 위소(衛所) 제도를 통해 군사적 통치와 행정적 기능을 수행했으며, 북방 민족의 침입 방어 및 한반도와의 관계 관리를 담당했다. 주요 거점으로는 요양, 개주, 복주, 금주, 광녕, 심양, 철령, 삼만 등이 있었으며, 각 지역에는 위(衛)와 주(州)가 설치되어 해상 교통, 교역, 국경 방어 등의 역할을 수행했다.
명나라는 요동 지역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군사적 조직인 위소(衛所) 제도를 활용했다. 요동에는 여러 위(衛)들이 설치되었는데, 이들은 군사적 요충지에 배치되어 북방 민족의 침입을 막고, 조선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각 위는 독자적인 군사력을 보유하고, 주변 지역에 대한 행정적인 기능도 일부 담당했다. 요동도지휘사사에는 여러 위 외에도 군량 생산을 담당하는 둔위(屯衛)와 행정 구역인 주(州)가 설치되었다. 둔위에는 광녕후둔위, 광녕중둔위, 광녕좌둔위, 광녕우둔위, 광녕전둔위, 심양중둔위 등이 있었고, 주에는 안락주 등이 있었다.
2. 명나라의 요동 통치 체제
2. 1. 위소(衛所) 제도
명나라의 기본적인 군사 조직은 위소(衛所) 제도로, 군사적 요충지에 설치되어 군사적 통치와 행정적 기능을 동시에 수행했다. 요동 지역의 위소는 주로 북방 민족의 침입을 방어하고, 조선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
요동도지휘사사에는 다음과 같은 위(衛)들이 있었다.
위 (衛) 이름 | 한자 | 위치 | 비고 |
---|---|---|---|
동녕위 | 東寧衛 | 1380년(홍무 13년) 설치. 1386년 7월 재설치. | |
해주위 | 海州衛 | 랴오닝성 하이청시 | 1376년(홍무 9년) 설치. 1385년(홍무 28년) 주(州) 폐지. |
복주위 | 復州衛 | 다롄시 와팡뎬시 복주성진(復州城鎭) | 1377년 9월 설치. 1385년(홍무 28년) 주(州) 폐지. |
금주위 | 金州衛 | 다롄시 진저우구 | 1375년 4월 설치. 1385년(홍무 28년) 주(州) 폐지. |
광녕위 | 廣寧衛 | 진저우시 베이전시 | 1390년 설치. |
광녕중위 | 廣寧中衛 | 진저우시 베이전시 | 1393년 설치, 1395년 폐지. 1402년 복치. |
광녕좌위 | 廣寧左衛 | 진저우시 베이전시 | |
광녕우위 | 廣寧右衛 | 진저우시 베이전시 | 1393년 설치, 1395년 폐지. 1402년 복치. |
광녕전위 | 廣寧前衛 | 진저우시 베이전시 | 1393년 설치, 이후 폐지. |
광녕후위 | 廣寧後衛 | 진저우시 베이전시 | 1393년 설치, 이후 폐지. |
의주위 | 義州衛 | 1387년 8월 설치. | |
광녕후둔위 | 廣寧後屯衛 | 차오양시 푸신 몽골족 자치현 | 1393년 설치. 1410년(영락 8년) 의주위성으로 이동. |
광녕중둔위 | 廣寧中屯衛 | 1391년 9월 설치. | |
광녕좌둔위 | 廣寧左屯衛 | 1391년(홍무 24년) 9월 설치. 이후 광녕중둔위로 이동. | |
광녕우둔위 | 廣寧右屯衛 | 1393년 설치. 1394년 이동. | |
광녕전둔위 | 廣寧前屯衛 | 1393년 설치. | |
영원위 | 寧遠衛 | 후루다오시 싱청시 | 1430년(선덕 5년) 설치. |
심양중위 | 瀋陽中衛 | 선양시, 푸순시 서부 지역. | 1398년 5월 설치. |
심양좌위 | 瀋陽左衛 | 선양시, 푸순시 서부 지역. | 홍무 연간 설치, 건문 초 폐지, 1402년 복구, 이후 폐지. |
심양중둔위 | 瀋陽中屯衛 | 선양시, 푸순시 서부 지역. | 1398년 설치, 건문 중 폐지, 1402년 복구. |
철령위 | 鐵嶺衛 | 톄링시 | 철령위 참조 |
삼만위 | 三萬衛 | 톄링시 카이위안시 | 1387년 12월 설치. |
요해위 | 遼海衛 | 1390년 설치, 1393년 이동. | |
안락주 | 安樂州 | 1409년 7월 설치. |
[1]
요동에는 명나라의 통치를 위한 여러 거점들이 설치되었다. 주요 거점은 다음과 같다.
명나라의 요동도지휘사사는 요동 통치를 위한 기관이었으므로 조선과의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3. 요동의 주요 거점
위/주 명칭 한자 위치 비고 정요위 定遼衛 (요양부 참조) 요양부 참조 해주위 海州衛 랴오닝성 하이청시 1376년(홍무 9년) 위 설치. 1385년(홍무 28년) 주 폐지. 복주위 復州衛 다롄시 와팡뎬시 복주성진(復州城鎭) 1377년(홍무 10년) 위 설치. 1385년(홍무 18년) 주 폐지. 금주위 金州衛 다롄시 진저우구 1375년(홍무 8년) 위 설치. 1385년(홍무 18년) 주 폐지. 광녕위 廣寧衛 진저우시 베이전시 1390년(홍무 23년) 위 설치. 의주위 義州衛 (광녕위 참조) 원 대녕로(大寧路) 의주. 1387년(홍무 20년) 위 설치. 광녕후둔위 廣寧後屯衛 차오양시 푸신 몽골족 자치현 1393년(홍무 26년) 설치. 1410년(영락 8년) 의주위성으로 이동. 광녕중둔위 廣寧中屯衛 (광녕위 참조) 원 대녕로 금주(錦州). 1391년(홍무 24년) 위 설치. 광녕좌둔위 廣寧左屯衛 (광녕위 참조) 1391년(홍무 24년) 요하 서쪽에 설치 후 광녕중둔위로 이동. 광녕우둔위 廣寧右屯衛 (광녕위 참조) 원 광녕부(廣寧府). 1393년(홍무 26년) 설치. 광녕전둔위 廣寧前屯衛 (광녕위 참조) 원 대녕로 서주(瑞州). 1393년(홍무 26년) 위 설치. 영원위 寧遠衛 후루다오시 싱청시 1430년(선덕 5년) 설치. 심양위 瀋陽衛 선양시, 푸순시 서부 지역. 1398년(홍무 31년) 위 설치. 철령위 鐵嶺衛 톄링시 철령위 참조 삼만위 三萬衛 톄링시 카이위안시 1387년(홍무 20년) 설치. 요해위 遼海衛 (삼만위 참조) 1390년(홍무 23년) 설치. 안락주 安樂州 (삼만위 참조) 1409년(영락 7년) 설치.
4. 요동과 조선과의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