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아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아킴은 기독교 전승에서 성모 마리아의 아버지로 묘사되는 인물이다. 야고보 원복음서에 따르면 요아킴은 다윗 가문의 부유한 사람이었으며, 아이를 갖지 못해 고뇌하다가 천사의 계시를 받고 안나와 마리아를 낳았다. 그의 이야기는 중세 시대 성인전인 《황금 전설》에 수록되었고, 트리엔트 공의회 이전까지 기독교 미술에서 널리 다루어졌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성 요아킴과 성 안나의 축일을 7월 26일에 기념하며,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는 9월 9일에 공동 축일을 지낸다. 그는 아버지, 할아버지, 부부 등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지며, 이슬람에서는 임란으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사렛 출신 - 예수
    예수는 기원후 1세기경 갈릴리에서 활동한 유대인으로, 기독교의 중심 인물이자 하느님의 아들로 여겨지며, 복음서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고 공생애를 시작하여 가르침을 전파하고 기적을 행했으며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후 부활했다고 전해진다.
  • 나사렛 출신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로서 기독교와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기독교에서는 '하느님의 어머니' 등으로 공경받고 동정녀 잉태의 믿음이 있으며, 이슬람에서는 마르얌으로 불리며 존경받는 여성으로, 그녀의 생애는 성경과 외경, 전승, 예술 작품의 주요 모티프로 전해진다.
  • 가톨릭 성인 - 사라
    사라는 창세기에 등장하는 아브라함의 아내이자 이삭의 어머니로, 사래에서 개명되었으며 불임에도 불구하고 기적적으로 이삭을 낳아 신앙과 여성으로서의 삶을 보여주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중요한 인물이다.
  • 가톨릭 성인 - 베타니아의 라자로
    베타니아의 라자로는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인물로, 예수에 의해 죽음에서 부활한 기적으로 유명하며, 이 기적은 많은 사람들을 예수께로 이끌고 유대 지도자들이 예수를 죽이기로 결심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 예수의 가족 - 엘리사벳
    사가리아의 아내이자 세례 요한의 어머니인 엘리사벳은 마리아의 친척으로, 오랫동안 불임이었으나 고령에 요한을 임신하여 마리아 방문 시 성령의 인도로 축복의 말을 전했으며, 이는 아베 마리아 기도의 일부가 되었다.
  • 예수의 가족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로서 기독교와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기독교에서는 '하느님의 어머니' 등으로 공경받고 동정녀 잉태의 믿음이 있으며, 이슬람에서는 마르얌으로 불리며 존경받는 여성으로, 그녀의 생애는 성경과 외경, 전승, 예술 작품의 주요 모티프로 전해진다.
요아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 성모 마리아의 부모
성모 마리아의 부모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
칭호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아버지, 고해자
다른 이름요아힘
요아킴
여호야김 (예호야킴)
한국어 음역요아킴
히브리어יהויקים (예호야킴)
히브리어 의미야훼께서 세우셨다
그리스어Ἰωακείμ (이오아킴)
라틴어Ioachim
생애
출생기원전 75년경, 나자렛, 하스몬 유대
사망기원전 15년경, 예루살렘, 헤롯 왕국
공경
공경하는 교파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성공회
루터교
이슬람교
축일
기념일7월 26일 (성공회, 가톨릭 교회)
9월 9일 (동방 정교회, 그리스 가톨릭)
8월 16일 (1913-1969년 로마 보편 전례력)
성인
시성공식 시성 이전
속성
상징물
비둘기
성녀 안나 또는 성모 마리아와 함께
수호
수호 대상아버지
조부모
아훈타스, 푸에르토리코
돌로레스, 이스턴사마르
파스니아, 테네리페
가르멜회

2. 기독교 전승

기독교 전승, 특히 야고보 원복음서에 따르면 요아킴은 다윗 가문의 후손으로, 부유하고 경건한 인물이었다. 가톨릭 백과사전의 찰스 소베이는 요아킴이 많은 가축을 소유했다는 생각은 의심스럽다고 언급했다.[2]

마태오 복음서와 루카 복음서의 예수의 족보에는 요셉의 아버지가 누구인지에 대해 서로 다르게 기술되어 있다. 다마스쿠스의 성 요한을 비롯한 많은 학자, 특히 개신교 학자들은 루카 복음서의 족보가 사실은 마리아의 족보이며, 마리아의 아버지는 엘리라고 주장한다.[13]

성 요아킴 축일은 트리엔트 전례력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1584년 성 요셉 축일 다음날인 3월 20일에 로마 전례력에 추가되었으나, 1738년에는 성모 승천 대축일 내 옥타브의 일요일로 변경되었다. 교황 비오 10세 (재위 1903-1914)는 일요일 전례 거행을 위해 요아킴 축일을 성모 승천 다음날인 8월 16일로 옮겨 마리아의 승리를 기념하게 했다.[5] 1906년 5월 28일, 교황 성 비오 10세는 "성 안나의 남편이자 복된 동정녀의 아버지인 성 요아킴"을 매일 한 번씩 부를 때 300일의 대사를 얻을 수 있도록 했다.[6]

요아킴 축일은 2등급 축일로 거행되었고, 1960년에는 2등급 축제로 변경되었다. 1969년 로마 전례력 개정에서 안나 축일과 합쳐져 7월 26일에 기념하게 되었다.[7]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는 9월 9일, 즉 마리아의 탄생 다음 날에 요아킴과 안나의 공동 축일을 기념한다. 영국 성공회에서는 7월 26일에 소 축제로 기념한다.[8]

2. 1. 야고보 원복음서

야고보 원복음서에 따르면, 요아킴은 다윗 가문의 부유한 사람이었다. 그는 예루살렘 성전에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제물을 바치려 했으나, 대사제는 “당신은 슬하에 자녀를 두지 못했으니 제물을 바치는 것이 율법에 어긋나오.”라며 거절했다.[3] 몹시 상심한 요아킴은 아내 안나를 떠나 광야에서 천막을 치고 40일간 밤낮으로 단식했다. 안나 역시 아이를 낳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슬퍼했다. 그러자 천사들이 요아킴과 안나에게 각각 나타나 임신 소식을 알렸다.[3] 요아킴은 천사의 말을 듣고 목자들을 이끌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도시 성문 앞에서 안나와 재회했다.

요아킴과 안나의 이야기는 중세 시대 성인전인 《황금전설》에 수록되었으며, 트리엔트 공의회가 외경에 나오는 내용을 주제로 한 그림 제작을 제한하기 전까지 기독교 예술 분야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늙은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아이는, 아이를 가질 희망을 포기했음에도 불구하고 위대한 운명을 맞는다는 고대 신념이 있었는데, 이는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 사무엘의 어머니 한나,[4] 세례자 요한의 부모에게서 나타나는 신약 성경의 내용과 유사하다.

12세기 독일의 마리아의 탄생. 요아킴은 유대인 모자를 쓰고 있다.

2. 2. 마태오 복음서와 루카 복음서

마태오 복음서와 루카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의 족보에는 마리아의 부모 이름은 나오지 않지만, 남편 요셉의 아버지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르게 적혀 있다. 다마스쿠스의 성 요한을 비롯한 많은 학자, 특히 개신교 학자들은 루카 복음서에 나오는 족보가 사실은 마리아의 족보이며, 마리아의 아버지는 엘리라고 주장한다.[13] 요셉의 아버지가 두 명으로 나오는 문제에 대해, 신학자들은 한 명은 솔로몬의 후손이고 다른 한 명은 다윗의 아들 나탄의 후손이라고 설명한다. 7세기 전승에는 엘리가 요아킴의 종형제라고 나와 있다.[14]

2. 3. 기타 전승

7세기 전승에 따르면 엘리는 요아킴의 종형제였다.[14] 요아킴과 안나의 이야기는 중세 시대 성인전인 《황금전설》에 수록되어 널리 알려졌다. 이 이야기는 트리엔트 공의회가 외경에 나오는 내용을 주제로 한 그림 제작에 제재를 가하기 전까지 기독교 예술 분야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3. 축일

가톨릭 교회에서는 성 요아킴과 성 안나의 축일을 7월 26일에 함께 기념한다.[7]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는 마리아의 탄생 다음 날인 9월 9일에 요아킴과 안나의 공동 축일을 기념한다. 영국 성공회에서도 7월 26일에 요아킴과 안나를 소 축제로 기념한다.[8]

성 요아킴 축일은 트리엔트 전례력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1584년 성 요셉 축일 다음날인 3월 20일에 로마 전례력에 추가되었다가, 1738년에는 성모 승천 대축일 내 옥타브의 일요일로 옮겨졌다. 교황 비오 10세 (재위 1903-1914)는 일요일 전례를 거행할 수 있도록 요아킴 축일을 성모 승천 다음날인 8월 16일로 변경하여 마리아의 승리를 기념하도록 했다.[5] 1906년 5월 28일, 교황 성 비오 10세는 "성 안나의 남편이자 복된 동정녀의 아버지인 성 요아킴"을 매일 한 번씩 부를 때 300일의 대사를 얻을 수 있도록 했다.[6]

이후 요아킴 축일은 2등급 축일로 거행되었고, 1960년에는 2등급 축제로 변경되었다.

4. 상징 및 수호성인

요아킴은 아버지, 할아버지, 조부모, 부부, 가구 제작자, 아마포 상인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진다.[9]

성 요아킴


중세 미술에서 요아킴은 종종 원뿔 모양의 유대인 모자를 쓴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는 종종 성인으로 여겨져 후광을 받기도 하지만, 라틴 교회에서는 그가 기독교인으로 여겨지기에는 너무 일찍 죽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요아킴과 관련된 상징으로는 책이나 두루마리(아마포 제조자를 나타냄), 목자의 지팡이(기독교의 말씀을 나타냄), 비둘기 바구니(평화를 나타냄) 등이 있다. 그는 거의 항상 희망을 상징하는 녹색 옷을 입고 있다.[9]

5. 이슬람에서의 요아킴

이슬람에서는 '''임란'''(عمران|ʿImrānar)이라고 불린다.[11] 쿠란의 알 임란 수라에 따르면, 임란은 마리암의 아버지이자 이사의 할아버지이다.

6. 이름의 변형

독일어, 네덜란드어로는 요아힘, 스페인어로는 호아킨, 프랑스어로는 조아섕, 이탈리아어로는 조아키노, 북유럽에서는 요아킴으로 불리며, 인터넷이 보급된 이후에는 '김'으로 불리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Who's Who in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2] 웹사이트 St. Joachim Robert Appleton Company 2022-08-03
[3] 웹사이트 Saint Joachim http://www.worldmeet[...] 2015
[4] 서적 Lives of Saints, with Excerpts from Their Writings: Selected and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John J. Crawley & Co. 2020-07-11
[5] 문서 The Saint Andrew Daily Missal, with Vespers for Sundays and Feasts The E. M. Lohmann Co.
[6] 웹사이트 Indulgenced prayers and aspirations https://issuu.com/ec[...] 2015-09-08
[7] 서적 Calendarium Romanum https://archive.org/[...] Typis Polyglottis
[8]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9] 웹사이트 St. Joachim, Father of the Most Blessed Virgin: Feast July 26th http://www.stjoachim[...] 2020-07-11
[10] 서적 California Place Names: The Origin and Etymology of Current Geographical Nam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02-10
[11] 문서 Qur'an 3:42
[12] 서적 Who's Who in the New Testament
[13] 문서 Virgin birth
[14] 문서 Doctrina Jacob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