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안네스 사레스베리엔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안네스 사레스베리엔시스는 12세기의 잉글랜드 출신 학자, 작가, 외교관, 그리고 샤르트르의 주교였다. 앵글로색슨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피에르 아벨라르에게 수학한 그는 캔터베리 대주교 테오발두스 베켄시스의 비서로 활동하며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대표 저서로는 중세 정치사상을 보여주는 『폴리크라티쿠스』와 『메탈로기콘』이 있으며, 그의 저술은 12세기 르네상스의 문학적, 과학적 위치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그는 법치주의와 폭군에 대한 저항권을 옹호했으며, 교육과 의학에 대한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솔즈베리 출신 - 콜린 뉴먼
콜린 뉴먼은 1976년 밴드 와이어를 결성하여 포스트 펑크와 뉴 웨이브 음악에 영향을 준 영국의 음악가로, 와이어 해체 후 솔로 활동, 재합류, 밴드 Githead 활동, Pinkflag 레이블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1180년 사망 - 마누일 1세 콤니노스
마누일 1세 콤니노스는 12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즉위 초 권력 다툼을 겪었으나 제위를 굳건히 하고, 십자군, 이탈리아 원정, 셀주크 투르크와의 전쟁 등 다양한 외교 관계를 맺으며 제국의 번영과 취약성을 동시에 드러냈다. - 1180년 사망 - 루이 7세
루이 7세는 1137년부터 1180년까지 프랑스를 다스린 카페 왕조의 국왕으로, 아키텐 여공작 엘레오노르와의 결혼과 이혼, 그리고 앙주 제국의 위협에 직면했다.
요안네스 사레스베리엔시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존 오브 솔즈베리 |
라틴어 이름 | Ioannes Saresberiensis |
별칭 | Johannes Parvus (키 작은 요한) |
직함 | 샤르트르 주교 |
교구 | 샤르트르 |
임명 | 1176년 |
출생일 | 1110년대 후반 |
출생지 | 솔즈베리, 잉글랜드 |
사망일 | 1180년 10월 25일 |
사망지 | 샤르트르, 프랑스 |
직업 | 작가 철학자 교육자 외교관 |
2. 생애
잉글랜드 솔즈베리 출신으로, 노르만인이 아닌 앵글로색슨인 배경을 가졌다.[17] 1136년경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와 샤르트르 등지에서 피에르 아벨라르, 굴리엘무스 데 콘치스 등 당대의 저명한 학자들에게 배웠다.[17][18] 그의 학창 시절 기록은 초기 파리 대학교의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19]
1148년 랭스 공의회에서 베르나르두스 클라라에발렌시스의 소개로 캔터베리 대주교 테오발두스 베켄시스의 비서가 되었다.[17] 테오발두스 밑에서 일하며 토머스 베켓과 교류했고, 여러 차례 교황청에 파견되어 교황 하드리아노 4세와도 인연을 맺었다.[18]
1159년 대표작인 『폴리크라티쿠스』와 『메탈로기콘』을 완성했다. 1161년 테오발두스가 사망하자 후임 대주교가 된 토머스 베켓의 비서로 일하며, 헨리 2세 국왕과의 정치적 갈등에 휘말렸다.[19] 이로 인해 1163년 프랑스로 망명하여 6년간 머물렀고, 이 시기에 『교황사』(''Historia Pontificalis'')를 저술했다.[20]
1170년 베켓의 잉글랜드 귀국을 도왔으며, 그가 캔터베리 대성당에서 암살당할 때 현장에 있었다.[17] 이후 1174년 엑서터 대성당의 금고지기를 거쳐, 1176년 샤르트르 주교로 서임되었다. 1179년 제3차 라테란 공의회에 참여했으며, 1180년 10월 25일 샤르트르 근교에서 사망했다.[16]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120년경 - 1148년)
잉글랜드 솔즈베리에서 태어났다. 당시 잉글랜드의 지배민족인 노르만인이 아니라 피지배민족인 앵글로색슨인으로, 한미한 출신이었다. 그가 자신을 "작다"라는 의미의 ''파르부스''(Parvus)라는 별칭으로 불렀다는 것 외에는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한 세부 사항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기록에 따르면 1136년경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에서 피에르 아벨라르 밑에서 본격적인 학업을 시작했다.[3][17] 아벨라르는 짧은 기간 동안 생트 주느비에브 언덕에서 자신의 유명한 학교를 다시 열었다.선생들과 동료 학생들에 대한 요안네스의 생생한 기록은 파리 대학교 초창기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가 된다.[4][19] 아벨라르가 파리에서 물러난 후, 존은 마스터 알베릭과 멜룬의 로베르에게서 공부했다. 1137년, 요안네스는 샤르트르로 가서 콩슈의 기욤에게서 문법학을, 샤르트르의 베르나르의 제자인 리샤르 레베크에게서 수사학과 논리학, 고전학을 배웠다.[5][18] 베르나르의 가르침은 부분적으로 뚜렷한 신플라톤주의 경향과, 라틴 작가들의 문학적 연구에 대한 강조로 구별되었으며, 특히 후자의 특징은 요안네스의 모든 작품에서 눈에 띈다.
1140년경 존은 길베르 드 라 포레에게 신학을 배우기 위해 파리로 돌아와 로베르 풀루스와 푸아시의 시몽에게서 공부하며 젊은 귀족들의 가정교사로 생활비를 벌었다. 1148년, 그는 친구 셀의 피에르와 함께 트루아 교구의 무티에라셀(Moutiers-la-Celle) 수도원에 거주했다. 그는 교황 에우제니오 3세가 주재한 1148년 랭스 공의회에 참석했다. 그곳에서 그는 성 클레르보의 베르나르에 의해 캔터베리 대주교 테오발 드 베크에게 소개되었고, 그의 비서가 되었다고 추측된다.[3][17]
2. 2. 캔터베리 대주교 비서 시절 (1148년 - 1176년)
1148년 랭스 공의회에 참관했을 때, 베르나르두스 클라라에발렌시스의 소개로 캔터베리 대주교 테오발두스 베켄시스를 알게 되어 그의 비서가 되었다.[17]요안네스는 7년 동안 테오발두스의 비서로 일했다. 이 기간 동안 캔터베리 대교구에서 테오발두스의 제자이자 훗날 요안네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토머스 베켓을 만났다. 그는 테오발두스의 비서로서 여러 차례 교황청에 파견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훗날 교황 하드리아노 4세가 되는 니콜라스 브레이크스피어와 친분을 쌓았다.[18][5] 1155년에는 이탈리아 베네벤토에서 교황 하드리아노 4세를 방문하여 여러 달 동안 머물렀으며, 이후에도 최소 두 차례 더 로마의 교황청에 머물렀던 것으로 보인다.[18][5]
1159년, 요안네스는 그의 가장 중요한 저작인 『폴리크라티쿠스』(''Policraticus, sive de nugis curialium et de vestigiis philosophorum'', "궁정 사람들의 허튼 소리와 철학자들의 흔적에 관하여")와 『메탈로기콘』(''Metalogicon'')을 완성하여 발표했다. 『폴리크라티쿠스』는 당대 궁정의 부패한 모습과 왕족의 느슨한 윤리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12세기 궁정 생활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메탈로기콘』은 스콜라 철학 교육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며, 세련된 문체와 인문주의적 경향으로 주목받는 저술이다. 특히 이 책에서 요안네스는 삼학(Trivium)이 인간의 본성과 복지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며 그 중요성을 옹호했다.[6][7] 또한 『메탈로기콘』에는 샤르트르의 베르나르에게서 유래했다고 전해지는 "거인의 어깨에 서다"라는 유명한 비유가 처음으로 기록되어 있다.
1161년 테오발두스 대주교가 사망하자, 그의 후임으로 토머스 베켓이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었고 요안네스는 베켓의 비서로 계속 일하게 되었다. 그는 베켓과 헨리 2세 국왕 사이의 오랜 갈등, 즉 베켓 논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로 인해 헨리 2세는 요안네스를 교황의 대리인으로 여기며 경계했다.[19][8] 요안네스가 남긴 편지들은 당시 잉글랜드를 뒤흔들었던 정치적, 헌법적 투쟁의 양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료가 된다.
1163년, 요안네스는 명확하지 않은 이유로 헨리 2세의 미움을 사 프랑스로 망명해야 했다.[19] 그는 이후 6년 동안 랭스의 생 레미지우스 수도원장이 된 친구 페트루스에게 의탁하여 지냈다. 이 시기에 그는 『교황사』(''Historia Pontificalis'')를 저술했다.[20][9]
1170년, 요안네스는 토머스 베켓의 잉글랜드 귀국을 준비하는 대표단을 이끌었다.[3] 그해 말, 베켓이 캔터베리 대성당에서 암살당했을 때 요안네스도 캔터베리에 있었다.[17] 베켓 사후인 1174년, 요안네스는 엑서터 대성당의 재무(금고지기)가 되었다. 그의 캔터베리 대주교 비서로서의 활동은 1176년 샤르트르 주교로 서임되면서 마무리된다.
2. 3. 샤르트르 주교 시절과 죽음 (1176년 - 1180년)
1176년, 샤르트르 주교로 서임되어 샤르트르에서 여생을 보냈다.[16] 1179년에는 제3차 라테란 공의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 그는 1180년 10월 25일 샤르트르 인근에서 사망했다.[16][1]3. 사상
요안네스 사레스베리엔시스의 저술들은 12세기 서유럽의 문학적, 과학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10] 그는 당대 대학의 새로운 논리학과 수사학에 정통했으며, 유명론과 실재론의 양극단에 치우치지 않고 실용적인 상식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의 학문은 키케로의 문학적 회의주의에 영향을 받았으며, 요안네스는 키케로를 존경하여 그의 문체를 모범으로 삼았다.
그는 그리스어 고전에는 비교적 무관심하여 직접적인 지식이나 번역본을 거의 접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당대 최고의 라틴어 학자 중 한 명이었다. 플라톤의 《티마이오스》는 칼키디우스의 라틴어 번역본으로 알고 있었고, 《파이돈》과 《메논》 번역본에도 접근했을 가능성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 라틴어로 번역된 《오르가논》 전체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이를 온전히 알고 있던 최초의 중세 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요안네스는 여러 세기 후 연극에 영향을 미친 '테아트룸 문디'(theatrum mundi, 세계는 연극 무대)라는 개념을 처음 사용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그의 저서 《폴리크라티쿠스》 제3권에서는 "지상에서의 인간의 삶은 희극이며, 각자 자신의 역할을 잊고 다른 사람의 역할을 연기한다"고 성찰했다.[12] 이 책은 중세 최초의 정치 이론서로 평가받는다.[21]
요안네스의 철학적 입장은 키케로의 영향을 받은 온건한 회의주의였다. 그는 어떤 것도 절대적으로 확실하게 증명될 수는 없지만, 이의 제기는 가능하다는 입장을 취했으며, 이러한 관점은 그의 주요 저서인 《폴리크라티쿠스》와 《메탈로기콘》 모두에서 나타난다. 그는 지식이 근거할 수 있는 세 가지 토대로 믿음, 이성, 감각을 제시했다. 이는 당시 철학자들이 신의 존재나 시대적으로 의문시되지 않던 다른 주제에 도전하지 않으면서도 자유롭게 사유하고 토론할 수 있는 틀을 제공했다.
이러한 온건한 회의주의는 그의 다른 견해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는 에피쿠로스 학파의 철학을 절제의 반대 개념으로 보고 비판했으며, 특히 에피쿠로스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무절제한 쾌락주의에 빠진 추종자들을 강하게 비판하며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요안네스는 이러한 형태의 에피쿠로스주의는 추종자들이 진정한 행복을 얻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삼학문(trivium)을 거부하려 했던 코르니피키우스와 그의 추종자들도 비판했다.
하지만 특정 철학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요안네스는 인간의 모든 철학적 사유 활동 자체를 중요하게 여겼다. 그는 논리적 사고 능력이 인간과 다른 생물을 구분하는 중요한 특징이며, 철학은 인간의 정신 건강과 안녕에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철학적 사유가 결여된 인간은 이성적 판단 능력이 없는 동물과 같다고까지 말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삼학문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사회화를 통해 철학적 사상을 공유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개인의 안녕에도 기여한다고 생각했다.
요안네스의 많은 저작들은 당대에는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다행히 다른 인기 있는 작품들을 담은 필사본에 함께 복사되면서 오늘날까지 보존될 수 있었다. 일부 작품의 저자가 요안네스인지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10]
3. 1. 교육관
요안네스는 당대의 새로운 논리학과 수사학에 정통했지만, 유명론과 실재론 같은 극단적인 이론 논쟁보다는 실용적인 문제 해결 능력과 상식을 중시하는 교양 있는 지성을 추구했다. 그의 학문은 키케로의 문학적 회의주의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었으며, 키케로를 존경하여 그의 문체를 본받고자 했다. 요안네스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넘어 도덕적 성숙에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그의 도덕적 교육관은 서양 교육학의 중요한 전통 중 하나가 되었으며, 이는 당시 스콜라 철학 중심의 대학 교육보다는 이전 시대의 수도원 교육 전통과 더 유사하고, 이후 르네상스 인문주의 사상과도 연결된다.[19][11]3. 2. 정치사상: 『폴리크라티쿠스』
요안네스는 당대의 현실 정치에 직접 참여했던 정치가로서, 중세 최초의 정치이론서로 평가받는[21] 『폴리크라티쿠스』를 저술했다. 그의 정치철학은 성경과 로마법, 특히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에 바탕을 두었다.[22] 이 책에서 그는 군주가 신의 대리인으로서 법에 따라 통치해야 함을 강조하고, 법을 어기는 통치자는 참주로 규정하며 이에 저항할 권리, 즉 방벌(tyrannicide)의 정당성을 주장했다.[23][24][25][26][27][28][29] 이는 고전 시대 이후 서양 사상사에서 방벌의 개념이 다시 등장한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30]3. 2. 1. 폭군 저항권
요안네스는 당대의 현실 정치에 직접 참여했던 정치가로서, 중세 최초의 정치이론서로 평가받는[21] 『폴리크라티쿠스』를 저술했다. 그의 정치철학은 성경과 로마법, 특히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에 바탕을 두었다.[22]요안네스는 군주란 신의 위엄을 지상에서 대행하는 존재이며, 군주의 권력은 지상의 다른 모든 권위처럼 신에게서 빌려온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신민들은 신을 대행하는 군주에게 복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3] 그러나 군주의 일시적 권력은 교회의 영적인 권력에 의해 위임되는 것이므로,[24] 군주에게는 자비와 연민의 편에 서서 법을 집행해야 할 책임이 부여되었다.[25] 요안네스는 플루타르코스를 인용하여 군주에게는 신을 경배하고, 신민을 사랑하며, 자기 수양에 노력하고, 신하들을 지도해야 할 네 가지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26][27]
요안네스는 “법에 복종하며 법이 명령하는 바에 따라 백성을 다스리고, 스스로를 백성의 머슴으로 여겨야” 참된 군주이며, 그렇지 않은 지배자는 군주가 아니라 참주라고 규정했다.[28] 그는 시스라와 홀로페르네스, 율리아누스 등을 참주의 예로 들었다. 요안네스는 신의 대행자인 군주를 죽이는 시해는 엄격히 처벌되어야 하지만, 신성한 법을 거스르는 참주는 죽여도 될 뿐만 아니라 죽여야만 한다고 주장했다.[29] 이는 고전 시대 이후 서양 사상사에서 방벌(tyrannicide)의 개념이 다시 등장한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30]
3. 3. 의학관

요안네스 사레스베리엔시스는 당시 의료 시스템에 대해 상당히 공개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이는 그의 저서 《폴리크라티쿠스》와 《메탈로기콘》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의학이 이론과 실제 사이에서 더 나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믿었으며,[15][14] 의료 시스템이 부패했다고 우려했다. 요안네스는 의학 자체의 중요성은 인정했지만, 의사들이 환자를 돕는 본연의 임무보다 개인적인 이익 추구에 더 몰두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지나치게 이론 연구에만 치중하는 의사들이 영혼과 건강의 관계처럼 증명할 수 없는 문제를 추측하기 시작하는 것을 문제 삼았다. 요안네스는 이러한 접근이 검증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교적 신념을 침해할 수 있어 비실용적이라고 보았다. 그 결과, 이론 중심의 의사들이 종종 신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럽고 실질적인 질병의 원인을 간과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반대로, 실제 경험만을 중시하는 의사들에 대해서는 잠재적인 오류 가능성이나 새로운 연구의 기회를 무시하며, 환자가 질병으로 사망했을 경우에도 자신들이 더 잘하거나 다르게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고 주장하며 책임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했다.[15]
요안네스는 의학이 새로운 진리를 끊임없이 추구하는 동시에, 그 새로운 지식을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하고 탐구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14] 또한, 이론과 실제를 중시하는 의사들 사이의 분열이 심화되면서 그들이 사용하는 의료 용어조차 다양해져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기보다는 오히려 혼란을 야기하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요안네스는 의사들이 '정규 요약'이라고 명명한 체계적인 치료 단계를 따라 연구와 실제 진료 모두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단계는 질병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질병 자체를 치료하는 데 집중하며, 환자의 건강을 회복시키고, 나아가 향후 유사한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사후 관리를 포함하는 과정이었다.[15]
4. 저작
'''라틴어 원문'''
- 존 오브 솔즈베리, ''Policraticus: sive de nugis curialium et vestigiis philosophorum, libri octo accedit huic editioni ejusdem metalogicus'', ex officina Ioannis Maire, 레이덴, 1639 (원본 1159). [https://books.google.com/books?id=Od4TAAAAQAAJ (Google Books)]
- ''Metalogicon'', J.B. 홀 & 캐서린 S.B. 키츠-로한 편집, Corpus Christianorum Continuatio Mediaevalis (CCCM 98), 턴하우트, 브레폴스, 1991.
'''라틴어 원문 및 영어 번역본'''
- ''Anselm & Becket. 두 캔터베리 성인의 생애, 존 오브 솔즈베리 저'', 로널드 E. 페핀 번역, 턴하우트, 브레폴스 출판, 2009. ISBN 978-0-88844-298-7
- ''존 오브 솔즈베리의 서신'', 2권, W. J. 밀러 및 H. E. 버틀러 편집 및 번역,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979–1986.
- ''Historia Pontificalis'', 마조리 치브널 편집 및 번역,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986.
- ''존 오브 솔즈베리''의 Entheticus maior ''및'' minor, 얀 반 라르호벤 편집 및 번역 [Studien und Texte zur Geistesgeschichte des Mittelalters 17], 레이덴: 브릴, 1987.
'''영어 번역본'''
- 존 오브 솔즈베리, ''Policraticus: Of the frivolities of courtiers and the footprints of philosophers'' (Policraticus, sive de nugis curialium et de vestigiis philosophorum), 캐리 J. 네더만 편집,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990 (원본 1159). ISBN 0-521-36399-3. [https://books.google.com/books?id=VjIYTHRXa9wC (Google Books)], [https://archive.org/details/JohnOfSalisburyPolicraticusJohnOfSalisbury/page/n5 (인터넷 아카이브 전체 텍스트)]. ''약간 요약됨''
- 존 오브 솔즈베리, ''Frivolities of courtiers and footprints of philosophers: being a transla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oks and selections from the seventh and eighth books of the Policraticus of John of Salisbury'', 조셉 B. 파이크 편집, 미네소타 대학교 출판부, 미니애폴리스, 1938 (원본 1159). [https://books.google.com/books?id=E306AAAAMAAJ (Google Books)], [https://web.archive.org/web/20180516214317/https://www.fd.unl.pt/docentes_docs/ma/amh_ma_446_salisbury%20policraticus%20.pdf (인터넷 아카이브 전체 텍스트)]
- ''존 오브 솔즈베리의 정치가 책; Policraticus의 네 번째, 다섯 번째 및 여섯 번째 책, 그리고 일곱 번째 및 여덟 번째 책의 선택'', 존 디킨슨 번역, 뉴욕: 크노프, 1927.
- ''Metalogicon'', 12세기 삼학과의 언어 및 논리 예술에 대한 변호'', 다니엘 맥게리 번역,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55.
- ''Metalogicon'', J.B. 홀 번역, Corpus Christianorum in Translation (CCT 12), 턴하우트, 브레폴스, 2013.
'''연구'''
- ''존 오브 솔즈베리 동반자'', 크리스토프 그렐라르 및 프레데리크 라쇼 편집, 레이덴, 브릴, 기독교 전통에 대한 브릴의 동반자, 57, 2014 (저작권 2015). ISBN 9789004265103
- 마이클 윌크스 편집, ''존 오브 솔즈베리의 세계'', 옥스퍼드, 블랙웰, 1997.
- 존 D. 호슬러, ''존 오브 솔즈베리: 12세기 르네상스의 군사적 권위'', 레이덴, 브릴, 2013. ISBN 9789004226630
'''존의 정치 이론 영어 발췌문'''
- [http://www.fordham.edu/halsall/source/salisbury-poli4.html Policraticus, IV, 선택]
- [http://www.fordham.edu/halsall/source/salisbury-poli6-24.html Policraticus, VI, 24]
참조
[1]
서적
The Pope and Ireland.
https://archive.org/[...]
A. Waldteufel
[2]
서적
Medieval Humanism in the life and writings of John of Salisbury
The Warburg Institute, University of London
1950
[3]
문서
John of Salisbury
http://plato.stanfor[...]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5
[4]
문서
Cantor
1992
[5]
웹사이트
Frivolities of Courtiers and Footprints of Philosophers
http://www.constitut[...]
University of Minnesota
1938
[6]
서적
John of Salisbury on Aristotelian science
https://www.worldcat[...]
Brepols
2012
[7]
간행물
Medieval theories of education: Hugh of St Victor and John of Salisbury
https://www.jstor.or[...]
2010
[8]
문서
The Civilization of the Middle Ages
1993
[9]
웹사이트
John of Salisbury.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0-07-20
[10]
간행물
The Knowledge of John of Salisbury in the Late Middle Ages
1977
[11]
문서
Cantor
1993
[12]
서적
Shakespeare and the Geography of Differ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3]
백과사전
John of Salisbur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2-11-11
[14]
서적
Logic and language in the Middle Ages : a volume in honour of Sten Ebbesen
https://www.worldcat[...]
2013
[15]
간행물
The Best Medicine? Medical Education, Practice, and Metaphor in John of Salisbury's Policraticus and Metalogicon
https://www.brepolso[...]
2011-01-01
[16]
서적
The Pope and Ireland.
https://archive.org/[...]
A. Waldteufel
[17]
문서
John of Salisbury
http://plato.stanfor[...]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5
[18]
웹사이트
Frivolities of Courtiers and Footprints of Philosophers
http://www.constitut[...]
University of Minnesota
1938
[19]
문서
The Civilization of the Middle Ages
1993
[20]
웹사이트
John of Salisbury.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0-07-20
[21]
서적
Framing Medieval Bodies
https://www.google.c[...]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2]
서적
A Companion to John of Salisbury
https://www.google.c[...]
Brill
[23]
서적
Fourteenth Century England
https://www.google.c[...]
The Boydell Press
[24]
서적
The Feudal Monarchy in France and England: From the Xth to the XIIIth Century
https://www.google.c[...]
Routledge
[25]
백과사전
John of Salisbury
2016-08-10
[26]
서적
A Companion to John of Salisbury
https://www.google.c[...]
Brill
[27]
백과사전
Mirrors for Princes: Western
de Gruyter
[28]
서적
The Roots of the Reformation: Tradition, Emergence and Rupture
https://www.google.c[...]
InterVarsity Press
[29]
학위논문
Divine Vengeance: A Study i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Revenge Motif as It Appears in Shakespeare's Chronicle History Plays
https://www.google.c[...]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30]
서적
Civil Disobedience
https://books.google[...]
Br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