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미 (삼국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미는 삼국 시대 유요를 섬긴 인물이다. 194년 유요가 원술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번능과 함께 횡강진에 주둔하여 1년여를 막아냈으나, 195년 손책에게 패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손책에게 생포되었다가 죽는 것으로 묘사된다.

2. 생애

후한 말의 장수로, 양주 자사 유요를 섬겼다. 194년(흥평 원년), 유요의 명령으로 번능과 함께 장강의 횡강진(橫江津)에 주둔하며, 당리구(當利口)의 장영과 연계하여 세력 확장을 노리던 원술에 맞섰다. 우미는 번능 등과 함께 원술이 파견한 오경, 손분 등의 공격을 1년 이상 성공적으로 방어하였다.[1]

그러나 195년, 원술의 지원 요청을 받고 참전한 손책에게 연이어 패배하였다. 손책은 우미 등이 지키던 방어선을 돌파하고 장강을 건너 유요의 거점인 우저(牛渚)를 점령했다. 우미는 번능, 설례 등과 함께 손책이 비운 우저를 잠시 탈환하기도 했으나, 곧바로 돌아온 손책에게 다시 패배하고 많은 병력을 잃었다.[2] 이 전투 이후 우미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다.

2. 1. 유요 휘하 활동

양주 자사 유요를 섬겼다. 194년(흥평 원년), 유요는 원술이 임명한 단양태수 오경과 단양도위(丹陽都尉) 손분을 축출하였다. 오경과 손분이 구강군 역양현(歷陽縣)으로 물러나자, 유요는 이들에 대항하기 위해 횡강진(橫江津)에 번능과 우미를, 당리구(當利口)에는 장영을 주둔시켰다. 원술은 낭야국 사람 혜구(惠衢)를 새로운 양주자사로, 오경을 독군중랑장(督軍中郞將)으로 삼아 손분과 함께 반격을 명했다. 우미는 번능, 장영 등과 함께 1년여 동안 원술군의 공세를 성공적으로 막아냈다.[1]

그러나 195년, 손책이 원술군에 합류하면서 전황이 급변했다. 손책은 이전까지 교착 상태였던 전선을 단숨에 돌파하여 우미 등을 격파하고 장강을 건너 우저(牛渚) 요새를 점령했다. 이후 말릉(秣陵)으로 진격했는데, 이때 말릉을 수비하던 설례는 번능, 우미 등과 함께 비어있는 우저를 공격하여 일시적으로 탈환했다. 하지만 곧바로 회군한 손책에게 다시 패배하였고, 이 전투에서 만여 명의 병사가 사로잡혔다.[2] 이 패배 이후 우미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2. 2. 손책과의 전투 및 최후

양주 자사 유요를 섬겼다. 194년 (흥평 원년), 유요는 원술이 임명한 단양 태수 오경과 단양도위(丹陽都尉) 손분을 쫓아냈다. 오경과 손분이 구강군 역양현(歷陽縣)으로 물러나자, 유요는 원술에 대항하기 위해 횡강진(橫江津)에 번능과 우미를, 당리구(當利口)에는 장영을 주둔시켰다.

원술은 낭야국 사람 혜구(惠衢)를 양주자사로, 오경을 독군중랑장(督軍中郞將)으로 삼아 손분과 함께 장영 등을 공격하게 했다. 우미는 번능, 장영 등 유요의 부하 장수들과 함께 굳건히 방어하여 원술의 공세를 1년 넘게 막아냈다.

그러나 195년,[1] 원술의 지원 요청을 받은 손책이 오경과 손분 군에 합류하면서 전황이 급변했다. 손책은 수년 동안 함락되지 않던 우미 등을 순식간에 격파하고 장강을 건너 우저(牛渚) 요새를 점령한 뒤 말릉성(秣陵城)으로 진격했다. 이에 말릉을 지키던 설례는 번능, 우미 등과 함께 손책이 비운 우저를 기습하여 탈환하려 했으나, 곧바로 회군한 손책에게 다시 패배하였고 이 과정에서 남녀 만여 명이 사로잡혔다.[2] 이 전투 이후 우미에 대한 기록은 사서에서 더 이상 찾아볼 수 없다.

3.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소설삼국지연의》에서는 제15회에 손책에게 소패왕(小霸王)이라는 별명을 부여하는 장면에서 등장한다. 손책이 말릉으로 진격하자 유요와 착융이 우저를 수복한다. 이에 회군한 손책에 맞서 우미가 출전하지만, 손책과의 일기토에서 3합을 겨루지 못하고 생포당한다.

손책은 우미를 데리고 진영으로 돌아가려 하는데, 그를 구출하려던 번능이 뒤를 쫓는다. 그러나 번능은 손책이 크게 외친 한마디(대갈일성(大喝一聲))에 놀라 말에서 떨어져 머리가 깨져 죽는다. 손책이 진영으로 돌아와서 확인해보니, 우미 역시 손책의 겨드랑이에 끼인 채 이미 질식사한 상태였다. 순식간에 한 장수는 조여 죽이고, 다른 장수는 고함으로 죽인 이 사건으로 인해 사람들은 손책을 소패왕이라 부르게 되었다.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삼국지》에서는 '간미'(かん び)로 표기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자치통감고이
[2] 서적 강표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