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우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우수는 24절기 중 하나로, 봄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이다. 기온이 올라가고 새싹이 돋아나는 시기로, 한국에서는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속담이 전해진다. 24절기는 태양의 황도 상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우수는 입춘과 경칩 사이에 위치한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이 남위 약 11.7°에 위치할 때이며, 낮의 길이가 점차 길어진다. 우수는 한국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중요한 절기로 여겨지며, 각 지역의 기후와 풍속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월의 세시 - 마르디 그라
    마르디 그라는 사순절 전 풍성한 음식을 즐기는 기독교 전통에서 시작된 축제로, 특히 뉴올리언스에서 대규모 퍼레이드와 축제로 발전하여 현재는 화려한 퍼레이드와 음악 중심의 축제로 자리 잡았으며, 유럽에서는 카니발이라는 유사한 축제가 열린다.
  • 2월의 세시 - 발렌타인데이
    발렌타인데이는 초콜릿, 카드, 꽃 등을 주고받으며 사랑을 기념하는 날로, 기독교 순교자 성 발렌타인의 축일에서 유래되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기념되며 상업화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절기 - 동지
    동지는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한국에서는 작은설이라 하여 팥죽을 먹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 절기 - 춘분
    춘분은 태양이 춘분점을 통과하는 24절기 중 하나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며 농사의 시작과 봄을 알리는 절기이고, 일본에서는 공휴일로 지정하며, 이란에서는 새해의 시작으로 기념하고,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날짜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 음력 1월 - 음력 1월 7일
    음력 1월 7일은 인일 또는 칠일정월이라고도 하며, 역사적 사건 발생일이자 여러 인물들의 탄생일 및 사망일로 기록된 날이다.
  • 음력 1월 - 음력 1월 15일
    음력 1월 15일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다양한 사건, 인물, 기념일과 관련된 날짜이며, 한국에서는 정월 대보름, 중국에서는 원소절, 일본에서는 소정월로 불린다.
우수
개요
의미눈이 녹고 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
시기양력 2월 18일 또는 19일경
위치태양 황경 330도
절기 순서두 번째 절기
이전 절기입춘
다음 절기경칩
음력 날짜
시작음력 1월, 입춘으로부터 약 15일 후
종료다음 절기인 경칩까지
전통적 의미
농경농사 준비 시작, 비가 많이 오면 풍년 예상
날씨따뜻한 날씨, 초목이 싹틈
문화
풍습장 담그기, 볍씨 담그기 등 농사 준비와 관련된 풍습
동아시아 문화권
중국어 (간체)雨水 (yǔ shuǐ)
중국어 (정체)雨水
일본어雨水 (うすい, usui)
한국어우수 (雨水)
베트남어Vũ thủy (雨水)
기타
관련 속담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 풀린다

2. 기후

우수는 날씨가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며 새싹이 돋아나는 시기이다.[1] 우수가 지난 뒤 5일은 수달이 물고기로 물의 신에게 제사를 지낸다고 하여 '달제어' 또는 '달착저'라고 불렀다.[1] 이 절기에는 기러기가 북쪽으로 이동하며, 초목에서 싹이 튼다.[1]

각 절기는 5일 간격으로 초후(初候), 중후(次候), 말후(末候)로 나뉜다.[1]

중국과 일본에서는 우수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구분중국일본
초후(初候)달제어(獺祭魚): 수달이 물고기를 제물로 바친다.土脉潤起
중후(次候)홍안래(鴻雁來): 기러기가 온다.霞始靆
말후(末候)초목맹동(草木萌動): 풀과 나무가 싹을 틔운다.草木萠動



일본에서는 우수 즈음에 봄바람(春一番)이 불고, 꾀꼬리 울음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는 지역도 있으며, 예부터 농사 준비를 시작하는 기준으로 여겨져 왔다.[1]

3. 풍속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우수 경칩이 되면 대동강 물도 풀린다"는 속담이 전해 내려올 정도로, 우수는 추위가 물러가고 봄이 옴을 알리는 절기로 인식되었다.

4. 24절기와 우수

우수는 입춘경칩 사이에 있는 절기로, 날씨가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며 새싹이 돋아나는 시기이다. 우수가 지나면 수달이 물고기로 수신에게 제사를 지낸다고 하여 '달제어' 또는 '달착저'라고 불렀다. 이 절기에 기러기들이 북으로 이동하며, 초목에 싹이 튼다.[3]

천문학적으로 24절기 중 춘분, 하지, 추분, 동지 4개만 큰 의미가 있고, 나머지 20개는 특별한 명칭과 의미가 없다. 더 정확하게는,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4개만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명칭이나 용어가 없다.[4]

지구에서 봤을 때, 태양의 궤적은 북회귀선남회귀선 사이를 왕복한다. 태양이 춘분점이나 추분점에 있을 때 적도(0°)에 있으며, 하지점에 있을 때 북회귀선(북위 23.5°)에 도달하며, 동지점에 있을 때 남회귀선(남위 23.5°)에 도달한다. 태양이 남위 '''약 11.7°''', 즉 남회귀선적도의 '''가운데'''에 있을 때는 입춘, 입동이 아니라, 우수, 상강이다.[5]

낮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루 24시간 중 낮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면, 대한민국 서울(북위 37.5°)을 기준으로 춘분은 약 50%, 하지는 약 60%, 추분은 약 50%, 동지는 약 40%이다.[6] 이들의 '''중간'''인 '''약 45%''' 일 때는 입춘, 입동이 아니라, 우수, 상강이다. 입춘, 입동은 약 43%이다. (±2%p, ±28.8분 정도 차이)

우수의 날짜 (1966년 ~ 2060년)
시각 (UT)일본중국
196602:382월 19일2월 19일
196708:242월 19일2월 19일
196814:092월 19일2월 19일
196919:552월 19일2월 19일
197001:422월 19일2월 19일
197107:272월 19일2월 19일
197213:112월 19일2월 19일
197319:012월 19일2월 19일
197400:592월 19일2월 19일
197506:502월 19일2월 19일
197612:402월 19일2월 19일
197718:302월 19일2월 19일
197800:212월 19일2월 19일
197906:132월 19일2월 19일
198012:022월 19일2월 19일
198117:522월 19일2월 19일
198223:472월 19일2월 19일
198305:312월 19일2월 19일
198411:162월 19일2월 19일
198517:072월 19일2월 18일
198622:582월 19일2월 19일
198704:502월 19일2월 19일
198810:352월 19일2월 19일
198916:212월 19일2월 18일
199022:142월 19일2월 19일
199103:582월 19일2월 19일
199209:442월 19일2월 19일
199315:352월 19일2월 18일
199421:222월 19일2월 19일
199503:112월 19일2월 19일
199609:012월 19일2월 19일
199714:512월 18일2월 18일
199820:552월 19일2월 19일
199902:472월 19일2월 19일
200008:332월 19일2월 19일
200114:272월 18일2월 18일
200220:132월 18일2월 18일
200302:002월 19일2월 19일
200407:502월 19일2월 19일
200513:322월 18일2월 18일
200619:262월 19일2월 18일
200701:092월 19일2월 19일
200806:502월 19일2월 19일
200912:462월 18일2월 18일
201018:362월 18일2월 18일
201100:252월 19일2월 19일
201206:182월 19일2월 19일
201312:022월 18일2월 18일
201417:592월 18일2월 18일
201523:502월 18일2월 18일
201605:342월 19일2월 19일
201711:312월 18일2월 18일
201817:182월 18일2월 18일
201923:042월 18일2월 18일
202004:572월 19일2월 19일
202110:442월 18일2월 18일
202216:432월 18일2월 18일
202322:342월 18일2월 18일
202404:132월 19일2월 19일
202510:062월 18일2월 18일
202615:512월 18일2월 18일
202721:332월 18일2월 18일
202803:252월 19일2월 19일
202909:072월 18일2월 18일
203014:592월 18일2월 18일
203120:502월 18일2월 18일
203202:312월 19일2월 19일
203308:332월 18일2월 18일
203414:292월 18일2월 18일
203520:152월 18일2월 18일
203602:132월 19일2월 19일
203707:572월 18일2월 18일
203813:512월 18일2월 18일
203919:442월 18일2월 18일
204001:222월 19일2월 19일
204107:162월 18일2월 18일
204213:032월 18일2월 18일
204318:402월 18일2월 18일
204400:342월 19일2월 19일
204506:212월 18일2월 18일
204612:142월 18일2월 18일
204718:092월 18일2월 18일
204823:472월 18일2월 18일
204905:412월 18일2월 18일
205011:332월 18일2월 18일
205117:162월 18일2월 18일
205223:122월 18일2월 18일
205305:002월 18일2월 18일
205410:502월 18일2월 18일
205516:462월 18일2월 18일
205622:282월 18일2월 18일
205704:262월 18일2월 18일
205810:242월 18일2월 18일
205916:042월 18일2월 18일
206021:562월 18일2월 18일


4. 1. 한국의 24절기

절기중기설명
입춘우수동풍이 불어 언 땅이 녹고, 땅 속에서 잠자던 벌레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며, 물고기가 얼음 밑을 돌아다닌다.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며, 초목에서 싹이 튼다.[3]
경칩춘분복숭아꽃이 피기 시작하고, 꾀꼬리가 울며, 제비가 날아온다.[3]
청명곡우오동(梧桐)이 꽃피고 산비둘기가 깃을 털고, 뻐꾸기가 뽕나무에 내려앉는다.[3]
입하소만청개구리가 울고 지렁이가 나오며, 씀바귀가 뻗어오르며, 냉이가 죽고 보리가 익는다.[3]
망종하지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사슴의 뿔이 떨어진다. 매미가 울기 시작한다.[3]
소서대서더운 바람이 불고 귀뚜라미가 벽에 다니며, 매가 사나워지고, 썩은 풀이 화하여 반딧불이가 된다. 흙이 습하고 더워지며, 때로 큰 비가 내린다.[3]
입추처서서늘한 바람이 불고 이슬이 내리며, 쓰르라미가 울고 매가 새를 많이 잡는다. 벼가 익는다.[3]
백로추분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가며, 뭇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3]
한로상강국화가 노랗게 피고, 초목이 누렇게 낙엽지고, 땅 속에서 잠을 자는 벌레들이 땅 속으로 들어간다.[3]
입동소설물이 얼기 시작하고 땅이 얼기 시작하며, 겨울이 된다.[3]
대설동지범이 교미를 시작하며, 고라니의 뿔이 떨어지고 샘물이 언다.[3]
소한대한기러기가 북으로 돌아가고, 까치가 깃을 치기 시작하며, 닭이 알을 품는다. 나는 새가 높고 빠르며, 물과 못이 두껍고 단단하게 언다.[3]



하늘에서 내리는 것이 눈에서 비로 바뀌고, 눈이 녹기 시작할 무렵이다. 『역서편람(暦便覧)』에는 "양기가 지상에 발하고, 눈과 얼음이 녹아 빗물이 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는 적설의 최고점(피크)이며, 그 때문에 이 시절부터 추위도 고비를 넘기고, 약해지기 시작한다고 볼 수도 있다. 봄바람(春一番)이 불고, 꾀꼬리의 울음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는 지역도 있다. 옛부터 농사(農業) 준비를 시작하는 기준으로 여겨져 왔다.

4. 2. 중국과 일본의 24절기

중국과 일본에서도 24절기를 사용하며, 그 명칭과 의미는 한국과 대체로 유사하다. 다만, 각 나라의 기후와 풍속에 따라 세부적인 내용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입춘은 1월의 절기이고 우수는 중기이다. 동풍이 불어서 언 땅이 녹고 땅 속에서 잠자던 벌레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물고기가 얼음 밑을 돌아다닌다.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며, 초목에서 싹이 튼다.[3]

각 절기는 5일 간격의 초후(初候), 중후(次候), 말후(末候) 세 기간으로 나뉜다. 우수의 경우, 중국에서는 초후에 '수달이 물고기를 제물로 바친다(獺祭魚)'고 하며, 이는 물고기가 상류로 거슬러 오르면 수달이 사냥하여 하늘에 제물로 바친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중후에는 '기러기가 온다(鴻雁來)'고 하여 봄이 시작되면서 기러기가 북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말후에는 '풀과 나무가 싹을 틔운다(草木萌動)'고 한다.

일본에서는 우수의 초후를 '흙이 촉촉해진다(土脉潤起)'고 표현한다. 중후는 '안개가 낀다(霞始靆)'이며, 말후는 '초목이 싹트기 시작한다(草木萠動)'이다.

일본에서 우수는 하늘에서 내리는 것이 눈에서 비로 바뀌고, 눈이 녹기 시작할 무렵이다. 『역서편람』(暦便覧)에는 "양기가 지상에 발하고, 눈과 얼음이 녹아 빗물이 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는 적설의 최고점이며, 추위도 고비를 넘기고 약해지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봄바람(春一番)이 불고, 꾀꼬리(ウグイス) 울음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는 지역도 있으며, 예부터 농사(農業) 준비를 시작하는 기준으로 여겨져 왔다.

1961년부터 2200년까지 우수는 2월 18일 또는 2월 19일이다. 1960년까지는 2월 20일이었던 경우도 있었다.

연도4로 나눈 나머지확정 어려운(날짜가 걸치는) 연도
1230자정 전후 10분
1583~159219일19일19일19일
1593~162418일19일19일19일
1625~165618일18일19일19일
1657~169218일18일18일19일1692 (18-19일)
1693~170018일18일18일18일
1701~172819일19일19일19일1725 (18-19일)
1729~176018일19일19일19일
1761~179218일18일19일19일
1793~180018일18일18일19일
1801~182419일19일19일20일
1825~186019일19일19일19일
1861~189618일19일19일19일1861 (18-19일)
1897~190018일18일19일19일
1901~192819일19일20일20일
1929~196019일19일19일20일
1961~199619일19일19일19일1964 (19-20일)
1997~202818일19일19일19일1997 (18-19일)
2029~206418일18일19일19일2030 (18-19일)
2065~209618일18일18일19일
2097~210018일18일18일18일
2101~213219일19일19일19일
2133~216818일19일19일19일2133 (18-19일), 2166 (18-19일)
2169~220018일18일19일19일2199 (18-19일)
2201~223219일19일19일20일2232 (19-20일)
2233~226819일19일19일19일
2269~230018일19일19일19일
2301~233619일19일20일20일2302 (19-20일), 2335 (19-20일)
2337~236819일19일19일20일2368 (19-20일)
2369~240419일19일19일19일2401 (18-19일)
2405~243618일19일19일19일
2437~246818일18일19일19일
2469~250018일18일18일19일


4. 2. 1. 칠십이후 (七十二候)

칠십이후는 각 절기를 다시 5일씩 3개의 세분된 기간(초후, 중후, 말후)으로 나눈 것이다. 우수의 칠십이후는 다음과 같다.[1]

우수의 칠십이후
구분중국일본
초후(初候)달제어(獺祭魚): 수달이 물고기를 제물로 바친다.土脉潤起 (つちのしょう うるおい おこる): 비가 내려 흙이 촉촉해진다.
중후(次候)홍안래(鴻雁來): 기러기가 북쪽으로 이동한다.霞始靆 (かすみ はじめて たなびく): 안개가 낀다.
말후(末候)초목맹동(草木萌動): 풀과 나무가 싹을 틔운다.草木萌動 (そうもく めばえ いずる): 초목이 싹트기 시작한다.


5. 천문학적 의미

천문학적으로 24절기는 태양황도상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된다.[4] 우수는 태양이 남위 약 11.7°, 즉 남회귀선적도의 중간 지점에 있을 때이다.[5] 이 시기에는 낮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기 시작한다. 서울 기준 낮의 길이 비율은 약 45%이다.[6]

참조

[1] 논문 The Twenty-four Solar Terms of the Chinese Calendar and the Calculation for Them https://en.cnki.com.[...] 1994
[2] 서적 年中行事事典 東京堂出版 1958-05-23
[3] 문서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2에서 재인용
[4] 웹사이트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 절기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https://terms.naver.[...]
[5] 웹사이트 태양고도/방위각계산 https://astro.kasi.r[...]
[6] 문서 위도가 높아질수록 하지와 동지 때의 낮의 길이 차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