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한 기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연한 기회》는 기차가 출발하기 전 주인공 비테크의 선택에 따라 세 가지 다른 삶의 궤적을 보여주는 영화이다. 의대생이었던 비테크는 아버지의 죽음을 앞두고 진로에 대한 회의를 느껴 자퇴를 결심하고 바르샤바로 향하는 기차를 타려 한다. 기차를 탔을 경우, 타지 못했을 경우, 그리고 공안과의 충돌이 없었을 경우로 나뉘는 세 가지 이야기에서 비테크는 공산주의, 반체제 운동, 그리고 평범한 삶을 각각 경험한다. 이 영화는 개인의 정체성이 정치적 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며, 영화 《슬라이딩 도어즈》와 《로라 런 롤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 영화 - 세 가지 색: 레드
세 가지 색: 레드는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의 《세 가지 색》 3부작 마지막 작품으로, 스위스 제네바에서 우연히 만난 은퇴 판사와 여대생 발렌틴의 교류를 통해 인물 간 관계와 심리, 법과 도덕에 대한 성찰을 빨간색을 활용하여 표현한다. -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 영화 - 카메라 버프
《카메라 버프》는 1970년대 후반 폴란드를 배경으로, 8mm 카메라를 얻은 공장 노동자가 아마추어 영화 제작에 빠지면서 영화 제작 열정이 개인과 주변에 미치는 영향과 공산주의 사회 검열, 예술가의 사회적 책임을 탐구하는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의 1979년 폴란드 영화이다. - 바르샤바를 배경으로 한 영화 - 1920년 바르샤바 전투
1920년 바르샤바 전투는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중 폴란드와 소비에트 러시아 간의 결정적인 전투를 배경으로, 독립을 되찾은 폴란드의 혼란스러운 국경을 안정시키려는 시기에 좌익 시인 부부가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 바르샤바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성전풍운
성전풍운은 CIA 요원과 홍콩 경찰이 테러 조직의 음모를 막기 위해 협력하는 내용을 그린 영화이다. - 폴란드의 드라마 영화 - 피아니스트 (2002년 영화)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영화 《피아니스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박해를 피해 생존하려는 폴란드계 유대인 피아니스트 브와디스와프 슈필만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아드리언 브로디가 주연을 맡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과 아카데미 감독상, 남우주연상, 각색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폴란드의 드라마 영화 - 램 (영화)
2021년 개봉한 아이슬란드 영화 《램》은 딸을 잃은 부부가 인간과 양의 혼종인 아다를 딸처럼 키우면서 벌어지는 기묘하고 비극적인 이야기를 그린 발디마르 요한손 감독의 드라마 작품이다.
우연한 기회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Przypadek (프시파데크) |
영어 제목 | Blind Chance (블라인드 찬스) |
개봉 | 1987년 1월 10일 |
시간 | 122분 |
제작 | |
프로듀서 | 야체크 셸리고프스키 |
감독 | 크시슈토프 키에실로프스키 |
각본 | 크시슈토프 키에실로프스키 |
주연 | 보구스와프 린다 |
음악 | 보이치에흐 킬라르 |
촬영 | 크시슈토프 파쿨스키 |
편집 | 엘즈비에타 쿠르코프스카 |
배급사 | 프셰드시에비오르스트보 디스트리부치 필무프 |
기타 | |
국가 | 폴란드 |
언어 | 폴란드어 |
2. 줄거리
비테크 드우고시(보구스와프 린다)는 우치에 사는 청년이다. 어머니를 일찍 여읜 후 아버지는 그동안 글쓰기 등의 교육을 맡으면서 그를 의대생으로 키웠다. 성장 과정에서 그는 다니엘, 추슈카(보구스와바 파벨레츠), 올가(모니카 고지지크) 등 여러 사람들과 조우한다. 불치병에 걸린 아버지가 죽기 전 전화로 아들이 더 이상 의대생으로 살지 않기를 바란다는 속내를 토로한 후 비테크는 자신의 진로에 깊은 회의감을 갖는다. 그는 의대 학장(지크문트 휘브너)에게 찾아가 자퇴를 하겠다고 통보한 후 새로운 삶을 위해 바르샤바로 향하는 기차를 타려고 하는데, 여기서 그가 기차를 탔거나 타지 못했을 경우에 따라 이어질 3가지 이야기가 전개된다.
첫 번째 이야기에서 비테크는 기차에 탑승한 후 차 안에서 통일노동자당 관계자인 베르네르(타데우시 웜니츠키)와 만난다. 바르샤바에서 베르네르는 비테크를 당 고위 인사인 아담(즈비그니에프 자파시에비치)과 소개해 주고, 비테크는 당에 들어와 빠르게 경력을 쌓아나간다. 비테크는 추슈카와 다시 만나 연인 관계로 발전한다. 추슈카는 최근에 반체제 인사로 활동하는 중인데, 비테크와의 대화를 통해 아담은 추슈카와 그녀의 동료들을 검거한다. 비테크는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면서 베르네르와 아담과의 관계를 정리한다. 출소한 추슈카에게 비테크는 다시 접근하지만 그녀는 그에게 차갑게 나온다. 비테크 당 임무에 따라 프랑스로 가려고 했지만 공항에서 갑작스러운 사정으로 임무가 취소됐음을 통보받는다.
두 번째 이야기에서 비테크는 기차에 탑승하지 못했으며, 이 과정에서 공안과 다툼이 붙어 교도소에 수감된다. 교도소에서 그는 반체제 인사인 마레크(야체크 보르코프스키)와 접촉하면서 가톨릭 세력에 합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비테크는 다니엘(야체크 사스우흐리노프스키)과 그의 누나 베르카(마제나 트리바와)를 만나게 된다. 비테크는 신부인 크시아츠(아담 페렌치)를 만나 신앙심을 갖게 된다. 프랑스에서 열리는 가톨릭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 그는 상부에 출국 신고를 하지만, 반공주의 이력을 문제 삼아 출국은 허락되지 않는다. 그가 속했던 지하 세력이 당국에 의해 체포되지만 비테크는 체포되지 않고, 동료들은 그가 사실 밀고자인 것이 아닌지 의심한다.
세 번째 이야기에서 비테크는 기차에 탑승하지는 못하지만 공안과 다툼이 붙지는 않는다. 승강장에서 그는 올가와 다시 만난다. 그는 다시 학장에게 가 복학을 하고 싶다고 말한다. 비테크는 성공적인 경력을 쌓으면서 대학의 주요 임원이 되고, 올가와도 결혼해 행복한 가정을 꾸린다. 그는 통일노동자당의 협력을 거부하면서 반체제 인사들의 기대를 갖도록 하지만, 그들이 부탁한 서명 운동에도 협력하지 않으면서 정치적 냉담자에 머무른다. 학장은 반체제 세력에 있는 아들 때문에 리비아에서 열리는 학술회의에 참석할 수가 없어서 비테크에게 대신 가달라는 부탁을 한다. 비테크는 올가의 생일을 위해 프랑스를 경우해서 리비아로 가는 행선을 택한다. 비테크는 프랑스로 가는 비행기에 탑승하고, 이내 비행기는 공중에서 폭발한다.
2. 1. 첫 번째 이야기
비텍은 바르샤바로 가는 기차를 타기 위해 우츠 파브리치나 기차역으로 간다. 기차에 타는 과정에서 그는 맥주를 마시는 남자와 부딪힐 뻔하지만, 간신히 기차에 올라탄다. 기차 안에서 그는 통일노동자당 관계자인 베르네르(타데우시 웜니츠키)를 만난다. 베르너의 영향을 받은 비텍은 당에 가입하여 빠르게 성장한다.비텍은 과거 연인이었던 추슈카(보구스와바 파벨레츠)와 다시 만나 관계를 이어간다. 그러나 추슈카는 반체제 인사로 활동하고 있었고, 비텍과의 만남 도중 경찰에 체포된다. 비텍은 자신의 행동이 추슈카의 체포에 영향을 미쳤다고 자책하며 당과의 관계를 정리하려 한다.
이후 비텍은 시위 진압을 돕는 등 당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그 대가로 프랑스 파견 임무를 제안받는다. 그러나 추슈카는 체포 이후 비텍에게 냉담한 태도를 보이고, 비텍은 화해를 시도하지만 실패한다. 결국 비텍은 프랑스로 떠나려 하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임무가 취소된다.
2. 2. 두 번째 이야기
비테크는 맥주를 마시는 사람과 세게 부딪혀 술잔이 깨지고, 기차를 놓친다. 그는 플랫폼에서 철도 경비원과 몸싸움을 벌이다 체포되어 30일 징역형과 사회봉사 명령을 받는다. 이 과정에서 비테크는 반체제 인사인 어린 시절 친구 다니엘과 그의 여동생 베르카(마제나 트리바와)를 만나 반공 저항 세력에 합류한다. 또한, 마레크(야체크 보르코프스키)와 접촉하여 가톨릭 세력과도 관계를 맺는다.아담 페렌치가 연기한 신부를 만나 세례를 받고 신앙심을 갖게 되면서, 십자가에 매달린 그리스도의 모습은 그에게 중요한 상징이 된다. 비테크는 프랑스행 여권을 신청하지만, 반공산주의 활동 이력 때문에 거절당한다. 당국은 지하 조직의 프랑스 내 연락책을 넘기는 조건으로 여권 발급을 제안하지만, 비테크는 이를 거부한다.
이후 비테크는 베르카와 사랑을 나누지만, 저항 조직 은신처가 발각되면서 조직원들로부터 밀고자로 의심받는 상황에 놓인다.
2. 3. 세 번째 이야기
비테크는 기차에 탑승하지 못하지만 공안과 다투지 않는다. 승강장에서 올가와 다시 만나 복학하고, 성공적인 경력을 쌓으며 올가와 결혼한다. 비테크는 의학 공부를 다시 시작하여 졸업 후 병원에서 진료를 시작하고 의과대학에서 강의를 한다. 올가는 비테크에게 임신 3개월째라고 알리고 둘은 결혼한다.비테크는 정치에 관여하지 않으려는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한다. 의과대학에서 몇몇 학생들이 불법 서적 판매 혐의로 기소된 학장의 아들을 위한 청원서를 돌리지만, 비테크는 학장도 서명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서명을 거부한다.
학장은 비테크에게 자신이 준비한 의학 주제에 대한 강의를 위해 리비아 학술회의에 대신 참석할 것을 제안하고, 비테크는 이를 수락한다. 비테크는 프랑스행 비행기를 타기 위해 기차를 타고, 올가는 비테크에게 둘째 아이를 임신했으며 딸이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공항에서 비테크는 이전 두 시나리오에서 더 중요했던 인물들을 보게 된다. 비행기는 활주로에서 택시를 타고, 비테크는 좌석에 앉아 편안함을 느낀다. 그러나 비행기는 이륙 후 몇 초 만에 공중에서 폭발한다.
3. 등장인물
- 보구스와프 린다 - 비테크 드우고시 역
- 타데우시 웜니츠키 - 베르네르 역
- 즈비그니에프 자파시에비치 - 아담 역
- 보구스와바 파벨레츠 - 추슈카 역
- 예지 스투흐르 - 통일노동자당 당직자 역
- 마제나 트리바와 - 베르카 역
- 야체크 보르코프스키 - 마레크 역
- 야체크 사스우흐리노프스키 - 다니엘 역
- 아담 페렌치 - 크시아츠 (신부) 역
- 모니카 고지지크 - 올가 역
- 지크문트 휘브너 - 학장 역
- 이레나 비르스카 - 치오트카 역[4]
- 예르지 모에스 - SB 장교 역
4. 제작
우치 파브리치나역(Łódź Fabryczna Station)은 폴란드 우치주 우치에 있는 역이다. 모코투프 감옥(라코비에츠카)은 바르샤바 마조비에츠주 모코투프에 있는 감옥이다. 우치와 바르샤바는 폴란드 마조비에츠 주에 속한다.
4. 1. 촬영지
우치 파브리치나역(Łódź Fabryczna Station)은 폴란드 우치주 우치에 있는 역이다. 모코투프 감옥(라코비에츠카)은 바르샤바 마조비에츠주 모코투프에 있는 감옥이다. 우치와 바르샤바는 폴란드 마조비에츠 주에 속한다.5. 평가
키에슬로프스키는 《우연의 연속》을 통해 현실주의적 관습을 "더 넓게가 아닌 더 깊게" 발전시키려 했다.[6] 이 영화는 개인의 정체성이 정치적 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7] 폴 코츠는 이 영화가 "아버지의 죽음의 영향에 대한 정신분석적인 관심과 오이디푸스적인 시나리오를 통해 휴머니즘을 포기하는 것을 꺼리는 동유럽적 태도를 결합한 것"이라고 평가했다.[8]
영화 제작자 아그네츠카 홀란드는 이 영화를 "크시슈토프의 최고의 영화 중 하나이며, 어쩌면 최고이자 가장 독창적인 영화"라고 극찬했다.[10] 리뷰 집계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 11개 리뷰를 기반으로 73%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점수는 7.00/10이다.[9]
6. 영향
아그네츠카 홀란드와 영화학자 아네트 인스도르프는 DVD 인터뷰에서 《우연의 연속》이 《슬라이딩 도어즈》에 영향을 주었다고 언급했다. 두 영화 모두 주인공이 기차를 타는지 여부에 따라 결말이 달라지지만, 《슬라이딩 도어즈》는 두 가지 시나리오만 제시한다.[10] 홀란드는 "많은 영화들이 그 개념을 그대로 베꼈다... ''슬라이딩 도어스''라는 평범한 영화... 그들은 그 개념을 가져다가 모든 철학적 깊이와 스타일리시한 섬세함이 사라지도록 왜곡했다."라고 말했다.[10]
《로라 런 롤라》는 주인공이 붐비는 공간을 질주하는 방식에서 세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우연의 연속》과 유사하다. 《우연의 연속》에서 주인공의 삶의 결과는 그가 맥주를 마시는 사람과의 상황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달려있다. 《로라 런 롤라》에서 로라는 아파트 건물을 나설 때 젊은 남성과 개와 마주친다. 이 만남의 결과는 그녀와 남자친구의 결과를 결정한다. 《우연의 연속》에서 상황은 비텍이 각 플롯에서 다른 성격을 갖도록 이끌며, 이는 로라가 지나가는 사람들의 사진 몽타주를 보여주는 《로라 런 롤라》에서 반영된다. 비텍은 처음에는 공산주의자였고, 다음에는 반공주의적인 종교인이었으며, 마지막에는 비정치적이 되었다.
7. 수상
1987년 폴란드 영화제에서 크시슈토프 키에슬로프스키는 은사자상을, 보구스와프 린다는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lind Chance
https://www.imdb.com[...]
2012-02-14
[2]
웹사이트
Przypadek
http://www.festival-[...]
Festival de Cannes
2012-02-14
[3]
웹사이트
Martin Scorsese Presents: Masterpieces of Polish Cinema
http://www.mspresent[...]
[4]
웹사이트
Full cast and crew for Blind Chance
https://www.imdb.com[...]
2012-02-14
[5]
서적
The Films of Krzysztof Kieslowski: The Liminal Image
Continuum
2004
[6]
간행물
Głeboko zamiast szeroko
1981
[7]
서적
Krzysztof Kieslowski's Decalogue Series: The Problems of Protagonists and Their Self-Transcenda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8]
서적
The Red & The White: The Cinema of People's Poland
Wallflower Press
2005
[9]
웹사이트
Blind Chance
https://www.rottento[...]
[10]
웹사이트
Blind Chance
https://www.criterio[...]
2019-04-03
[11]
웹사이트
Blind Chance
https://www.imdb.com[...]
2012-02-14
[12]
웹사이트
Przypadek
http://www.festival-[...]
Festival de Cannes
2012-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