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월 전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월 전략은 게임 이론에서 사용되는 전략의 한 유형으로, 상대방의 선택에 관계없이 항상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오는 전략을 의미한다. 우월 전략은 강한 우월 전략과 약한 우월 전략으로 구분되며, 강한 우월 전략은 상대방의 어떤 전략에도 항상 더 나은 결과를, 약한 우월 전략은 상대방의 일부 전략에 대해서만 더 나은 결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우월 전략은 게임의 균형점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강하게 지배되는 전략은 합리적인 플레이어가 선택하지 않는 전략으로 간주된다. 우월 전략 균형은 내쉬 균형의 특수한 경우이며, 죄수의 딜레마와 같은 게임에서 파레토 효율적이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강하게 지배되는 전략의 반복적 제거는 게임의 해를 찾는 데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임 이론 - 대연정
대연정은 의원내각제 또는 이원집정부제 국가에서 대립하는 거대 정당들이 국가적 위기 극복, 정치적 봉쇄, 또는 비례대표제 하의 연립 내각 구성의 필요에 따라 연합하는 정부 형태로, 정치적 안정과 국민 통합에 기여할 수 있지만 유권자 선택권 제한 및 소수 정당 약진의 우려도 있다. - 게임 이론 - 완전 정보
완전 정보 게임은 게임 이론에서 모든 플레이어가 게임의 모든 정보를 공유하는 게임을 의미하며, 체스, 틱택토, 오목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수학 - 회귀 분석
회귀 분석은 종속 변수와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으로, 최소 제곱법 개발 이후 골턴의 연구로 '회귀' 용어가 도입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예측 및 인과 관계 분석에 활용된다. - 수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 경제학에 관한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경제학에 관한 - 민간 부문
민간 부문은 이윤 추구를 목표로 하는 경제 주체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국가 경제 체제에 따라 비중과 역할이 다르며, 고용 창출의 원천이 되지만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여 국가의 규제를 받는다.
우월 전략 | |
---|---|
게임 이론 | |
종류 | 전략 |
하위 집합 | 합리화 가능 전략 |
사용 예시 | 죄수의 딜레마 |
일반 정보 | |
영어 명칭 | Dominant strategy |
관련 용어 | 우월 관계 |
2. 설명
우월전략에는 '''강한 우월전략'''과 '''약한 우월전략'''이 있다. 게임의 한 참가자에게 전략 A와 전략 B가 존재한다고 하자.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선택하는지와 관계없이 전략 A가 전략 B보다 언제나 많은 보수를 가져다줄 경우, 전략 A는 강한 우월전략이다. 만약 전략 A의 보수가 전략 B의 보수보다 크게 되는 상대방의 전략이 하나 이상 존재하고, 상대방의 나머지 전략들에 대해 전략 A의 보수가 전략 B의 보수보다 크거나 같다면, 이 때 전략 A는 약한 우월전략이 된다.
참가자 를 제외한 나머지 참가자의 전략을 라고 할 때, 참가자 에 있어 다음의 조건이 만족될 경우 전략 는 나머지 전략 에 대해 '''약한 우월전략'''이 된다.
우월전략에는 '''강한 우월전략'''과 '''약한 우월전략'''이 있다. 게임의 한 참가자에게 전략 A와 전략 B가 존재한다고 가정해 보자.
다음은 플레이어의 집합을 ''I'', 혼합 전략 공간을 ''Θ'' = ∏''i''∈''I'' Δ''i'', 혼합 전략 보수 함수를 ''u''''i'' : ''Θ'' → ℝ (''i'' ∈ ''I'') 로 한다. 또한, 전략 ''x''''i'' ∈ Δ''i'' 와 전략 프로파일 ''z'' ∈ ''Θ'' 에 따라, 전략 프로파일 (''x''''i'', ''z''−''i'') ∈ ''Θ'' 는 플레이어 ''i'' 가 전략 ''x''''i'' 를 선택하고, 그 외 플레이어가 ''z'' 에 따라 전략을 선택하는 전략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 지배 관계
: 전략 ''x''''i'', ''y''''i'' ∈ Δ''i'' 가 임의의 전략 프로파일 ''z'' ∈ ''Θ'' 에 대해 ''u''''i'' (''x''''i'', ''z''−''i'') ≥ ''u''''i'' (''y''''i'', ''z''−''i'') 를 만족하고, 적어도 하나의 ''z'' 에 대해서는 등호가 성립하지 않을 때, "''x''''i'' 는 ''y''''i'' 를 '''약지배'''한다"(''x''''i'' weakly dominates ''y''''i'')[4], 또는 "''y''''i'' 는 ''x''''i'' 에 '''약지배'''된다"(''y''''i'' is weakly dominated by ''x''''i'') 라고 한다.
: 전략 ''x''''i'', ''y''''i'' ∈ Δ''i'' 가 임의의 전략 프로파일 ''z'' ∈ ''Θ'' 에 대해 ''u''''i'' (''x''''i'', ''z''−''i'') > ''u''''i'' (''y''''i'', ''z''−''i'') 를 만족할 때, "''x''''i'' 는 ''y''''i'' 를 '''강지배'''한다"(''x''''i'' strictly dominates ''y''''i'')[4] (단순히 '''지배'''한다 (dominates) 라고 부르기도 한다[3]), 또는 "''y''''i'' 는 ''x''''i'' 에 '''강지배'''된다"(''y''''i'' is strictly dominated by ''x''''i'') 라고 한다.
; 지배 전략
: 전략 ''x''''i'' ∈ Δ''i'' 가 임의의 전략 ''y''''i'' ∈ Δ''i''∖{''x''''i''} 를 '''약지배'''할 때, ''x''''i'' 를 '''약지배 전략''' (weakly dominant strategy)[3]이라고 한다.
: 전략 ''x''''i'' ∈ Δ''i'' 가 임의의 전략 ''y''''i'' ∈ Δ''i''∖{''x''''i''} 를 '''강지배'''할 때, ''x''''i'' 를 '''강지배 전략''' (strictly dominant strategy) (단순히 '''지배 전략''' (dominant strategy)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3])이라고 한다.
; 지배되는 전략
: 전략 ''x''''i'' ∈ Δ''i'' 가 어떤 전략 ''y''''i'' ∈ Δ''i'' 에 '''약지배'''될 때, ''x''''i'' 를 '''약지배되는 전략''' (weakly dominated strategy)이라고 한다.
: 전략 ''x''''i'' ∈ Δ''i'' 가 어떤 전략 ''y''''i'' ∈ Δ''i'' 에 '''강지배'''될 때, ''x''''i'' 를 '''강지배되는 전략''' (strictly dominated strategy)이라고 한다.
3. 수학적 설명
: (단, 부등호 가 아닌 가 최소 한 번은 성립해야 함)
한편, 다음의 조건이 만족될 경우 전략 는 나머지 전략 에 대해 '''강한 우월전략'''이 된다.
:
다음은 플레이어의 집합을 , 혼합 전략 공간을 , 혼합 전략 보수 함수를 로 한다. 또한, 전략 와 전략 프로파일 에 따라, 전략 프로파일 는 플레이어 가 전략 를 선택하고, 그 외 플레이어가 에 따라 전략을 선택하는 전략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 지배 관계
: 전략 가 임의의 전략 프로파일 에 대해 를 만족하고, 적어도 하나의 에 대해서는 등호가 성립하지 않을 때(즉, 인 가 존재할 때), "는 를 '''약지배'''한다"( weakly dominates )[4], 또는 "는 에 '''약지배'''된다"( is weakly dominated by ) 라고 한다.
: 전략 가 임의의 전략 프로파일 에 대해 를 만족할 때, "는 를 '''강지배'''한다"( strictly dominates )[4]고 하며, 때로는 단순히 '''지배'''한다고도 부른다[3]. 또는 "는 에 '''강지배'''된다"( is strictly dominated by ) 라고 한다.
; 지배 전략
: 전략 가 임의의 다른 전략 를 '''약지배'''할 때, 를 '''약지배 전략''' (weakly dominant strategy)[3]이라고 한다.
: 전략 가 임의의 다른 전략 를 '''강지배'''할 때, 를 '''강지배 전략''' (strictly dominant strategy)이라고 하며, 때로는 단순히 '''지배 전략'''이라고도 부른다[3].
; 지배되는 전략
: 전략 가 어떤 다른 전략 에 '''약지배'''될 때, 를 '''약지배되는 전략''' (weakly dominated strategy)이라고 한다.
: 전략 가 어떤 다른 전략 에 '''강지배'''될 때, 를 '''강지배되는 전략''' (strictly dominated strategy)이라고 한다.
4. 용어 (Terminology)
플레이어는 두 가지 전략 A와 B를 비교하여 어느 쪽이 더 나은지 판단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이러한 지배 관계 개념은 개별 전략을 넘어 일반화될 수 있다.
게임 이론에서 사용되는 주요 관련 용어는 다음과 같다.
수학적으로 지배 관계와 전략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플레이어의 집합을 ''I'', 혼합 전략 공간을 ''Θ = ∏''i''∈''I'' Δ''i'''', 플레이어 ''i''의 혼합 전략 보수 함수를 ''u''''i'' : Θ → ℝ (''i'' ∈ ''I'') 라고 하자. 전략 ''x''''i'' ∈ Δ''i'' 와 전략 프로파일 ''z'' ∈ Θ 에 대해, (''x''''i'', ''z''−''i'') ∈ Θ 는 플레이어 ''i'' 가 전략 ''x''''i'' 를 선택하고, 나머지 플레이어(-''i'')가 ''z'' 에 따라 전략을 선택하는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어떤 플레이어가 '''합리적'''(rational)이라는 것은 그 플레이어가 강하게 지배되는 전략(즉, 항상 더 나쁜 결과를 가져오는 전략)을 결코 선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4] 만약 모든 플레이어가 강지배 전략을 가지고 있다면, 그 전략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결과는 '''지배 전략 균형'''(dominant strategy equilibrium)이라고 불린다.[3] 지배 전략 균형이 존재하는 게임에서는 모든 플레이어가 합리적이라면 이 균형이 실현될 것으로 예상된다.
5. 우월전략과 내쉬 균형
게임에서 한 플레이어에게 '''강한 우월 전략'''(strictly dominant strategy)이 존재하면, 그 플레이어는 합리적으로 그 전략을 선택한다. 왜냐하면 다른 어떤 전략을 선택하더라도 우월 전략보다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4] 따라서 강한 우월 전략을 가진 플레이어는 게임의 모든 내쉬 균형에서 반드시 그 우월 전략을 사용한다.
만약 게임에 참여하는 모든 플레이어가 각자 강한 우월 전략을 가지고 있다면, 이 전략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결과는 '''우월 전략 균형'''(dominant strategy equilibrium)이라고 불린다.[3] 우월 전략 균형은 유일한 내쉬 균형이 된다. 모든 플레이어가 합리적이라면 이 균형이 실현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우월 전략 균형이나 내쉬 균형이 반드시 파레토 효율적인 것은 아니다. 즉, 모든 플레이어에게 더 나은 결과를 가져다주는 다른 결과(비-균형 결과)가 존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합리적인 플레이어들이 내쉬 균형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죄수의 딜레마는 파레토 비효율적인 우월 전략 균형의 대표적인 예시다.
A | B | |
---|---|---|
A | 3, 3 | 8, 1 |
B | 1, 8 | 6, 6 |
오른쪽 표(예시 1)에서 각 플레이어에게 전략 A는 전략 B에 대해 강한 우월 전략이다.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선택하든, 자신은 B보다 A를 선택하는 것이 항상 더 높은 보수를 얻는다 (상대가 A일 때 3 > 1, 상대가 B일 때 8 > 6). 따라서 (A, A)는 유일한 우월 전략 균형이자 내쉬 균형이다. 이 균형에서 두 플레이어는 각각 3의 보수를 얻는다. 하지만 두 플레이어 모두 전략 B를 선택하는 (B, B)의 경우, 각각 6의 보수를 얻어 (A, A)보다 더 높은 보수를 얻을 수 있다. 즉, 내쉬 균형 (A, A)는 파레토 효율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플레이어는 상대방이 B를 선택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면, 자신이 먼저 B로 바꿀 유인이 없다 (상대가 A를 유지하면 자신은 1만 얻게 되므로).
강하게 열등한 전략(strictly dominated strategy)은 내쉬 균형의 일부가 될 수 없다. 합리적인 플레이어는 강하게 열등한 전략을 선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약하게 열등한 전략'''(weakly dominated strategy)은 내쉬 균형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약하게 우월한 전략(weakly dominant strategy)은 다른 모든 전략에 비해 같거나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오며,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서는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오는 전략이다. 반대로 약하게 열등한 전략은 다른 전략에 비해 같거나 더 나쁜 결과를 가져오며,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서는 더 나쁜 결과를 가져오는 전략이다.
C | D | |
---|---|---|
C | 1, 1 | 0, 0 |
D | 0, 0 | 0, 0 |
오른쪽 표(예시 2)를 보자. 각 플레이어에게 전략 C는 전략 D에 대해 약하게 우월하다. 만약 상대방이 C를 선택하면, C를 선택하면 1을 얻고 D를 선택하면 0을 얻는다 (C가 더 낫다). 만약 상대방이 D를 선택하면, C를 선택하면 0을 얻고 D를 선택해도 0을 얻는다 (C와 D가 같다). 따라서 C는 D보다 결코 나쁘지 않고, 어떤 경우에는 더 낫기 때문에 약하게 우월하다. 반대로 D는 C에 대해 약하게 열등하다. 이 게임에는 두 개의 내쉬 균형이 존재한다: (C, C)와 (D, D). (C, C)는 내쉬 균형이다. 어느 플레이어도 일방적으로 D로 바꾸면 보수가 1에서 0으로 감소하므로 이탈할 유인이 없다. (D, D) 역시 내쉬 균형이다. 어느 플레이어도 일방적으로 C로 바꾸더라도 보수가 0으로 동일하므로 이탈할 유인이 없다. 이처럼 약하게 열등한 전략 D가 포함된 (D, D)도 내쉬 균형이 될 수 있다.
어떤 전략 프로파일에 대해 최적 반응이 되는 전략은 강하게 지배되지 않으므로 내쉬 균형을 이루는 전략은 모두 강하게 지배되지 않는다. 특히 완전 혼합 전략으로만 구성된 전략 프로파일에 대한 최적 반응이 되는 전략은 약하게 지배되지 않으며, 또한 약하게 지배되지 않는 전략으로만 구성된 내쉬 균형 (지배되지 않는 내쉬 균형)은 어떤 전략형 게임에도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6. 강하게 지배되는 전략의 반복적 제거
게임 이론에서 '''강우월 전략의 반복적 제거'''(Iterated Elimination of Strictly Dominated Strategies, '''IESDS''')[5]는 게임의 해를 찾는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게임에 참여하는 플레이어들이 합리적이라고 가정하고, 합리적인 플레이어라면 절대로 선택하지 않을 강하게 지배되는 전략(strictly dominated strategy)을 단계적으로 제거해 나가는 과정이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각 플레이어의 전략 중에서 다른 어떤 전략보다 항상 나쁜 결과를 가져오는 '강하게 지배되는 전략'을 찾는다.
2. 합리적인 플레이어는 이런 전략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므로, 해당 전략들을 모든 플레이어의 선택 가능성에서 제외한다. 이로 인해 게임의 규모가 작아진다.
3. 이전에는 지배되지 않았던 전략이라도 작아진 새로운 게임에서는 지배되는 전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작아진 게임에서 다시 강하게 지배되는 전략이 있는지 확인한다.
4. 더 이상 제거할 강하게 지배되는 전략이 없을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반복 제거 과정이 유효하려면, 게임에 참여하는 모든 플레이어가 합리적일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플레이어도 합리적이다"라는 사실을 알고, "다른 모든 플레이어가 내가 합리적이라는 것을 안다는 사실을 안다"는 식으로 서로의 합리성에 대한 믿음이 공통 지식(common knowledge)이 되어야 한다. 즉, 합리성에 대한 가정이 무한히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Aumann, 1976 참고).
만약 게임이 유한 게임이라면, 이 반복 제거 과정은 언젠가 멈추게 된다. 이때까지 제거되지 않고 남은 전략들을 '''반복적으로 강우월되지 않는 전략'''(not iteratively strictly dominated)[4]이라고 부른다. 만약 이 과정을 통해 각 플레이어에게 단 하나의 전략만 남게 된다면, 그 게임은 '''강우월에 의해 풀린다'''(strictly dominance solvable)[4]고 하며, 때로는 단순히 '''지배에 의해 풀린다'''(dominance solvable)라고 부르기도 한다[3]. 이 반복 제거의 결과는 어떤 플레이어의 전략부터 제거하든, 또는 한 번에 여러 전략을 제거하든 순서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하게 나타난다.[3][4][7]
참고로, '강하게' 지배되는 전략 대신 '약하게' 지배되는 전략(weakly dominated strategy)을 제거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약우월 전략 제거는 제거 순서에 따라 최종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중요한 해인 내쉬 균형 중 일부가 제거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3][8]
IESDS는 기본적으로 순수 전략만을 대상으로 제거를 진행하지만[6], 순수 전략만을 고려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6. 1. 강우월 전략 반복 제거의 한계
강우월 전략 반복 제거(IESDS)는 기본적으로 순수 전략만을 대상으로 제거를 진행한다. 이는 강우월되는 순수 전략을 제거하는 것이 동시에 강우월되는 혼합 전략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6]하지만, 어떤 순수 전략이 다른 순수 전략에 의해 강우월되지 않는다고 해서, 그 전략이 절대로 강우월되지 않는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즉, 순수 전략 사이에는 우월 관계가 없더라도, 특정 혼합 전략에 의해서는 강우월될 수 있다. 이것이 강우월 전략 반복 제거 방식이 순수 전략만을 고려할 때 가질 수 있는 한계점이다.
예를 들어, 아래의 게임 상황을 살펴보자.
플레이어 A \ 플레이어 B | b1 | b2 | b3 |
---|---|---|---|
a1 | 0, 3 | 1, 1 | 2, 0 |
a2 | 1, 0 | 3, 2 | 0, 5 |
이 게임에서 플레이어 B의 순수 전략인 b1, b2, b3 사이에는 서로를 강우월하는 관계가 없다. 어떤 순수 전략도 다른 순수 전략보다 항상 더 나은 결과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레이어 B가 b1과 b3를 각각 50%의 확률로 선택하는 혼합 전략을 사용한다고 가정해보자. 이 혼합 전략을 사용했을 때 플레이어 B가 얻는 기대 보수는 다음과 같다.
- 플레이어 A가 a1을 선택할 경우: (b1 선택 시 보수 3 × 0.5) + (b3 선택 시 보수 0 × 0.5) = 1.5
- 플레이어 A가 a2을 선택할 경우: (b1 선택 시 보수 0 × 0.5) + (b3 선택 시 보수 5 × 0.5) = 2.5
이제 이 혼합 전략의 기대 보수(1.5, 2.5)를 플레이어 B가 순수 전략 b2를 선택했을 때의 보수(A가 a1일 때 1, A가 a2일 때 2)와 비교해보자. 플레이어 A가 어떤 전략을 선택하든, b1과 b3를 섞는 혼합 전략의 기대 보수가 순수 전략 b2의 보수보다 항상 더 높다 (1.5 > 1 이고 2.5 > 2).
따라서 이 혼합 전략은 순수 전략 b2를 강우월한다. 이는 순수 전략 b2가 다른 어떤 순수 전략에게는 강우월되지 않지만, 특정 혼합 전략에게는 강우월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7. 최적 반응 및 내쉬 균형과의 관련
어떤 전략 프로파일에 대해 최적 반응이 되는 전략은 강하게 지배되지 않으므로 내쉬 균형을 이루는 전략은 모두 강하게 지배되지 않는다. 특히 완전 혼합 전략으로만 구성된 전략 프로파일에 대한 최적 반응이 되는 전략은 약하게 지배되지 않으며, 또한 약하게 지배되지 않는 전략으로만 구성된 내쉬 균형 (지배되지 않는 내쉬 균형)은 어떤 전략형 게임에도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4].
참조
[1]
논문
Essentials of Game Theory: A Concise Multidisciplinary Introduction
2008-01
[2]
서적
Strategy: An Introduction to Game Theory
2013-05-09
[3]
서적
ゼミナール ゲーム理論入門
日本経済新聞出版
2008-04-07
[4]
서적
進化ゲームの理論
文化書房博文社
1998-03-31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