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인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우인열(禹仁烈, 1337년 ~ 140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입니다. 본관은 단양(丹陽)이며, 자는 이신(而信)입니다.
생애 및 업적:


  • 고려 시대:
  • 공민왕 때 여러 관직을 거쳐 판선공시사(判繕工寺事)를 역임했습니다.
  • 우왕 때 응양군상호군(鷹揚軍上護軍)에 제수되었고, 경상도원수 겸 합포도순문사(慶尙道元帥 兼合浦都巡問使)가 되어 왜구 격퇴에 큰 공을 세웠습니다.
  • 왜적이 침입했을 때, 염탐꾼의 보고("적이 대마도(對馬島)에서 바다를 뒤덮고 오니 돛대가 서로 이어질만큼 많습니다.")를 받고 조전원수(助戰元帥) 파견을 요청했습니다.
  • 울주(蔚州), 밀양(密陽), 영산(靈山), 율포(栗浦) 등에서 왜구와 싸웠으며, 특히 율포 전투에서는 적장을 참수하고 많은 말을 노획했습니다.
  • 태산신역(太山新驛)에서 적과 싸웠고, 밤에 정예기병 500명을 보내 사불랑송지(沙弗郞松旨)에서 적을 공격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 매 전투에서 얻은 적의 말과 병장기를 공이 있는 자에게 나누어주어 사졸들의 사기를 높였습니다.
  •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이르렀습니다.
  • 조선 시대:
  • 개국 후 개성유후사유후, 판삼사사 등을 역임했습니다.
  • 수군 도감전체찰사(水軍都監戰體察使)를 맡기도 했습니다.

기타: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에는 우인열의 5대손인 우성범(禹成範)에 대한 정보가 있는데, 우성범은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에서 공부한 효자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