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크라이나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우크라이스를 대표하는 아이스하키 팀으로, 1992년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IIHF)에 가입했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본선에 진출하여 10위를 기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93년 독립적인 팀으로 첫 출전하여 18위를 기록했다. 이후 여러 차례 디비전 간 강등과 승격을 반복하며, 2024년 IIHF 세계 선수권 디비전 I에서 A조로 승격했다. 바실 보브로우니코우는 182경기에 출전하여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바딤 샤흐라이추크는 47골로 최다 득점, 비탈리 리트비넨코는 105포인트로 최다 포인트를 기록했다. 역대 감독으로는 올렉산드르 파데예프, 아나톨리 보그다노프, 드미트리 흐리스티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국가대표팀 -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창설되었으며, 2006년 FIFA 월드컵 8강, 유로 2020 8강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두었고, 아나톨리 티모슈크가 최다 출장, 안드리 셰우첸코가 최다 득점 선수이다. - 우크라이나의 국가대표팀 - 우크라이나 농구 국가대표팀
우크라이나 농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창설 이후 유로바스켓 2013에서 6위, 2014년 FIBA 농구 월드컵 첫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알렉스 렌, 스비아토슬라프 미하일류크 등 주요 선수와 비탈리 스테파노프스키 감독을 중심으로 2025년 유로바스켓 예선을 준비 중이다. -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획득한 아이스하키 강국으로, NHL 선수들의 참가 허용 여부에 따라 국제 대회 성적 변화를 겪으며 세계 최정상급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에 의해 모든 대회 참가가 중단되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우크라이나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노랑-파랑 (жовто-сині / Zhovto-syni) |
협회 | 우크라이나 아이스하키 연맹 |
총감독 | 올렉산드르 부트케비치 |
감독 | 드미트리 흐리스티치 |
보조 코치 | 이고르 카르펜코, 니콜라스 펠란, 올레흐 샤파렌코, 올레흐 자도옌코 |
주장 | 이고르 메레슈코 |
최다 출장 | 바실리 보브로브니코프 (182) |
최다 득점 | 바딤 샤흐라이추크 (42) |
최다 포인트 | 안드리 미흐노우, 바딤 샤흐라이추크 (73) |
IIHF 코드 | UKR |
IIHF 랭킹 | 28 |
IIHF 최고 랭킹 | 11 |
IIHF 최고 랭킹 달성 시기 | 2003년, 2005년 |
IIHF 최저 랭킹 | 28 |
IIHF 최저 랭킹 달성 시기 | 2022년 |
팀 색상 | '#0057b7' (파랑), '#ffd700' (노랑) |
첫 경기 | 카자흐스탄 5–1 우크라이나 (1992년 4월 14일,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
최대 승리 | 우크라이나 37–2 벨기에 (1993년 3월 13일, 블레트, 슬로베니아) |
최대 패배 | 핀란드 9–0 우크라이나 (2003년 5월 3일, 헬싱키, 핀란드) |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 30 |
첫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 1993년 |
세계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9위 (2002년) |
올림픽 출전 횟수 | 1 |
첫 올림픽 출전 | 2002년 |
기록 | 167승 180패 27무 |
![]() | |
![]() | |
이전 정보 | |
이전 총감독 | 뱌체슬라우 자발니우크 |
이전 감독 | 데이비드 로드니 루이스 |
이전 보조 코치 | 드미트리 흐리스티치, 유리 슈ンド로우, 미하일 자하로우 |
이전 주장 | 바딤 샤흐라이추크 |
이전 최다 득점 | 바딤 샤흐라이추크 (92) |
이전 최다 포인트 | 비탈리 리트비넨코 (105) |
2. 역사
2. 1. 소련 해체와 대표팀 창설
2. 2. 세계 선수권 대회 도전
2. 3. 올림픽 도전과 좌절
2. 4. 최근 동향
3. 대회 기록
3. 1. 올림픽
우크라이나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92년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IIHF)에 가입하기 전까지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았다.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했다.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는 본선에 진출하여 10위를 기록했다.
3. 2. 세계 선수권 대회
우크라이나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54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의 일원으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1930년부터 1992년까지는 소련의 영토였기 때문에 독립적인 참가가 불가능했다. 소련 해체 이후, 우크라이나는 1993년 대회에 처음으로 독립적인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하여 18위(C 풀 2위)를 기록했다.이후 우크라이나는 꾸준히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기록했다.
- 1994 – 23위 (C1 풀 3위)
- 1995 – 23위 (C1 풀 3위)
- 1996 – 22위 (C 풀 2위)
- 1997 – 21위 (C 풀 1위, B 풀 승격)
- 1998 – 17위 (B 풀 1위, A 풀 승격)
- 1999 – 14위
- 2000 – 14위
- 2001 – 10위
- 2002 – 9위
- 2003 – 12위
- 2004 – 14위
- 2005 – 11위
- 2006 – 12위
- 2007 – 16위 (디비전 I 강등)
- 2008 – 19위 (디비전 I B조 2위)
- 2009 – 20위 (디비전 I B조 2위)
- 2010 – 19위 (디비전 I A조 2위)
- 2011 – 21위 (디비전 I B조 3위)
- 2012 – 22위 (디비전 I A조 6위, 디비전 I B조 강등)
- 2013 – 23위 (디비전 I B조 1위, 디비전 I A조 승격)
- 2014 – 20위 (디비전 I A조 4위)
- 2015 – 22위 (디비전 I A조 6위, 디비전 I B조 강등)
- 2016 – 23위 (디비전 I B조 1위, 디비전 I A조 승격)
- 2017 – 22위 (디비전 I A조 6위, 디비전 I B조 강등)
- 2018 – 26위 (디비전 I B조 4위)
- 2019 – 27위 (디비전 I B조 5위)
- 2020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2]
- 2021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3]
- 2022 – 24위 (디비전 I B조 3위)
- 2023 – 24위 (디비전 I B조 2위)
- 2024 – 23위 (디비전 I B조 1위, 디비전 I A조 승격)
- 2025 – (디비전 I A조)
4. 선수 기록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바실 보브로우니코우 | 1992–2007 | 182 | 13 | 20 | 33 |
2 | 로만 살니코우 | 1996–2010 | 156 | 40 | 40 | 80 |
3 | 비탈리 리트비넨코 | 1992–2009 | 154 | 43 | 62 | 105 |
4 | 유리 훈코 | 1992–2009 | 151 | 9 | 38 | 47 |
5 | 발렌틴 올레츠키 | 1992–2008 | 145 | 35 | 44 | 79 |
6 | 올렉산드르 마트비추크 | 1999–2010 | 134 | 26 | 35 | 61 |
7 | 바딤 샤흐라이추크 | 1994-2011 | 133 | 47 | 45 | 92 |
8 | 세르히 클리멘티예우 | 1998–2012 | 120 | 17 | 37 | 54 |
9 | 안드리 스류브코 | 2000–2011 | 106 | 16 | 8 | 24 |
10 | 코스탼틴 카샨추크 | 1998–2012 | 98 | 17 | 30 | 47 |
우크라이나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에서 가장 많은 경기에 출장한 선수는 1992년부터 2007년까지 활동한 바실 보브로우니코우로, 총 182경기에 출장했다. 그 뒤를 이어 로만 살니코우가 156경기, 비탈리 리트비넨코가 154경기에 출장했다.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바딤 샤흐라이추크 | 1994-2011 | 133 | 47 | 45 | 92 |
2 | 비탈리 리트비넨코 | 1992–2009 | 154 | 43 | 62 | 105 |
3 | 로만 살니코우 | 1996–2010 | 156 | 40 | 40 | 80 |
4 | 발렌틴 올레츠키 | 1992–2008 | 145 | 35 | 44 | 79 |
5 | 라밀 율다셰우 | 1993–1995 | 17 | 31 | 10 | 41 |
6 | 안드리 미흐노우 | 2006– | 80 | 30 | 37 | 67 |
7 | 올렉산드르 마트비추크 | 1999–2010 | 134 | 26 | 35 | 61 |
8 | 아나톨리 스테파니셰우 | 1993–1999 | 36 | 24 | 21 | 45 |
9 | 바딤 쿨라부호우 | 1993–1996 | 20 | 22 | 11 | 33 |
10 | 올렉산드르 포베도노스체우 | 2004–2017 | 83 | 19 | 25 | 44 |
우크라이나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에서 가장 많은 골을 기록한 선수는 바딤 샤흐라이추크로, 총 47골을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비탈리 리트비넨코가 43골, 로만 살니코우가 40골을 기록했다.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비탈리 리트비넨코 | 1992–2009 | 154 | 43 | 62 | 105 |
2 | 바딤 샤흐라이추크 | 1994-2011 | 133 | 47 | 45 | 92 |
3 | 로만 살니코우 | 1996–2010 | 156 | 40 | 40 | 80 |
4 | 발렌틴 올레츠키 | 1992–2008 | 145 | 35 | 44 | 79 |
5 | 안드리 미흐노우 | 2006– | 80 | 30 | 37 | 67 |
6 | 올렉산드르 마트비추크 | 1999–2010 | 134 | 26 | 35 | 61 |
7 | 올레흐 샤파렌코 | 2005–2016 | 64 | 14 | 41 | 55 |
8 | 세르히 클리멘티예우 | 1998–2012 | 120 | 17 | 37 | 54 |
9 | 발레리 시랴예우 | 1994–2005 | 68 | 17 | 30 | 47 |
유리 훈코 | 1992–2009 | 151 | 9 | 38 | 47 |
우크라이나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에서 가장 많은 포인트를 기록한 선수는 비탈리 리트비넨코로, 총 105포인트(43골 62어시스트)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바딤 샤흐라이추크가 92포인트, 로만 살니코우가 80포인트를 기록했다.
4. 1. 최다 출장 선수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바실 보브로우니코우 | 1992–2007 | 182 | 13 | 20 | 33 |
2 | 로만 살니코우 | 1996–2010 | 156 | 40 | 40 | 80 |
3 | 비탈리 리트비넨코 | 1992–2009 | 154 | 43 | 62 | 105 |
4 | 유리 훈코 | 1992–2009 | 151 | 9 | 38 | 47 |
5 | 발렌틴 올레츠키 | 1992–2008 | 145 | 35 | 44 | 79 |
6 | 올렉산드르 마트비추크 | 1999–2010 | 134 | 26 | 35 | 61 |
7 | 바딤 샤흐라이추크 | 1994-2011 | 133 | 47 | 45 | 92 |
8 | 세르히 클리멘티예우 | 1998–2012 | 120 | 17 | 37 | 54 |
9 | 안드리 스류브코 | 2000–2011 | 106 | 16 | 8 | 24 |
10 | 코스탼틴 카샨추크 | 1998–2012 | 98 | 17 | 30 | 47 |
우크라이나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에서 가장 많은 경기에 출장한 선수는 1992년부터 2007년까지 활동한 바실 보브로우니코우로, 총 182경기에 출장했다. 그 뒤를 이어 로만 살니코우가 156경기, 비탈리 리트비넨코가 154경기에 출장했다.
4. 2. 최다 득점 선수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비탈리 리트비넨코 | 1992–2009 | 154 | 43 | 62 | 105 |
2 | 바딤 샤흐라이추크 | 1994-2011 | 133 | 47 | 45 | 92 |
3 | 로만 살니코우 | 1996–2010 | 156 | 40 | 40 | 80 |
4 | 발렌틴 올레츠키 | 1992–2008 | 145 | 35 | 44 | 79 |
5 | 안드리 미흐노우 | 2006– | 80 | 30 | 37 | 67 |
6 | 올렉산드르 마트비추크 | 1999–2010 | 134 | 26 | 35 | 61 |
7 | 올레흐 샤파렌코 | 2005–2016 | 64 | 14 | 41 | 55 |
8 | 세르히 클리멘티예우 | 1998–2012 | 120 | 17 | 37 | 54 |
9 | 발레리 시랴예우 | 1994–2005 | 68 | 17 | 30 | 47 |
유리 훈코 | 1992–2009 | 151 | 9 | 38 | 47 |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바딤 샤흐라이추크 | 1994-2011 | 133 | 47 | 45 | 92 |
2 | 비탈리 리트비넨코 | 1992–2009 | 154 | 43 | 62 | 105 |
3 | 로만 살니코우 | 1996–2010 | 156 | 40 | 40 | 80 |
4 | 발렌틴 올레츠키 | 1992–2008 | 145 | 35 | 44 | 79 |
5 | 라밀 율다셰우 | 1993–1995 | 17 | 31 | 10 | 41 |
6 | 안드리 미흐노우 | 2006– | 80 | 30 | 37 | 67 |
7 | 올렉산드르 마트비추크 | 1999–2010 | 134 | 26 | 35 | 61 |
8 | 아나톨리 스테파니셰우 | 1993–1999 | 36 | 24 | 21 | 45 |
9 | 바딤 쿨라부호우 | 1993–1996 | 20 | 22 | 11 | 33 |
10 | 올렉산드르 포베도노스체우 | 2004–2017 | 83 | 19 | 25 | 44 |
4. 3. 최다 포인트 선수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비탈리 리트비넨코 | 1992–2009 | 154 | 43 | 62 | 105 |
2 | 바딤 샤흐라이추크 | 1994-2011 | 133 | 47 | 45 | 92 |
3 | 로만 살니코우 | 1996–2010 | 156 | 40 | 40 | 80 |
4 | 발렌틴 올레츠키 | 1992–2008 | 145 | 35 | 44 | 79 |
5 | 안드리 미흐노우 | 2006– | 80 | 30 | 37 | 67 |
6 | 올렉산드르 마트비추크 | 1999–2010 | 134 | 26 | 35 | 61 |
7 | 올레흐 샤파렌코 | 2005–2016 | 64 | 14 | 41 | 55 |
8 | 세르히 클리멘티예우 | 1998–2012 | 120 | 17 | 37 | 54 |
9 | 발레리 시랴예우 | 1994–2005 | 68 | 17 | 30 | 47 |
유리 훈코 | 1992–2009 | 151 | 9 | 38 | 47 |
5. 역대 감독
올렉산드르 파데예프가 1993년부터 1994년까지 우크라이나 대표팀의 감독을 맡았다. 이후 아나톨리 보그다노프가 1994년부터 2003년까지 감독을 역임했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는 올렉산드르 세우칸트가 감독을 맡았으며, 2007년부터 2008년까지는 러시아 출신 블라디미르 골루보비치가 감독직을 수행했다. 2009년에는 올렉산드르 세우칸트가 다시 감독으로 복귀했다. 2009년부터 2010년까지는 미하일 자하로프가, 2010년부터 2011년까지는 데이브 루이스가 감독을 맡았다.
아나톨리 호멘코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올렉산드르 쿨리코프는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감독직을 수행했다. 러시아 출신 안드레이 나자로프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감독을 맡았고,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올렉산드르 호디뉴크가 감독을 역임했다. 올렉산드르 사비츠키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안드리 스류브코는 2018년부터 2019년까지 감독직을 수행했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는 세르게이 비테르가 감독을 맡았다. 바딤 샤흐라이추크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감독을 역임했으며, 2023년부터 현재까지는 드미트리 흐리스티치가 감독직을 수행하고 있다.
6.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IIHF- World Ranking
https://www.iihf.com[...]
International Ice Hockey Federation
2022-01-22
[2]
웹사이트
IIHF cancels Division I tournaments
https://www.iihf.com[...]
2019-03-17
[3]
웹사이트
IIHF – IIHF Council announces more cancellations
https://www.iihf.com[...]
International Ice Hockey Federation
2020-11-18
[4]
웹사이트
2011 Ranking
http://www.iihf.com/[...]
国際アイスホッケー連盟
2011-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