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란바토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란바토르역은 1949년 개장한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몽골 철도의 여객 및 화물 취급을 담당하는 최대 규모의 역으로, 단선 승강장 1면과 섬식 승강장 1면을 갖춘 지상역이다. 모스크바, 베이징, 이르쿠츠크 등 국제 열차와 몽골 국내 열차가 운행하며, 몽골 종단 철도의 주요 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철도역 - 자민우드역
자민우드역은 몽골 종단 철도 상에 위치한 몽골과 중국 국경의 철도역으로, 중국철로와 연결되는 얼롄 역과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를 잇는 주요 화물 수송로의 일부이다. - 울란바토르의 교통 - 칭기즈 칸 국제공항
몽골 울란바토르 인근에 위치한 칭기즈 칸 국제공항은 증가하는 항공 수요에 맞춰 일본 정부의 지원으로 건설되어 2021년 개항한 국제공항으로, 뉴울란바토르 국제공항 유한회사가 관리한다. - 울란바토르의 교통 - 울란바토르 지하철
울란바토르 지하철은 몽골 울란바토르에 건설 추진 중인 지하철 시스템으로, 교통 체증과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1년 건설이 결정되었으며, 2023년 재추진되어 2024년부터 2028년까지 17.7km 구간에 14개 역을 건설하여 2030년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 울란바토르의 건축물 - 칭기즈 칸 국제공항
몽골 울란바토르 인근에 위치한 칭기즈 칸 국제공항은 증가하는 항공 수요에 맞춰 일본 정부의 지원으로 건설되어 2021년 개항한 국제공항으로, 뉴울란바토르 국제공항 유한회사가 관리한다. - 울란바토르의 건축물 - 복드 칸의 겨울 궁전
복드 칸의 겨울 궁전은 몽골 마지막 군주 복드 칸이 사용한 궁전이자 현재 박물관으로, 20개의 건물에 불교 미술품, 왕좌, 의례용 유르트 등 8,600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몽골 제국 시대의 문화와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관광 명소이다.
울란바토르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울란바토르 역 |
원래 이름 (몽골어) | Улаанбаатар өртөө |
다른 이름 | |
![]() | |
주소 | 바양골, 울란바토르, 몽골 |
운영 정보 | |
소유주 | 몽골 철도 |
노선 | 몽골 종단 철도 나라이흐 지선 |
노선 (세부) | 수흐바타르—울란바토르—사인샨드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3면 6선 (2개의 섬식 승강장) |
개업 | 1949년 |
전철화 여부 | 아니오 |
주차 가능 여부 | 예 |
역 코드 | 3100022 |
기타 |
2. 역사
울란바토르역은 1949년에 개장했다.[8] 1938년 울란바토르-날라이흐 간 노선 개통을 시작으로, 1949년 나우시키-울란바토르, 1956년 울란바토르-자민우드 간 노선이 순차적으로 개통되면서 몽골 철도 건설의 주요 거점이자 교통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2014년에는 울란바토르 레일버스의 주요 터미널이 되었다.[4]
2. 1. 몽골 철도 건설
1938년 울란바토르-날라이흐 간 노선이 개통되었다.[8][4]1949년 나우시키-울란바토르 간 노선이 개통되었다.[8][4]
1956년 울란바토르-자민우드 간 노선이 개통되었다.[8][4]
2. 2. 최근
1938년 울란바토르-날라이흐 간 노선이 개통되었다.[8][4]1949년 나우시키-울란바토르 간 노선이 개통되었다.[8][4]
1956년 울란바토르-자민우드 간 노선이 개통되었다.[8][4]
2014년 울란바토르 레일버스의 주요 터미널이 되었다.[8][4]
3. 역 구조
단선 승강장 1면, 섬식 승강장 1면을 가진 지상역이다. 역 안에는 레스토랑이 있다. 승강장으로는 역사를 거치지 않고 출입할 수 있다. 역사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영향을 받은 디자인이다.
4. 운행 노선
몽골 철도에서 운행하는 울란바토르역을 경유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열차 번호 | 종착역 | 운영사 |
---|---|---|
263/264 | 수흐바타르 | 몽골 철도 |
271/272 | 수흐바타르 | 몽골 철도 |
275/276 | 자민우드 | 몽골 철도 |
277/278 | 자민우드 | 몽골 철도 |
281/282 | 다르항 (객차: 샤린골) | 몽골 철도 |
285/286 | 사잉샨드 | 몽골 철도 |
311/312 | 에르데네트 | 몽골 철도 |
609/610 | 보르-언도르 (울란바토르행 객차는 아이락에서 분리) | 몽골 철도 |
4. 1. 몽골 종단 철도
베이징 (중앙)몽골 철도
몽골 철도
몽골 철도
몽골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