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성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성왕후는 고려 현종의 왕비로, 안산 김씨 김은부의 딸이다. 1011년 현종이 거란의 침입으로 피난 중 공주에서 김은부의 집에 머물렀을 때 현종의 의복을 지어 인연을 맺어 왕비가 되었다. 현종과의 사이에서 덕종과 정종 두 아들과 두 딸을 낳았으며, 덕종 즉위 후 왕태후로 추존되어 원성용의공혜영목양덕신절순성자성광선왕태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2009년 KBS2 드라마 《천추태후》와 2023년 KBS2 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에서 등장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현종의 왕비 - 원용왕후
    원용왕후는 고려 현종의 비로, 대종과 선의왕후의 손녀이자 경장태자의 딸이며, 현종과는 근친혼 관계이고, 1013년 비로 책봉되었으나 자녀는 없었다.
  • 고려 현종의 왕비 - 원평왕후
    원평왕후는 안산 김씨로 현종의 왕비이며, 김은부의 딸이자 원성왕후, 원혜왕후의 동생으로, 원혜왕후 사후 입궁하여 왕비가 되었고 효경공주를 낳았으며, 1028년 원평왕후 시호를 받았고 능은 의릉이다.
  • 1028년 사망 - 리 태조
    리 태조는 불교 승려 출신으로 레 왕조의 혼란을 틈타 리 왕조를 건국하고 탕롱으로 천도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는 등 왕조의 기틀을 다진 베트남 리 왕조의 초대 황제이다.
  • 1028년 사망 - 콘스탄티노스 8세
    콘스탄티노스 8세는 로마노스 2세의 아들이자 바실리오스 2세의 동생으로, 형과 공동 황제를 지내다 형의 사망 후 단독 황제가 되었으나, 정치 경험 부족으로 제국을 쇠퇴시키고 딸 조에를 로마노스 아르기루스와 결혼시켜 후계자로 삼았다.
  • 안산 김씨 - 김명국 (조선)
    김명국은 1600년에 태어나 도화서 소속으로 활동하며 개성적인 화풍을 보여준 조선 시대의 화가로, 인조 대에 일본 통신사에 참여하고 창경궁 수리를 이끌었으며 불교적 주제의 인물화와 독특한 풍경화를 그렸다.
  • 안산 김씨 - 김용채
    김용채는 대한민국 국회의원과 노원구청장을 지낸 정치인이다.
원성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원성왕후
본관안산 김씨
작위고려 현종의 왕비
재위 기간1022년 10월 19일 ~ 1028년 7월 22일 (음력)
별칭연경원주(延慶院主), 연경궁주(延慶宮主)
시호원성(元成)
혼인 및 가족 관계
배우자현종
자녀2남 2녀 (덕종, 정종, 인평왕후, 경숙공주)
아버지김은부
어머니경원 이씨
생애
출생995년
출생지장상동, 상록구, 안산시, 경기도, 고려
사망1028년 8월 15일 (33세)
사망 (음력)1028년 7월 22일
칭호 (1016년)영경원주 (延慶院主)
칭호 (1018년)영경궁주 (延慶宮主)
추증 시호원성용의공혜영목양덕신절순성자성광선왕태후 (元成容懿恭惠英穆良德信節順聖慈聖廣宣王太后)
능묘
위치명릉(明陵)

2. 생애

안산 김씨 출신으로 아버지는 김은부이다. 현종이 거란의 침입을 피해 나주로 피난했다가 개경으로 돌아오는 길에 공주에서 절도사로 있던 김은부의 집에 머물렀는데, 이때 김은부의 딸(원성왕후)이 현종의 의복을 지어 올린 것을 계기로 인연을 맺게 되었다.[7] 이후 입궁하여 덕종과 정종 두 아들과 두 딸을 낳았다. 1022년(현종 13년)에 정식으로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1028년(현종 19년)에 사망하여 명릉(明陵)에 묻혔다.[8] 사후 아들 덕종이 즉위하자 왕태후로 추존되었다. 그녀의 두 여동생 역시 현종의 왕비(원혜왕후, 원평왕후)가 되었다.

2. 1. 가계와 현종과의 만남

본관은 안산이며, 아버지는 김은부이고 어머니는 인천 이씨 이허겸의 딸이다. 훗날 외척으로 권력을 누린 이자연은 그녀의 외사촌이다.

1011년(현종 2년) 음력 1월, 거란의 침입으로 현종이 전라도 나주까지 피난을 갔다가 개경으로 돌아오는 길이었다. 이때 공주에서 절도사로 있던 김은부의 집에 머물게 되었는데, 김은부의 첫째 딸(원성왕후)이 현종의 의복을 지어 올린 것이 인연이 되어 왕비로 맞이하게 되었다. 그녀의 두 여동생도 훗날 각각 원혜왕후원평왕후가 되었다.

고려사》〈열전〉의 후비전에는 1011년(현종 2년) 음력 2월에 입궁하여 연경원주(延慶院主)의 호를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고려사》〈세가〉에는 입궁 후 궁인 김씨로 불리다가 1016년(현종 7년) 장남 왕흠(훗날의 덕종)을 낳은 뒤에야 연경원(延慶院)을 하사받았다고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7] 1018년(현종 9년) 음력 7월에는 차남 왕형(훗날의 정종)을 낳으면서 연경궁주(延慶宮主)로 호가 올라가고 예물을 받았다. 이후 1022년(현종 13년)에 정식으로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1027년(현종 18년) 음력 9월에는 장경궁(長慶宮)을 하사받았다.

1028년(현종 19년) 음력 7월 22일에 사망하여[8] 명릉(明陵)에 장사지냈고, 태묘의 현종묘(顯宗廟)에 함께 모셔졌다. 아들인 덕종이 즉위한 후 왕태후로 추존되었으며, 여러 차례 시호가 더해져 최종적으로 '''원성용의공혜영목양덕신절순성자성광선왕태후'''(元成容懿恭惠英穆良德信節順聖慈聖廣宣王太后)가 되었다.

남편 현종과의 사이에서 2남 2녀를 두었다.

'''원성왕후의 가계'''
관계이름생몰년비고
조부김긍필 (金兢弼)
아버지김은부? ~ 1017년
어머니안산군대부인 인천 이씨이허겸의 딸, 정식 봉호: 안효국대부인(安孝國大夫人)[3]
외조부이허겸 (李許謙)인천 이씨의 시조
외조모안산군대부인 경주 김씨
오빠김충찬 (金忠贊)? ~ 1036년
오빠김난원 (金爛圓)1055년 ~ 1101년
여동생원혜왕후? ~ 1022년현종의 왕후
여동생원평왕후? ~ 1028년현종의 왕후
배우자현종992년 ~ 1031년
장남덕종1016년 ~ 1034년
차남정종1018년 ~ 1046년
장녀인평왕후
차녀경숙공주


2. 2. 왕비 책봉과 사망

1011년(현종 2년) 음력 1월, 거란의 침입으로 전라도 나주까지 피난 갔던 현종은 개경으로 돌아오는 길에 공주에 들러 당시 절도사로 있던 김은부의 집에서 머물게 되었다. 이때 김은부의 첫째 딸이었던 원성왕후가 현종의 의복을 지어 올린 것이 인연이 되어 현종의 눈에 들었다.[7] 훗날 그녀의 두 여동생 역시 현종의 왕비가 되었는데, 각각 원혜왕후원평왕후이다.

고려사》〈열전〉 후비전 기록에 따르면 1011년(현종 2년) 음력 2월에 입궁하여 연경원주(延慶院主)라는 호를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고려사》〈세가〉 현종 편에는 입궁 후 궁인 김씨로 불리다가, 1016년(현종 7년) 장남 왕흠(훗날의 덕종)을 낳은 후에야 연경원(延慶院)을 하사받았다고 기록되어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다.[7] 1018년(현종 9년) 음력 7월에는 차남 왕형(훗날의 정종)을 낳았고, 이때 연경궁주(延慶宮主)로 호가 올라가고 예물을 하사받았다.

이후 1022년(현종 13년)에 정식으로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1027년(현종 18년) 음력 9월에는 장경궁(長慶宮)을 하사받았다. 그러나 이듬해인 1028년(현종 19년) 음력 7월 22일에 사망하였다.[8] 시신은 명릉(明陵)에 안장되었고, 태묘의 현종묘(顯宗廟)에 함께 배향되었다.

덕종이 즉위한 후 왕태후로 추존되었으며, 여러 차례 시호가 더해져 최종 시호는 '''원성용의공혜영목양덕신절순성자성광선왕태후'''(元成容懿恭惠英穆良德信節順聖慈聖廣宣王太后)가 되었다. 남편 현종과의 사이에서는 2남 2녀를 두었다.

3. 가족 관계


  • 조부 : 김긍필(金兢弼)
  • 외조부 : 이허겸(李許謙, 생몰년 미상)
  • 외할머니 : 안산군대부인(安山郡大夫人) 경주 김씨(慶州 金氏)

  • 아버지 : 김은부(金殷傅, ?~1017년)
  • 어머니 : 안산군대부인(安山郡大夫人) 인천 이씨(仁川 李氏, 생몰년 미상)[9] - 후에 안효국대부인(安孝國大夫人)으로 추증[3]
  • * 오빠 : 김충찬(金忠贊, ? ~ 1036년)
  • * 오빠 : 김난원(金爛圓, 1055년 ~ 1101년)
  • * 동생 : 원혜왕후(元惠王后, ?~1022년) - 현종의 제4비
  • ** 조카이자 사위 : 문종(文宗, 1019년~1083년, 재위:1046년~1083년) - 인평왕후의 남편, 고려 제11대 국왕
  • * 동생 : 원평왕후(元平王后, ?~1028년) - 현종의 제7비
  • ** 조카 : 효경공주(孝敬公主, 생몰년 미상)

  • 남편 : 현종(顯宗, 992년~1031년, 재위:1009년~1031년) - 고려 제8대 국왕
  • * 장남 : 덕종(德宗, 1016년~1034년, 재위:1031년~1034년) - 고려 제9대 국왕
  • * 차남 : 정종(靖宗, 1018년~1046년, 재위:1034년~1046년) - 고려 제10대 국왕
  • * 장녀 : 인평왕후(仁平王后, 생몰년 미상) - 문종의 제1비
  • * 차녀 : 경숙공주(景肅公主, 생몰년 미상)

4. 평가 및 대중문화

(내용 없음)

4. 1. 대중문화

참조

[1] 서적 Annals of the Goryeo Dynasty in one volume https://books.google[...] Deullyeok 2021-06-25
[2] 웹사이트 김은부 http://db.history.go[...] 2021-06-25
[3] 웹사이트 국대부인(國大夫人) http://encykorea.aks[...] 2021-07-03
[4]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6-25
[5]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6-25
[6] 서적 《고려사》권5 〈세가〉 권5 - 현종 19년 7월 을묘(乙卯) 기사
[7] 서적 《고려사》권4〈세가〉권4 - 현종 7년 5월 - 궁인 김씨가 왕자를 낳다
[8] 서적 《고려사》권5〈세가〉권5 - 현종 19년 7월 - 왕비 김씨가 죽다
[9] 문서 또는 안효국대부인(安孝國大夫人)이라고도 한다. https://terms.nave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외명부〉항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