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WE)은 2002년 9월 2일 창설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RAW 브랜드의 타이틀로 시작되었다. 2013년 WWE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2023년에 새로운 디자인의 챔피언십으로 부활했다. 초대 챔피언은 트리플 H이며, 2013년까지 총 25명의 챔피언이 존재했다. 부활한 챔피언십은 세스 롤린스가 초대 챔피언이며, 드루 매킨타이어, 데미안 프리스트, 군터가 챔피언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비급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1992년 NWA-EC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ECW 탈퇴 후 명칭을 변경, 2001년 폐지되었다가 2006년 WWE ECW 브랜드 재출범과 함께 부활했으나 2010년 ECW 브랜드 종료로 다시 폐지된 챔피언십이다.
  • 헤비급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임팩트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임팩트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TNA(현 임팩트 레슬링)의 최상위 남자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NWA와의 제휴 종료 후 신설되어 단체명 변경에 따라 명칭이 바뀌었으며, 유일한 여성 챔피언은 테사 블랜차드이고 현재 챔피언은 닉 네메스이다.
  • 2023년 설립 - 포카라 국제공항
    포카라 국제공항은 네팔 포카라시에 위치하며, 2016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3년 1월 1일에 개항했고, 중국의 지원을 받아 건설되었으며, 항공사 운항과 사고 발생, 건설 비용 관련 의혹이 있는 국제공항이다.
  • 2023년 설립 - 충북 청주 FC
    충북 청주 FC는 2023년 창단하여 K리그2에 참가하는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으로, 청주 FC와 청주 시티 FC의 통합 및 청주시의 지원으로 프로화에 성공, 충청북도에 7년 만에 프로 축구 클럽을 탄생시켰다.
  • WWE 챔피언십 - WWE 태그팀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은 스맥다운 브랜드의 태그팀 활성화를 위해 2016년 창설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라이노와 히스 슬레이터가 초대 챔피언이며, 디 우소즈가 최장수, 더 뉴 데이가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WWE 챔피언십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WWE)은 WWE의 태그팀 레슬링 챔피언십으로, 2002년 WWE RAW에서 처음 시작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통합 과정을 거쳐 2024년 4월 15일부터 현재의 명칭을 사용한다.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E)
기본 정보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빅 골드 벨트를 기반으로 디자인되었으며 WWE 로고가 통합되었다.
프로모션WWE
별칭월드 챔피언십 (2006년, 2010년)레이 미스테리오의 2006년과 2010년 재임 기간 동안, 미스테리오가 헤비급이 아니었기 때문에 타이틀은 월드 챔피언십으로 불렸다.
최초 챔피언트리플 H
마지막 챔피언랜디 오턴
생성일2002년 9월 2일
폐지일2013년 12월 15일 ( WWE 챔피언십과 통합)
챔피언 기록
최다 획득에지 (7회)
최장 기간 보유바티스타 (1차, 282일)WWE에서 인정한 기간은 281일이다.
최단 기간 보유랜디 오턴 (4차, 1분)WWE는 오턴의 마지막 재임 기간—그리고 챔피언십의 WWE 챔피언십과의 통합—을 1분으로 인정한다.
최고령 챔피언언더테이커 ()
최연소 챔피언랜디 오턴 ()
가장 무거운 챔피언빅 쇼 ()
가장 가벼운 챔피언레이 미스테리오 ()

2. 역사

WWE 챔피언십과 함께 WWE의 최고위 챔피언십으로, 이 챔피언십을 둘러싼 대립은 프로그램의 메인 스토리로 다루어진다. 챔피언십 벨트는 과거 NWA, WCW 시대에 릭 플레어가 10여 차례 획득하며 활약한 것에서 유래하여 "'''플레어 모델'''"이라는 통칭을 갖는다. WWE 챔피언십이 벨트 디자인을 자주 바꾸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엠블럼을 WWE의 것으로 변경하는 등의 처리는 있었지만 제정 이후 현재까지 동일한 벨트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미국에서 "세계 헤비급 챔피언(World Heavyweight Champion)"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는 과거 세계 최고봉으로 불린 N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WWE에서 발매된 관련 DVD에서의 취급을 보더라도, 오늘날 WWE에서 이 타이틀은 공식적인 역사는 매우 짧지만, 과거 NWA 세계 챔피언십, 이후 이를 계승한 WCW 세계 챔피언십의 흐름을 이어받은 타이틀이라고 할 수 있다. WWE 챔피언십이 WWE라는 단체의 역사를 상징하는 챔피언십이라면,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아메리칸 프로레슬링 그 자체의 역사를 상징하는 타이틀이라고 할 수 있다.

2002년 9월 2일, 브록 레스너가 스맥다운 전속이 되면서 WWE 챔피언십이 스맥다운의 벨트가 되자, RAW의 GM 에릭 비숍은 WCW 챔피언십의 명칭을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변경하여 트리플 H에게 수여했다. 노 머시에서는 트리플 H와 케인의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 및 IC 챔피언십 통합 경기가 열렸고, 트리플 H가 승리하여 IC 챔피언십은 잠시 사라졌다가 나중에 부활했다.

2003년, 트리플 H는 스콧 스타이너, 부커 T, 케빈 내쉬 등 구 WCW 출신 선수들과 대립하며 챔피언십을 방어했지만, 언포기븐에서 빌 골드버그에게 패배했다.

2004년, 크리스 베노아가 WrestleMania XX에서 트리플 H, 숀 마이클스를 꺾고 챔피언이 되었고, 이후 에볼루션과 대립했다. 서머슬램에서는 랜디 오턴이 베노아를 꺾고 최연소 챔피언이 되었다.

2005년, 바티스타가 WrestleMania 21에서 트리플 H를 꺾고 챔피언에 등극했다.

2006년, 바티스타의 부상으로 커트 앵글이 새로운 챔피언이 되었고, WrestleMania 22에서는 레이 미스테리오가 승리하며 크루저급 선수 최초로 헤비급 챔피언이 되었다.

2007년, 언더테이커가 WrestleMania 23에서 챔피언이 되었으나, 엣지가 머니 인 더 뱅크 권리를 행사하여 챔피언십을 빼앗았다.

2008년, WrestleMania XXIV에서 테이커가 다시 챔피언이 되었지만, 비키 게레로 GM의 책략으로 챔피언십을 박탈당했다. 원 나이트 스탠드 2008에서는 엣지가 테이커를 꺾었으나, RAW에서 바티스타에게 기습당한 후 CM 펑크가 머니 인 더 뱅크를 행사하여 챔피언이 되었다.

2009년, WrestleMania XXV에서 존 시나가 챔피언이 되었지만, 백래쉬 2009에서 엣지에게 챔피언십을 빼앗겼다.

2013년, TLC 경기에서 랜디 오턴존 시나의 챔피언십 통합 경기에서 랜디 오턴이 승리하면서 WWE 챔피언십이 존속·개칭되고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이 폐지되었다.[25] 2014년 8월 서머슬램까지는 두 개의 벨트를 함께 사용했지만, 다음 날 RAW에서 신규 벨트가 공개되며 통합되었다.

현재 WWE에는 동명의 챔피언십이 존재하지만, 이는 신설된 챔피언십으로 통합된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의 역사를 계승하지 않는다.

해당 챔피언십 최다 획득 기록은 엣지의 7회이다.

2. 1. 배경 (2002-2013)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2002년 WWE의 로스터가 계약 선수 과다로 인해 규모가 두 배로 증가하면서 만들어졌다. WWE는 두 개의 주요 프로그램인 ''Raw''와 ''SmackDown''으로 로스터를 나누었고, 이를 "브랜드 분할"이라고 불렀다.[8] 통합 WWE 챔피언십은 양쪽 브랜드 모두에서 도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어느 브랜드에도 소속되지 않았다. 에릭 비숍과 스테파니 맥맨이 각각 Raw와 SmackDown 브랜드의 단장으로 임명된 후, 스테파니 맥맨은 당시 WWE 통합 챔피언이었던 브록 레스너를 SmackDown 브랜드로 계약했고, Raw 브랜드는 월드 타이틀이 없는 상태가 되었다.[9][10]

초대이자 5회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트리플 H


2002년 9월 2일, 에릭 비숍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만들어 트리플 H에게 수여했다. 그 직후, 통합 챔피언십은 다시 WWE 챔피언십으로 돌아갔다.[11] WWE는 이 챔피언십을 WCW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의 후계자로 보았으며, 벨트의 역사와 통합했다.[12][13]

4회 챔피언이자 최장 기간 챔피언인 바티스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WWE 챔피언십은 2011년 첫 번째 브랜드 분할이 종료되기 전까지 여러 차례 브랜드를 변경했다. 2011년 브랜드 분리가 종료된 후,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과 WWE 챔피언 모두 ''Raw''와 ''SmackDown''에 출연할 수 있었다.

가장 어린 나이에 4번이나 챔피언이 되었고 마지막 챔피언이 된 랜디 오턴은 빅 골드 벨트 (이전의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나타냄)와 2013-2014년의 WWE 챔피언십 벨트 디자인을 들고 있는데, 이 두 벨트는 2014년 8월 단일 벨트가 도입될 때까지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개명된 타이틀을 함께 나타냈다.


2013년 서바이버 시리즈 다음 날, 당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이었던 존 시나는 당시 WWE 챔피언이었던 랜디 오턴에게 명실상부한 WWE 세계 챔피언을 결정하는 경기를 제안했다. 랜디 오턴은 2013년 12월 15일 TLC: 테이블, 래더 & 체어에서 TLC 매치로 존 시나를 꺾고 타이틀을 통합했다. 그 후 WWE 챔피언십은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폐지되었다.[11][16]

다음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 Raw와 SmackDown 브랜드 간에 이동한 날짜 목록이다.

이동 날짜브랜드비고
2002년 9월 2일Raw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Raw를 위해 설립되었고, WWE 언디스퓨티드 챔피언십이 SmackDown! 전용이 되면서 WWE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변경된 후, 이전에 1위 컨텐더로 지정된 트리플 H에게 수여되었다.
2005년 6월 30일SmackDown!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바티스타는 2005년 WWE 드래프트 로터리 동안 SmackDown!으로 드래프트되었다.[20]
2008년 6월 30일Raw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Raw 브랜드 소속의 CM 펑크가 머니 인 더 뱅크 계약을 사용하여 엣지를 꺾고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한 후 Raw로 이동했다.[21]
2009년 2월 15일SmackDown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SmackDown 브랜드 소속의 엣지가 노 웨이 아웃에서 엘리미네이션 체임버 매치에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한 후 SmackDown으로 이동했다.[22]
2009년 4월 5일Raw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Raw 브랜드 소속의 존 시나가 레슬매니아 25에서 엣지와 빅 쇼를 꺾고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한 후 다시 Raw로 이동했다.[23]
2009년 4월 26일SmackDown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SmackDown 브랜드 소속의 엣지가 백래쉬에서 존 시나를 꺾고 라스트 맨 스탠딩 매치에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한 후 다시 SmackDown으로 이동했다.[24]
2011년 8월 29일N/A첫 번째 브랜드 분리 종료.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은 RawSmackDown에 모두 출연할 수 있었다.


2. 2. 부활 (2023-현재)

2023년 4월 24일 ''Raw'' 에피소드에서 WWE 최고 콘텐츠 책임자 트리플 H는 "빅 골드 벨트"에 경의를 표하는 벨트 디자인을 가진 새로운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공개하고 초대 챔피언이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름은 같지만, 이 새로운 타이틀은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버전과는 혈통을 공유하지 않는다.[17][18][19]

WWE 챔피언십과 함께 단체 최고위의 챔피언십이며, 이 챔피언십을 둘러싼 대립은 프로그램의 메인 스토리로 다루어진다. 챔피언십에 사용되는 챔피언 벨트는 과거 NWA, WCW 시대에 릭 플레어가 10여 차례에 걸쳐 획득하며 활약한 것에서 유래하여 "'''플레어 모델'''"이라는 통칭을 갖는다. WWE 챔피언십이 풀 모델 체인지를 반복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엠블럼을 WWE의 것으로 변경하는 등의 처리는 있었지만 제정 이후 현재까지 동일한 벨트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미국에서 단순히 "세계 헤비급 챔피언(World Heavyweight Champion)"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는 과거 세계 최고봉으로 불린 N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을 가리킨다. WWE에서 발매된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의 역사를 담은 DVD에서의 취급을 보더라도, 오늘날 WWE에서 이 타이틀은 공식적인 역사는 매우 짧지만, 과거 영화를 누렸던 NWA 세계 챔피언십, 이후 이를 계승한 WCW 세계 챔피언십의 흐름을 이어받은 타이틀이라고 할 수 있다. 동등한 가치의 WWE 챔피언십이 WWE라는 단체의 역사를 상징하는 챔피언십이라면, 이는 아메리칸 프로레슬링 그 자체의 역사를 상징하는 타이틀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챔피언십을 제정할 때 혼동을 피하기 위해 "WWE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은 "WWE 챔피언십"으로 개칭되었다.

3. 역대 타이틀 명칭

타이틀 명칭연도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2023년 5월 ~


4. 역대 챔피언

역대 챔피언획득 횟수보유 일수날짜
트리플 H12002년 9월 2일
숀 마이클스12002년 11월 17일
트리플 H22002년 12월 15일
골드버그12003년 9월 21일
트리플 H32003년 12월 14일
크리스 벤와12004년 3월 14일
랜디 오턴12004년 8월 15일
트리플 H42004년 9월 12일
트리플 H52005년 1월 9일
바티스타12005년 4월 3일
커트 앵글12006년 1월 10일
레이 미스테리오12006년 4월 2일
킹 부커12006년 7월 23일
바티스타22006년 11월 26일
언더테이커12007년 4월 1일
엣지12007년 5월 8일
그레이트 칼리12007년 7월 17일
바티스타32007년 9월 16일
엣지22007년 12월 16일
언더테이커22008년 3월 30일
엣지32008년 6월 1일
CM 펑크12008년 6월 30일
크리스 제리코12008년 9월 7일
바티스타42008년 10월 26일
크리스 제리코22008년 11월 3일
존 시나12008년 11월 23일
엣지42009년 2월 15일
존 시나22009년 4월 5일
엣지52009년 4월 26일
제프 하디12009년 6월 7일
CM 펑크22009년 6월 7일
제프 하디22009년 7월 26일
CM 펑크32009년 8월 23일
언더테이커32009년 10월 4일
크리스 제리코32010년 2월 21일
잭 스와거12010년 4월 2일
레이 미스테리오22010년 6월 20일
케인12010년 7월 18일
엣지62010년 12월 19일
돌프 지글러12011년 2월 18일
엣지72011년 2월 18일
크리스챤12011년 5월 1일
랜디 오턴22011년 5월 6일
크리스챤22011년 7월 17일
랜디 오턴32011년 8월 14일
마크 헨리12011년 9월 18일
빅 쇼12011년 12월 18일
대니얼 브라이언12011년 12월 18일
셰이머스12012년 4월 1일
빅 쇼22012년 10월 28일
알베르토 델 리오12013년 1월 8일
돌프 지글러22013년 4월 8일
알베르토 델 리오22013년 6월 16일
존 시나32013년 10월 27일
랜디 오턴42013년 12월 15일


5. 기록들

기록챔피언비고
초대 챔피언세스 롤린스
최장수 챔피언세스 롤린스316일
최단 기간 챔피언드루 매킨타이어5분 46초
최다 챔피언세스 롤린스, 드루 매킨타이어, 데미안 프리스트, 군터1회
최중량급 챔피언드루 매킨타이어125kg
최경량급 챔피언세스 롤린스102kg
최고령 챔피언데미안 프리스트41세 194일
최연소 챔피언군터36세 349일



7회 챔피언 엣지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영어은 2002년부터 2013년까지 WWE에 존재했던 챔피언십이다. 2013년 12월 15일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TLC에서 존 시나랜디 오턴을 꺾고 WWE 챔피언십과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통합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초대 챔피언은 트리플 H였으며, 총 25명의 챔피언이 있었다. 최장 기간 챔피언은 바티스타로, 2005년 4월 3일부터 2006년 1월 10일까지 282일간 챔피언 자리를 지켰다. 반면 최단 기간 챔피언은 랜디 오턴으로, TLC: Tables, Ladders & Chairs (2013)에서 존 시나에게 승리하여 WWE 챔피언십과 통합된 직후 챔피언십이 폐지되면서 기록이 중단되었다. 랜디 오턴은 2004년 8월 서머슬램 (2004)에서 24세 136일의 나이로 타이틀을 획득하며 최연소 챔피언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최고령 챔피언은 언더테이커로, 2009년 10월 헬 인 어 셀 (2009)에서 44세의 나이로 타이틀을 획득했다. 엣지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7회 챔피언에 오르며 최다 챔피언 기록을 세웠다. 이 챔피언십은 역사상 6번의 공석 상태가 있었다.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웹사이트 WWE Entertainment, Inc. acquires WCW from Turner Broadcasting https://web.archive.[...] 2001-03-23
[5] 웹사이트 WCW World Champion - Chris Jericho https://web.archive.[...] 2008-02-15
[6] 웹사이트 WWWF/WWF/WWE World Heavyweight Title https://www.wrestlin[...] 2007-03-18
[7] 웹사이트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turns five years old https://www.wwe.com/[...] WWE 2007-09-06
[8] 웹사이트 WWE Entertainment To Make Raw and SmackDown Distinct Television Brands https://web.archive.[...] 2002-03-27
[9] 웹사이트 Brock Lesnar Biography at SLAM! Sports https://web.archive.[...] Canadian Online Explorer 2008-12-21
[10] 웹사이트 Vince Mcmahon Biography at SLAM! Sports https://web.archive.[...] Canadian Online Explorer 2008-12-21
[11] 웹사이트 Full WWE Raw Results - 9/2/02 https://www.wrestlev[...] 2002-09-02
[12] 웹사이트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reign history https://www.wwe.com/[...] WWE 2009-01-31
[13] 웹사이트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turns five years old https://www.wwe.com/[...] WWE 2009-04-13
[14] 웹사이트 WCW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reign history https://www.wwe.com/[...] WWE 2009-01-31
[15] 웹사이트 WWE: The History of the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https://www.amazon.c[...] 2009-12
[16] 웹사이트 WWE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https://www.wwe.com/[...] WWE.com 2013-12-16
[17] 웹사이트 4/24 WWE Raw results: Keller's report on Triple H announcement, Bad Bunny appearing in person, Rey vs. Priest https://www.pwtorch.[...] 2023-04-24
[18] 웹사이트 Triple H Introduces WWE's New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Title https://comicbook.co[...] 2023-04-24
[19] 웹사이트 Gunther vs. Randy Orton – World Heavyweight Title: Bash in Berlin Hype Package https://www.wwe.com/[...] WWE 2024-08-31
[20] 웹사이트 2005 WWE Draft Lottery http://www.wwe.com/i[...] WWE 2005-06-13
[21] 웹사이트 Opportunity Knocked, Punk Answered http://www.wwe.com/s[...] WWE 2008-06-30
[22] 웹사이트 WWE SmackDown Roster and Champions http://www.wwe.com/s[...] WWE 2009-02-16
[23] 웹사이트 John Cena def. Edge & Big Show (New World Heavyweight Champion) http://www.wwe.com/s[...] WWE 2009-04-05
[24] 웹사이트 Edge's fifth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reign https://web.archive.[...] WWE 2009-04-27
[25] 웹사이트 아카이브된 복사본 https://web.archive.[...] 2016-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